KR200496649Y1 -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의 연결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의 연결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649Y1
KR200496649Y1 KR2020200003494U KR20200003494U KR200496649Y1 KR 200496649 Y1 KR200496649 Y1 KR 200496649Y1 KR 2020200003494 U KR2020200003494 U KR 2020200003494U KR 20200003494 U KR20200003494 U KR 20200003494U KR 200496649 Y1 KR200496649 Y1 KR 200496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nnection
strip
supply devi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754U (ko
Inventor
권영선
Original Assignee
권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선 filed Critical 권영선
Priority to KR2020200003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64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6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블라인드원단을 롤바에 끼우기 위해 롤블라인드 원단의 하부에 스트립형상의 연결띠를 접착할 때, 연결띠 부착후 연결띠가 자동으로 원래 위치로 되돌아감으로서 작업공간을 방해하지 않는 연결띠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의 연결띠 공급장치{strip providing device for roll-blind machine}
본 고안은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블라인드원단을 롤바에 끼우기 위해 롤블라인드 원단의 하부에 스트립형상의 연결띠를 접착할 때, 연결띠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롤블라인드를 제조함에 있어 원단의 하부를 지탱하고, 원단을 권취하기 위해 봉형상의 롤바에 감게 되는데, 롤바의 상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원단하부를 끼우기 위해서는 플라스틱재질의 점착성 스트립인 연결띠를 원단하부에 부착한 후 끼우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종래기술과 같이, 스트립형상의 연결띠는 연결띠묶음에 감겨져 있고 한덩어리의 묶음이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의 상부거치프레임에 매달려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연결띠를 인출하여 연결띠부착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제조장치의 거치프레임(120)에 단순히 연결띠묶음을 매달아서 사용하게 되므로, 원단에 필요한 길이로 연결띠를 가위로 자른 후 남게되는 미사용의 연결띠는 연결띠 거치프레임의 위치에서 대롱대롱 매달려 있게되고, 이는 제조장치의 작업공간에 어지럽게 흔들거리게 되어 작업공간을 방해할 뿐만아니라, 연결띠묶음자체가 제멋대로 회전하여 다음번의 연결띠 인출작업시 연결띠의 끄트머리를 찾기 곤란하여 작업효율성을 저하시킨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898335(2018. 9. 6)호의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에 있어 상부거치프레임에 장착된 연결띠공급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롤블라인드를 제조하는 일련의 공정 진행 중, 특히 롤블라인드원단 하부의 연결띠 작업 수행시 거치프레임에 장착된 연결띠묶음에서 소정길이만큼 연결띠를 잡아당겨 가위로 절단할 경우, 절단된 나머지 미사용의 연결띠가 작업공간에 놓이게 되거나 공중에 길게 매달려 흔들거리면서 작업공간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띠 절단 후 연결띠 공급부재에 자동으로 되감아져 블라인드 제작시 작업공간을 방해하지 않고, 연결띠 인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작업효율성을 높인 연결띠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직육면체형상의 상하방향으로 분할된 제1부재와 제2부재 및 상기 제1, 제2부재와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직육면체형상의 제3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부재에는 원형홀을 지닌 사각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부재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연결띠거치대;
서로 평행을 이루는 상단부재와 하단부재와, 상기 상단부재와 상기 하단부재를 연결하며 직각을 이루는 중앙부재의 판형상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부재에 마감부재를 홀딩하기 위한 장방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재에 복수개의 원형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재에 장방형의 긴공동이 형성된 지지부재;
정육면체의 중앙에 원통형 봉이 형성되고 상기 봉내부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봉;
양측면에 직선으로 각이 진 타원형상의 돌출부분을 지니는 풀리부재;
상기 폴리부재의 돌출부재의 외형과 동일한 외형의 내부홀을 지니고, 연결띠를 지지하는 원형플레이트부재;
상기 연결띠를 안착시키는 외형과 상기 풀리부재의 돌출부재 외형과 동일한 내부홀을 지니는 결합부재;
연결띠묶음;
상기 연결띠의 전방을 지지하며, 중앙에 홀이 형성된 원형플레이트와, 상기 원형플레이트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재와, 누름판이동날개부재로 구성된 마감부재;
상기 누름판 이동날개부재에 상하이동하는 한쌍의 원형누름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결띠공급부재와;
태엽당김거치대;
너트가 내장된 원통상의 베이스부재;
측면에 슬릿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상의 내부하우징;
얇은 금속판의 스프링으로 형성된 태엽;
측면에 연결끈이 관통되는 홀을 지니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상의 외부하우징;
태엽스프링을 감는 조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엽당김부재와;
연결띠공급부재와 태엽당김부재를 연결하는 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롤블라인드 연결띠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롤블라인드의 제조장치에 사용하는, 연결띠 공급장치는 소정길이의 연결띠 절단 작업 후 연결띠가 자동으로 원래의 연결띠 공급장치에 되돌아감으로서 작업공간을 방해하지 않고 연결띠 인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작업효율성을 높여준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띠 공급장치는 블라인드제조설비에 있어 연결띠 부착작업을 수행하는 다양한 작업공간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블라인드 재단장치의 연결띠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띠공급장치를 설치한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블라인드재단장치의 연결띠공급장치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띠공급장치의 부품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띠공급부재가 거치프레임에 장착된 세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띠공급부재의 연결띠거치대, 지지판 및 결합봉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띠 공급부재의 각 부품의 결합을 도시한 세부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띠공급장치의 태엽당김부재의 부품결합을 도시한 세부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의 연결띠공급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8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롤블라인드 제작장치에 있어 연결띠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의 프레임 중 하나인 거치프레임에 장착된 연결띠공급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연결띠공급장치의 세부 부품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띠공급장치는 크게 연결띠공급부재(100)와 태엽당김부재(200)로 구성되어있다.
연결띠공급부재와 태엽당김부재는 서로 끈(120)으로 연결되어 있어, 블라인드원단에 연결띠를 부착하기 위해 연결띠를 인출하고 소정길이의 연결띠를 절단한 후 연결띠를 되감아 줄 때 필요한 탄성복원력이 전달된다.
연결띠공급부재(100)는 연결띠거치대(110), 지지부재(120), 결합봉(130), 풀리부재(140), 플레이트(150), 결합부재(160), 연결띠(170), 마감부재(18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띠거치대(110)는 블라인드제조장치의 거치대프레임(300) 위에 장착되는 것으로, 직육면체형상의 사각기둥이 상하방향으로 분할된 제1부재(113)와 제2부재(114)로 구성되며,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후면을 향해 돌출된 직육면체 형상의 제3부재(115)로 이루어진다.
제1부재(113)에는 결합봉(130)을 삽입하기 위한 사각틀(112)이 형성되어있고 사각틀의 정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사각틀(112)과 중앙원형홀의 크기 및 두께는 결합봉(130)이 안착삽입될 수 있는 수치를 지닌다. 결합봉은 정육면체의 일측면에 원통형상의 봉이 일체로 형성되며, 각부품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봉의 내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봉(130)은 연결띠거치대(110)의 제1부재(113)에 형성된 사각틀(112)의 중앙홀에 원통형봉이 끼워져서 결합된다. 원통형봉은 순차적으로 풀리부재(140), 플레이트(150), 결합부재(160), 연결띠(170), 마감부재(180)를 삽입한 후 원통형봉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선에 고정나사(190)를 장착하여 나사 결합시킴으로서 연결띠공급부재를 형성하며, 원통형봉의 길이는 이들 부품을 모두 삽입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
연결띠거치대(110)의 중간부분에서 후면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제3부재(115)는 거치대프레임(300)에 거치되기 위한 지지대기능을 수행하며, 복수개의 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111)은 연결띠거치대(110)와 지지부재(120)를 거치대프레임(300)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띠거치대(110)에 형성된 홀(111)과 지지부재(120)에 형성된 홀(121)을 중첩시켜 홀의 축을 맞추고, 결합나사(130)에 의해 거치프레임(300)의 요홈(301)에 결합됨으로서 거치프레임상에 안정적으로 거치하게 된다.
지지부재(120)는 마감부재(18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 중앙, 하단의 면이 직각으로 구부러진 판형상으로 상단부분과 하단부분은 서로 평행을 이루고 있으며, 지지력을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지지부재(120)의 상단부분은 마감부재(180)의 누름판이동날개부(183)의 상단을 홀딩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장방형의 중앙부분은 상단부분과 하단부분을 연결하는 한편 연결띠거치대에 장착된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하며, 연결띠거치대(110)에 결합봉(130)을 장착할 경우 결합용이성을 위해 충분한 공간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하단부분에는 복수개의 홀(121)이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연결띠거치대의 홀과 중첩시킨후 결합나사(122)를 통해 거치프레임에 일체로 장착된다.
결합나사(122)는 볼트와 하부너트로 구성되며 너트의 하부에 탄성판(123)이 형성되어 있어 거치프레임의 요홈에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풀리부재(140)는 원통형의 외부에 홈이 파인 통상의 도르래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결합봉이 삽입되기 위한 원형홀이 형성되어 있고, 홈이 파인 몸통가운데 2개의 홀(141)이 연통되어 있다. 이들 연통홀(141)에 연결끈을 삽입하여 묶어서 고정시키며, 연결끈은 태엽당김부재의 태엽과 연결된다.
풀리부재(140)는 일측면에 타원형상의 돌출부분(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원형의 돌출부분의 양측면은 직선으로 각이 져서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결합부재의 외관라인과 일치하여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풀리부재의 회전력이 연결띠묶음에 까지 전달되어 연결띠 부착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연결띠를 절단한 후 미사용의 연결띠가 제자리로 복귀하게 해준다.
폴리부재의 원형홀에는 회전을 보조하는 각기 다른 사이즈의 금속링(143)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제일 안쪽에는 결합봉이 끼워지게 된다. 또한, 폴리부재의 돌출부분의 높이는 플레이트(150)와 결합부재(160)의 삽입에 대응하는 높이를 지닌다.
플레이트(150)는 연결띠(170)묶음을 지지해주는 금속재질의 원형판형상이며, 풀리부재의 돌출부분(142)의 외형과 동일한 라인의 내부홀(151)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160)는 풀리부재의 돌출부분의 외형과 동일한 모양의 내부홀(162)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라인은 연결띠묶음이 삽입장착되는, 원형모양을 갖는 원통체이며, 외부라인의 일측에는 연결띠의 시작부분(171)을 끼우기 위한 슬릿(161)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띠묶음을 결합부재에 안착시킬때 슬릿을 통해 연결띠의 시작부분을 끼워서 고정시키므로 연결띠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된다.
결합부재에 연결띠묶음을 끼운후 마감부재를 장착하며, 결합봉의 원통형봉의 길이는 풀리부재(140), 플레이트(150), 결합부재(160), 연결띠(170)묶음, 마감부재(18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두께의 수치를 지니며, 원통형봉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선에 고정나사(190)로 나사 고정시켜서 장착을 완성한다.
마감부재(180)는 연결띠묶음이 앞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중앙부에 결합봉(130)이 삽입되기 위한 홀(186)이 형성된 원형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연결띠묶음의 사용량을 확인하기 위해 원형플레이트의 중앙에서 바깥방향으로 가운데가 뚫린 복수개의 날개(182)로 구성되며 날개형상의 가장자리는 연결띠묶음의 원형둘레에 상응하는 원둘레 형상을 지니며, 날개의 형태는 기능에 제한이 없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지지력을 보유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마감부재는 세로방향으로 누름판이동부재(183)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누름판(181)이 상하이동하는 홀(184)이 형성되어있고, 중간부분에 누름판거치홀(185)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판은 연결부재를 통해 한쌍의 원반형으로 형성되며, 연결띠묶음을 하방으로 압박하여 연결띠가 안정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연결띠의 사용에 따라 하방으로 내려감으로서 자동으로 연결띠를 압박하여 인출에 적당한 장력을 부여한다.
결합봉에 풀리부재, 플레이트, 결합부재, 연결띠 및 마감부재를 순차적으로 장착시킨 후, 캡(187)으로 마감한 후 고정나사를 통해 나사고정시키며, 연결띠묶음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는 고정나사를 풀고 마감부재를 빼낸 후 연결띠의 교체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연결띠공급부재의 지지부재, 결합봉, 플레이트 및 마감부재는 지지력을 부여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연결띠거치대, 풀리부재, 결합부재 및 누름판은 플라스틱재질로 형성할수 있다.
도 4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엽당김부재는 태엽당김거치대(210), 베이스부재(220), 내부하우징(230), 스프링태엽(240), 외부하우징(250) 및 조임핀(260)을 포함한다.
태엽당김거치대(210)는 거치프레임에 나사고정되며, 그위에 원통상의 베이스부재(220)가 나사고정으로 설치된다.
베이스부재(220) 위에는 원통형상의 내부하우징(230)이 설치되며, 내부하우징은 감긴 스프링태엽(240)이 내장되는 것으로, 태엽의 끝부분이 삽입되도록 슬릿(232)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태엽은 와선형의 비틀림 금속 용수철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조임핀(260)에 형성된 2개의 다리(261)사이로 태엽의 시작부분을 끼워서 단단히 조여묶고 2개의 다리는 내부하우징의 홀(231)에 삽입안착됨으로서 다리사이의 묶임이 풀어지지않게 고정된다.
태엽의 끝부분은 내장하우징의 슬릿에 삽입되기 위해 끝부분을 향해 양측면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끈을 묶어두기 위한 홈(242)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하우징에 스프링태엽을 내장하고 이후 외부하우징(250)에 삽입한 후, 외부하우징(250)에 형성된 홀(251)을 통과한 조임핀(260)을 통해 태엽을 당겨 조인 후에 나사로 고정한다.
태엽에 묶인 연결끈은 외부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홀(252)을 통해 밖으로 연결된다. 태엽을 감는 조임핀(26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2개의 다리가 형성되어 있어, 태엽의 시작부분에 끼워서 태엽을 당기면서 조여서 감는다.
태엽의 당김에 의한 탄성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외부하우징에 조임핀을 나사 고정함으로서 태엽당김부재내에 탄성력이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탄성력은 연결띠공급부재의 풀리부재에 전달되게 된다.
외부하우징은 상부에 형성된 나사구성(253)을 통해 베이스부재(220)에 결합시켜 태엽당김부재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띠공급장치는, 롤블라인드제조장치의 상부 거치프레임에 직접 장착하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작업대에서 착탈자재로 자유롭게 장착함으로서 사용하게 된다.
작업자가 블라인드원단의 하부에 연결띠를 부착할 경우, 연결띠공급장치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연결띠를 인출하게되고, 이때 연결띠는 누름판에 의한 압박으로 연결띠가 자연스럽게 인출하게 된다.
또한, 연결띠를 사용길이만큼 가위로 절단하게 되면, 연결띠에 작용하던 힘이 사라지는 동시에 태엽당김부재에 의해 유지된 탄성복원력이 끈으로 연결된 연결띠공급부재의 풀리부재에 전달되어 풀리부재가 회전에 하게 됨으로서 연결띠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탄성복원력의 힘만큼 회전하게 되어 연결띠가 원래의 연결띠공급부재의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어 후속작업을 위해 대기하게 되고, 작업대공간에서 어지럽게 흔들거리면서 작업공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연결띠거치대 120 : 지지부재 130 : 결합봉
140 : 풀리부재 150 : 플레이트 160 : 결합부재 170 : 연결띠
180 : 마감부재 210 : 태엽당김거치대 220 : 베이스부재 230 : 내부하우징 240 : 스프링태엽
250 : 외부하우징 260 : 조임핀

Claims (7)

  1. 직육면체형상의 상하방향으로 분할된 제1부재와 제2부재 및 상기 제1, 제2부재와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직육면체형상의 제3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부재에는 원형홀을 지닌 사각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부재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연결띠거치대;
    서로 평행을 이루는 상단부재와 하단부재와, 상기 상단부재와 상기 하단부재를 연결하며 직각을 이루는 중앙부재의 판형상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부재에 마감부재를 홀딩하기 위한 장방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재에 복수개의 원형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재에 장방형의 긴공동이 형성된 지지부재;
    정육면체의 중앙에 원통형 봉이 형성되고 상기 봉내부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봉;
    양측면에 직선으로 각이 진 타원형상의 돌출부분을 지니는 풀리부재;
    상기 풀리부재의 돌출부재의 외형과 동일한 외형의 내부홀을 지니고, 연결띠를 지지하는 원형플레이트부재;
    상기 연결띠를 안착시키는 외형과 상기 풀리부재의 돌출부재 외형과 동일한 내부홀을 지니는 결합부재;
    연결띠묶음;
    상기 연결띠의 전방을 지지하며, 중앙에 홀이 형성된 원형플레이트와, 상기 원형플레이트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재와, 누름판이동날개부재로 구성된 마감부재;
    상기 누름판 이동날개부재에 상하이동하는 한쌍의 원형누름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결띠공급부재와;
    태엽당김거치대;
    너트가 내장된 원통상의 베이스부재;
    측면에 슬릿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상의 내부하우징;
    얇은 금속판의 스프링으로 형성된 태엽;
    측면에 연결끈이 관통되는 홀을 지니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상의 외부하우징;
    태엽스프링을 감는 조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엽당김부재와; 연결띠공급부재와 태엽당김부재를 연결하는 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롤블라인드 연결띠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띠거치대의 제3부재에 형성된 상기 홀과,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홀을 중첩시켜 거치프레임에 나사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연결띠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는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너트의 하단에는 탄성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연결띠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풀리부재의 원형홀에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금속링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연결띠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풀리부재의 원형홀에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금속링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연결띠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면에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연결띠공급장치
  7.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의 상기 누름판이동날개부재의 홀에 거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연결띠공급장치

KR2020200003494U 2020-09-25 2020-09-25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의 연결띠 공급장치 KR200496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94U KR200496649Y1 (ko) 2020-09-25 2020-09-25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의 연결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94U KR200496649Y1 (ko) 2020-09-25 2020-09-25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의 연결띠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54U KR20220000754U (ko) 2022-04-01
KR200496649Y1 true KR200496649Y1 (ko) 2023-03-24

Family

ID=8118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494U KR200496649Y1 (ko) 2020-09-25 2020-09-25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의 연결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64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368B1 (ko) 2012-09-21 2014-05-14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KR102120098B1 (ko) 2020-01-03 2020-06-08 세종기술 주식회사 테이프 연속 공급장치 및 테이프 연속 공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835B1 (ko) 1996-07-08 1999-06-01 손욱 칼라 브라운관용 에프.이.에이(fea) 전자총 및 그 제조방법
JP3688095B2 (ja) * 1997-03-31 2005-08-24 ニスカ株式会社 フィニッシャー装置
KR101898335B1 (ko) * 2016-09-09 2018-09-12 권영선 롤 블라인드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368B1 (ko) 2012-09-21 2014-05-14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KR102120098B1 (ko) 2020-01-03 2020-06-08 세종기술 주식회사 테이프 연속 공급장치 및 테이프 연속 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54U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6649Y1 (ko) 롤블라인드 제조장치의 연결띠 공급장치
EP0396794A1 (en) A table tennis net assembly
JP3212101U (ja) オーニングテント
CN111270504B (zh) 一种高效率验布机
CN213424826U (zh) 一种新型夹线让线机构
KR20180007168A (ko) 줄감기용 장치
RU18050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шивания пакета документов
CN111951750A (zh) 一种钢琴琴弦绕扣器
US2175835A (en) Holding device for cord, wire, etc.
CN208544816U (zh) 一种喇叭管自动下管及送入总成
CN204753079U (zh) 缝纫机线架
CN218465057U (zh) 一种卷绕装置
CN112777404A (zh) 金刚石切割线自动绕线装置
CN109319552A (zh) 一种成卷纺织防尘装置及其使用方法
CN216218921U (zh) 一种收线装置及高枝剪
CN212799037U (zh) 一种便于取料的钢丝存储装置
CN213737742U (zh) 一种收料卷去静电装置
CN109228794A (zh) 一种美术画板
CN208166205U (zh) 一种用于纺织绕线的底座结构
KR200367829Y1 (ko) 결속기
CN209275180U (zh) 一种滑动式套筒存放装置
JP4447122B2 (ja) 線材張設具及びそれを使用した線材の張設方法
CN219782641U (zh) 一种双层缝合线收纳盒
KR200333301Y1 (ko) 절첩이 가능한 섬유기계용 보빈 꽂이대
CN215185494U (zh) 一种基于无人机的柔性异物夹取采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