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600Y1 -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600Y1
KR200496600Y1 KR2020217000006U KR20217000006U KR200496600Y1 KR 200496600 Y1 KR200496600 Y1 KR 200496600Y1 KR 2020217000006 U KR2020217000006 U KR 2020217000006U KR 20217000006 U KR20217000006 U KR 20217000006U KR 200496600 Y1 KR200496600 Y1 KR 200496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lot
slider
isofix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7000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400U (ko
Inventor
원융 차오
페이 청
Original Assignee
닝보 베이비 퍼스트 베이비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닝보 베이비 퍼스트 베이비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닝보 베이비 퍼스트 베이비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04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4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6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을 공개한 것으로서, 베이스 및 ISOFIX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베이스의 상단에는 브라켓이 고정 장착되며, 브라켓에는 브라켓을 관통하는 관통 슬롯이 형성되고, 관통 슬롯 내부에는 관통 슬롯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스토퍼가 장착되며, 스토퍼의 하단에는 스토퍼 경사면이 형성되고, 스토퍼와 브라켓 사이에는 스토퍼 복원 스프링이 연결되며, ISOFIX 컴포넌트와 베이스는 슬라이딩 고정되고, ISOFIX 컴포넌트는 베이스와 브라켓 사이에 위치한 위치 제한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위치 제한 로드가 스토퍼 경사면과 접촉되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스토퍼는 관통 슬롯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고, 스토퍼 복원 스프링은 탄성 변형이 발생하며; 위치 제한 로드가 더 나아가서 스토퍼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스토퍼는 스토퍼 복원 스프링의 작용 하에 스토퍼의 평면이 위치 제한 로드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하향 이동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아동용 안전시트를 장착할 때, 상기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매커니즘은 ISOFIX 컴포넌트를 인출한 후 후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ISOFIX 컴포넌트를 원활하게 자동차의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본 고안은 아동용 안전시트 부속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ISO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아동용 안전시트는 자동차 내부에 창작되어 어린이들의 승차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트이다. 자동차에 교통 사고 또는 급격한 감속이 일어날 때, 아동용 안전시트는 어린이에 대한 충격력을 완화하고 어린이의 신체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어린이들에 대한 상해를 최소화하여 어린이들의 승차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공고 번호가 CN207257443U인 중국 특허에서는 ISOFIX 리테이닝 구조가 구비된 안전시트를 공개하였다. 상기 안전시트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순차적으로 시트부, 베이스부 및 ISOFIX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트부 및 베이스부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ISOFIX 커넥터는 베이스부의 하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ISOFIX 커넥터의 앞단은 자동차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연결단이고, ISOFIX 커넥터의 후단 측벽에는 수직 방향의 가이드 레일이 장착된다.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스톱 레버가 장착되고, 스톱 레버는 탄성 부재에 의해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고정된다. 스톱 레버에는 풀 스트랩(pull strap)이 연결되고, ISOFIX 커넥터의 중간지점에는 풀 스트랩 가압 로드가 장착되며, 풀 스트랩 가압 로드는 가이드 레일의 하부에 위치한다. 풀 스트랩은 풀 스트랩 가압 로드의 하측을 관통하여, 풀 스트랩에 외력을 인가하여 스톱 레버를 이동시킬 때, 스톱 레버는 풀 스트랩에 의하여 경사지게 하향의 작용력을 받아 가이드 레일을 따라 하향 이동한다.
상기 안전 시트는 베이스 하부면 하측에 위치한 리테이닝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리테이닝 부재는 리테이닝 회전 블록 및 리테이닝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테이닝 회전 블록의 중간지점은 회전축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베이스부의 하부면에 장착되되, 리테이닝 회전 블록의 일단은 시트단을 구성하고 타단은 장착 슬롯을 구성한다. 베이스부의 하부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리테이닝 회전 블록의 시트단은 바로 관통홀에 끼워넣어진다. 장착 슬롯 중에는 U형으로 구성되는 리테이닝 로드가 장착된다. 리테이닝 로드의 중간지점은 장착 슬롯에 위치하고, 리테이닝 로드의 양단은 하향으로 연장되어 커넥터단을 구성한다. 리테이닝 회전 블록의 상부 표면과 베이스의 하부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장착된다. 탄성 부재는 장착 슬롯과 회전축 사이에 위치한다.
초기 상태에서, ISOFIX 커넥터는 베이스부의 아래측에 위치하고, 스톱 레버는 커넥터단의 후방에 접촉된다. 풀 스트랩에 외력을 인가할 때, 스톱 레버는 풀 스트랩에 의하여 경사지게 하향의 작용력을 받아 가이드 레일을 따라 하향 이동하고, 스톱 레버가 커넥터단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까지 이동하였을 때, ISOFIX 커넥터를 베이스부의 아래측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이 때, 풀 스트랩에 인가된 외력을 제거하면, 스톱 레버는 탄성 부재의 작용 하에서 가이드 레일의 상단으로 복귀하고, 스톱 레버는 커넥터단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커넥터단은 스톱 레버가 연결단의 후방으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제한하여 ISOFIX의 후퇴를 방지함으로써, ISOFIX 커넥터의 연결단과 자동차 인터페이스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기초로 하여, 본 고안은 ISOFIX 커넥터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는 다른 ISOFIX 리테이닝 메커니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아동용 안전시트를 장착할 때, 상기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매커니즘은 ISOFIX 컴포넌트를 인출한 후 후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ISOFIX 컴포넌트를 원활하게 자동차의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기와 같은 기술적 방안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동적으로 시트 상에 장착되는 머리 받침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양방향 릴리스 머리 받침 조정 장치에 있어서,
가동적으로 상기 머리 받침에 장착되는 두개의 잠금 장치 및 구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두개의 잠금 장치는 로킹 상태와 언로킹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고, 로킹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두개의 잠금 장치는 상기 시트 상에 장착된 포지셔닝 벨트에 고정되되, 그 중 하나의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머리 받침이 상기 포지셔닝 벨트에 대하여 상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머리 받침이 상기 포지셔닝 벨트에 대하여 하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며, 언로킹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두개의 잠금 장치는 상기 포지셔닝 벨트에서 분리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두개의 잠금 장치를 구동하여 동시에 로킹 또는 언로킹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서, 상기 잠금 장치에는 래칫 구조가 구비되되, 상기 잠금 장치가 로킹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래칫은 상기 포지셔닝 벨트의 직조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두개의 잠금 장치의 래칫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두개의 잠금 장치가 각각 상기 머리 받침의 서로 반대되는 두개 방향에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지셔닝 벨트는 직조 벨트로서 직조홀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포지셔닝 벨트의 임의 위치에 로킹될 수 있는 바, 즉 상기 머리 받침 높이의 무단 조정을 실현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두개의 잠금 장치는 회동 가능하게 상기 포지셔닝 벨트의 같은 측에 장착되어, 상기 잠금 장치가 로킹 상태 및 언로킹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하고, 상기 두개의 잠금 장치가 언로킹될 때의 회동 방향은 각자의 래칫의 연장 방향과 반대됨으로써, 언로킹할 때 래칫이 상기 포지셔닝 벨트 상의 직조홀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부재 및 종동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 및 상기 종동 부재는 각각 하나의 상기 잠금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구동 부재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머리 받침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은 상기 머리 받침의 상부까지 연장되며, 타단은 상기 잠금 장치와 배합되어 상기 구동 부재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 대응되는 상기 잠금 장치를 구동하여 로킹 상태로부터 언로킹 상태로 회동하도록 하며, 상기 종동 부재는 회동 가능하게 상기 머리 받침에 장착되고, 상기 종동 부재의 제1단은 상기 구동 부재와 배합되며, 상기 종동 부재의 타단은 다른 하나의 상기 잠금 장치와 배합되어 상기 구동 부재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종동 부재를 구동하여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종동 부재가 회동할 때 대응되는 잠금 장치가 로킹 상태로부터 언로킹 상태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서, 각 상기 잠금 장치는 모드 래칫단 및 구동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래칫단에는 연속된 래칫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단은 상기 래칫단 중 상기 포지셔닝 벨트와 멀리 이격된 일측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잠금 장치의 상기 구동단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각 상기 잠금 장치는 축핀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머리 받침에 장착되며, 상기 축핀은 상기 래칫단 및 상기 구동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두개의 잠금 장치는 각각 토션 스프링을 통하여 로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부재 및 종동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 및 상기 종동 부재는 각각 하나의 상기 잠금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구동 부재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머리 받침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은 상기 머리 받침의 상부까지 연장되며, 타단은 상기 구동단과 배합되어 상기 구동 부재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 대응되는 상기 잠금 장치를 구동하여 로킹 상태로부터 언로킹 상태로 회동하도록 하며, 상기 종동 부재는 회동 가능하게 상기 머리 받침에 장착되고, 상기 종동 부재의 제1단은 상기 구동 부재의 경사면과 배합되며, 상기 종동 부재의 타단은 다른 하나의 상기 구동단과 배합되어 상기 구동 부재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종동 부재를 구동하여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종동 부재가 회동할 때 대응되는 잠금 장치가 로킹 상태로부터 언로킹 상태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포지셔닝 벨트와 대향하여 경사지게 하향 연장 형성되는 잠금 구동 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잠금 구동 경사면은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구동단과 상대하여 형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구동단은 상기 잠금 구동 경사면의 작용 하에 상기 포지셔닝 벨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대응되는 상기 래칫단이 상기 포지셔닝 벨트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포지셔닝 벨트와 배향하여 경사지게 하향 연장 형성되는 종동 부재 구동 경사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종동 부재 구동 경사면은 상기 종동 부재의 제1단과 상대하여 형성되고, 상기 종동 부재의 제2단은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구동단과 상대하여 형성되며, 상기 구동 부재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종동 부재의 제1단은 상기 종동 부재 구동 경사면의 작용 하에 상기 포지셔닝 벨트로부터 멀리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종동 부재의 제2단이 상기 포지셔닝 벨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구동단이 상기 포지셔닝 벨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기술적 목적은 하기와 같은 기술적 방한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에 있어서, 베이스 및 ISOFIX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는 브라켓이 고정 장착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브라켓을 관통하는 관통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슬롯 내부에는 관통 슬롯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스토퍼가 장착되며, 상기 스토퍼의 하단에는 스토퍼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와 브라켓 사이에는 스토퍼 복원 스프링이 연결되며, 상기 ISOFIX 컴포넌트와 베이스는 슬라이딩 고정되고, 상기 ISOFIX 컴포넌트는 베이스와 브라켓 사이에 위치한 위치 제한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위치 제한 로드가 스토퍼 경사면과 접촉되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스토퍼는 관통 슬롯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고, 스토퍼 복원 스프링은 탄성 변형이 발생하며; 위치 제한 로드가 더 나아가서 스토퍼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스토퍼는 스토퍼 복원 스프링의 작용 하에 스토퍼의 평면이 위치 제한 로드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하향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방안을 사용함에 따라, ISOFIX 컴포넌트가 베이스 및 브라켓 사이에서 이동할 때, 위치 제한 로드는 베이스 및 브라켓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ISOFIX 컴포넌트를 인출하는 과정 중, 위치 제한 로드는 스토퍼를 향하여 스토퍼 경사면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이 때, 위치 제한 로드가 계속 이동하면서 스토퍼는 위치 제한 로드의 작용 하에 상향으로 이동하고, 스토퍼 복원 스프링은 인장된 상태로 진입한다. 위치 제한 로드가 스토퍼 경사면과 분리되는 위치까지 이동하였을 때, 스토퍼는 자체의 중력 및 스토퍼 복원 스프링의 작용 하에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위치 제한 로드는 스토퍼의 평면과 접촉되면서 스토퍼의 제한을 받아 후퇴되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은 더 나아가서, 상기 스토퍼에는 끼움 슬롯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슬롯 중에는 슬라이더이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일체로 연결된 구동부 및 슬라이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상단에는 슬라이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 연결부에는 슬라이더를 구동하여 끼움 슬롯 중에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 부재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방안을 사용함에 따라, 구동 부재를 이용하여 슬라이더 연결부를 구동하여 끼움 슬롯 중에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가 함께 끼움 슬롯 중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의 이동 과정 중, 슬라이더 경사면과 스토퍼의 끼움 슬롯 내벽이 접촉되면서 스토퍼가 상향으로 이동하여, 위치 제한 로드와 스토퍼의 평면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위치 제한 로드가 브라켓과 베이스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ISOFIX 컴포넌트가 후퇴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더 나아가서, 상기 구동 부재는 슬라이더 연결부와 연결된 로프 및 로프와 연결된 버튼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튼 컴포넌트는 일체로 연결된 외력 인가부, 위치 제한부 및 버튼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 제한부에는 위치 제한부를 관통하는 허리 모양 슬롯(waist-shaped slot)이 형성되고, 상기 허리 모양 슬롯 중에는 베이스와 나사산 연결되고 허리 모양 슬롯을 따라 위치 제한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나사가 관통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방안을 사용함에 따라, 외력 인가부에 외력을 인가할 때, 외력 인가부는 로프를 이용하여 슬라이더 연결부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허리 모양 슬롯과 나사의 결합에 의해 버튼 컴포넌트의 이동을 유지하는 동시에 베이스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더 나아가서, 상기 베이스에는 격벽이 장착되고, 상기 격벽 상에는 버튼 복원 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버튼 복원 스프링 중 격판과 멀리 이격된 일단은 위치 제한부와 접촉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방안을 사용함에 따라, 외력 인가부에 외력이 인가되어 이동함과 동시에, 위치 제한부도 압력 인가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버튼 복원 스프링이 위치 제한부의 가압을 받아 압축되게 된다. 외력 인가부에 인가되는 외력을 해제할 때, 버튼 복원 스프링이 위치 제한부에 작용하면서 버튼 컴포넌트가 복원되게 된다.
본 고안은 더 나아가서, 상기 로프는 슬라이더 연결부와 연결된 슬라이더 세그멘트, 버튼 연결부와 연결된 버튼 세그멘트 및 슬라이더 세그멘트 및 버튼 세그멘트를 연결하는 트랜스퍼 세그멘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세그멘트 및 버튼 세그멘트는 모두 포지셔닝 로드 및 포지셔닝 로드의 중부에 수직 연결되는 동시에 트랜스퍼 세그멘트와 연결되는 연결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더 연결부 및 버튼 연결부에는 모두 포지셔닝 로드를 끼워넣기 위한 포지셔닝 홀 및 연결 로드를 끼워넣기 위한 L형 슬롯이 구비되고, 두개 상기 포지셔닝 홀을 각각 슬라이더 연결부 및 버튼 연결부를 관통하고, 상기 포지셔닝 홀은 대응되는 L형 슬롯의 일측변에 평행되며, 상기 L형 슬롯은 슬라이더 연결부 및 버튼 연결부의 상단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포지셔닝 홀과 연통되고, 상기 L형 슬롯의 너비는 대응되는 포지셔닝 홀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방안을 사용함에 따라, 슬라이더 연결부와 버튼 연결부를 각각 슬라이더 세그멘트 및 버튼 세그멘트와 연결시키고자 할 때, 우선 포지셔닝 로드와 포지셔닝 홀을 정렬시켜 포지셔닝 로드를 포지셔닝 홀에 슬라이딩 삽입하고, 연결 로드를 L형 슬롯 중 포지셔닝 홀에 평행된 일측변에 슬라이딩 삽입할 수 있다. 포지셔닝 로드를 연결 로드와 L형 슬롯의 수직 포지셔닝 홀이 정렬된 일측변까지 이동시킨 다음, 연결 로드를 구동하여 포지셔닝 로드의 축선을 둘러싸고 회동시킴으로써 연결 로드를 L형 슬롯 수직 포지셔닝 홀의 일측변에 끼워넣으면 된다.
본 고안은 더 나아가서, 상기 브라켓에는 트랜스퍼 세그멘트가 관통하기 위한 트랜스퍼 홀 및 연결 로드가 관통하기 위한 연결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슬롯 및 트랜스퍼 홀은 모두 브라켓의 단부면을 관통하며, 상기 연결 슬롯은 트랜스퍼 홀의 상부에 위치하되 트랜스퍼 홀과 연통되고, 상기 연결 슬롯의 너비는 트랜스퍼 홀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방안을 사용함에 따라, 연결 로드를 연결 슬롯에 삽입한 후 계속하여 트랜스퍼 홀에 삽입하고, 이어서 트랜스퍼 세그멘트가 연결 로드를 따라 트랜스퍼 홀 중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트랜스퍼 세그멘트가 트랜스퍼 홀에서만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더 나아가서, 상기 베이스에는 지지판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과 지지판은 고정 연결되며, 상기 횡방향 로드는 베이스 및 지지판 사이에 위치한다.
본 고안은 더 나아가서, 그 중 하나의 상기 지지판에는 트랜스퍼 세그멘트가 관통하기 위한 연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트랜스퍼 세그멘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방안을 사용함에 따라, 연통홀과 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로프를 지지하는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더 나아가서, 상기 지지판에는 지지판을 관통하는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제한 로드의 양단은 각각 두개 지지판의 슬라이딩 홀을 관통한 후 횡방향 로드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브라켓, 스토퍼, 스토퍼 복원 스프링 및 위치 제한 로드의 조립체를 통하여 ISOFIX 컴포넌트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버튼 컴포넌트, 로프, 슬라이더, 스토퍼, 브라켓 및 스토퍼 복원 스프링의 조립체를 통하여 ISOFIX 컴포넌트 후퇴 제한을 취소함으로써 ISOFIX 컴포넌트를 후퇴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ISOFIX 컴포넌트를 인출하기 전의 입체 구조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입체 구조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ISOFIX 컴포넌트의 입체 구조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스토퍼 복원 스프링, 스토퍼 및 슬라이더가 분리된 입체 구조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 중의 A 구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스토퍼 복원 스프링, 스토퍼 및 슬라이더가 연결된 후의 평면 구조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버튼 컴포넌트, 버튼 복원 스프링 및 나사가 분리된 입체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ISOFIX 컴포넌트를 인출하기 전의 평면 구조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ISOFIX 컴포넌트의 인출과정 중의 평면 구조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ISOFIX 컴포넌트를 인출한 후의 평면 구조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컴포넌트가 압입되었을 때의 입체 구조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1 중의 B 구역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컴포넌트가 압입되었을 때의 평면 구조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ISOFIX 컴포넌트를 후퇴한 후의 평면 구조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터니즘은 베이스(1) 및 ISOFIX 컴포넌트(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은 밑판(3), 앞판(4), 두개 측판(5) 및 뒤판(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판(4), 두개 측판(5) 및 뒤판(6)은 밑판(3)의 주위에 일체로 연결된다. 밑판(3) 및 측판(5) 중 뒤판(6)과 인접된 부분에 갭이 존재하기 때문에, 밑판(3) 및 측판(5) 중 뒤판(6)과 인접된 부분은 서로 이격되게 된다. 밑판(3) 상에는 밑판(3)에 수직되되 서로 평행되는 두개 지지판(7)이 장착된다. 두개 지지판(7)은 각각 두개 측판(5)과 뒤판(6)의 연결 부위에 연결된다. 두개 측판(7) 중 뒤판(6)과 멀리 이격된 부분은 밑판(3)과 연결되고, 뒤판(6)과 인접된 부분은 밑판(3)과 분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ISOFIX 컴포넌트(2)는 연결 로드(8), 각각 연결 로드(8)의 양단에 연결되는 손잡이(9) 및 아동용 안전시트에 연결되는 커넥터(10), 연결 로드(8) 중부에 수직 연결되는 횡방향 로드(11), 횡방향 로드(11)의 양단에 수직 연결되면서 자동자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슬라이딩 로드(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횡방향 로드(11)의 상부에는 위치 제한 레버(13)가 고정 장착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ISOFIX 및 베이스(1)를 조립할 때, 연결 로드(8)는 두개 지지판(7) 사이에 위치하되 밑판(3)과 접촉된다. 연결 로드(8)는 두개 지지판(7)에 평행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뒤판(6)에는 가동 슬롯(14)이 형성되고, 연결 로드(8)의 일단은 가동 슬롯(14)을 관통한 다음 더 연장되어 손잡이(9)와 연결된다. 횡방향 로드(11)는 지지판(7) 및 밑판(3) 사이에 위치하고, 지지판(7) 및 밑판(3)의 분리 구역에서 이동 가능하다. 지지판(7)에는 지지판(7)을 관통하는 슬라이딩 홀(15)이 형성되고, 위치 제한 로드(13)의 양단은 각각 두개 지지판(7)의 슬라이딩 홀(15)을 관통한 후 횡방향 로드(11)에 고정 연결되어, 위치 제한 로드(13)가 슬라이딩 홀(15)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판(7)의 상단에는 브라켓(16)이 고정 연결되어, 브라켓(16)도 ISOFIX 컴포넌트(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브라켓(16)은 전체적으로 입방체 형상을 가지고, 그 중, 세개 측벽은 각각 두개 지지판(7) 및 뒤판(6)에 밀착되며, 나머지 하나의 측벽은 허공에 떠있는 상태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브라켓(16)에는 브라켓(16)을 관통하는 장방형의 관통 슬롯(17)이 형성되고, 관통 슬롯(17)의 내부에는 관통 슬롯(17)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스토퍼(18)가 장착되며, 스토퍼(18)의 사방은 모두 관통 슬롯(17)에 밀착된다. 스토퍼(18)의 상단은 브라켓(16)의 상부에 위치하고, 스토퍼(18)의 하단은 브라켓(16)의 하부에 위치한다. 스토퍼(18)의 상단과 대향되는 양측에는 모두 가동 돌출판(19)이 구비되고, 브라켓(16) 중 스토퍼(18)와 인접된 상단 일측에는 고정 돌출판(20)이 구비된다. 가동 돌출판(19) 및 고정 돌출판(20) 사이에는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이 연결된다. ISOFIX 컴포넌트(2)를 인출하기 전,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은 스토퍼(18)의 중력 작용을 받아 압축 상태를 유지한다. 스토퍼(18)가 브라켓(16)에 대하여 상향으로 이동할 때,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은 우선 압축 상태에서 복원되어 인장 상태로 진입한다. 따라서, 스토퍼(18)는 자체의 중력 및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의 작용 하에 하향으로 운동하는 추세를 가지게 된다. 스토퍼(18)의 하단에는 스토퍼 경사면(22)이 형성된다. ISOFIX 컴포넌트(2)를 인출하기 전, 스토퍼(18)의 하단은 위치 제한 로드(13)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손잡이(9)에 외력을 인가하여 ISOFIX 컴포넌트(2)를 베이스(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위치 제한 로드(13)는 슬라이딩 홀(15)을 따라 스토퍼(18)를 향하여 위치 제한 로드(13)와 스토퍼(18)의 스토퍼 경사면(22)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위치 제한 로드(13)가 계속 이동함에 따라, 스토퍼(18)가 상향으로 이동하여,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이 인장 상태로 진입한다. 위치 제한 로드(13)가 계속 이동함에 따라, 스토퍼(18)와의 접촉이 해제될 때, 스토퍼(18)는 자체의 중력 및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의 작용 하에 하향으로 운동한다. 이 때, 스토퍼(18)는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의 작용 하에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토퍼(18)의 평면과 위치 제한 로드(13)가 접촉하게 되고, 스토퍼(18)는 위치 제한 로드(13)의 후퇴를 방지함으로써 더 나아가서 ISOFIX 컴포넌트(2)의 후퇴를 차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스토퍼(18)에는 위치 제한 로드(1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스토퍼(18)를 관통하는 끼움 슬롯(23)이 형성되고, 끼움 슬롯(23)의 상부 표면에는 끼움 슬롯 경사면(24)이 형성된다. 끼움 슬롯(23) 중에는 슬라이더(25)가 장착되고, 슬라이더(25)는 일체로 연결된 구동부(26) 및 슬라이더 연결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부(26)의 상단에는 슬라이더 경사면(28)이 형성되고, 슬라이더 경사면(28)과 끼움 슬롯 경사면(24)은 서로 밀착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더 연결부(27)에는 로프(29)가 연결되고, 로프(29) 중 슬라이더 연결부(27)와 멀리 이격된 일단에는 버튼 컴포넌트(30)가 연결된다. 버튼 컴포넌트(30)는 로프(29)를 통하여 슬라이더 연결부(27)를 구동하여 위치 제한 로드(1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슬라이더 경사면(28)과 끼움 슬롯 경사면(24)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이 일어나면서, 스토퍼(18)가 슬라이더(25)를 따라 상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버튼 컴포넌트(30)에 대한 외력 작용을 해제할 때, 스토퍼(18)는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의 작용 하에 하향으로 운동하고, 슬라이더 경사면(28)과 끼움 슬롯 경사면(24) 사이에는 다시 상대적인 운동이 일어나면서, 슬라이더(25)가 위치 제한 로드(13)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반대 방향 이동을 하게 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그 중, 버튼 컴포넌트(30)는 일체로 연결된 외력 인가부(31), 위치 제한부(32) 및 버튼 연결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 제한부(32)에는 위치 제한부(32)를 관통하는 허리 모양 슬롯(waist-shaped slot)(34)이 형성되고, 허리 모양 슬롯(34) 중에는 베이스(1)와 나사산 연결되고 허리 모양 슬롯(34)을 따라 위치 제한부(3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나사(35)가 관통 설치된다. 슬라이더 연결부(27)와 버튼 연결부(33)는 같은 형상을 가진다. 슬라이더 연결부(27) 및 버튼 연결부(33)에는 모두 포지셔닝 홀(36) 및 L형 슬롯(37)이 구비된다. 두개 포지셔닝 홀(36)은 각각 슬라이더 연결부(27) 및 버튼 연결부(33)를 관통한다. 포지셔닝 홀(36)은 대응되는 L형 슬롯(37)의 일측변에 평행되고, L형 슬롯(37)은 슬라이더 연결부(27) 및 버튼 연결부(33)의 상단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포지셔닝 홀(36)과 연통되다. L형 슬롯(37)의 너비는 대응되는 포지셔닝 홀(36)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도 1,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로프(29)는 슬라이더 연결부(27)와 연결된 슬라이더 세그멘트(38), 버튼 연결부(33)와 연결된 버튼 세그멘트(39) 및 슬라이더 세그멘트(38) 및 버튼 세그멘트(39)를 연결하는 트랜스퍼 세그멘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더 세그멘트(38) 및 버튼 세그멘트(39)는 모두 포지셔닝 로드(41) 및 포지셔닝 로드(41)의 중부에 수직 연결되는 동시에 트랜스퍼 세그멘트(40)와 연결되는 연결 로드(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포지셔닝 로드(41)는 바로 포지셔닝 홀(36)에 끼워넣어지고, 연결 로드(42)는 L형 슬롯(37)에 끼워넣어진다. 슬라이더 연결부(27)와 버튼 연결부(33)를 각각 슬라이더 세그멘트(38) 및 버튼 세그멘트(39)와 연결시키고자 할 때, 우선 포지셔닝 로드(41)와 포지셔닝 홀(36)을 정렬시켜 포지셔닝 로드(41)를 포지셔닝 홀(36)에 슬라이딩 삽입하고, 연결 로드(42)를 L형 슬롯(37) 중 포지셔닝 홀(36)에 평행된 일측변에 슬라이딩 삽입한다. 포지셔닝 로드(41)를 연결 로드(42)와 L형 슬롯(37)의 수직 포지셔닝 홀(36)이 정렬된 일측변까지 이동시킨 다음, 연결 로드(42)를 구동하여 포지셔닝 로드(41)의 축선을 둘러싸고 회동시킴으로써 연결 로드(42)를 L형 슬롯(37) 수직 포지셔닝 홀(36)의 일측변에 끼워넣으면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더 세그먼트(38)와 슬러이더 연결부(27)의 연결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브라켓(16)에는 트랜스퍼 세그멘트(40)가 관통하기 위한 트랜스퍼 홀(43) 및 연결 로드(42)가 관통하기 위한 연결 슬롯(44)이 구비된다. 트랜스퍼 홀(43) 및 연결 슬롯(44)는 모두 브라켓(16)의 허공에 떠있는 측벽을 관통한다. 연결 슬롯(44)은 트랜스퍼 홀(43)의 상부에 위치하되 트랜스퍼 홀(43)과 연통된다. 연결 슬롯(44)의 너비는 트랜스퍼 홀(43)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연결 로드(42)를 연결 슬롯(44)에 삽입한 후 계속하여 트랜스퍼 홀(43)에 삽입하고, 이어서 트랜스퍼 세그멘트(40)가 연결 로드(42)를 따라 트랜스퍼 홀(43) 중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트랜스퍼 세그멘트(40)가 트랜스퍼 홀(43)에서만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로프(29)를 이용하여 버튼 컴포넌트(30) 및 슬라이더 연결부(27)를 더욱 효과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그 중 하나의 지지판(7)에는 트랜스퍼 세그멘트(40)가 관통하기 위한 연통홀(45)이 구비되고, 트랜스퍼 세그멘트(40)는 연통홀(45) 중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밑판(3)에도 트랜스퍼 세그멘트(4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46)가 구비된다. 연통홀(45)과 지지대(46)를 설치함으로써 로프(29)를 지지하는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밑판(3)에는 격벽(47)이 장착되고, 격벽(47)에는 버튼 복원 스프링(48)이 장착되며, 버튼 복원 스프링(48) 중 격판(47)과 멀리 이격된 일단은 위치 제한부(32)와 접촉된다. 외력 인가부(31)를 누름에 따라 외력 인가부(31)가 위치 제한 로드(1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버튼 복원 스프링(48)은 압축된 상태로 진입한다. 외력 인가부(31)의 이동은 위치 제한부(32), 버튼 연결부(33), 로프(29) 및 슬라이더 연결부(27)를 통하여 슬라이더(25)를 이동시킨다. 외력 인가부(31)를 누르는 외력을 제거할 때, 첫째로 스토퍼(18)가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의 작용 하에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더(25)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외력 인가부(31)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둘째로 버튼 복원 스프링(48)도 외력 인가부(31)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앞판(4)에 위치 제한구(49)를 형성하여 외력 인가부(31)가 위치 제한구(49) 위치에서 앞판(4)으로 돌출시켜 사용자가 외력 인가부(31)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외력 인가부(31)는 위치 제한부(32)와 인접된 일단으로부터 위치 제한부(32)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까지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고, 위치 제한구(49)의 크기는 외력 인가부(31)의 일부분만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 과정은 아동용 안전시트를 장착하고자 할 때, 우선 ISOFIX 컴포넌트(2)를 인출시켜야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 때, 손잡이(9)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ISOFIX 컴포넌트(2)가 밑판(3) 및 브라켓(6) 사이에서 베이스(1)로부터 멀리 이격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면, 위치 제한 로드(13)도 밑판(3) 및 브라켓(16) 사이에서 슬라이딩 홀(15)을 따라 스토퍼(18)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치 제한 로드(13)의 이동 과정 중, 위치 제한 로드(13)는 스토퍼 경사면(22)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위치 제한 로드(13)가 계속 이동함에 따라, 스토퍼(18)도 위치 제한 로드(13)의 작용 하에 관통 슬롯(17)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고,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은 인장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위치 제한 로드(13)가 스토퍼 경사면(22)과 분리되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스토퍼(18)는 자체의 중력 및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의 작용 하에 관통 슬롯(17)을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위치 제한 로드(13)는 스토퍼(18)의 평면과 접촉되면서 스토퍼(18)의 제한을 받아 후퇴하지 못하게 된다.
아동용 안전시트를 자동차에 장착한 후, 아동용 안전시트의 등 받침과 자동차 시트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고자 하거나 또는 아동용 안전시트를 자동차에서 제거하고자 할 때, ISOFIX 컴포넌트(2)를 후퇴시켜야 한다. 도 11,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외력 인가부(31)를 누름에 따라 외력 인가부(31)가 이동할 때, 위치 제한부(32)도 따라서 이동하게 되면서 버튼 복원 스프링(48)이 압축된다. 이 때, 위치 제한부(32)는 버튼 연결부(33)를 이동시키고, 버튼 연결부(33)는 로프(29)를 통하여 슬라이더 연결부(27)를 이동시키며, 더 나아가서 구동부(26)가 끼움 슬롯(23)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슬라이더 경사면(28)과 끼움 슬롯 경사면(24)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이 일어나면서, 스토퍼(18)가 슬라이더(25)를 따라 상향으로 운동하여,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이 인장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이 때, 위치 제한 로드(13)는 더 이상 스토퍼(18)의 평면과 접촉되지 않고, 이에 따라 위치 제한 로드(13)가 스토퍼(18)의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ISOFIX 컴포넌트(2)가 후퇴할 수 있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ISOFIX 컴포넌트(2)가 후퇴된 후, 외력 인가부(31)를 누르는 외력을 제거할 때, 위치 제한부(32)는 버튼 복원 스프링(48)의 작용을 받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외력 인가부(31)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버튼 복원 스프링(21)이 복원되고, 스토퍼(18)가 하향으로 운동하며, 슬라이더 경사면(28)과 끼움 슬롯 경사면(24) 사이에는 다시 상대적인 운동이 일어나면서, 슬라이더(25)가 위치 제한 로드(13)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반대 방향 이동을 하게 되고, 로프(29)를 이용하여 버튼 연결부(33)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더 나아가서 위치 제한부(32) 및 외력 인가부(31)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에 대한 해석일 뿐,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닌 바,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를 기초로 본 실시예에 대하여 창조적인 공헌이 없는 수정을 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한 모두 특허법의 보호를 받게 될 것이다.
1 : 베이스
2 : ISOFIX 컴포넌트
3 : 밑판
4 : 앞판
5 : 측판
6 : 뒤판
7 : 지지판
8 : 연결 로드
9 : 손잡이
10 : 커넥터
11 : 횡방향 로드
12 : 슬라이딩 로드
13 : 위치 제한 로드
14 : 가동 슬롯
15 : 슬라이딩 홀
16 : 브라켓
17 : 관통 슬롯
18 : 스토퍼
19 : 가동 돌출판
20 : 고정 돌출판
21 : 스토퍼 복원 스프링
22 : 스토퍼 경사면
23 : 끼움 슬롯
24 : 끼움 슬롯 경사면
25 : 슬라이더
26 : 구동부
27 : 슬라이더 연결부
28 : 슬라이더 경사면
29 : 로프
30 : 버튼 컴포넌트
31 : 외력 인가부
32 : 위치 제한부
33 : 버튼 연결부
34 : 허리 모양 슬롯
35 : 나사
36 : 포지셔닝 홀
37 : L형 슬롯
38 : 슬라이더 세그멘트
39 : 버튼 세그멘트
40 : 트랜스퍼 세그멘트
41 : 포지셔닝 로드
42 : 연결 로드
43 : 트랜스퍼 홀
44 : 연결 슬롯
45 : 연통홀
46 : 지지대
47 : 격판
48 : 버튼 복원 스프링
49 : 위치 제한구

Claims (9)

  1. 베이스(1) 및 ISOFIX 컴포넌트(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의 상단에는 브라켓(16)이 고정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16)에는 브라켓(16)을 관통하는 관통 슬롯(17)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슬롯(17) 내부에는 관통 슬롯(17)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스토퍼(18)가 장착되고, 상기 스토퍼(18)의 하단에는 스토퍼 경사면(22)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8)와 브라켓(16) 사이에는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이 연결되고;
    상기 ISOFIX 컴포넌트(2)와 베이스(1)는 슬라이딩 고정되며;
    상기 ISOFIX 컴포넌트(2)는 베이스와 브라켓 사이에 위치한 위치 제한 로드(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위치 제한 로드(13)가 스토퍼 경사면(22)과 접촉되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스토퍼(18)는 관통 슬롯(17)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고,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은 탄성 변형이 발생하며; 위치 제한 로드(13)가 더 나아가서 스토퍼(18)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스토퍼(18)는 스토퍼 복원 스프링(21)의 작용 하에 스토퍼(18)의 평면이 위치 제한 로드(13)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하향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8)에는 끼움 슬롯(23)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슬롯(23) 중에는 슬라이더(25)가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25)는 일체로 연결된 구동부(26) 및 슬라이더 연결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26)의 상단에는 슬라이더 경사면(28)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 연결부(27)에는 슬라이더(25)를 구동하여 끼움 슬롯(23) 중에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 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슬라이더 연결부(27)와 연결된 로프(29) 및 로프(29)와 연결된 버튼 컴포넌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튼 컴포넌트(30)는 일체로 연결된 외력 인가부(31), 위치 제한부(32) 및 버튼 연결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 제한부(32)에는 위치 제한부(32)를 관통하는 허리 모양 슬롯(waist-shaped slot)(34)이 형성되고, 상기 허리 모양 슬롯(34) 중에는 베이스(1)와 나사산 연결되고 허리 모양 슬롯(34)을 따라 위치 제한부(3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나사(35)가 관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에는 격벽(47)이 장착되고, 상기 격벽(47) 상에는 버튼 복원 스프링(48)이 장착되며, 상기 버튼 복원 스프링(48) 중 격판(47)과 멀리 이격된 일단은 위치 제한부(32)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29)는 슬라이더 연결부(27)와 연결된 슬라이더 세그멘트(38), 버튼 연결부(33)와 연결된 버튼 세그멘트(39) 및 슬라이더 세그멘트(38) 및 버튼 세그멘트(39)를 연결하는 트랜스퍼 세그멘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세그멘트(38) 및 버튼 세그멘트(39)는 모두 포지셔닝 로드(41) 및 포지셔닝 로드(41)의 중부에 수직 연결되는 동시에 트랜스퍼 세그멘트(40)와 연결되는 연결 로드(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더 연결부(27) 및 버튼 연결부(33)에는 모두 포지셔닝 로드(41)를 끼워넣기 위한 포지셔닝 홀(36) 및 연결 로드(42)를 끼워넣기 위한 L형 슬롯(37)이 구비되고, 두개 상기 포지셔닝 홀(36)을 각각 슬라이더 연결부(27) 및 버튼 연결부(33)를 관통하고, 상기 포지셔닝 홀(36)은 대응되는 L형 슬롯(37)의 일측변에 평행되며, 상기 L형 슬롯(37)은 슬라이더 연결부(27) 및 버튼 연결부(33)의 상단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포지셔닝 홀(36)과 연통되고, 상기 L형 슬롯(37)의 너비는 대응되는 포지셔닝 홀(36)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6)에는 트랜스퍼 세그멘트(40)가 관통하기 위한 트랜스퍼 홀(43) 및 연결 로드(42)가 관통하기 위한 연결 슬롯(44)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슬롯(44) 및 트랜스퍼 홀(43)은 모두 브라켓(16)의 단부면을 관통하며, 상기 연결 슬롯(44)은 트랜스퍼 홀(43)의 상부에 위치하되 트랜스퍼 홀(43)과 연통되고, 상기 연결 슬롯(44)의 너비는 트랜스퍼 홀(4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에는 지지판(7)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16)과 지지판(7)은 고정 연결되며, 연결로드(8) 중부에 연결되는 횡방향 로드(11)는 베이스(1) 및 지지판(7)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8. 제7항에 있어서,
    그 중 하나의 상기 지지판(7)에는 트랜스퍼 세그멘트(40)가 관통하기 위한 연통홀(45)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에는 트랜스퍼 세그멘트(4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4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7)에는 지지판(7)을 관통하는 슬라이딩 홀(15)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제한 로드(13)의 양단은 각각 두개 지지판(7)의 슬라이딩 홀(15)을 관통한 후 횡방향 로드(11)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KR2020217000006U 2018-07-17 2019-07-14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KR20049660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1132895.4U CN208576461U (zh) 2018-07-17 2018-07-17 一种isofix止退二道锁机构
CN201821132895.4 2018-07-17
PCT/CN2019/095916 WO2020015596A1 (zh) 2018-07-17 2019-07-14 一种isofix止退二道锁机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00U KR20210000400U (ko) 2021-02-18
KR200496600Y1 true KR200496600Y1 (ko) 2023-03-09

Family

ID=6551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7000006U KR200496600Y1 (ko) 2018-07-17 2019-07-14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825171B1 (ko)
JP (1) JP3233422U (ko)
KR (1) KR200496600Y1 (ko)
CN (1) CN208576461U (ko)
ES (1) ES2935689T3 (ko)
WO (1) WO20200155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576461U (zh) * 2018-07-17 2019-03-05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isofix止退二道锁机构
CN114312508B (zh) * 2022-01-20 2023-03-28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isofix紧急锁止机构及儿童安全座椅
CN116493855B (zh) * 2023-06-27 2024-01-23 合肥皓东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底盘悬置支架的焊接工装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05361U1 (de) * 2008-04-17 2008-07-03 Recaro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Auto-Kindersitzes an einem Verankerungssteg oder -bügel der Karosserie eines Fahrzeugs
US9315123B2 (en) * 2011-07-29 2016-04-19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Child safety seat assemblies having anchor systems
CN205010038U (zh) * 2015-09-21 2016-02-03 宁波环球娃娃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车用儿童安全座椅的isofix系统
EP3190001A1 (en) * 2016-01-07 2017-07-12 Apramo UK Limited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mounted child safety seat
CN206436869U (zh) * 2016-12-26 2017-08-25 上海路途乐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座椅连接装置及儿童座椅
CN207190850U (zh) * 2017-05-31 2018-04-06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拉带式拉出结构
CN207190849U (zh) * 2017-05-31 2018-04-06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拉动式防回缩结构
CN207257443U (zh) * 2017-08-03 2018-04-20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isofix止退结构的安全座椅
CN107985142B (zh) * 2017-12-07 2024-02-27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isofix连接器以及儿童安全座椅
CN208576461U (zh) * 2018-07-17 2019-03-05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isofix止退二道锁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5171B1 (en) 2022-11-16
EP3825171A1 (en) 2021-05-26
KR20210000400U (ko) 2021-02-18
ES2935689T3 (es) 2023-03-09
EP3825171A4 (en) 2021-11-17
WO2020015596A1 (zh) 2020-01-23
CN208576461U (zh) 2019-03-05
JP3233422U (ja)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6600Y1 (ko)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US11338765B2 (en) Lateral shock absorber and child car safety seat therewith
CN107839555B (zh) 儿童安全座椅支撑座
CN102582479B (zh) 支撑装置
US7270373B2 (en) Child car seat
US10857968B2 (en) Lateral shock absorber and child car safety seat therewith
KR200496159Y1 (ko) 양방향 릴리스 머리 받침 조정 장치 및 아동용 안전시트
KR20200076885A (ko)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GB2523461A (en) Child safety seat
CN212950269U (zh) 一种儿童安全座椅支撑腿档位调节机构
GB2515371A (en) Child safety seat assembly
US10500989B2 (en) Child car seat and safety belt guiding apparatus thereof
CN112519646B (zh) 婴幼儿安全座椅以及座椅基部
WO2016032633A1 (en) Adjustable foot for a child car seat base
WO2020168131A1 (en) Universal child seat base for isofix installation
KR100599493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N215361054U (zh) 一种支撑腿伸缩装置及儿童安全座椅
CN214728335U (zh) 一种儿童安全座椅的侧保护装置及儿童安全座椅
KR100635866B1 (ko) 시트체가 곡선운동이 유도되는 유아용 자동차 안전시트
CN112721756A (zh) 一种支撑腿伸缩装置及儿童安全座椅
KR100271954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CN216833348U (zh) 座椅头枕调节机构
JP7397188B2 (ja) ロック機構及び子供用品
TWM500700U (zh) 嬰幼兒提籃固定座
CN109795381B (zh) 儿童安全座椅及其安全带导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