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453Y1 -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 - Google Patents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453Y1
KR200496453Y1 KR2020210002624U KR20210002624U KR200496453Y1 KR 200496453 Y1 KR200496453 Y1 KR 200496453Y1 KR 2020210002624 U KR2020210002624 U KR 2020210002624U KR 20210002624 U KR20210002624 U KR 20210002624U KR 200496453 Y1 KR200496453 Y1 KR 200496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work
glasses
safety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408U (ko
Inventor
임중재
Original Assignee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210002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5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0Straight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5Instruments or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7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in a straight handpie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기공 작업을 위하여, 선단부의 중심부에서 회전하면서, 절단작업 및 연마작업에 필요한 절삭공구가 장착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의 일직선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기 절삭공구에 의해 발생되는 파편으로부터 눈이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선단부에 대응되어 탈부착되는 안전구를 마련하되; 상기 안전구는 상기 선단부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부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부착되는 안경체결대로 이루어 지며; 상기 체결부의 일단은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선단부로부터 탈부착되며; 상기 지지대는 유연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어, 안경체결대의 부착각도를 작업자가 작업조건에 맞게 현장에서 구부려서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하며; 상기 안경체결대에는 작업자의 시력에 따라서 돋보기 또는 근시안경을 교환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치기공 작업에 사용되는 상기 치아기공용 핸드피스에 별도의 안전구없이, 간편하게 탈부착되어 작업이 용이하며, 파편이 튀는 근접부분에 커버기능과 안경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상기 안전구를 장착하여, 작업부분을 확대하여 볼수 있는 기능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 이루어 진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치기공 작업에 사용되는 치아기공용 핸드피스에 별도의 안전구없이, 간편하게 탈부착되어 작업이 용이하며, 파편이 튀는 근접부분에 커버기능과 안경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안전구를 장착하여, 작업부분을 확대하여 볼수 있는 효과와 동시에 안전사고에 매우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Safety device for dental hand piece}
본 고안은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로서, 보철, 치기공, 치아치료등에 사용되는 치아기공용 핸드피스에 안전구를 장착하여, 눈 보호경 없어도 눈을 보호할 수 있으며, 얼굴표면으로 튀는 치공 파편등에 얼굴표면도 보호하는 도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간의 평균수명의 증가와 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양질의 삶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더불어 구강보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치아보철수요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어 이에 국민구강보건증진에 일익을 담당하는 치과기공작작업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치기공에서는 치과보철물 제작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치기공용 핸드피스를 필요로 하고 있다.
치과보철물 제작을 위하여 각종 치아 기공용 공구를 사용하게 되는바, 이와 같은 치아가공용 공구중에는 내부에 소형의 모터가 내장된 핸드피스의 선단부에 모터의 회전축과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가공팁부분이 회전하면서 치과보철물을 제작 하고 있다.
치과보철물을 제작하는 치아기공용 핸드피스는, 모터로 절삭 공구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치과보철물을 절삭하는 절삭 공구는 직선으로 가늘고 긴 형태를 갖고 있다. 치아의 근관의 절삭 시에, 절삭 공구가 치아에 잠식되어 버리면, 절삭 공구에는 나사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모터에 전압을 인가하고, 모터의 회전 속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인가하는 전압을 증가해 나간다. 모터의 회전속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한 후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릴레이를 전환하여, 전압의 인가 방향을 전환한다 이에 의해, 일정 시간마다 모터가 역회전하여, 절삭 공구의 정역 회전을 실시시킨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치아기공용 핸드피스의 선단부에 장착된 고속회전모터에 필요한 절삭공구를 장착하여, 치기공 내지 치아치료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치아기공용 핸드피스를 사용한 다양한 작업에는 불가피하게 절삭파편등이 고속회전에 의하여 작업자의 눈이나 얼굴등으로 튀는 안전사고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눈 보호구 또는 얼굴보호구를 눈이나 얼굴에 장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치과의사가 치과치료용으로 핸드피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핸드피스의 중간부에 육안으로 환자의 구강내부의 치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치아 육안 확대경이 부착되어 있으나, 치기공 작업시에 발생되는 파편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치기공 작업용 전무 핸드피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에는 치과의사가 구강내부를 자유롭게 검사할 수 있도록 치아용 흡입관의 중간부에 길고 유연한 지지대에 치경을 부착하였으나, 이는 구강내부를 검사하는 치경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16016호(2004.08.05)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3184230호(2013.06.20)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안전보호구 없이, 치아기공용 핸드피스의 선단부에 안전구를 직접 장착하는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치기공 작업을 위하여, 선단부의 중심부에서 회전하면서, 절단작업 및 연마작업에 필요한 절삭공구가 장착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의 일직선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기 절삭공구에 의해 발생되는 파편으로부터 눈이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선단부에 대응되어 탈부착되는 안전구를 마련하되; 상기 안전구는 상기 선단부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부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부착되는 안경체결대로 이루어 지며; 상기 체결부의 일단은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선단부로부터 탈부착되며; 상기 지지대는 유연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어, 안경체결대의 부착각도를 작업자가 작업조건에 맞게 현장에서 구부려서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하며; 상기 안경체결대에는 작업자의 시력에 따라서 돋보기 또는 근시안경을 교환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치기공 작업에 사용되는 상기 치아기공용 핸드피스에 별도의 안전구없이, 간편하게 탈부착되어 작업이 용이하며, 파편이 튀는 근접부분에 커버기능과 안경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상기 안전구를 장착하여, 작업부분을 확대하여 볼수 있는 기능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 이루어 진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치기공 작업에 사용되는 치아기공용 핸드피스에 별도의 안전구없이, 간편하게 탈부착되어 작업이 용이하며, 파편이 튀는 근접부분에 커버기능과 안경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안전구를 장착하여, 작업부분을 확대하여 볼수 있는 효과와 동시에 안전사고에 매우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의 일측을 나타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의 타측을 나타낸 개략도.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치기공 작업을 위하여, 선단부(101)의 중심부에서 회전하면서, 절단작업 및 연마작업에 필요한 절삭공구(102)가 장착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100)의 일직선의 선단부(101)에 장착된 상기 절삭공구(102)에 의해 발생되는 파편으로부터 눈이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선단부(101)에 대응되어 탈부착되는 안전구(50)를 마련하되;
상기 안전구(50)는 상기 선단부(101)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체결부(10)와, 상기 체결부(10)에 부착된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끝단에 부착되는 안경체결대(30)로 이루어 지며;
상기 체결부(10)의 일단은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선단부(101)로부터 탈부착되며;
상기 지지대(20)는 유연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어, 안경체결대(30)의 부착각도를 작업자가 작업조건에 맞게 현장에서 구부려서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하며; 상기 안경체결대(30)에는 작업자의 시력에 따라서 돋보기 또는 근시안경을 교환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치기공 작업에 사용되는 상기 치아기공용 핸드피스(100)에 별도의 안전구없이, 간편하게 탈부착되어 작업이 용이하며, 파편이 튀는 근접부분에 커버기능과 안경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상기 안전구(50)를 장착하여, 작업부분을 확대하여 볼수 있는 기능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 이루어 진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치기공 작업을 위하여, 치아기공용 핸드피스(100)의 선단부(101)에 장착된 절삭공구(102)에 의해 발생되는 파편으로부터 눈이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선단부(101)에 대응되어 탈부착되는 안전구(50)를 마련하되;
상기 안전구(50)는 상기 선단부(101)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체결부(10)와, 상기 체결부(10)에 부착된 지지대(20)과 상기 지지대(20)의 끝단에 부착되는 안경체결대(30)로; 이루어 진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10)의 일단은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선단부(101)로부터 탈부착되며;
상기 지지대(20)는 유연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어, 안경체결대(30)의 부착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안경체결대(30)에는 작업자의 시력에 따라서 돋보기 또는 근시안경을 교환 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 진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치아기공용 핸드피스(100)의 선단부(101)에 장착된 절삭공구(102)에 의해 발생되는 파편으로부터 눈이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눈에 장착되는 눈 보호기능과 동시에 얼굴도 함께 보호하는 안전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기공작업에 사용되는 치아기공용 핸드피스(100)에는 회전모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회전모터에 필요 작업에 따라서 부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절삭공구가 부착된다.
절삭공구는 회전되며, 끝단에 절단작업, 연마작업등의 필요한 공구가 부착되며, 대상물을 작업시에는 대상물로부터 파편이 튀며, 얼굴이나 눈에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눈만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안경 이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하여 얼굴전체를 커버하는 무거운 보호구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작업효율이 떨어지며, 별도의 안전보호구로 인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간편하여 작업자의 효율이 증가되며, 안전사고에도 효율이 높은 안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치아기공용 핸드피스(100)의 선단부(101)에 대응되어 탈부착되는 안전구(50)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안전구(50)는 상기 선단부(101)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체결부(10)와, 상기 체결부(10)에 부착된 지지대(20)과 상기 지지대(20)의 끝단에 부착되는 안경체결대(30)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체결부(10)의 일단은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선단부(101)로부터 탈부착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통상의 체결볼트등을 선택하며, 통상의 체결수단도 관계는 없다.
또한, 상기 지지대(20)는 유연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어, 안경체결대(30)의 부착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작업조건에 맞게 현장에서 구부려서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경체결대(30)에는 작업자의 시력에 따라서 돋보기 또는 근시안경을 교환 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 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체결부
20: 지지대
30: 안경체결대
50: 안전구
100: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101: 선단부
102: 절삭공구

Claims (1)

  1. 치기공 작업을 위하여, 선단부(101)의 중심부에서 회전하면서, 절단작업 및 연마작업에 필요한 절삭공구(102)가 장착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100)의 일직선의 선단부(101)에 장착된 상기 절삭공구(102)에 의해 발생되는 파편으로부터 눈이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선단부(101)에 대응되어 탈부착되는 안전구(50)를 마련하되;
    상기 안전구(50)는 상기 선단부(101)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체결부(10)와, 상기 체결부(10)에 부착된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끝단에 부착되는 안경체결대(30)로 이루어 지며;
    상기 체결부(10)의 일단은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선단부(101)로부터 탈부착되며;
    상기 지지대(20)는 유연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어, 안경체결대(30)의 부착각도를 작업자가 작업조건에 맞게 현장에서 구부려서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하며; 상기 안경체결대(30)에는 작업자의 시력에 따라서 돋보기 또는 근시안경을 교환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치기공 작업에 사용되는 상기 치아기공용 핸드피스(100)에 별도의 안전구없이, 간편하게 탈부착되어 작업이 용이하며, 파편이 튀는 근접부분에 커버기능과 안경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상기 안전구(50)를 장착하여, 작업부분을 확대하여 볼수 있는 기능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


















KR2020210002624U 2020-12-09 2021-08-24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 KR200496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624U KR200496453Y1 (ko) 2020-12-09 2021-08-24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351 2020-12-09
KR2020210002624U KR200496453Y1 (ko) 2020-12-09 2021-08-24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351 Division 2020-12-09 2020-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408U KR20220001408U (ko) 2022-06-16
KR200496453Y1 true KR200496453Y1 (ko) 2023-02-06

Family

ID=8221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624U KR200496453Y1 (ko) 2020-12-09 2021-08-24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45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230B2 (ja) * 1990-12-28 2001-07-09 株式会社シマノ 内装変速機
JP2004216016A (ja) * 2003-01-17 2004-08-05 Osada Res Inst Ltd 歯科治療ハンドピース用拡大鏡
KR101396653B1 (ko) 2012-09-26 2014-05-16 남영희 치과용 확대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605Y1 (ko) 1999-07-23 2000-02-15 이익재 치과용핸드피스
KR101157524B1 (ko) 2011-03-15 2012-06-22 두나미스덴탈 주식회사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230B2 (ja) * 1990-12-28 2001-07-09 株式会社シマノ 内装変速機
JP2004216016A (ja) * 2003-01-17 2004-08-05 Osada Res Inst Ltd 歯科治療ハンドピース用拡大鏡
KR101396653B1 (ko) 2012-09-26 2014-05-16 남영희 치과용 확대경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84230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408U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245006T1 (de) Handstück für medizinische zwecke, insbesondere für eine ärztliche oder zahnärztliche behandlungseinrichtung, vorzugsweise für eine spanabhebende bearbeitung eines zahn-wurzelkanals
US20060292522A1 (en) Splatter shield for dental cleaning instrument
CN210077893U (zh) 牙科种植手机
CN109380786B (zh) 防外部起雾镜片切换式口腔医生防护面罩
KR102388428B1 (ko) 치과 치료용 로봇
KR200496453Y1 (ko) 치기공 작업을 위한 치아기공용 핸드피스 안전구
CN109480355A (zh) 复合式口腔医生防护面罩
JP3211531U (ja) 診療用装置
CN109567287B (zh) 防内部起雾镜片切换式口腔医生防护面罩
EP0812578B1 (fr) Ensemble moteur-pièce à main contre-angle avec un moteur pas-à-pas
CN205072822U (zh) 一种多功能口腔科专用口腔镜
US20090162812A1 (en) Dental composite shaping burs
CN209404972U (zh) 一种方便定位的口腔矫正辅助装置
CN208259082U (zh) 一种可拆卸滤镜防护面罩
US5575647A (en) General purpose dental handpiece
CN217660194U (zh) 一种可保护口腔软组织的修牙手机
CN109588801B (zh) 镜片切换式口腔医生防护面罩
CN211583585U (zh) 具有弯角保护装置的牙根锉
CN211910607U (zh) 一种眼镜夹式口腔科防护面罩
JPH0446735Y2 (ko)
US20230329371A1 (en) Face shield for use with dental loupes
CN215847422U (zh) 一种防尘义齿打磨工作台
KR200327017Y1 (ko) 기준핀을 구비한 치아 연마용 핸드피스
CN213346309U (zh) 口腔科专用防光危害吸盘式眼镜和口腔科专用防护眼镜
CN220917508U (zh) 一种牙科打桩用口腔修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