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400Y1 - 좌석 패드 - Google Patents

좌석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400Y1
KR200496400Y1 KR2020210001326U KR20210001326U KR200496400Y1 KR 200496400 Y1 KR200496400 Y1 KR 200496400Y1 KR 2020210001326 U KR2020210001326 U KR 2020210001326U KR 20210001326 U KR20210001326 U KR 20210001326U KR 200496400 Y1 KR200496400 Y1 KR 200496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ushion
seat
attachment
sea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635U (ko
Inventor
조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래블프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래블프렌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래블프렌드
Priority to KR2020210001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00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6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5/00Fastening by use of touch and clos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는, 좌석 베이스와 등받이로 이루어진 좌석에 놓여 사용되는 좌석 패드로서, 후면에 제1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에 기대어지는 등받이부 및 밑면에 형성된 제2 부착부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부착부에 접착됨과 동시에 상기 좌석 베이스에 놓여지는 방석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좌석 패드는 이용자에게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좌석 패드{SEAT PAD}
본 고안은 좌석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행기 좌석과 같이 사용자가 잠시 앉았다가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좌석 패드의 안락함을 제공함과 동시 이동시 좌석 패드를 편리하게 조작하여 휴대성을 갖춘 좌석 패드에 관한 것이다.
여행이나 출장을 가면서 자동차, 기차, 비행기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할 경우 시트에 앉은 상태로 장시간을 있어야 하기 때문에 교통수단 내에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기구나 물품이 구비되어 있고, 베개나 쿠션 등과 같은 물품을 개인이 직접 휴대하고 탑승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좌석 패드와 같이 부피가 큰 물건을 탑승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것은, 탑승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지나치게 휴대하기 편하게 좌석 패드를 만드는 경우, 쿠션감 등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어 탑승자가 좌석에서 안락함을 느끼게 하는데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충분한 쿠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좌석 패드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KR 10-1861553 B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좌석 패드를 방석부와 등받이부로 구분시킴과 동시에 의자에 앉는 이용자가 편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이용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 효과적으로 보관하기 쉬운 모양으로 변형됨으로써, 이용자가 본 고안의 좌석 패드를 손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는, 좌석 베이스와 등받이로 이루어진 좌석에 놓여 사용되는 좌석 패드로서, 후면에 제1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에 기대어지는 등받이부 및 밑면에 형성된 제2 부착부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부착부에 접착됨과 동시에 상기 좌석 베이스에 놓여지는 방석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는, 상기 제2 부착부가 상기 제1 부착부에 접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방석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에서, 상기 방석부는, 상기 제2 부착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방석부의 밑면에 형성되는 제3 부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석 패드 미사용시에 상기 좌석 패드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방석부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좌석 패드가 원기둥 형태로 동그랗게 말려 상기 방석부의 밑면이 상기 원기둥 형태의 겉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부착부가 상기 제3 부착부에 접착됨으로써 상기 좌석 패드가 상기 원기둥 형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에서, 상기 제1 부착부 및 상기 제3 부착부는 벨크로 접착수단의 갈고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착부는 벨크로 접착수단의 걸림고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에서, 상기 방석부는,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좌석에 배치시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상기 전방방향으로 가장 멀리 이격된 허벅지 받침부, 상기 허벅지 받침부보다 두께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좌석에 배치시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상기 전방방향으로 가장 가깝게 형성되고, 중심에는 원형홀이 형성되어 있는 엉덩이 안착부 및 상기 허벅지 받침부와 상기 엉덩이 안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허벅지 받침부에서 상기 엉덩이 안착부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제1 경사부로 구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에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좌석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좌석 베이스에 지지되도록 일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좌석에 배치되었을 때 위로 갈수록 더 두꺼워지게 형성되는 하부,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좌석에 배치되었을 때 가장 위쪽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의 최소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상부 및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에서 상기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제2 경사부로 구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에서, 상기 허벅지 받침부에는, 상기 방석부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 및 상기 홈부에서 상기 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석부의 외측과 연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에서, 상기 홈부는, 상기 방석부의 폭방향 중심에서 상기 방석부의 폭 길이 대비 0.13배 이상 0.2배 이하 범위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방석부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방석부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홈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홈부의 폭과 너비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외곽부 및 상기 외곽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상기 외곽부의 두께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외곽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재질보다 강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에서, 상기 제3 부착부는, 상기 밑면에서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착부와 상기 제3 부착부의 폭은 상기 관통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좌석 패드가 상기 원기둥 형태로 말릴 때 상기 제2 부착부가 상기 관통부의 상기 외측과 접하는 관통면을 가리면서 상기 제3 부착부에 접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좌석 패드는 이용자에게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좌석 패드는 이용자가 편한 자세로 자연스럽게 가이드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되고, 방석부와 등받이부가 자연스럽게 포개져 쉽게 휴대할 수 있는 구조로 변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의 상태 변형시 중간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 보관시의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의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부의 평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부의 측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의 평면도;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기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좌석 패드(1)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1)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1)는, 좌석 베이스(C1)와 등받이(C2)로 이루어진 좌석(C)에 놓여 사용되는 좌석 패드(1)로서, 후면에 제1 부착부(300)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C2)에 기대어지는 등받이부(100) 및 밑면에 형성된 제2 부착부(400)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부착부(300)에 접착됨과 동시에 상기 좌석 베이스(C1)에 놓여지는 방석부(20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1)는, 상기 제2 부착부(400)가 상기 제1 부착부(300)에 접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100)와 상기 방석부(200)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좌석 패드(1)는 좌석(C)에 놓여 사용되는 좌석 패드(1)이다. 좌석(C)은 통상적인 의자와 같이 좌석 베이스(C1)와 등받이(C2)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통상적인 좌석(C) 위에 올려져 쓰일 수 있으며, 특히 좌석(C)은 비행기 좌석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보면, 본 고안의 좌석 패드(1)는 등받이부(100)와 방석부(200)를 포함한다. 등받이부(100)와 방석부(200)는 서로 분리된 구성이다. 등받이부(100)는 등받이(C2)에 기대어지며, 제1 부착부(300)가 부착된다. 방석부(200)는 좌석 베이스(C1) 위에 놓여지며, 방석부(200)에는 제2 부착부(400)가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 1을 보면, 본 고안에서 후방은 방석부(200)에서 등받이부(100)를 향하는 방향임을 알 수 있다.
등받이부(100)와 방석부(200)는 서로 분리된 구성이나, 제1 부착부(300)와 제2 부착부(400)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등받이부(100)와 방석부(200)가 서로 고정된다. 제1 부착부(300)와 제2 부착부(400)는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100)와 방석부(200)의 이격거리는, 좌석 패드(1)에 앉는 사람에 따라 달라져야 하며, 그에 따라 제1 부착부(300)와 제2 부착부(400)의 접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등받이부(100)와 방석부(200)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1)가 보관될 때 형상이 변형되는 과정을 그린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1)에서, 상기 방석부(200)는, 상기 제2 부착부(400)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방석부(200)의 밑면에 형성되는 제3 부착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석 패드(1) 미사용시에 상기 좌석 패드(1)는, 상기 등받이부(100)와 상기 방석부(200)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좌석 패드(1)가 원기둥 형태로 동그랗게 말려 상기 방석부(200)의 밑면이 상기 원기둥 형태의 겉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부착부(400)가 상기 제3 부착부(500)에 접착됨으로써 상기 좌석 패드(1)가 상기 원기둥 형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도 1과 도 5a를 보면, 방석부(200)의 밑면에 제3 부착부(500)가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제3 부착부(500)는 좌석 패드(1)가 돌돌 말렸을 때 제2 부착부(400)와 접착되면서 좌석 패드(1)를 원기둥 형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보면, 자석 패드(1)를 원기둥 형태로 돌돌 말기 전에 방석부(200)와 등받이부(100)를 서로 포갠다. 방석부(200)와 등받이부(100)는 서로 포개지기 쉽도록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방석부(200)는 중심부분이 안으로 파져 있는 형상이라면, 등받이부(100)는 중심부분이 밖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게 된다. 그 이후 도 3과 같이, 좌석 패드(1)가 한번 접혀 둥그렇게 말린 원기둥 형태를 갖게 됨을 볼 수 있다. 이때 도 3과 같이 좌석 패드(1)의 위로 접혀 원기둥 형태를 이룰 때, 원기둥 형태의 겉면은 방석부(200)의 밑면으로 형성된다. 방석부(200)의 밑면이 원기둥 형태의 겉면에 형성됨에 따라, 방석부(200) 밑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부착부(400)가 제3 부착부(500)에 접착됨으로써, 방석 패드(1)의 원기둥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1)에서, 상기 제1 부착부(300) 및 상기 제3 부착부(500)는 벨크로 접착수단의 갈고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착부(400)는 벨크로 접착수단의 걸림고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착부(300), 제2 부착부(400) 및 제3 부착부(500)는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부착부(400)가 움직여 제1 부착부(300) 또는 제3 부착부(500)에 부착되어야 하므로, 제2 부착부(400)는 걸림고리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제1 부착부(300) 및 제3 부착부(500)는 갈고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때, 제2 부착부(400)가 꺼끌거리면 불편할 수 있으므로 제2 부착부(400)는 부드러운 걸림고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부(200)의 평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1)에서, 상기 방석부(200)는,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좌석(C)에 배치시 상기 등받이부(100)로부터 상기 전방방향으로 가장 멀리 이격된 허벅지 받침부(210), 상기 허벅지 받침부(210)보다 두께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좌석(C)에 배치시 상기 등받이부(100)로부터 상기 전방방향으로 가장 가깝게 형성되고, 중심에는 원형홀(231)이 형성되어 있는 엉덩이 안착부(230) 및 상기 허벅지 받침부(210)와 상기 엉덩이 안착부(23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허벅지 받침부(210)에서 상기 엉덩이 안착부(230)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제1 경사부(220)로 구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방석부(200)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최적의 편리함을 느끼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 채용된다. 방석부(200)는 100% 폴리우레탄 성분을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방석부(200)는 허벅지 받침부(210), 제1 경사부(220) 및 엉덩이 안착부(230)라고 명명된 크게 세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방석부(200)는 사용자의 다리를 자연스럽게 들어 올림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해준다. 이를 위해 방석부(200)에서 사용자의 허벅지가 오는 부분을 두껍게 형성시킨다. 도 5b를 보면, 허벅지 받침부(210)는 방석부(200)의 끝에서 후방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가 자연스럽게 위로 올라가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도 5b와 같이 방석부(200)를 측방향으로 절단했을 때, 방석부(200)를 측면에서 바라보면, 전방 방향의 끝지점이자 허벅지 받침부(210)의 끝 지점에서 방석부(200)의 두께가 제일 두껍게 형성된다. 도 1을 보면, 방석부(200)의 폭방향에 따라서도 방석부(200)의 두께가 달라지는데, 허벅지 받침부(210)의 전방 방향의 끝지점에서 방석부(200)의 폭방향 중심과 폭방향 양끝의 두께가 제일 크게 형성되며, 본 고안에서 바람직하게는 15cm로 형성될 수 있다. 폭방향에 따라 허벅지 받침부(210)의 두께가 달라져서 다리가 놓여지는 부분이 더 낮게 형성되는 이유는, 사용자의 양 다리가 놓여지는 모양에 따라 자연스럽게 허벅지 받침부(210)가 변형될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함이다. 방석부(200)의 폭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38cm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방석부(200)의 전후방 방향을 길이방향이라고 칭할 때, 방석부(20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는 38cm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허벅지 받침부(210)의 길이방향 길이는 방석부(200)의 길이방향 길이 대비 0.2배 내지 0.22배로 형성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8cm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방석부(200)를 측방향으로 절단했을 때, 방석부(200)를 측면에서 바라보면, 허벅지 받침부(210)의 후방 방향 끝 지점에서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12cm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엉덩이 안착부(230)는 등받이부(100)로부터 전방방향으로 가장 가깝게 형성된다. 엉덩이 안착부(230)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닿는 부분으로, 그 중심에 원형홀(231)이 형성되어 있어 엉덩이가 편하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가이드해준다. 엉덩이 안착부(230)의 길이방향 길이는 방석부(200)의 길이방향 길이 대비 0.50배 내지 0.55배로 형성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cm로 형성될 수 있다. 엉덩이 안착부(230)의 길이방향 길이가 방석부(200)의 길이방향 길이 대비 0.5배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사용자의 엉덩이가 편하게 안착되기 힘드며, 0.55배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의 다리가 놓여질 허벅지 받침부(21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아져 사용자가 허벅지를 편하게 내려 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도 5b의 측단면도를 볼 때, 엉덩이 안착부(230)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자연스럽게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엉덩이 안착부(230)의 전방방향 일단의 두께는 3c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엉덩이 안착부(230)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두께가 4cm로 형성되었다가 엉덩이 안착부(230)의 타단의 두께는 0cm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허벅지 받침부(210)와 엉덩이 안착부(230) 사이에는 제1 경사부(220)가 형성된다. 제1 경사부(220)는 허벅자 받침부(210)의 두꺼운 두께에서 엉덩이 안착부(230)의 작은 두께로 방석부(200)의 두께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경사부(220)에는 사용자의 상부 허벅지가 안착될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하부 허벅지가 허벅지 받침부(210)에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제1 경사부(220)의 길이방향 길이는 10cm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경사부(220)의 경사는 약 45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1)에서, 상기 등받이부(100)는,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기 좌석(C)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좌석 베이스(C1)에 지지되도록 일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기 좌석(C)에 배치되었을 때 위로 갈수록 더 두꺼워지게 형성되는 하부(110),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기 좌석(C)에 배치되었을 때 가장 위쪽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110)의 최소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상부(130) 및 상기 상부(130)와 상기 하부(11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110)에서 상기 상부(130)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제2 경사부(120)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a와 도 4를 보면, 본 고안의 등받이부(100)는 방석부(200)와 마찬가지로 크게 3가지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등받이부(100)는 하부(110), 제2 경사부(120) 및 상부(130)로 구분된다.
등받이부(100)는 사용자의 허리를 자연스럽게 펴질 수 있도록 중간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하단으로 들어가 있는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등받이부(100)의 하부(110)는 좌석 베이스(C1)에 지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부(110)의 하단을 일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하부(110)의 하단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두께는 더 두껍게 형성되며, 하부(110)와 제2 경사부(120)의 경계에서는 두께가 12cm로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100)와 방석부(200)가 서로 포개질 때, 하부(110)와 엉덩이 안착부(230)가 서로 포개지도록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부(110)의 높이방향 길이는 엉덩이 안착부(230)의 길이방향 길이와 일치할 수 있으며, 20cm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130)는 등받이부(100)의 위쪽에 위치하며, 상부(130)의 상단에서 상부(130)와 제2 경사부(120)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두꺼워진다. 상부(130)와 제2 경사부(120)의 경계에서의 두께는 10cm로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100)와 방석부(200)가 서로 포개질 때, 상부(130)와 허벅지 받침부(210)가 서로 포개지고, 그에 따라 상부(130)와 허벅지 받침부(210)가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130)의 높이 방향 길이는 허벅지 받침부(210)의 길이방향 길이와 일치할 수 있으며, 8cm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120)는 상부(130)와 하부(110)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130)와의 경계에서 하부(110)와의 경계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게 형성된다. 또한, 등받이부(100)와 방석부(200)가 서로 포개질 때, 제2 경사부(120)는 제1 경사부(220)와 서로 포개지며, 그에 따라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경사부(120)의 높이방향 길이는 제1 경사부(220)의 길이방향 길이와 일치할 수 있으며, 10cm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보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1)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1)에서, 상기 허벅지 받침부(210)에는, 상기 방석부(200)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211) 및 상기 홈부(211)에서 상기 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석부(200)의 외측과 연통되는 관통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좌석 패드(1)에서 사용자가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에는, 허벅지에 땀이 차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허벅지 쪽에 외측 공기와 연통되어 있는 구조를 확보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홈부(211)와 관통부(212)가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 좌석 패드(1)의 허벅지 받침부(210)에 홈부(211)와 관통부(212)가 형성된다. 도 4를 보면, 홈부(211)는 허벅지 받침부(210)의 폭방향 중심지점과 양끝지점 사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허벅지가 놓이는 중심에 홈부(211)가 형성되어, 통풍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도 5b를 보면, 홈부(211)와 좌석 패드(1)의 외측을 연통시키는 관통부(2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외측 공기가 관통부(212)를 통해 홈부(211)로 진입하여, 사용자의 허벅지의 밑까지 공급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한다.
도 5a 내지 도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부(211)와 돌출부(600)의 위치와 크기에 대해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1)에서, 상기 홈부(211)는, 상기 방석부(200)의 폭방향 중심에서 상기 방석부(200)의 폭 길이 대비 0.13배 이상 0.2배 이하 범위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100)의 상부(130)에는, 상기 등받이부(100)와 상기 방석부(200)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홈부(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a를 보면, 본 고안의 등받이부(100)의 상부(130)에는 좌석 패드(1)가 원기둥 형태로 돌돌 말릴 때, 등받이부(100)와 방석부(200)의 포개지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홈부(211)에 결합되는 돌출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00)는 홈부(211)에 결합되므로, 홈부(211)의 위치에 따라 돌출부(600)의 위치 또한 변경되며, 따라서 홈부(211)의 위치는 돌출부(600)의 위치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돌출부(600)는 위에서 언급한 가이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좌석 패드(1)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등을 마사지 해주는 역할 또한 수행한다. 따라서 홈부(211)는 방석부(200)의 폭방향 중심에서 방석부(200)의 폭 길이 대비 0.2배 이하의 범위로 형성되어야, 돌출부(600)가 사용자의 등의 중심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마사지 효과를 효과적을 줄 수 있다. 또한, 홈부(211)는 방석부(200)의 폭 방향 중심에서 방석부(200)의 폭 길이 대비 0.13배 이상만큼 이격되어 있어야, 사용자의 허벅지의 밑에 홈부(211)가 위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허벅지 밑에 외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600)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1)에서, 상기 돌출부(600)는, 상기 등받이부(100)와 상기 방석부(200)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홈부(211)에 끼워지도록 상기 홈부(211)의 폭과 너비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외곽부(610) 및 상기 외곽부(61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100)로부터 상기 외곽부(610)의 두께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620)는 상기 외곽부(610) 및 상기 등받이부(100)의 재질보다 강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를 보면, 본 고안의 돌출부(600)는 외곽부(610)와 돌기부(620)로 형성될 수 있다. 외곽부(610)는 홈부(211)에 직접적으로 끼워져, 등받이부(100)와 방석부(200)가 서로 포개질 때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외곽부(610)는 홈부(211)의 폭과 너비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되며,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620)는 사용자의 등을 마사지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부(620)는 외곽부(6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곽부(610)의 두께보다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에 직접적으로 닿을 수 있게 설계된다. 돌기부((620)는 외곽부(610) 및 등받이부(100)의 재질보다 강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a는 본 고안의 방석부(200)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 패드(1)에서, 상기 제3 부착부(500)는, 상기 밑면에서 상기 홈부(2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착부(400)와 상기 제3 부착부(500)의 폭은 상기 관통부(21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좌석 패드(1)가 상기 원기둥 형태로 말릴 때 상기 제2 부착부(400)가 상기 관통부(212)의 상기 외측과 접하는 관통면을 가리면서 상기 제3 부착부(500)에 접착될 수 있다.
좌석 패드(1)가 원기동 형태로 돌돌 말릴 때에는, 방석부(200)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며, 그에 따라 방석부(200)에 형성된 홈부(211)에 압력이 가해지고, 홈부(211)가 형성된 부분 인근이 찢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그에 따라 좌석 패드(1)가 원기둥 형태로 돌돌 말릴 때에 홈부(211)를 보호해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5a를 보면, 제3 부착부(500)는 방석부(200)의 밑면에서 홈부(2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제2 부착부(400)와 제3 부착부(500)의 폭이 관통부(21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좌석 패드(1)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때, 제2 부착부(400)가 관통부(212)의 외측과 통하는 관통면을 가리면서 제3 부착부(500)에 접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3 부착부(500)가 홈부(2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홈부(211)도 가리게 된다. 이와 같은 홈부(211), 제2 부착부(400), 제3 부착부(500) 및 관통부(212)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홈부(211)와 관통부(212) 인근의 방석부(200) 재질이 찢어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 : 좌석
C1 : 좌석 베이스
C2 : 등받이
1 : 좌석 패드
100 : 등받이부
110 : 하부
120 : 제2 경사부
130 : 상부
200 : 방석부
210 : 허벅지 받침부
211 : 홈부
212 : 관통부
220 : 제1 경사부
230 : 엉덩이 안착부
231 : 원형홀
300 : 제1 부착부
400 : 제2 부착부
500 : 제3 부착부
600 : 돌출부
610 : 외곽부
620 : 돌기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좌석 베이스와 등받이로 이루어진 좌석에 놓여 사용되는 좌석 패드로서,
    후면에 제1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에 기대어지는 등받이부; 및
    밑면에 형성된 제2 부착부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부착부에 접착됨과 동시에 상기 좌석 베이스에 놓여지는 방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착부가 상기 제1 부착부에 접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방석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며,
    상기 방석부는,
    상기 제2 부착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방석부의 밑면에 형성되는 제3 부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석 패드 미사용시에 상기 좌석 패드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방석부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좌석 패드가 원기둥 형태로 동그랗게 말려 상기 방석부의 밑면이 상기 원기둥 형태의 겉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부착부가 상기 제3 부착부에 접착됨으로써 상기 좌석 패드가 상기 원기둥 형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방석부는,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좌석에 배치시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상기 전방방향으로 가장 멀리 이격된 허벅지 받침부;
    상기 허벅지 받침부보다 두께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좌석에 배치시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상기 전방방향으로 가장 가깝게 형성되고, 중심에는 원형홀이 형성되어 있는 엉덩이 안착부; 및
    상기 허벅지 받침부와 상기 엉덩이 안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허벅지 받침부에서 상기 엉덩이 안착부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제1 경사부;로 구분되며,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좌석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좌석 베이스에 지지되도록 일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좌석에 배치되었을 때 위로 갈수록 더 두꺼워지게 형성되는 하부;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좌석에 배치되었을 때 가장 위쪽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의 최소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상부; 및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에서 상기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제2 경사부;로 구분되고,
    상기 허벅지 받침부에는,
    상기 방석부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 및
    상기 홈부에서 상기 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석부의 외측과 연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좌석 패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방석부의 폭방향 중심에서 상기 방석부의 폭 길이 대비 0.13배 이상 0.2배 이하 범위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방석부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좌석 패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방석부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홈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홈부의 폭과 너비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외곽부; 및
    상기 외곽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상기 외곽부의 두께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외곽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재질보다 강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좌석 패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착부는, 상기 밑면에서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착부와 상기 제3 부착부의 폭은 상기 관통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좌석 패드가 상기 원기둥 형태로 말릴 때 상기 제2 부착부가 상기 관통부의 상기 외측과 접하는 관통면을 가리면서 상기 제3 부착부에 접착되는, 좌석 패드.
KR2020210001326U 2021-04-27 2021-04-27 좌석 패드 KR200496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26U KR200496400Y1 (ko) 2021-04-27 2021-04-27 좌석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26U KR200496400Y1 (ko) 2021-04-27 2021-04-27 좌석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35U KR20220002635U (ko) 2022-11-03
KR200496400Y1 true KR200496400Y1 (ko) 2023-01-19

Family

ID=8404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326U KR200496400Y1 (ko) 2021-04-27 2021-04-27 좌석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40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110Y1 (ko) * 2003-12-30 2004-03-26 윤재항 둔부받침용 좌식 방석
JP2007503281A (ja) * 2003-05-16 2007-02-22 バニヤン・ライセンシング・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背部支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553B1 (ko) 2017-12-14 2018-05-28 박영환 공기주입펌프가 장착된 휴대용 에어쿠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3281A (ja) * 2003-05-16 2007-02-22 バニヤン・ライセンシング・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背部支持システム
KR200346110Y1 (ko) * 2003-12-30 2004-03-26 윤재항 둔부받침용 좌식 방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35U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ja) 姿勢保持具
US9332850B2 (en) Reversible orthopedic seat cushion
US8566987B1 (en) Anatomical seat cushion
CN104687857B (zh) 多功能支撑靠垫
CA2207248A1 (en) Padded chair construction
KR200496400Y1 (ko) 좌석 패드
TWI422344B (zh) Pillow structure
JP2002165676A (ja) クッション材およびこのクッション材を備えた車椅子
KR200494409Y1 (ko) 소파용 쿠션
JP2011218005A (ja) 座クッション
JP7051217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
KR20210002220U (ko) 소파용 쿠션
JP2001037594A (ja) 座面クッション
KR100666910B1 (ko) 시트용 간이베개
CN217937669U (zh) 一种带有侧向坐姿保护靠垫的椅子
JP2003000394A (ja) シートクッション
KR101276767B1 (ko) 차량용 에어쿠션
CN216776561U (zh) 一种减压坐垫
CN211673325U (zh) 一种舒适的座椅
CN216153649U (zh) 一种汽车座椅用中控扶手
JP2008284321A (ja) 自動車用シートの座布団
JP3221017U (ja) 腰当てクッション
CN210783667U (zh) 轮椅用软垫
JP4657158B2 (ja) ソファー
KR200293885Y1 (ko) 휴대용 간이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