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363Y1 - 액자걸이 장치 - Google Patents

액자걸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363Y1
KR200496363Y1 KR2020220000541U KR20220000541U KR200496363Y1 KR 200496363 Y1 KR200496363 Y1 KR 200496363Y1 KR 2020220000541 U KR2020220000541 U KR 2020220000541U KR 20220000541 U KR20220000541 U KR 20220000541U KR 200496363 Y1 KR200496363 Y1 KR 200496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ove
unit
picture frame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정동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노
Priority to KR2020220000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363Y1/ko
Priority to JP2022095037A priority patent/JP2023129189A/ja
Priority to US17/848,540 priority patent/US20230276959A1/en
Priority to PCT/KR2022/010042 priority patent/WO2023167376A1/ko
Priority to KR2020230000041U priority patent/KR202300017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3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0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comprising a wall member cooperating with a corresponding pictur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33Wall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pic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8Pads or the like preventing displacement of hang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액자걸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면에 설치되는 설치 유닛, 액자 본체에 결합되며 설치 유닛에 걸려 액자 본체를 벽면에 지지시키는 지지 유닛, 설치 유닛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지지 유닛에 연장부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지지 유닛의 하면에 형성되는 지지홈을 포함하는 액자걸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자걸이 장치{HANGING APPARATUS FOR FRAME}
본 고안은 액자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그림, 글씨 및 사진 등을 끼워, 보존과 전시 및 이동 등을 위하여 사용 되는 틀로써, 요즘에는 벽에 액자를 걸어 실내 분위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벽에 못을 박거나 별도의 벽걸이 장치를 설치하여 벽에 걸어 전시할 수 있다. 그러나, 액자는 크기가 크거나 무게가 무거운 경우 직접 벽에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직접 설치하면서 수평이 맞지 않아 여러 번 수평을 조절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액자가 안정적으로 벽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 액자가 떨어져서 액자가 파손될 수 있고, 액자 밑에 사람이 있는 경우 다치거나 액자 밑에 물건이 파손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3545호(2014.04.09.)
본 고안은 벽면에 설치 유닛을 설치하고, 액자 본체에 결합된 지지 유닛을 이용하여 액자 본체를 벽면에 걸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 유닛의 지지홈에 설치 유닛의 연장부를 삽입하여 액자 본체를 벽면에 걸 수 있는 액자걸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면에 설치되는 설치 유닛, 액자 본체에 결합되며 설치 유닛에 걸려 액자 본체를 벽면에 지지시키는 지지 유닛, 설치 유닛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지지 유닛에 연장부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지지 유닛의 하면에 형성되는 지지홈을 포함하는 액자걸이 장치가 제공된다.
지지 유닛은 액자 본체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제1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홈은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높이 차이에 의해 제1 지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는 제1 지지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지지 유닛은 연장부의 양측을 커버하여 지지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는 제1 지지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 커버부 및 제2 지지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제1 커버부보다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는 하면이 제2 지지부를 향하여 갈수록 제2 지지부와 높이 차이가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는 상측이 제1 지지부의 하면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설치 유닛은 못을 포함하고, 지지 유닛에는 못의 형상과 대응되는 걸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걸이홈은 제1 지지부에 형성되어 못의 머리 형상과 대응되는 제1 걸이홈 및 제2 지지부에 형성되어 못의 자루 형상과 대응되는 제2 걸이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자걸이 장치는 지지 유닛의 상면에 지지홈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 및 관통홀에 삽입되어 연장부와 지지홈 사이 공간을 메워 지지홈에 삽입된 연장부를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은 제1 지지부에 제2 지지부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스페이서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일측이 단부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벽면에 설치 유닛을 설치하고, 액자 본체에 결합된 지지 유닛을 이용하여 액자 본체를 벽면에 걸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 유닛의 지지홈에 설치 유닛의 연장부를 삽입하여 액자 본체를 벽면에 걸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걸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걸이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걸이 장치의 스페이서를 통한 지지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걸이 장치의 설치 유닛을 이용한 지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걸이 장치의 제2 지지부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액자걸이 장치(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벽면에 설치되는 설치 유닛(110), 액자 본체(10)에 결합되며 설치 유닛(110)에 걸려 액자 본체(10)를 벽면에 지지시키는 지지 유닛(120), 설치 유닛(110)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112) 및 지지 유닛(120)에 연장부(112)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지지 유닛(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지지홈(126)을 포함하는 액자걸이 장치(100)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액자걸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액자를 벽면에 손쉽게 걸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로써, 벽면에 설치 유닛(110)을 설치하고, 액자 본체(10)에 결합된 지지 유닛(120)을 이용하여 액자 본체(10)를 벽면에 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 유닛(120)에 형성되는 지지홈(126)에 설치 유닛(110)에 형성되는 연장부(112)를 삽입하여 액자 본체(10)를 벽면에 걸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액자걸이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액자 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그림 또는 사진(12)이 결합될 수 있으며, 타면에 지지 유닛(12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액자 본체(10)의 일면에 그림 또는 사진(12)이 결합된 이후에 액자 커버(14)가 결합되어 액자 본체(10)에 결합된 그림 또는 사진(12)을 보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자 본체(10)의 타면에 결합되는 지지 유닛(120)은 액자 본체(10)에 형성된 결합홀을 통해 삽입되는 결합 부재를 통해 액자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 유닛(120) 및 액자 본체(10)에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홈을 따라 결합 부재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액자 본체(10) 및 지지 유닛(120)이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액자 본체(10)와 지지 유닛(120)의 결합은 상술한 바와 달리 상이한 결합 부재를 이용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유닛(110)은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액자 본체(10)에 결합된 지지 유닛(120)이 걸려 액자 본체(10)를 벽면에 지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치 유닛(110)은 일측이 벽면에 결합될 수 있고 타측이 지지 유닛(120)에 걸리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 유닛(110)은 도 2의 (a), 도 3의 (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못으로 이루어져 벽면에 박아서 사용될 수 있으며, 도 2의 (b), 도 3의 (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상되는 연장부(1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벽면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벽면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설치 유닛(110)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112)는 도 2의 (a), 도 3의 (a) 및 도 4에 도시된 못의 머리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유닛(120)은 설치 유닛(110)에 걸려 액자 본체(10)를 벽면에 지지시킬 수 있으며, 지지 유닛(120)의 하면에는 연장부(112)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지지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연장부(112)가 지지홈(126)에 삽입된 상태로 액자 본체(10)의 자중에 의해 그 삽입 상태가 지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 유닛(120)은 액자 본체(10)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122) 및 제1 지지부(122)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홈(126)은 제1 지지부(122)와 제2 지지부(124)의 높이 차이에 의해 제1 지지부(12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홈(126)은 제2 지지부(124)가 제1 지지부(122)보다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 지지부(122)와 제2 지지부(124)의 높이 차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부(122)와 제2 지지부(124)의 구조에 따라서 설치 유닛(110)의 연장부(112)가 지지홈(126)에 걸려 액자 본체(10)를 벽면에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124)는 제1 지지부(122)로부터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부(124)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제2 지지부(124)의 하면이 설치 유닛(110)을 아래로 밀어낸 상태로 지지하여 액자 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의 (b), 도 3의 (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2)는 지지홈(126)이 형성된 제1 지지부(122)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지지 유닛(120)은 연장부(112)의 양측을 커버하여 지지하는 커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30)는 제1 지지부(122)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 커버부(132) 및 제2 지지부(124)의 양단에 형성되며 제1 커버부(132)보다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커버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버부(132)는 제1 지지부(122)의 양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연장부(112)의 양측을 커버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커버부(132)의 구조는 연장부(112)가 지지홈(126)(제1 지지부(122)의 하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커버부(132) 및 연장부(112)의 구조에 따라 액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벽면에 걸어둘 수 있다.
또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부(134)는 지지부의 양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제1 커버부(132)보다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커버부(134)의 구조에 따라 연장부(112)는 지지홈(126)(제1 지지부(122)의 하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지지부(124) 및 제2 커버부(134)가 동시에 연장부(112)가 지지홈(12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124)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제1 지지부(122)에 결합되는 경우에 제2 지지부(124)는 제2 커버부(134)와 별도로 상하 이동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22)는 하면이 제2 지지부(124)를 향하여 갈수록 제2 지지부(124)와 높이 차이가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부(122)의 경사진 구조는 연장부(112)의 폭이 제1 지지부(122)의 폭보다 얇게 형성된 본 실시예에서 액자 본체(10)에 의한 자중에 의해 연장부(112)가 액자 본체(10) 쪽으로 접하여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22)의 경사진 구조는 도 2의 (a) 및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유닛(110)으로 못이 이용되었을 때, 못의 머리가 제1 지지부(122)의 하면에 접하여 밀려나 못의 자루가 제2 지지부(124)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2)는 상측이 제1 지지부(122)의 하면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장부(112)와 제1 지지부(122)의 구조에 따라 연장부(112)는 가능한 액자 본체(10) 쪽으로 이동하여 지지 유닛(120)을 지지할 수 있어 액자 유닛을 벽면에 밀착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 유닛(110)이 못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2의 (a), 도 3의 (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유닛(120)에는 못의 형상과 대응되는 걸이홈(1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걸이홈(140)은 제1 지지부(122)에 형성되어 못의 머리 형상과 대응되는 제1 걸이홈(142) 및 제2 지지부(124)에 형성되어 못의 자루 형상과 대응되는 제2 걸이홈(144)을 포함할 수 있다.
걸이홈(140)은 설치 유닛(110)이 못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제1 지지부(122) 및 제2 지지부(124)의 하면을 따라 못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액자 본체(10)가 보다 안정적으로 벽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못의 형상에 따라 제1 걸이홈(142) 및 제2 걸이홈(144)의 깊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제1 걸이홈(142) 및 제2 걸이홈(144)에도 상술한 제1 지지부(122)의 하단의 경사면과 같이 경사가 형성되어 액자 본체(10)가 보다 벽면 쪽으로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유닛(120)에 지지홈(126)이 형성됨과 동시에 걸이홈(140)이 형성되어 설치 유닛(110)이 변경되어도 액자를 벽면에 걸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는 이미 못이 박혀 있는 벽면에 액자를 걸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벽면에 별도의 설치 유닛(110)을 설치하여 액자를 걸 수도 있고, 설치 유닛(110)이 벽면에 설치되어 있다면 어디든 액자를 쉽게 이동하여 벽면에 걸어 놓을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50)은 지지 유닛(120)의 상면에 지지홈(126)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160)는 관통홀(150)에 삽입되어 연장부(112)와 지지홈(126) 사이 공간을 메워 지지홈(126)에 삽입된 연장부(112)를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통홀(150)은 제1 지지부(122)에 제2 지지부(124)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150)의 위치에 따라 스페이서(160)는 관통홀(150)에 삽입되어 연장부(112)를 액자 본체(10) 쪽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액자 본체(10)가 벽면 쪽으로 이동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벽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60)는 관통홀(150)에 삽입되는 일측이 단부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페이서(160)의 형상은 연장부(112)와 지지홈(126) 사이의 공간에 보다 쉽게 삽입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60)의 일측의 형상은 상술한 연장부(112)의 단부와 대응되어 연장부(112)를 액자 본체(10) 쪽으로 보다 쉽게 밀어낼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유닛(170)은 액자 본체(10)에 지지 유닛(120)과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액자 본체(10)를 벽면에 지지시킬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지지 유닛(120)이 액자 본체(10)의 가로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하고, 서포트 유닛(170)은 액자 본체(10)의 좌우 하측에 위치하여 액자 본체(10)를 벽면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액자 본체
12: 그림(또는 사진)
14: 액자 커버
100: 액자걸이 장치
110: 설치 유닛
112: 연장부
120: 지지 유닛
122: 제1 지지부
124: 제2 지지부
126: 지지홈
130: 커버부
132: 제1 커버부
134: 제2 커버부
140: 걸이홈
142: 제1 걸이홈
144: 제2 걸이홈
150: 관통홀
160: 스페이서
170: 서포트 유닛

Claims (10)

  1. 벽면에 설치되는 설치 유닛;
    액자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설치 유닛에 걸려 상기 액자 본체를 상기 벽면에 지지시키는 지지 유닛;
    상기 설치 유닛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지지 유닛에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지지 유닛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액자 본체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홈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높이 차이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유닛의 상면에 상기 지지홈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부와 상기 지지홈 사이 공간을 메워 상기 지지홈에 삽입된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지지부에 상기 제2 지지부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일측이 단부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홈을 포함하는 액자걸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연장부의 양측을 커버하여 지지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액자걸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버부보다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액자걸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하면이 상기 제2 지지부를 향하여 갈수록 상기 제2 지지부와 높이 차이가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액자걸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면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액자걸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유닛은 못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유닛에는 상기 못의 형상과 대응되는 걸이홈이 형성되는, 액자걸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홈은,
    상기 제1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못의 머리 형상과 대응되는 제1 걸이홈;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못의 자루 형상과 대응되는 제2 걸이홈을 포함하는, 액자걸이 장치.
  9. 삭제
  10. 삭제
KR2020220000541U 2022-03-02 2022-03-02 액자걸이 장치 KR200496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541U KR200496363Y1 (ko) 2022-03-02 2022-03-02 액자걸이 장치
JP2022095037A JP2023129189A (ja) 2022-03-02 2022-06-13 額縁掛け装置
US17/848,540 US20230276959A1 (en) 2022-03-02 2022-06-24 Frame hanging apparatus
PCT/KR2022/010042 WO2023167376A1 (ko) 2022-03-02 2022-07-11 액자걸이 장치
KR2020230000041U KR20230001783U (ko) 2022-03-02 2023-01-06 액자걸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541U KR200496363Y1 (ko) 2022-03-02 2022-03-02 액자걸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041U Division KR20230001783U (ko) 2022-03-02 2023-01-06 액자걸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363Y1 true KR200496363Y1 (ko) 2023-01-11

Family

ID=848925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541U KR200496363Y1 (ko) 2022-03-02 2022-03-02 액자걸이 장치
KR2020230000041U KR20230001783U (ko) 2022-03-02 2023-01-06 액자걸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041U KR20230001783U (ko) 2022-03-02 2023-01-06 액자걸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76959A1 (ko)
JP (1) JP2023129189A (ko)
KR (2) KR200496363Y1 (ko)
WO (1) WO202316737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099U (ko) * 1975-07-12 1977-02-01
KR870000911U (ko) * 1985-06-29 1987-02-20 박필영 액자 조명등의 지지구
US5605313A (en) * 1995-07-17 1997-02-25 Erickson; Donald L. Vertical surface object hanger
US20030038222A1 (en) * 2001-08-22 2003-02-27 Holmes Frederick A. Picture hanger
US20120112022A1 (en) * 2010-08-11 2012-05-10 Cheng-Ge Cheng Wall mount hanger
KR101383545B1 (ko) 2013-01-29 2014-04-09 나장복 벽걸이용 액자걸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3895A (en) * 1992-01-14 1994-04-19 Hart Hoyt E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anging frames
US6719260B1 (en) * 2000-03-22 2004-04-13 Hoyt E. Hart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anging frames
JP5108268B2 (ja) * 2006-09-15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壁掛け装置
US7441741B2 (en) * 2006-09-22 2008-10-28 Hammond Wong Hanger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099U (ko) * 1975-07-12 1977-02-01
KR870000911U (ko) * 1985-06-29 1987-02-20 박필영 액자 조명등의 지지구
US5605313A (en) * 1995-07-17 1997-02-25 Erickson; Donald L. Vertical surface object hanger
US20030038222A1 (en) * 2001-08-22 2003-02-27 Holmes Frederick A. Picture hanger
US20120112022A1 (en) * 2010-08-11 2012-05-10 Cheng-Ge Cheng Wall mount hanger
KR101383545B1 (ko) 2013-01-29 2014-04-09 나장복 벽걸이용 액자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83U (ko) 2023-09-11
JP2023129189A (ja) 2023-09-14
WO2023167376A1 (ko) 2023-09-07
US20230276959A1 (en)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46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iding in hanging an object on a wall
US6186466B1 (en) Hanging frame stabilizer
US20030038222A1 (en) Picture hanger
US20060278804A1 (en) Picture hanger positioning device
US20180142464A1 (en) Anchor device
US8745946B2 (en) Ceiling tile suspension system
US20090013921A1 (en) Decorative outdoor home flag kit
USD902441S1 (en) Building module frame
US20190309898A1 (en) Hanging device for siding members
KR200496363Y1 (ko) 액자걸이 장치
US6609693B2 (en) Hanger combination for displaying merchandise
CN105899104A (zh) 悬挂式置物架系统
JP3215818U (ja) 改良幅木
US9107520B1 (en) Picture frame hanger
US10674818B2 (en) Automobile door hanger apparatus
JP2010144435A (ja) 玄関用框の固定構造
KR200491753Y1 (ko) 옷걸이 거치기구
KR101086862B1 (ko) 전시물 걸치장치
KR200388485Y1 (ko) 천정 마감용 몰딩
JP2847492B2 (ja) 簡易型間仕切り構造及び間仕切りパネル
JP6334117B2 (ja) 屋根の棟構造
US11712122B2 (en) Picture hanging system
KR200451320Y1 (ko) 소품걸이가 가능한 천장 몰딩부재
JPH0612247Y2 (ja) 連結釘のテープ
CA2862181C (en) Picture frame 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