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203Y1 -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203Y1
KR200496203Y1 KR2020220001458U KR20220001458U KR200496203Y1 KR 200496203 Y1 KR200496203 Y1 KR 200496203Y1 KR 2020220001458 U KR2020220001458 U KR 2020220001458U KR 20220001458 U KR20220001458 U KR 20220001458U KR 200496203 Y1 KR200496203 Y1 KR 200496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densate
inlet pipe
backflow prevention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태
Original Assignee
넥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셀시스템(주) filed Critical 넥셀시스템(주)
Priority to KR2020220001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내부의 유동로를 통하여 유동한 후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응축수 배출관, 일단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유입구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응축수가 이동되는 연결 배관에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가상의 중심축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세워지는 응축수 유입관 및 일단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유입구 및 상기 응축수 유입관의 일단과 연통되고, 타단은 밀폐되며, 측면에 주변 공기와 연통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가상의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과는 상이한 제2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세워져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관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Drain Air Vent for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응축수가 유동하는 동안에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관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코일 유니트(fan coil unit)는 건물의 냉,난방시 냉동기 또는 보일러로부터 냉수나 온수를 공급받아 열교환기를 통과시키면서 주변의 공기를 냉각 도는 가열한 후, 이 공기를 송풍기 등에 의해 실내로 방출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절장치이다. 종래의 팬코일 유니트는 열교환기로 일정 온도의 냉매를 공급한다. 열교환기는 주변의 공기를 냉각한다. 그리고, 열교환 후의 냉매는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종래에는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일정량 보관하고, 펌프의 펌핑 작용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이 때,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출 유로가 위쪽으로 구배를 갖는 경우에, 역으로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렇게 응축수가 역류되는 경우에, 팬코일 유니트 본체에 응축수가 일정량 증가되고, 이로 인하여 장치의 파손 및 장치를 재설치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응축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6842호
본 고안은 응축수가 유동하는 동안에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관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내부의 유동로를 통하여 유동한 후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응축수 배출관, 일단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유입구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응축수가 이동되는 연결 배관에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가상의 중심축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세워지는 응축수 유입관 및 일단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유입구 및 상기 응축수 유입관의 일단과 연통되고, 타단은 밀폐되며, 측면에 주변 공기와 연통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가상의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과는 상이한 제2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세워져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관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역류 방지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역류 방지관은 측면에 연통홀이 형성된 간단한 구조를 가져서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셋째, 역류 방지관의 연통홀이 역류 방지관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별도의 덮개 등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하는 이물질이 쉽게 유입될 수 없는 장점이 있다.
넷째, 응축수 배출관 상부의 단면적이 응축수 배출관 하부의 단면적보다 커서 응축수 배출관과 연통되는 응축수 유입관 및 역류 방지관의 직경을 응축수 배출관 하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할 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역류 방지관의 상부에 배치되어 역류 방지관의 상면을 폐쇄하는 역류 방지관 덮개가 역류 방지관에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역류 방지관 내부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여섯째, 응축수 배출관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세워져 있는 응축수 유입관 및 역류 방지관의 경사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높이 및 폭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의 정면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에 응축수가 흘러 들어오는 연결 배관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의 조인트관을 분리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1000)는 응축수 배출관(1100), 응축수 유입관(1200) 및 역류 방지관(1300)을 포함한다. 응축수 배출관(1100)은 유입구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유입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 내부의 유동로를 통하여 유동한 후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은 배출관 하부(1110) 및 배출관 상부(112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을 상기 배출관 하부(1110) 및 배출관 상부(1120)로 나누어서 설명하지만,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은 상기 배출관 하부(1110) 및 상기 배출관 상부(1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 하부(1110)는 상기 배출구 및 유동로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관 하부(1110)는 원기둥 형상인 것을 예로 든다. 상기 유동로는 상기 응축수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구를 향해 이동하는 부분이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동로를 통해 이동해온 응축수가 상기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1000)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 및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은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의 상부 중심에서 분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배출관 상부(1120)는 상기 응축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배출관 상부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원뿔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배출관 상부(1120)의 하면은 상기 배출관 하부(1110)의 상면과 연통되는 평평한 원형이고, 상기 배출관 상부(1120)의 측면은 상기 원형의 하면의 가장자리(테두리)에서 상기 원형의 하면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의 중심축(z축)을 향해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 및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은 상기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세워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 및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의 세워지는 구조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관 상부(1120)는 응축수 유입구 및 공기 연통구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 유입구는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과 연통되되, 상기 배출관 하부(1110)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가상의 중심축을 향해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공기 연통구는 상기 역류 방지관(1300)과 연통되되, 상기 배출관 하부(1110)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가상의 중심축을 향해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구와 상기 가상의 중심축에서 접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관 상부(1120)는 상기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관 하부(1110)의 상단 가장자리 일측 절반은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과 연통되고, 상기 배출관 하부(1110)의 상단 가장자리 타측 절반은 상기 역류 방지관(1300)과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은 아래쪽은 원기둥 형상을 갖고, 위쪽은 돌출된 방사상의 지붕 형상을 갖되, 상기 지붕 형상의 일측 절반과 타측 절반이 각각 개구되어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 및 상기 역류 방지관(1300)과 각각 연통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은 상기 배출관 상부(1120)가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출관 하부(1110)의 직경보다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 및 상기 역류 방지관(1300)과 각각 연통되는 배출관 상부(1120)의 직경의 합이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1000)는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과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의 직경을 상기 배출관 하부(1110)의 직경에 맞게 줄이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 상부(1120)의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측면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 및 상기 역류 방지관(1300)과 연통되는 부분의 직경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은 일단이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의 유입구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응축수가 이동되는 연결 배관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은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의 가상의 중심축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세워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이 상기 가상의 중심축에 대하여 좌측 방향(x축의 음의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세워지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은 유입관 하면(1211), 유입관 외측면(1212) 및 유입관 내측면(1213) 및 유입관 상면(1214)을 포함하는 유입관 본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관 본체 자체가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과 동일하다.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이 상기 유입관 본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분하는 것은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에 일체로 또는 탈착 가능하게 별도의 결합부재가 포함될 때, 상기 결합부재들과의 구별을 위함이다.
상기 유입관 하면(1211)은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의 응축수 유입구에 일체로 연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입관 외측면(1212)은 상기 배출관 하부(1110)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입관 내측면(1213)은 유입관 내측면 하부(1213a) 및 유입관 내측면 상부(1213b)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 내측면 하부(1213a)는 상기 응축수 유입구와 상기 공기 연통구가 접하는 부분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입관 내측면 상부(1213b)는 상기 유입관 내측면 하부(1213a)가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유입관 외측면(12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은 상기 유입관 외측면(1212)의 길이가 상기 유입관 내측면 하부(12130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은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으로 유입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의 연통홀(1310a, 1310b)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역류 방지관 외부의 공기)로 인해 응축수 이동이 정수압(hydrostatic pressure)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여 응축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은 일단이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의 유입구 및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의 일단과 연통되고, 타단은 밀폐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은 측면에 주변 공기와 연통되는 두 개의 연통홀(1310a, 1310b)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연통홀을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고, 세 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은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의 가상의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과는 상이한 제2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세워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이 상기 제1방향과 마주보고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의 가상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되는 방향(x축의 양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세워진 것을 예로 든다. 이 때 상기 응축수 유입관 (1200)와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이 이루는 각도(θ)는 90°보다 작은 것을 예로 든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1000)는 전체적으로 "Y"형태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이 상기 x축과 교차하는 y축의 양의 방향(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방향) 또는 y축의 음의 방향(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을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방향)으로 경사지게 세워질 수도 있다.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은 역류 방지관 본체(1310) 및 역류 방지관 덮개(1320)를 포함한다. 상기 역류 방지관 본체(1310)는 역류 방지관 하면(1311), 역류 방지관 외측면(1312), 역류 방지관 내측면(1313) 및 역류 방지관 상면(1314)을 포함한다. 상기 역류 방지관 하면(1311)은 상기 응축수 배출관(1100)의 공기 연통구에 일체로 연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역류 방지관 외측면(1312)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 하부(1110)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역류 방지관 내측면(1313)은 역류 방지관 내측면 하부(1313a) 및 역류 방지관 내측면 상부(1313b)를 포함한다. 상기 역류 방지관 내측면 하부(1313a)는 상기 응축수 유입구와 상기 공기 연통구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유입관 내측면과 밀착되어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역류 방지관 내측면 상부(1313b)는 상기 역류 방지관 내측면 하부(1313a)가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역류 방지관 외측면(13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역류 방지관 덮개(1320)는 상기 역류 방지관 상면(1314)을 개폐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역류 방지관 덮개(1314)는 상기 역류 방지관 상면(1314)과의 사이로 이물질이 들어갈 수 없도록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관 덮개(1314)는 상면이 평평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연통홀(1310a, 1310b)은 제1공기 연통홀(1310a) 및 제2공기 연통홀(1310b)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공기 연통홀(1310a)은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의 외측면 중에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과 마주보는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의 외주면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전면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공기 연통홀(1310a)이 전면의 중심부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제2공기 연통홀(1310b)은 상기 역류 방지관(13000의 내측면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한 후면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공기 연통홀(1310b)이 상기 제1공기 연통홀(1310a)과 마주보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후면의 중심부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든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1000)는 상기 역류 방지관(1300)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홀(1310a, 1310b)이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이물질이 상기 연통홀(1310a, 1310b)로 쉽게 유입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1000)는 상기 연통흘(1310a, 1310b)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별도의 커버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1000)는 상기 역류 방지관(1300)이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과 상기 가상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각도가 크지 않고 적어도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응축수 유입관(1200)을 통해서 상기 유동하는 응축수가 상기 역류 방지관(1300) 방향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상기 연통홀(1310a, 1310b)을 통해 비산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2000)는 응축수 배출관(2100), 응축수 유입관(2200) 및 역류 방지관(2300)을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 배출관(2100)은 배출관 하부(2110) 및 배출관 상부(2120)를 포함한다. 상기 역류 방지관(2300)은 역류 방지관 본체(2310) 및 역류 방지관 덮개(2320)를 포함한다. 상기 역류 방지관 본체(2310)는 역류 방지관 본체 하면(2311), 역류 방지관 본체 외측면(2312) 및 역류 방지관 본체 내측면(2313)을 포함한다. 상기 역류 방지관 본체 내측면(2313)은 역류 방지관 본체 내측면 하부(2313a) 및 역류 방지관 본체 내측면 상부(2313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2000)는 도 1 내지 2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1000)와 비교할 때 응축수 유입관(2200)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유사하므로 응축수 유입관(2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응축수 유입관(2200)은 응축수 유입관 본체(2210) 및 조인트관(2220)을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 유입관 본체(2210)는 유입관 본체 하면(2211), 유입관 본체 외측면(2212) 및 유입관 본체 내측면(2213)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 본체 하면(2211)은 상기 응축수 배출관(2100)의 응축수 유입구에 일체로 연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입관 본체 외측면(2212)은 상기 배출관 하부(2110)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입관 본체 내측면(2213)은 유입관 본체 내측면 하부(2213a) 및 유입관 본체 내측면 상부(2213b)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 본체 내측면 하부(2213a)는 상기 배출관 상부(2110)에 상기 응축수 유입관(220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응축수 유입구 및 상기 역류 방지관(230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기 연통구가 접하는 부분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입관 본체 내측면 상부(2213b)는 상기 유입관 본체 내측면 하부(2213a)가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유입관 본체 외측면(22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조인트관(2220)은 일측은 상기 응축수 유입관(2200)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은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이동하는 연결 배관(P)에 연통된다. 상기 조인트관(2220)의 일측은 상기 응축수 유입관(2200)의 일측보다 직경이 작은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관(2220)의 외주면에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2223)가 삽입되어 끼워져 있다. 상기 실링부재(2223)는 상기 조인트관(2220)이 상기 연결배관(P)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조인트관(2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링부재(2223)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실링부재 결합 홈(2220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2000)는 도 1 내지 2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1000)와 비교할 때 상기 조인트관(2220)이 상기 응축수 유입관(220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P)과의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3000)는 응축수 배출관(3100), 응축수 유입관(3200) 및 역류 방지관(3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3000)는 도 1 내지 2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1000)와 비교할 때 응축수 유입관(2200)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유사하므로 응축수 유입관(2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응축수 유입관(3200)은 유입관 본체(3210) 및 조인트관(3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유입관(3200)은 도 1 내지 2에 따른 응축수 유입관(12000과 비교할 때 조인트관(3220)을 더 포함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상기 유입관 본체(3210)는 도 1 내지 2에 따른 응축수 유입관(3200)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조인트관(3220)은 일측은 상기 응축수 유입관(320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이동하는 연결 배관에 연통된다. 상기 조인트관(3220)은 플랜지부(3221), 상기 연결 배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 배관 체결부(3222) 및 실링부재(3223)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부(3221)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3100)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플랜지부(3221)는 중심부에 상기 연결배관 체결부(3222)와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배관 체결부(3222)는 일측은 상기 플랜지부(3221)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에 연통되고 내부에 응축수가 유동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연결 배관에 연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배관 체결부(3222)는 상기 플랜지부(3221)의 홀과 동축을 갖되 상기 연결배관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플랜지부(3221)보다 직경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배관 체결부(3222)는 상기 응축부 유입관(3100)이 연장되는 제1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재(3223)는 상기 연결 배관 체결부(322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끼워져 있는 링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실링부재(3223)는 상기 연결 배관 체결부(3222)가 상기 연결 배관과 결합될 때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인트관(3220)은 상기 응축수 유입관(32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3000)는 도 3 내지 5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2000)와 비교할 때 상기 조인트관(3220)이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연결 배관의 종류에 따라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관(3220)이 탈착 가능하므로 상기 응축수 유입관(3200) 내부의 관리에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4000)는 응축수 배출관(4100), 응축수 유입관(4200) 및 역류 방지관(4300)을 포함한다. 상기 역류 방지관(4300)은 역류 방지관 본체(4310) 및 역류 방지관 덮개(4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4000)는 도 1 내지 2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1000)와 비교할 때 응축수 유입관(4200) 및 응축수 배출관(4100)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유사하므로 응축수 배출관(4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4200)은 도 1 내지 2의 응축수 유입관(1200)이 유입관 본체 외측면(1212)의 길이가 유입관 본체 내측면 하부(1213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데 반해, 유입관 본체 외측면(4212)의 길이가 유입관 본체 내측면 하부(4213a)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2의 유입관 본체 내측면 하부(1213a)의 길이에 대한 유입관 본체 내측면 상부(1213b)의 길이의 비보다 상기 본체 내측면 하부(4213a)의 길이에 대한 유입관 본체 내측면 상부의 길이의 비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 배출관(4100)은 배출관 하부(4110) 및 배출관 상부(412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관 하부(4110)는 응축수가 유동하는 유동로 및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관 하부(411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사을 갖는다. 상기 배출관 상부(4120)는 상기 배출관 하부(4110)의 직경보다 넓어지도록 상기 배출관 하부(4110)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배출관 하부(4111)의 상면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즉, 상기 배출관 상부(4120)는 상기 배출관 하부(4110)의 상면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상기 배출관 상부(4120)는 평평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 상부(4120)는 상기 응축수 유입관(4200) 및 상기 역류 방지관(4300)과 각각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관(4100)은 도 1 내지 2에 따른 응축수 배출관(1100)과 비교할 때 배출관 상부(4120)가 상기 배출관 하부(4110)의 상면 및 하면의 직경보다 넓어지도록 연장되므로, 도 1 내지 2에 따른 응축수 유입관(1200) 및 역류 방지관(130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응축수 유입관(4200) 및 역류 방지관(4300) 결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배출관 상부(4120)의 높이 조절을 통해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4000)의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5000)는 응축수 배출관(5100), 응축수 유입관(5200) 및 역류 방지관(5300)을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 배출관(5100)은 배출관 하부(5110) 및 배출관 상부(5120)를 포함한다. 상기 역류 방지관(5300)은 역류 방지관 본체(5310) 및 역류 방지관 덮개(5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5000)는 도 7 내지 8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4000)와 비교할 때 응축수 유입관(5200)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유사하므로 응축수 유입관(5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응축수 유입관(5200)은 유입관 본체(5210) 및 조인트관(3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유입관(5200)은 도 7 내지 8에 따른 응축수 유입관(4200)과 비교할 때 조인트관(5220)을 더 포함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상기 유입관 본체(5210)는 도 1 내지 2에 따른 응축수 유입관(1200) 및 도 7 내지 8에 따른 응축수 유입관(4200)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조인트관(5220)은 일측은 상기 응축수 유입관(520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이동하는 연결 배관에 연통된다. 상기 조인트관(5220)은 조인트관 본체(5221), 상기 연결 배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 배관 체결부(5222) 및 실링부재(5223)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관 본체(5221)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5100)에 연통되도록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조인트관 본체(522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응축수가 유동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관 본체(5221)의 외주면은 상기 유입관 본체(52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관 본체(5221)는 외주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보인트관 본체(5221)가 상기 응축수 유입관(5200)에 삽입될 때, 상기 응축수 유입관(5200)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상기 조인트관 본체(5221)가 더 이상 상기 응축수 유입관(5200)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상기 플랜지부는 중심부에 상기 조인트관 본체(5221)의 상면보다 직경이 작은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배관 체결부(5222)는 일측은 상기 플랜지부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홀에 연통되고 내부에 응축수가 유동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연결 배관에 연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배관 체결부(5222)는 상기 플랜지부의 홀과 동축을 갖되 상기 연결배관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플랜지부보다 반경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배관 체결부(5222)는 상기 응축부 유입관(5100)이 연장되는 제1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인트관(5220)은 상기 응축수 유입관(52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5000)는 도 7 내지 8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4000)와 비교할 때 상기 조인트관(5220)이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 배관과의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예에서 상기 조인트관(5220)은 상기 조인트관 본체(5221)가 상기 응축수 유입관 본체(5210)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서 결합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2 내지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6000)는 응축수 배출관(6100), 응축수 유입관(6200) 및 역류 방지관(6300)을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 배출관(6100)은 배출관 하부(6110) 및 배출관 상부(6120)를 포함한다. 상기 역류 방지관(6300)은 역류 방지관 본체(6310) 및 역류 방지관 덮개(6320)를 포함한다. 상기 역류 방지관 본체(6310)는 역류 방지관 본체 하면(6311), 역류 방지관 본체 외측면(6312) 및 역류 방지관 본체 내측면(6313)을 포함한다. 상기 역류 방지관 본체 내측면(6313)은 역류 방지관 본체 내측면 하부(6313a) 및 역류 방지관 본체 내측면 상부(6313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2000)는 도 3 내지 4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2000)와 비교할 때 응축수 유입관(6200) 및 상기 응축수 유입관(6200)과 상기 역류 방지관(6300)이 이루는 각도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유사하므로 응축수 유입관(6200)과 역류 방지관(6300) 사이의 구조 및 응축수 유입관(6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응축수 유입관(6200)은 응축수 유입관 본체(6210) 및 조인트관(6220)을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 유입관 본체(6210)는 유입관 본체 하면(6211), 유입관 본체 외측면(6212) 및 유입관 본체 내측면(6213)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 본체 하면(6211)은 상기 응축수 배출관(6100)의 응축수 유입구에 일체로 연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입관 본체 외측면(6212)은 상기 배출관 하부(6110)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입관 본체 내측면(6213)은 유입관 본체 내측면 하부(6213a) 및 유입관 본체 내측면 상부(6213b)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 본체 내측면 하부(6213a)는 상기 배출관 상부(6110)에 상기 응축수 유입관(620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응축수 유입구 및 상기 역류 방지관(630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기 연통구가 접하는 부분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입관 본체 내측면 상부(6213b)는 상기 유입관 본체 내측면 하부(6213a)가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유입관 본체 외측면(62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유입관 본체(6210)는 도 3 내지 5에 따른 응축수 유입관 본체(2210)의 경우 유입관 본체 외측면(2212)의 길이가 유입관 본체 내측면 하부(2213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데 반해, 유입관 본체 외측면(6212)의 길이가 유입관 본체 내측면 하부(6213a)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 본체(6210)의 상면은 상기 유입관 본체 외측면(6212)과 교차하는 방향(90°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유입관 본체(6210)의 상면이 상기 역류 방지관 외측면(6212)과 평행한 면을 형성한다. 즉, 응축수 유입관 본체(6210)의 상면은 상기 역류 방지관 외측면(6312) 및 역류 방지관 내측면 상부(6313b)와 각각 평행한 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응축수 유입관 본체 상부(6213b)는 역류 방지관 내측면 상부(6313b)와 90°의 각도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2의 유입관 본체 내측면 하부(1213a)의 길이에 대한 유입관 본체 내측면 상부(1213b)의 길이의 비보다 상기 본체 내측면 하부(6213a)의 길이에 대한 유입관 본체 내측면 상부(6213b)의 길이의 비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관(6220)은 일측은 상기 응축수 유입관(6200)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은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이동하는 연결 배관에 연통된다. 상기 조인트관(6220)의 일측은 상기 응축수 유입관(6200)의 일측보다 직경이 작은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관(6220)의 외주면에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6223)가 끼워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부재(6223)는 제1실링부재(6223a) 및 제2실링부재(6223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실링부재(6223a) 및 제2실링부재(6223b)는 상기 조인트관(6220)이 연장되어 있는 제1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두 개가 배치된다. 상기 조인트관(6220)은 상기 제1실링부재(6223a) 및 제2실링부재(6223b)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실링부재 삽입 홈(6220a) 및 제2실링부재 삽입 홈(6220b)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재(6223)는 상기 조인트관(6220)이 상기 연결배관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6000)는 도 3 내지 5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2000)와 비교할 때 상기 실링부재(6223)가 복수 개 배치되어 있어서 실링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1100, 2100, 3100, 4100, 5100, 6100: 응축수 배출관
1110, 2110, 3110, 4110, 5110, 6110: 배출관 하부
1120, 2120, 3120, 4120, 5120, 6120: 배출관 상부
1200, 2200, 3200, 4200, 5200, 6200: 응축수 유입관
1211, 2211, 6211: 유입관 본체 하면
1212, 2212, 6212: 유입관 본체 외측면
1213, 2213, 6213: 유입관 본체 내측면
1213a, 2213a, 6213a: 유입관 본체 내측면 하부
1213b, 2213b, 6213b: 유입관 본체 내측면 상부
2210, 3210, 5210, 6210: 유입관 본체
2220, 3220, 6220: 조인트관
2221: 조인트관 본체
2222: 연결배관 체결부
2223, 6223: 실링부재
6223a: 제1실링부재
6223b: 제2실링부재
1300, 2300, 3300, 4300, 5300, 6300: 역류 방지관
1310, 2310, 3310, 4310, 5310, 6310: 역류 방지관 본체
1310a, 2310a, 3310a, 4310a, 5310a, 6310a: 역류 방지관 제1공기 연통홀
1310b, 2320b, 3310b, 4310b, 5310b, 6310b: 역류 방지관 제2공기 연통홀
1320, 2320, 3320, 4320, 5320, 6320: 역류 방지관 덮개
P: 연결배관

Claims (16)

  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내부의 유동로를 통하여 유동한 후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응축수 배출관;
    일단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유입구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응축수가 이동되는 연결 배관에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가상의 중심축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세워지는 응축수 유입관; 및
    일단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유입구 및 상기 응축수 유입관의 일단과 연통되고, 타단은 밀폐되며, 측면에 주변 공기와 연통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가상의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과는 상이한 제2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세워져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유입관은,
    일측은 상기 응축수 유입관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 배관에 연통되는 조인트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역류 방지관은,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역류 방지관의 상면과의 사이로 이물질이 들어갈 수 없도록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역류 방지관의 외측면 중에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과 마주보는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역류 방지관의 외주면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한 전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1공기 연통홀 및 상기 역류 방지관의 내측면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한 후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2공기 연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 연통홀과 상기 제2공기 연통홀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역류 방지관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역류 방지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응축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 및 상기 역류 방지관은,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세워지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 및 상기 역류 방지관은,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상부 중심에서 분기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은,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유동로를 포함하는 배출관 하부; 및
    상기 응축수 유입관과 연통되되, 상기 배출관 하부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가상의 축을 향해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응축수 유입구 및 상기 역류 방지관과 연통되되, 상기 배출관 하부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가상의 축을 향해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구와 상기 가상의 중심축에서 접하며, 공기 연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 상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은,
    상기 응축수 유입구에 일체로 연통되는 유입관 하면;
    상기 배출관 하부의 상단 가장자리 중에서 상기 역류 방지관과 가장 먼 쪽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유입관 외측면;
    상기 응축수 유입구와 상기 공기 연통구가 접하는 부분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유입관 외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유입관 내측면을 포함하는 유입관 본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은,
    상기 유입관 외측면의 길이가 상기 유입관 내측면 중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관은,
    상기 공기 연통구에 일체로 연통되는 역류 방지관 하면;
    상기 배출관 하부의 상단 가장자리 중에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과 가장 먼 쪽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역류 방지관 외측면;
    상기 응축수 유입구와 상기 공기 연통구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유입관 내측면과 밀착되어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역류 방지관 외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역류 방지관 내측면을 포함하는 역류 방지관 본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은,
    응축수 유입관 상면이 상기 응축수 유입관 외측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유입관 상면은,
    상기 역류 방지관 외측면과 평행한 면을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관은,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응축수 유입관의 일측에 결합되는 플랜지부;
    내부에 상기 응축수가 유동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의 홀과 동축을 갖되 상기 연결 배관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플랜지부보다 반경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응축수 유입관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연결배관 체결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 체결부는,
    상기 연결배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배관의 내측면과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실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연결배관 체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실링 부재 체결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은,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유동로를 포함하는 배출관 하부; 및
    상기 배출관 하부의 직경보다 넓어지도록, 상기 배출관 하부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가상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부는 평평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응축수 유입관과 연통되는 응축수 유입구 및 상기 역류 방지관과 연통되는 공기 연통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 상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관은,
    상기 응축수 유입구에 일체로 연통되는 유입관 하면;
    상기 배출관 하부의 상단 가장자리 중에서 상기 역류 방지관과 가장 먼 쪽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유입관 외측면;
    상기 응축수 유입구와 상기 공기 연통구가 접하는 부분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유입관 외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유입관 내측면을 포함하는 유입관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 하부의 상단 가장자리 중에서 상기 역류 방지관과 가장 먼 쪽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유입관 외측면의 길이가 상기 응축수 유입구와 상기 공기 연통구가 접하는 부분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2020220001458U 2022-06-15 2022-06-15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KR200496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458U KR200496203Y1 (ko) 2022-06-15 2022-06-15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458U KR200496203Y1 (ko) 2022-06-15 2022-06-15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203Y1 true KR200496203Y1 (ko) 2022-11-28

Family

ID=8423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458U KR200496203Y1 (ko) 2022-06-15 2022-06-15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20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981U (ja) * 1995-12-18 1996-06-25 コーヨーサプライ株式会社 ドレインホース継手
JPH10231978A (ja) * 1997-02-20 1998-09-02 Yoshihiro Cho ドレンホース継手
KR200296842Y1 (ko) 2002-08-29 2002-11-30 플렉트코리아(주) 공조기의 워터트랩
JP2011516762A (ja) * 2008-03-31 2011-05-26 コフレックス ソシエダ アノニマ デ カピタル ヴァリアブレ 柔軟な排水トラップ
JP2016114179A (ja) * 2014-12-16 2016-06-23 未来工業株式会社 通気弁付継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981U (ja) * 1995-12-18 1996-06-25 コーヨーサプライ株式会社 ドレインホース継手
JPH10231978A (ja) * 1997-02-20 1998-09-02 Yoshihiro Cho ドレンホース継手
KR200296842Y1 (ko) 2002-08-29 2002-11-30 플렉트코리아(주) 공조기의 워터트랩
JP2011516762A (ja) * 2008-03-31 2011-05-26 コフレックス ソシエダ アノニマ デ カピタル ヴァリアブレ 柔軟な排水トラップ
JP2016114179A (ja) * 2014-12-16 2016-06-23 未来工業株式会社 通気弁付継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9134B2 (ja) 室内機
US20080035317A1 (en) Air conditioner
KR102480314B1 (ko) 드레인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WO2011127769A1 (zh) 空调器的导水装置及具有该导水装置的空调器
US20230213251A1 (en) Gas-liquid separation device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
CN105793649A (zh) 集中排气烟道用防逆流装置及具备此的燃烧装置
WO2018064926A1 (zh) 接水盘组件和空调
KR200496203Y1 (ko)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에어벤트
US20160209130A1 (en) Heat exchanger
JP2008249312A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KR102046634B1 (ko) 공기조화기의 분배기
JP6551251B2 (ja) ヘッダー分配器、ヘッダー分配器を搭載した室外機、及び空気調和装置
CN112555994B (zh) 立柜式空调器
KR102046632B1 (ko) 공기조화기의 분배기
WO2021010168A1 (ja) 貯留タンクユニット
JPH10185231A (ja) 空気調和機
JP2021113634A (ja) 熱交換器
KR100939456B1 (ko) 역류방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드레인 호스의 연결구
CN109140744A (zh) 接水盘及空调机组
JP3998030B2 (ja) 天井設置型空気調和装置
JP2015227754A (ja) 熱交換器
CN109425026A (zh) 空调一体机
CN109520112A (zh) 接水盘及空调器
KR102046633B1 (ko) 공기조화기의 분배기
WO2021093245A1 (zh) 移动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