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886Y1 - 상자 겸용 에코백 - Google Patents

상자 겸용 에코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886Y1
KR200495886Y1 KR2020210001421U KR20210001421U KR200495886Y1 KR 200495886 Y1 KR200495886 Y1 KR 200495886Y1 KR 2020210001421 U KR2020210001421 U KR 2020210001421U KR 20210001421 U KR20210001421 U KR 20210001421U KR 200495886 Y1 KR200495886 Y1 KR 200495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ld line
eco
ba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운컴퍼니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운컴퍼니씨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운컴퍼니씨앤씨
Priority to KR2020210001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77Flexible luggage; Hand bags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Refuse Receptacles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자 겸용 에코백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중앙접이선으로 양분되는 한 쌍의 몸판 양측에 결합되어 내부공간과 개구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측판이 몸판에 구비된 접이선을 따라 몸판과 함께 포개지도록 접힘 가능하되, 중앙접이선에서 가장 먼 몸판 최상측의 상접이선 이후로 심재를 내장하여 배치되는 몸판의 상판부가 상접이선까지만 구비되는 연결측판에 대해 상접이선을 따라 자유롭게 접혀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몸판을 지지함으로써 상자로 사용가능한 상자 겸용 에코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자 겸용 에코백{Eco bag utilizing as box}
본 고안은 상자 겸용 에코백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중앙접이선으로 양분되는 한 쌍의 몸판 양측에 결합되어 내부공간과 개구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측판이 몸판에 구비된 접이선을 따라 몸판과 함께 포개지도록 접힘 가능하되, 중앙접이선에서 가장 먼 몸판 최상측의 상접이선 이후로 심재를 내장하여 배치되는 몸판의 상판부가 상접이선까지만 구비되는 연결측판에 대해 상접이선을 따라 자유롭게 접혀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몸판을 지지함으로써 상자로 사용가능한 상자 겸용 에코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코백은 일회용 봉투의 사용을 줄이자는 환경보호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가방이다. 따라서 이러한 에코백은 만들어진 취지에 부합하여, 주로 간편하게 접어 휴대가 용이해야 한다. 그리고, 필요시에는 접은 것을 펼쳐 내부 공간에 물품을 수납하는데 주로 장바구니나 간단한 소품을 할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에코백은 통상 물품을 담지 않은 때는 그 크기를 줄여 휴대용 크기로 만들어 물품보관함에 담아두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대개 에코백 그 자체를 물품보관함으로 사용하지는 않는다. 이는 에코백이 보통 휴대용 크기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에 따라, 일정한 형태의 상자 등과 같은 보관함의 형태를 유지하기에 부적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동시에 물건을 담아 이동의 편리함을 제공하던 에코백을 보관 중에도, 물건을 담아 비치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대두되었다.
등록특허 10-1437730 (2014.08.28. 등록) 등록특허 10-2095161 (2020.03.24. 등록) 등록특허 10-1018036 (2011.02.21. 등록) 등록실용신안 20-0456462 (2011.10.26. 등록)
본 고안의 목적은 소형 크기로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물품을 수납하여 이동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가방으로 사용될뿐만 아니라, 특정 공간에 비치하여 물품을 담아두는 상자로도 변형시켜 사용이 가능한 상자 겸용 에코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접이선으로 양분되는 한 쌍의 몸판 양측에 결합되어 내부공간과 개구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측판이 몸판에 구비된 접이선을 따라 몸판과 함께 포개지도록 접힘 가능하되, 중앙접이선에서 가장 먼 몸판 최상측의 상접이선 이후로 심재를 내장하여 배치되는 몸판의 상판부가 상접이선까지만 구비되는 연결측판에 대해 상접이선을 따라 자유롭게 접혀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몸판을 지지함으로써 상자로 사용가능한 상자 겸용 에코백을 포함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판을 구성하는 상기 하판부, 중판부 및 상판부는 수직방향 중앙으로 몸판 수직접이선이 더 형성되고; 상기 몸판의 한 쪽 상판부의 바깥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결합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측판 수직접이선을 따라 접힌 상기 연결측판을 상기 양쪽 몸판의 사이로 밀어넣고 상기 하접이선과 상기 상접이선을 차례로 접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가 마주보도록 한 후 상기 결합부재를 결합하여 크기를 줄이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판의 중판부에는 중간부에 수평방향의 중간접이선이 더 형성되어, 상기 중간접이선을 통해 상기 중판부가 중판1부과 중판2부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부에는 에코백의 손잡이로 사용되는 관통된 손잡이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은 상판부, 중판부 및 하판부로 구성되는 몸판의 각 판들을 접이선을 따라 접은 후 결합부재를 이용해 고정하면 매우 작은 크기로 휴대가 매우 손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결합부재의 결합력을 해제시켜 펼치면 내부공간과 상면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가방으로 변환되어 주로 장바구니나, 간단한 소지품을 담을 수 있는 에코백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판의 최상판인 상판부는 연결측판에 대해 자유롭게 접이선을 따라 에코백의 안팎으로 접힐 수 있는데, 이 상판부에는 심재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접이선을 따라 접혀 에코백의 전체 모양을 유지시켜 에코백이 상자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변환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에코백 및 상자로 변환된 에코백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에코백의 평면 사시도.
본 고안 에코백의 접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 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은 지면에 대한 수직과 수평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지, 반드시 지면에 대해 수직하거나 수평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고안 에코백(E)은 중앙접이선(11)의 양쪽으로 구성되어 접이선에 의해 접힘 가능한 한 쌍의 몸판(10)과, 상기 한 쌍의 몸판(10) 양측면에 결합되어 내구공간(도면부호 미부여)과 개구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측판(20)이 구성되되, 상기 몸판(10) 중 적어도 상기 상판부(16)에는 심재(30)가 내장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몸판(10)은 수평방향의 중앙접이선(11) 양쪽으로 각각 하판부(12), 중판부(14) 및 상판부(16)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부(12)와 중판부(14)의 사이에는 하접이선(13)이 형성되고, 중판부(14)와 상판부(16) 사이에는 상접이선(15)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중앙접이선(11), 하접이선(13) 및 상접이선(15)을 따라 몸판(10)은 각 판을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접이선(11)은 한쪽 몸판(10)과 다른 한쪽 몸판(10)이 일체로 연결된 형태에서 중앙접이선(11)을 따라 한쪽 몸판(10)과 다른 한쪽 몸판(10)이 서로 접힘 가능한 접힘선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는 다르게, 2개의 개별 몸판(10)을 서로 연결하는 봉제선이 형성되는바, 이 봉제선이 중앙접이선(11)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판(10)의 하판부(12), 중판부(14) 및 상판부(16)는 그 크기가 1:1:1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1의 비율로 형성된다. 이렇게 다른 판들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중판부(14) 중간부에는 수평방향의 중간접이선(14L)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접이선(14L)이 형성됨에 따라 중판부(14)는 중판1부(14a)와 중판2부(14b)로 접힘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중판부(14)를 다른 판들에 비해 크게 형성하면, 본 고안을 에코백(E)이나 상자(B)로 사용할 경우, 내부공간을 상대적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보다 많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몸판(10)의 하판부(12), 중판부(14) 및 상판부(16) 중 적어도 상판부(16)에는 형태유지가 가능한 심재(30)가 내장된다. 통상 에코백은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에코백은 접기에 적합한 직물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고안 에코백(E)은 상자(B)로 변환이 가능하며, 상자(B)로 변환된 상태에서는 상자(B)의 형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상자(B)의 형태유지를 유해 형상유지가 가능한 심재(30)가 내장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측판(20)은 상기 한 쌍의 몸판(1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므로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연결측판(20)이 몸판(10)의 양측에 결합되기 때문에 에코백(E)에는 수납공간인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함께 물품을 넣고 꺼낼 수 있는 개구부가 상면에 형성된다. 이때, 연결측판(20)은 이 연결측판(20)이 수직방향으로 졉혀 포개질 수 있도록 접힘을 유도하는 측판 수직접이선(21)이 중앙에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측판(20)의 상단인 윗단(23)은 몸판(10)의 상판부(16)와 중판부(14) 사이에 구비된 상접이선(15) 이하에서 펼침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몸판(10)은 중앙접이선(11)의 양쪽으로 각 몸판(10)이 판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몸판(10)의 측면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측판(20)은 몸판(10)에 대응하여 형성됨이 마땅하다. 그리하여 도 2처럼 연결측판(20) 중 밑단(22)은 몸판(10)의 중앙접이선(11)에 대응하여, 측판 수직접이선(21)에 의해 하나로 포개진 채로 중앙접이선(11) 상에 고정결합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연결측판(20)의 하나로 포개진 밑단(22)은 중앙접이선(11)에 일체로 봉제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측판(20)의 밑단(22) 구성과 대비하여, 연결측판(20)의 윗단(23)은 에코백(E) 상면이 벌어져 개구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수납공간인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연결측판(20)의 윗단(23)은 에코백(E)의 개구부가 열릴때 상기 상접이선(15)의 연장선상 또는 그 밑에서 수평하게 일렬로 펼쳐지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바람직한 연결측판(20)의 윗단(23)은 상접이선(15) 상에 수평하게 일렬로 펼쳐져 몸판(1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에코백(E)은 도 1(B)처럼 상자(B)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코백(E)이 상자(B)로 변환될 때는 상기 한 쌍의 몸판(10) 중 중앙접이선(11) 양쪽으로 하판부(12) 2개가 지면에 평평하게 펼쳐져 바닥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판부(12)에 대해 2개의 중판부(14)가 하접이선(13)을 따라 수직하게 접혀 상자(B)의 측벽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에코백(E)의 개구부는 벌어지고 내부공간은 확장된 상태가 된다. 그런데 이때, 상기 연결측판(20)의 밑단(22)은 측판 수직접이선(21)을 따라 하나로 포개져 중앙접이선(11)에 봉제된 상태이다. 따라서 몸판(10)의 중앙접이선(11)에 고정된 연결측판(20)의 밑단(22)은 그대로 유지된채 몸판(10)의 하접이선(13)에 대응하는 연결측판(20)의 하부가 하접이선(13)을 따라 측판 수직접이선(21)이 펼쳐짐과 함께 펼쳐지게 되는데, 여기서 하접이선(13)의 연장선 상으로 펼쳐진 연결측판(20)의 하측과 연결측판(20)의 밑단(22) 사이에는 측판 수직접이선(21) 양쪽으로 연결측판(20)이 삼각형태로 중첩하여 접히는 중첩삼각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중첩삼각부(24)는 몸판(10)의 하판부(12)와 함께 바닥면이 된다. 그리고 중첩삼각부(24)를 경계로 연결측판(20)이 수직하게 접히면서 몸판(10)의 중판부(14)와 함께 상자(B)의 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몸판(10)의 중판부(14)와 함께 상자(B)의 측벽을 형성하던 상기 연결측판(20)은 그 상단인 윗단(23)이 상기 상접이선(15)의 이하까지 연장되어 상자(B)의 측벽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연결측판(20)의 윗단(23)은 상기 측판 수직접이선(21)에 의해 접혀진 양쪽 윗단(23)이 일렬로 펼쳐진 채로, 몸판(10)의 상접이선(15)의 연장선상에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측판(20)이 상기 몸판(10)의 상판부(16)와 중판부(14) 사이에 형성된 상접이선(15)까지만 연결되는 관계로, 몸판(10)의 상판부(16)는 상접이선(15)을 따라 상자(B)의 안팎으로 자유롭게 접혀지게 된다. 상접이선(15)을 따라 접혀진 상판부(16)는 중판부(14)에 밀착 또는 근접하게 접힘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이때, 상판부(16) 또는 중판부(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부에는 형태유지가 가능한 심재(30)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자(B)로 변환된 에코백(E)은 심재(30)의 도움을 받아 상자(B)로 변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심재(30)는 몸판(10)을 구성하는 하판부(12), 중판부(14) 및 상판부(16) 모두에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판에 내장되는 심재(30)는 형태유지의 정도를 달리하는 심재(30)로 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판부(12) 및 중판부(14)에 내장되는 심재(30) 보다 상판부(16)에 내장되는 심재(30)를 보다 견고한 형태유지용 심재(30)를 사용한다. 이는 상자(B)에서 에코백(E)으로 변환하여 도 1(A)처럼 사용할 때, 하판부(12)와 중판부(14)의 심재(30)가 유연하여 내부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에 따라 유연하게 찌그러지면서 동일한 부피의 내부공간이라 하더라도 수납되는 물품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 보다 많은 물품을 수납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16)에는 중앙부분에 손잡이공(17)이 관통형성될 수 있는데, 이 손잡이공(17)이 형성됨으로써 에코백(E)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판부(16)의 심재(30)를 다른 판부의 심재(30)보다 형태유지에 유리한 심재(30)를 사용함으로써, 심재(30)가 물품의 하중을 상판부(16) 전체로 고르게 전달하도록 해 수납된 물품의 하중이 손잡이공(17)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판(10)을 구성하는 하판부(12), 중판부(14) 및 상판부(16)는 수직방향 중앙으로 몸판 수직접이선(1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몸판(10)의 한 쪽 상판부(16)의 바깥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결합부재(40)를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몸판(10)을 수직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몸판 수직접이선(18)을 형성하면, 에코백(E)을 접었을 때, 그 크기를 더 줄일 수 있어 휴대에 이점이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40)는 통상의 다양한 결합부재(40)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결합부재(40)는 결합끈과 수냅단추이다.
도 3은 에코백(E)을 접어 크기를 줄이는 과정을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3(A)와 같이, 연결측판(2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측판 수직접이선(21)을 접어 측판 수직접이선(21)으로 양분되는 연결측판(20)을 하나로 포개지도록 한 후, 포개진 연결측판(20)을 한 쌍의 몸판(10) 사이로 밀어넣는다. 이렇게 하면, 한 쌍의 몸판(10)이 중앙접이선(11)을 기준으로 포개지면서 자연스럽게 서로 겹쳐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3(B)처럼, 서로 겹쳐진 한 쌍의 몸판(10)을 하접이선(13), 중간접이선(14L) 및 상접이선(15)을 따라 접어, 도 3(C)와 같이 몸판(10)이 서로 중첩되도록 접는다. 그리고 이때, 한 쪽 상판부(16)의 바깥면에 서로 이격하여 구성된 한 쌍의 결합부재(40)가 접힘시 바깥면에 오도록 한다. 그런 다음 몸판 수직접이선(18)을 따라 접혀진 몸판(10)을 다시 한번 더 접은 후 한 쌍의 결합부재(40)를 체결하면 도 3(D)와 같이 접혀진 몸판(10)이 풀리지 않고 안정적인 접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그 크기를 줄인 에코백(E)은 매우 작은 크기가 되므로, 휴대하기에 편리하고, 미사용 보관시에도 공간을 줄여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E: 에코백 B: 상자
10: 몸판 11: 중앙접이선
12: 하판부 13: 하접이선
14: 중판부 14L: 중간접이선
14a: 중판1부 14b: 중판2부
15: 상접이선 16: 상판부
17: 손잡이공 18: 몸판 수직접이선
20: 연결측판 21: 측판 수직접이선
22: 밑단 23: 윗단
24: 중첩삼각부
30: 심재
40: 결합부재

Claims (4)

  1. 수평방향의 중앙접이선(11) 양쪽으로 각각 하판부(12), 중판부(14) 및 상판부(16)가 순차적으로 하접이선(13)과 상접이선(15)에 의해 접힘 가능한 한 쌍의 몸판(10);
    상기 상판부(16)를 제외한 상기 몸판(10)의 수직방향 양측면을 따라 양측단이 결합되어 내부공간과 개구부를 형성하되, 수직방향 중앙의 측판 수직접이선(21)으로 양분되어 접힘 가능한 상하단 중 밑단이 상기 중앙접이선(11)에 하나로 겹쳐 고정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의 개방과 함께 윗단(23)이 상기 상접이선(15) 이하에서 수평하게 일렬로 펼쳐지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측판(20);
    상기 몸판(10) 중 적어도 상기 상판부(16)에 내장되는 심재(30); 를 포함하여,
    상기 중앙접이선(11) 양쪽으로 수평하게 펼쳐진 상기 한 쌍의 하판부(12)에 대해 상기 하접이선(13)을 따라 상기 중판부(14)가 수직하게 접힘유지되도록, 상기 연결측판(20)은 밑단이 상기 측판 수직접이선(21)에 의해 상기 중앙접이선(11)에 하나로 겹쳐 고정됨에 따라 상기 하접이선(13)에 대응하여 접히는 하부가 삼각형태의 중첩삼각부(24)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측판(20)의 윗단(23)은 상기 상접이선(15) 이하에서 수평하게 일렬로 펼쳐지며, 상기 심재(30)를 내장한 상기 상판부(16)는 상기 상접이선(15)을 따라 상기 중판부(14)를 향해 졉혀져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몸판(10)을 지지하여 상자(B)로 이용 가능한 상자 겸용 에코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판(10)을 구성하는 상기 하판부(12), 중판부(14) 및 상판부(16)는 수직방향 중앙으로 몸판 수직접이선(18)이 더 형성되고,
    상기 몸판(10)의 한 쪽 상판부(16)의 바깥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결합부재(4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측판 수직접이선(21)을 따라 접힌 상기 연결측판(20)을 상기 양쪽 몸판(10)의 사이로 밀어넣고, 상기 하접이선(13)과 상기 상접이선(15)을 차례로 접은 상기 몸판(10)을 상기 몸판 수직접이선(18)을 따라 한번 더 접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40)가 마주보도록 한 후 상기 결합부재(40)를 결합하여 크기를 줄이는 상자 겸용 에코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판(10)의 중판부(14)에는 중간부에 수평방향의 중간접이선(14L)이 더 형성되어, 상기 중간접이선(14L)을 통해 상기 중판부(14)가 중판1부(14a)과 중판2부(14b)로 접힘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자 겸용 에코백.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6)에는 에코백(E)의 손잡이로 사용되는 관통된 손잡이공(17)이 구비되는 상자 겸용 에코백.
KR2020210001421U 2021-05-04 2021-05-04 상자 겸용 에코백 KR200495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421U KR200495886Y1 (ko) 2021-05-04 2021-05-04 상자 겸용 에코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421U KR200495886Y1 (ko) 2021-05-04 2021-05-04 상자 겸용 에코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886Y1 true KR200495886Y1 (ko) 2022-09-14

Family

ID=8327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421U KR200495886Y1 (ko) 2021-05-04 2021-05-04 상자 겸용 에코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886Y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0910A (ja) * 1991-11-13 1993-05-28 Shiyatoo Buran Kk バツグ
JP2000325125A (ja) * 1999-03-17 2000-11-28 Harumi Mimori 買い物用バッグ
JP3130529U (ja) * 2007-01-16 2007-03-29 株式会社アンダンテ 買い物袋
KR101018036B1 (ko) 2008-12-30 2011-03-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손잡이 싸개 겸용 가방
KR200456462Y1 (ko) 2011-04-21 2011-11-01 주식회사 앤??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돗자리
KR200457986Y1 (ko) * 2010-06-14 2012-01-16 김강진 종이쇼핑백의 손잡이 보강구조
KR20120101860A (ko) * 2011-03-07 2012-09-17 한솔피엔에스 주식회사 포장박스 겸용 쇼핑백
KR20140004074U (ko) * 2012-12-24 2014-07-02 양진용 쇼핑백
KR101437730B1 (ko) 2012-09-25 2014-09-03 권오희 휴대와 사용이 용이한 시장바구니
KR102095161B1 (ko) 2019-09-25 2020-05-26 남병성 이중 손잡이 구조를 갖는 접이식 가방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0910A (ja) * 1991-11-13 1993-05-28 Shiyatoo Buran Kk バツグ
JP2000325125A (ja) * 1999-03-17 2000-11-28 Harumi Mimori 買い物用バッグ
JP3130529U (ja) * 2007-01-16 2007-03-29 株式会社アンダンテ 買い物袋
KR101018036B1 (ko) 2008-12-30 2011-03-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손잡이 싸개 겸용 가방
KR200457986Y1 (ko) * 2010-06-14 2012-01-16 김강진 종이쇼핑백의 손잡이 보강구조
KR20120101860A (ko) * 2011-03-07 2012-09-17 한솔피엔에스 주식회사 포장박스 겸용 쇼핑백
KR200456462Y1 (ko) 2011-04-21 2011-11-01 주식회사 앤??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돗자리
KR101437730B1 (ko) 2012-09-25 2014-09-03 권오희 휴대와 사용이 용이한 시장바구니
KR20140004074U (ko) * 2012-12-24 2014-07-02 양진용 쇼핑백
KR102095161B1 (ko) 2019-09-25 2020-05-26 남병성 이중 손잡이 구조를 갖는 접이식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7339B1 (en) Upright standing duffle bag
US6926129B2 (en) Rolling duffel bag
US4062392A (en) Double handled bag - foldable to two sizes
US7849984B2 (en) Collapsible bag mounting structure and collapsible bag associated therewith
US20120187118A1 (en) Collapsible containers
US7311200B2 (en) Collapsible wheeled tool bag
CN104223690B (zh) 可折叠箱
US20150108739A1 (en) Collapsible laundry & accessory basket with wheeled & carryable configurations
US8961013B2 (en) Rigid self-supporting collapsible stackable reusable bag
US9265317B2 (en) Support structure for luggage
JP3105538B2 (ja) 携帯用簡易ベッド及びケース
KR200495886Y1 (ko) 상자 겸용 에코백
KR101245161B1 (ko) 절첩 가능한 여행용 가방
US5586345A (en) Mobile portable playyard system
TWM459155U (zh) 嬰幼兒載具
KR200445766Y1 (ko) 크기가 조절되는 장바구니
US20060118441A1 (en) Foldable golf bag
CN209931707U (zh) 一种可折叠旅行箱
CN207191117U (zh) 一种仪器手推车
US20120211501A1 (en) Collapsible thermal container and stand
CN218519711U (zh) 一种野营车的折叠结构
KR20230001990U (ko) 2단 수납구조를 갖는 접이식 웨건
CN214567393U (zh) 一种折叠式收纳结构
KR200477609Y1 (ko) 휴대 가능한 다용도 포켓 카트
KR102655978B1 (ko) 테이블형 공구 배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