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843Y1 - 애완동물용 하네스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843Y1
KR200495843Y1 KR2020200002357U KR20200002357U KR200495843Y1 KR 200495843 Y1 KR200495843 Y1 KR 200495843Y1 KR 2020200002357 U KR2020200002357 U KR 2020200002357U KR 20200002357 U KR20200002357 U KR 20200002357U KR 200495843 Y1 KR200495843 Y1 KR 200495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pet
ring portion
fixed
har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099U (ko
Inventor
허소미
Original Assignee
허소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소미 filed Critical 허소미
Priority to KR2020200002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84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0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8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2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3Leads, leashes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으로써, 애완동물의 가슴과 등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착용부; 및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배 부분을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착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착용부에서 분리되어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는 경우 목줄로 활용되고, 상기 착용부는, 애완동물의 가슴 부분에 접촉되는 제1스트랩부와, 상기 제1스트랩부의 양단에 고정되어 애완동물의 등 부분에 접촉되는 제2스트랩부와, 상기 제2스트랩부에 설치되어 견인줄과 결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트랩부는, 상기 제1스트랩부의 일단에 고정되는 좌측스트랩과, 상기 제1스트랩부의 타단에 고정되는 우측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좌측스트랩에 고정되는 제1고리부와, 상기 우측스트랩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제2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리부와 상기 제2고리부가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평소에는 하네스로 사용되다가 체결부가 착용부에서 분리 결합되는 경우, 목줄로도 활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1고리부에 연결된 견인줄을 강하게 잡아당기는 경우, 좌측스트랩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애완동물이 강하게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애완동물이 통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하네스{HARNESS FOR PETS}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소에는 하네스로 사용되다가 체결부가 착용부에서 분리 결합되는 경우, 목줄로도 활용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의 산책 시에는, 애완동물이 행인에게 달려들거나 행인을 무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의 몸체에 견인줄이 연결된 목줄이나 하네스를 착용시킨 후 애완동물의 활동반경을 통제하여야 한다.
그러나 날씨, 장소 등의 상황에 따라 목줄과 하네스를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목줄과 하네스를 모두 구입하여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네스를 착용하였다가 목줄로 교체하는 경우 하네스에서 애완동물의 앞다리를 이탈시켜야 하므로 탈의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고안자는 평소에는 하네스로 사용되다가 체결부가 착용부에서 분리 결합되는 경우, 목줄로도 활용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한편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4037호에 개시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체결부가 착용부에서 분리되어 결합됨으로써, 평소에는 하네스로 사용되다가 체결부가 착용부에서 분리 결합되는 경우, 목줄로도 활용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애완동물의 가슴과 등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착용부; 및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배 부분을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착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착용부에서 분리되어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는 경우 목줄로 활용되고, 상기 착용부는, 애완동물의 가슴 부분에 접촉되는 제1스트랩부와, 상기 제1스트랩부의 양단에 고정되어 애완동물의 등 부분에 접촉되는 제2스트랩부와, 상기 제2스트랩부에 설치되어 견인줄과 결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트랩부는, 상기 제1스트랩부의 일단에 고정되는 좌측스트랩과, 상기 제1스트랩부의 타단에 고정되는 우측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좌측스트랩에 고정되는 제1고리부와, 상기 우측스트랩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제2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리부와 상기 제2고리부가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착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착용부에 애완동물의 가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쿠션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평소에는 하네스로 사용되다가 체결부가 착용부에서 분리 결합되는 경우, 목줄로도 활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1고리부에 연결된 견인줄을 강하게 잡아당기는 경우, 애완동물이 강하게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애완동물이 용이하게 통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가 착용된 모습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체결부의 결합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제1고리부와 제2고리부의 체결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제2고리부와 견인줄이 결합되었을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제1고리부와 견인줄이 결합되었을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쿠션패드의 정면과 배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쿠션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쿠션패드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100)는 착용부(110)와 체결부(120)와 쿠션패드(130)를 포함한다.
착용부(110)는 애완동물(d)의 가슴과 등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진 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착용부(110)의 형상은 상술한 소정의 두께를 가진 띠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애완동물(d)의 가슴과 등을 감쌀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과 재질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착용부(110)는 제1스트랩부(111)와 제2스트랩부(112)와 고리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트랩부(111)는 애완동물(d)의 가슴 부분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애완동물(d)의 가슴을 감싸도록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스트랩부(111)에는 애완동물(d)의 크기에 맞게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길이 조절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스트랩부(112)는 애완동물(d)의 등 부분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제1스트랩부(111)의 양단에 고정되어 애완동물(d)의 등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될 수 있다.
제2스트랩부(112)는 더 상세하게, 좌측스트랩(112a)과 우측스트랩(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스트랩(112a)은 제1스트랩부(111)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1스트랩부(111)와 동일하게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좌측스트랩(112a)은 제1스트랩부(111)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우측스트랩(112b)은 제1스트랩부(111)의 타단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1스트랩부(111)와 동일하게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우측스트랩(112b)은 제1스트랩부(111)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고정되고 좌측스트랩(112a)과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직각이란, 제1스트랩부(111)와 제2스트랩부(112)가 수학적으로 완벽하게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육안으로 직각처럼 보이는 정도라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적용됨에 있어서 충분하다.
그리고 좌측스트랩(112a)과 우측스트랩(112b)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고리부(113)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좌측스트랩(112a)과 우측스트랩(112b)은 후술하는 고리부(113)의 체결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고리부(113)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술한 제1스트랩부(111)와 제2스트랩부(112)의 결합에 따르면, 제1스트랩부(111)와 제2스트랩부(112)에는 애완동물(d)의 머리가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트랩부(111)와 제2스트랩부(112)에 마련된 공간으로 애완동물(d)의 머리를 통과시키면, 착용부(110)가 애완동물(d)의 몸체에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다.
고리부(113)는 좌측스트랩(112a)과 우측스트랩(112b)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견인줄과 결합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고리부(113)는 제1고리부(113a)와 제2고리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리부(113a)는 좌측스트랩(112a)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고리부(113a)는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링(Ring)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부분이 좌측스트랩(112a)에 감싸진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2고리부(113b)는 우측스트랩(112b)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고리부(113b)는 제1고리부(113a)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부분이 우측스트랩(112b)에 감싸진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고리부(113a)와 제2고리부(113b)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좌측스트랩(112a)과 우측스트랩(112b)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고리부(113)는 시중에서 흔히 사용되는 'D'형상의 D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고리부(113)가 D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고리부(113a)와 제2고리부(113b)가 서로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고리부(113a)는 제2고리부(113b)에 마련된 관통홀을 통하여 제2고리부(113b)를 관통할 수 있는데 이때, 제1고리부(113a)를 옆으로 돌린 후 제2고리부(113b)의 관통홀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D링의 만곡된 부분을 D링의 전면이라고 하고, 직선을 이루는 부분을 후면이라고 했을때, 제1고리부(113a)와 제2고리부(113b)의 크기가 동일하므로 제2고리부(113b)의 관통홀에 제1고리부(113a)가 전면으로 삽입될 수 없기 때문이다.
제1고리부(113a)가 제2고리부(113b)를 관통한 후, 제1고리부(113a)의 후면은 제2고리부(113b)에 간섭되므로 제1고리부(113a)와 제2고리부(113b)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좌측스트랩(112a)과 우측스트랩(112b)은 제1고리부(113a)와 제2고리부(113b)에 의해서 미리 체결된 후에 제1스트랩부(111)에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고리부(113a)가 고정된 좌측스트랩(112a)은 우측스트랩(112b)에 고정된 제2고리부(113b)를 관통하여 경유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따르면, 제1고리부(113a)와 제2고리부(113b)는 서로 체결 될 수 있고, 이후 좌측스트랩(112a)과 우측스트랩(112b)은 제1스트랩부(1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고리부(113a)와 제2고리부(113b)는 사용자에 의해서 임의로 분리될 수 없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스트랩부(111)와 제2스트랩부(112)와 고리부(113)를 포함하는 착용부(110)의 구조에 따르면, 조립이 매우 간편해 질 수 있으며, 애완동물(d)의 몸체에 착용부(110)가 손쉽게 착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체결부(120)는 애완동물(d)의 배 부분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진 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체결부(120)의 형상은 상술한 소정의 두께를 가진 띠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애완동물(d)의 배 부분을 감쌀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과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한편, 이러한 체결부(120)에는 애완동물(d)의 크기에 맞게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길이 조절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120)의 양단은 착용부(1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10)와 체결부(120)에는 암수버클이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설치된 암수버클에 의하여 손쉽게 결합 및 분해될 수 있다.
그러나 체결부(120)와 착용부(110)를 결합시키는 구조는 상술한 암수버클에 제한되지 않고 벨크로, 스냅 단추, 지퍼 등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착용부(110)와 체결부(120)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먼저 애완동물(d)의 머리에 착용부(110)를 관통시킨 후 착용부(110)에 체결부(120)를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애완동물(d)의 몸체를 들어올리거나 결박하지 않고도 손쉽게 애완동물(d)의 몸체에 착용부(110)와 체결부(120)를 착용시킬 수 있다.
즉, 착용부(110)와 체결부(120)의 착용이 매우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120)는 착용부(110)에서 분리된 후 일단과 타단이 결합됨으로써 목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20)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암버클, 수버클이 설치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체결부(120)를 착용부(110)에서 분리시킨 다음 애완동물(d)의 목을 둘러싸도록 위치시키고 체결부(120)의 일단과 타단을 결합시킴으로써 애완동물(d)의 목에 체결부(120)를 착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120)는 목줄 형태로도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1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줄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고리부(113a)와 제2고리부(113b)에는 견인줄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견인줄은 제1고리부(113a)와 결합되는 경우 애완동물(d)의 몸체에서 착용부(110)와 체결부(120)가 이탈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견인줄은 제1고리부(113a)에 결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완동물(d)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견인줄을 강한 힘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견인줄과 연결된 제1고리부(113a)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동시에 제1고리부(113a)와 연결된 좌측스트랩(112a) 또한 제2고리부(113b)의 관통홀을 경유하여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좌측스트랩(112a)은 제2고리부(113b)에 의하여 간섭되므로 좌측스트랩(112a)과 우측스트랩(112b)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는다.
그리고 좌측스트랩(112a)은 제2고리부(113b)를 경유한 길이만큼 애완동물(d)과 접촉되는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견인줄을 강하게 잡아당기는 경우 애완동물(d)과 접촉되는 좌측스트랩(112a)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애완동물(d)이 제2스트랩부(112)와 체결부(120)에 의하여 강하게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애완동물(d)의 몸체에서 착용부(110)와 체결부(120)가 이탈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완동물(d)을 훈련하는 경우, 애완동물(d)을 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줄이 제2고리부(113b)에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가 견인줄을 강한 힘으로 잡아당겨도 제2고리부(113b)가 제1고리부(113a)에 간섭되므로 제2스트랩부(112)의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견인줄을 제1고리부(113a)와 제2고리부(113b)에 결합하여 애완동물(d)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쿠션패드(130)는 애완동물(d)의 가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착용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패드(130)는 착용부(110)에 부착되어 애완동물(d)의 가슴에 가로방향으로 접촉됨으로써 제1스트랩부(111)가 애완동물(d)의 가슴에 인가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애완동물(d)의 착용감이 매우 향상될 수 있다.
쿠션패드(130)는 쿠션감을 가진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애완동물(d)의 가슴에 접촉되는 부분은 매쉬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쿠션패드(130)는 스펀지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스펀지의 외면은 매쉬소재의 천이 본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쿠션패드(130)의 재질은 스펀지로 제한되지 않고 쿠션감을 가지는 연성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쿠션패드(130)는 제1스트랩부(111)와 접촉되는 부분이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쿠션패드(130)의 일면은 고무재질의 고무패드로 마련될 수 있고, 고무패드에는 고무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무패드에 따르면, 제1스트랩부(111)와 쿠션패드(130) 사이의 마찰력이 상승되어 쿠션패드(130)가 애완동물(d)의 움직임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스트랩부(111)에는 상술한 쿠션패드(130)의 고무 돌기와 결합될 수 있는 함몰부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함몰부는 제1스트랩부(111)의 일면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고, 쿠션패드(130)의 고무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함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함몰홈의 형상은 쿠션패드(130)의 고무 돌기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고무 돌기가 함몰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고무 돌기가 함몰홈에 삽입 고정됨으로서 쿠션패드(130)와 함몰부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스트랩부(111)와 쿠션패드(130)의 결합이 매우 견고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쿠션패드(130)에는 결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는 쿠션패드(130)가 착용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결합부재는 벨크로(Velcro)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쿠션패드(130)의 상측과 하측에는 벨크로 구조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쿠션패드(130)의 상측과 하측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벨크로 구조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고, 상 하측의 벨크로 구조가 서로 결합되면서 착용부(110)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는 상술한 벨크로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쿠션패드(130)가 착용부(110)에 탈부착 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결합부재에 의하면, 쿠션패드(130)가 착용부(110)에 탈부착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보유중인 목줄이나 하네스에도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패드(130)는 애완동물(d)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로 연결되어 착용부(110)에 탈부착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패드(130)에는 내부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지퍼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내부공간에는 폴리머겔이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겔은 날씨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열 혹은 냉각 된 후 쿠션패드(130)에 수납될 수 있다.
즉, 온도가 높은 날에는 폴리머겔을 차갑게 냉각시킨 후 쿠션패드(130)에 수납하고 온도가 낮은 날에는 폴리머겔을 따뜻하게 가열한 후 쿠션패드(130)에 수납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기온에 따라 애완동물(d)에게 냉기 혹은 온기가 전달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d)이 외부 온도에 구애받지 않고 쾌적하게 산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쿠션패드(130)는 지퍼구조로 마련되어 내부공간의 개폐가 매우 간단하므로 용이하게 폴리머겔이 교체될 수 있으며 폴리머겔이 수납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물건이 수납될 수도 있다.
또한, 쿠션패드(130)의 내부공간에는 애완동물(d)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검출부는 얇은 판 모양의 태그로 형성될 수 있다.
검출부는 애완동물(d)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초광대역(UWB: Ultra Wide Band) 주파수를 사용하는 레이더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검출부는 애완동물(d)에게 전파를 송출하여 생체신호를 획득하여 생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정보란, 애완동물(d)의 심박, 호흡, 체온, 혈류량등이 수치화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검출부는 사용자의 단말기(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치화된 생체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t)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t)는 검출부로부터 생체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생체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생체정보는 단말기(t)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서 소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정보는 날짜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생체정보가 기지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단말기(t)는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애완동물(d)의 상태를 즉시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애완동물(d)의 생체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쿠션패드(130)에 따르면, 제1스트랩부(111)가 애완동물(d)의 가슴에 인가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d)의 착용감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착용부(110)와, 체결부(120)와, 쿠션패드(130)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100)에 따르면, 체결부(120)가 착용부(110)에서 분리되어 결합됨으로써, 목줄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고리부(113a)에 연결된 견인줄을 강하게 잡아당기는 경우, 좌측스트랩(112a)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애완동물(d)이 강하게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애완동물(d)이 통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
110: 착용부
111: 제1스트랩부
112: 제2스트랩부
112a: 좌측스트랩
112b: 우측스트랩
113: 고리부
113a: 제1고리부
113b: 제2고리부
120: 체결부
130: 쿠션패드
d: 애완동물
t: 단말기

Claims (5)

  1. 애완동물의 가슴과 등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착용부; 및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배 부분을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착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착용부에서 분리되어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는 경우 목줄로 활용되고,
    상기 착용부는,
    애완동물의 가슴 부분에 접촉되는 제1스트랩부와, 상기 제1스트랩부의 양단에 고정되어 애완동물의 등 부분에 접촉되는 제2스트랩부와, 상기 제2스트랩부에 설치되어 견인줄과 결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트랩부는,
    상기 제1스트랩부의 일단에 고정되는 좌측스트랩과, 상기 제1스트랩부의 타단에 고정되는 우측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좌측스트랩에 고정되는 제1고리부와, 상기 우측스트랩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제2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리부와 상기 제2고리부가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착용부에 애완동물의 가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쿠션패드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00002357U 2020-07-02 2020-07-02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0495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357U KR200495843Y1 (ko) 2020-07-02 2020-07-02 애완동물용 하네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357U KR200495843Y1 (ko) 2020-07-02 2020-07-02 애완동물용 하네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99U KR20220000099U (ko) 2022-01-11
KR200495843Y1 true KR200495843Y1 (ko) 2022-08-30

Family

ID=7934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357U KR200495843Y1 (ko) 2020-07-02 2020-07-02 애완동물용 하네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8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761B1 (ko) * 2022-09-22 2023-10-26 장혜인 동물용 하네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395Y1 (ko) * 2004-05-31 2004-08-30 신철호 링 벨트
JP2009232834A (ja) 2008-03-03 2009-10-15 Nikke Pet Care Co Ltd ペット用ベストタイプハーネス
KR200484037Y1 (ko) * 2017-03-28 2017-07-24 최광용 애완동물용 하네스
US20170280685A1 (en) * 2016-03-30 2017-10-05 Theresa M. McCAIN Dog steering harnes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60Y1 (ko) * 2018-11-27 2020-11-04 양나영 애완 동물용 하네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395Y1 (ko) * 2004-05-31 2004-08-30 신철호 링 벨트
JP2009232834A (ja) 2008-03-03 2009-10-15 Nikke Pet Care Co Ltd ペット用ベストタイプハーネス
US20170280685A1 (en) * 2016-03-30 2017-10-05 Theresa M. McCAIN Dog steering harness
KR200484037Y1 (ko) * 2017-03-28 2017-07-24 최광용 애완동물용 하네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99U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15445A (en) Hemorrhoid truss
ATE438299T1 (de) Hundegeschirr
US4751896A (en) Adult and child tether assembly
US20210022906A1 (en) Compression apparatus for preventing self-harm
US20020195065A1 (en) Hands-free leash system
KR102062259B1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200495843Y1 (ko) 애완동물용 하네스
US20180071068A1 (en) Stabilization device for animals
US20200298034A1 (en) Animal harness and leash system
KR101995504B1 (ko)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
US10584942B2 (en) Ballistic-resistant garment having an incrementally adjustable fit
JP5863430B2 (ja) ハーネス
US6213967B1 (en) Neck supporting device
US20060019577A1 (en) Garment having dig free strap
CN105230524A (zh) 宠物牵引用肩背带
KR200495699Y1 (ko)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KR102062257B1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20220039998A (ko) 애완동물용 하네스
CN203040807U (zh) 一种自动松紧腰带
CN209464157U (zh) 改善型医用约束手套
US6202647B1 (en) Shoulder restraint apparatus
CN206612850U (zh) 一种可调节活动手腕带
KR20040090414A (ko) 애완견용 목줄 연결장치
CN214285896U (zh) 头戴式眼针装置
KR200332682Y1 (ko) 다이어트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