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35Y1 -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35Y1
KR200495735Y1 KR2020210003719U KR20210003719U KR200495735Y1 KR 200495735 Y1 KR200495735 Y1 KR 200495735Y1 KR 2020210003719 U KR2020210003719 U KR 2020210003719U KR 20210003719 U KR20210003719 U KR 20210003719U KR 200495735 Y1 KR200495735 Y1 KR 200495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motor
motor housing
presen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한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한전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한전동
Priority to KR2020210003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2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with means for imparting impact to screwdriver blade or nut s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8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ribs or fins for improving heat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은 동일한 형태로 분할 형성되되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모터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단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하우징은,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형성하는 제1 벽체부; 상기 제1 벽체부에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벽체부보다 좁은 표면적을 형성하는 제2 벽체부; 및 상기 제1 벽체부에 형성되되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가 부분적으로 외부 노출되게 하는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Motor housing for a electric screw driver}
본 고안은,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모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달리 커넥터가 측방에 위치하는 경우일지라도 적용할 수 있는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전동드라이버(electric screw driver)는 모터의 동력을 사용하여 스크루(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또는 분리하는 수작업용 전동공구 중 하나다.
다시 말해, 전동드라이버는 목재나 금속 등 피가공물에 스크루를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전동공구의 일종으로서 크게 충전용 밧데리팩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충전용 전동드라이버와, 전기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AC 전원용 전동드라이버로 나뉜다.
종래 충전용 전동드라이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2)가 형성된 본체(11)와, 상기 손잡이(12)의 하단에서 내부로 장착되며 상기 본체(11)의 모터(1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와, 상기 손잡이(12)의 전면에 위치하고 전원부(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작동버튼(14)과, 상기 작동버튼(14)을 누르면 회전하고 드라이버 비트(17)가 장작되는 구동척(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 1과 다른 형태를 갖는, 예컨대 도 2와 같은 전동드라이버(30)도 개시된 바 있으며, 이 역시 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형태이다.
한편, 도 1 및 도 2, 혹은 이와 유사한 일반적인 전동드라이버의 경우, 대게는 모터(50)의 상부로 전선이 연결되는 구조여서 모터(50)를 지지하는 모터 하우징(60)이 도 3처럼 폐루프 타입의 일체형 구조였다.
하지만, 커넥터가 측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이러한 종래의 모터 하우징(60)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개선된 형태의 모터 하우징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0006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3360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5719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9345호
본 고안의 목적은, 모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달리 커넥터가 측방에 위치하는 경우일지라도 적용할 수 있는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동일한 형태로 분할 형성되되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모터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단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하우징은,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형성하는 제1 벽체부; 상기 제1 벽체부에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벽체부보다 좁은 표면적을 형성하는 제2 벽체부; 및 상기 제1 벽체부에 형성되되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가 부분적으로 외부 노출되게 하는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이 상기 제1 벽체부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다른 각도로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제2 벽체부에는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방열핀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 하우징은, 상기 제1 벽체부와 상기 제2 벽체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조립용 돌기부; 및 상기 제1 벽체부와 상기 제2 벽체부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용 돌기부가 끼워지면서 조립되는 조립용 포켓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하우징은, 코너 영역에 형성되되 나사 조립을 위한 복수 개의 나사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모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달리 커넥터가 측방에 위치하는 경우일지라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전동드라이버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 하우징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과 모터의 배치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리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조립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과 모터의 배치 이미지,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분리도, 도 8은 도 7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100)은 모터(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달리 커넥터(150)가 측방에 위치하는 경우일지라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 확장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100)은 동일한 형태로 분할 형성되되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모터(14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단위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단위 하우징(110)이 개시되며, 이 2개의 단위 하우징(110)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모터 하우징(100)을 구현한다. 하지만, 구조가 동일하기만 하다면, 단위 하우징(110)은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참고로, 모터(140)는 도 1 및 도 2를 통해 기술한 것처럼 다양한 형태의 전동드라이버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모터(140)의 측면에 복수 개의 커넥터(150)가 돌출된다.
이처럼 모터(140)의 측면에 복수 개의 커넥터(150)가 돌출된 상태라면, 도 3과 같은 종래의 모터 하우징(60)으로는 대처가 어렵다.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은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100)이 적용되는 것이다.
단위 하우징(110)은 압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위 하우징(110)은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형성하는 제1 벽체부(111)와, 제1 벽체부(111)에 절곡 형성되고 제1 벽체부(111)보다 좁은 표면적을 형성하는 제2 벽체부(11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벽체부(111)에는 모터(140)에 연결되는 커넥터(150)가 부분적으로 외부 노출되게 하는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113)이 형성된다.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113)의 개수가 모터(140)의 커넥터(150) 개수와 동일하며, 그 형상은 커넥터(150)보다 크다. 때문에, 커넥터(150)가 연결된 모터(140)를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100)에 수용하면,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113)을 통해 커넥터(15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와 달리 커넥터(150)가 측방에 위치하는 경우일지라도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113)이 제1 벽체부(111)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다른 각도로 복수 개 마련된다. 이는 모터(140)의 커넥터(150)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평평한 구조의 제1 벽체부(111)와 달리 제2 벽체부(112)에는 모터(14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방열핀부(114)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100)에는 2개의 단위 하우징(110)을 쉽게 조립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아래 구조가 적용된다.
즉 각각의 단위 하우징(110)은 제1 벽체부(111)와 제2 벽체부(11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조립용 돌기부(121)와, 제1 벽체부(111)와 제2 벽체부(112)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고 조립용 돌기부(121)가 끼워지면서 조립되는 조립용 포켓부(122)를 포함한다. 이에, 2개의 단위 하우징(110)을 도 7처럼 맞대어 두고 조립함으로써 도 6과 같은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단위 하우징(110)들의 코너 영역에는 나사 조립을 위한 복수 개의 나사공(124)이 마련된다. 나사공(124)을 통해 모터(140)와의 연결 구조를 끌어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달리 커넥터(150)가 측방에 위치하는 경우일지라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200) 역시, 동일한 형태로 분할 형성되되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모터(140, 도 4 참조)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단위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2개의 단위 하우징(210)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모터 하우징(200)을 구현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단위 하우징(210)에도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213)이 형성된다.
이때,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213)에는 더미 절개부(213a)가 형성된다. 이는 모터(140)의 커넥터(150)의 형상에 대응하게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213)의 부피를 넓히고자 할 때, 잘라 쓰는 부분이다.
이처럼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213)에 더미 절개부(213a)가 형성되면 모터(140)의 커넥터(150)가 약간 크더라도 굳이 모터 하우징(200)을 다른 것으로 바꿔 사용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모터(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달리 커넥터(150)가 측방에 위치하는 경우일지라도 적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의 분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조립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300) 역시, 동일한 형태로 분할 형성되되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모터(140, 도 4 참조)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단위 하우징(310)을 포함한다. 2개의 단위 하우징(310)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모터 하우징(300)을 구현한다.
이때, 단위 하우징(310)은 ㄷ자 형상으로 끼움부(311)에 의해 끼워 맞춤 결합하는 형태를 취한다. 물론, 끼워 맞춤 결합 후에는 땜납이나 용접, 혹은 볼팅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모터(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달리 커넥터(150)가 측방에 위치하는 경우일지라도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모터 하우징 110 : 단위 하우징
111 : 제1 벽체부 112 : 제2 벽체부
113 :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 114 : 방열핀부
121 : 조립용 돌기부 122 : 조립용 포켓부
124 : 나사공 140 : 모터
150 : 커넥터

Claims (4)

  1. 동일한 형태로 분할 형성되되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모터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단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하우징은,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형성하는 제1 벽체부;
    상기 제1 벽체부에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벽체부보다 좁은 표면적을 형성하는 제2 벽체부; 및
    상기 제1 벽체부에 형성되되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가 부분적으로 외부 노출되게 하는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체부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상기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이 다른 각도로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커넥터 배치용 노출홀의 면적을 확장하도록 하는 더미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벽체부에는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방열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단위 하우징은,
    상기 제1 벽체부와 상기 제2 벽체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조립용 돌기부; 및 상기 제1 벽체부와 상기 제2 벽체부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조립용 포켓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립용 돌기부가 상기 조립용 포켓부 끼워지면서 조립되어 복수 개의 상기 단위 하우징이 서로 체결되며,
    상기 단위 하우징의 코너 영역에 형성되되 나사 조립을 위한 복수 개의 나사공을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나사공이 상기 조립용 돌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210003719U 2021-12-07 2021-12-07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 KR200495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19U KR200495735Y1 (ko) 2021-12-07 2021-12-07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19U KR200495735Y1 (ko) 2021-12-07 2021-12-07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35Y1 true KR200495735Y1 (ko) 2022-08-08

Family

ID=8280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719U KR200495735Y1 (ko) 2021-12-07 2021-12-07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35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785Y1 (ko) * 1996-01-16 2001-04-02 구자홍 모터 고정 장치
KR200357621Y1 (ko) * 2004-05-04 2004-07-30 경 화 정 모터의 냉각장치
KR20050000068A (ko) 2003-06-23 2005-01-03 홍종운 온도 보상 기능을 가지는 유전체 공진 발진기
KR20100006265A (ko) * 2008-07-09 2010-01-19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유니트
KR20100009345U (ko) 2009-03-15 2010-09-28 신석균 멀티비젼 안경
KR20110033608A (ko) 2009-09-25 2011-03-31 한국전력공사 증기터빈 로타의 틸팅패드 베어링 밀봉구조
KR20130057194A (ko) 2011-11-23 2013-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 매니폴드의 모터 구조
KR20150001077U (ko) * 2013-09-03 2015-03-11 우리산업 주식회사 모터의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785Y1 (ko) * 1996-01-16 2001-04-02 구자홍 모터 고정 장치
KR20050000068A (ko) 2003-06-23 2005-01-03 홍종운 온도 보상 기능을 가지는 유전체 공진 발진기
KR200357621Y1 (ko) * 2004-05-04 2004-07-30 경 화 정 모터의 냉각장치
KR20100006265A (ko) * 2008-07-09 2010-01-19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유니트
KR20100009345U (ko) 2009-03-15 2010-09-28 신석균 멀티비젼 안경
KR20110033608A (ko) 2009-09-25 2011-03-31 한국전력공사 증기터빈 로타의 틸팅패드 베어링 밀봉구조
KR20130057194A (ko) 2011-11-23 2013-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 매니폴드의 모터 구조
KR20150001077U (ko) * 2013-09-03 2015-03-11 우리산업 주식회사 모터의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098B1 (ko) 홀더를 갖는 전지 모듈
JP2006310439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JP3204154U (ja) 充電用コネクタ
WO2020022273A1 (ja) 電池ユニット
JP2011113680A (ja) ねじ端子及びこれを備えるコンセント
JPWO2014142245A1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WO2013183559A1 (ja) 配線モジュール
JP200825185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JP6374546B2 (ja) 充電用コネクタ
KR200495735Y1 (ko) 전동드라이버의 모터 하우징
EP2194618B1 (en) Power connector
JPWO2006115101A1 (ja) 電気接続箱
WO2017187889A1 (ja) 電池パック及び電動工具、並びに電池パック及び電動工具のセット
JP2020181740A (ja) 電動工具用の電池パック、電動工具
JP2009253183A (ja) モータ制御機器の放熱器と組付け部品との固定構造
JP2005011818A (ja) バルブソケット
CN202633092U (zh) 电动工具的调速开关
EP4046754B1 (en) Electric tool and electric control assembly thereof
JP2014207323A (ja) 端子ボックス
JP5017042B2 (ja) 電源コネクタ
JP7007976B2 (ja) 電気接続箱
JP7288363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制御装置
CN102751117A (zh) 电动工具的调速开关
JP2020155308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CN211350719U (zh) 一种电池单元固定结构以及电池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