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620Y1 - 난방용 온수배관구조 - Google Patents

난방용 온수배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620Y1
KR200495620Y1 KR2020200002573U KR20200002573U KR200495620Y1 KR 200495620 Y1 KR200495620 Y1 KR 200495620Y1 KR 2020200002573 U KR2020200002573 U KR 2020200002573U KR 20200002573 U KR20200002573 U KR 20200002573U KR 200495620 Y1 KR200495620 Y1 KR 200495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boiler
distributor
heating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221U (ko
Inventor
송석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엘
송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엘, 송석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엘
Priority to KR2020200002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20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24D19/1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a by pass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28Branched distribu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용 온수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존 난방 배관 구조를 개선하여 보일러의 온수를 분배기를 통하여 각 방에 분배하여 난방하는 온수배관구조에 있어서, 다수개 방은 분배기를 통하여 온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보일러와 연계된 방은 밸브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공급배관(5)을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1)와, 상기 보일러(1)에서 공급된 온수를 각각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분배기(3)와, 상기 분배기(3)에서 공급된 온수로 가열되는 난방배관(4)을 포함하여 보일러(1)의 온수가 분배기(3)를 통해 구획된 각 방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난방용 온수 배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V1)와 난방배관(4)사이에 제3밸브(V3)를 설치하고, 보일러(1)로부터 온수 공급시 상기 제3밸브(V3)를 잠궈 보일러(1)의 온수가 난방배관(4)을 거치지 않고 바로 분배기(3)로 공급되어 각 방으로 온수가 신속히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난방용 온수배관구조 {Hot water piping structure for heating}
본 고안은 난방용 온수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 난방 배관 구조를 개선하여 보일러의 온수를 분배기를 통하여 각 방에 분배하여 난방하는 온수배관구조에 있어서, 예컨대 방이 4개 있는 경우, 3개의 방은 보일러의 온수를 분배기를 통하여 각 방에 공급하고, 나머지 보일러와 연계된 방은 밸브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아파트 등의 난방을 위하여 보일러의 온수를 난방용 배관을 통하여 각 방마다 공급되게 함으로써 방바닥이 따뜻해지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난방용 보일러 배관구조는 도 1과 같이, 물을 히팅하여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11)와, 기기를 콘트롤하기 위한 콘트롤러(12)와, 각 방의 온도를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기(13)와, 보일러의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14)와, 온수를 각 방으로 분배하기 위한 온수분배기(15)와, 밸브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조절기(16)로 구성되어 있어 보일러(11)의 온수가 배관을 통해 온수분배기(15)로 공급되면 온수분배기(15)에서 온수파이프를 통해 온수를 실내 바닥으로 공급하여 바닥이 가열되도록 하였다.
또한, 실내 바닥을 가열한 온수는 온수분배기(15)로 다시 돌아와 배관을 통해 보일러(11)로 이동되고, 보일러(11)로 돌아온 온수가 다시 가열되어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였다.
이러한 온수의 순환은 주택이나 아파트의 방에 설치된 온도조절기(13)에 의해 이루어지며, 온도조절기(13)를 조작하여 해당 방의 온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었다.
또한, 온도조절기(13)에 의해 온도가 설정되면 보일러(11)의 작동으로 온수가 공급되고, 공급된 온수는 실내를 히팅함으로써 특정 온도가 유지되며, 설정온도로 실내가 난방되면 온수의 순환은 자동정지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온수 시스템의 보일러(11)는 기름이나 가스 또는 전기 등이 이용되며, 온도조절기(13)에 의해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적절한 온도로 물을 히팅시켜 온수를 제공하므로 방을 따뜻하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보일러 온도조절기(13)가 보일러(11)에 연결됨과 동시에 온수 분배 콘트롤러(12)와 연결되어 있어 배선작업이 어렵고, 보일러(11)에 바로 접하여 분배기(15)로 연결되는 방에는 별도의 온도제어수단이 없어 온수배관을 통해 항상 보일러(11)의 온수가 공급되는 결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 온수 분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보일러(20), 상기 보일러(20)에서 공급된 온수가 다수로 구획된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공급배관(21), 상기 공급배관(21)에서 공급된 온수를 각각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분배기(22), 상기 분배기(22)에서 공급된 온수로 가열되는 난방배관(23), 상기 보일러(20)와 상기 난방배관(21) 사이에 설치되는 T자 연결배관(24)을 포함하는 난방용 온수 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T자 연결배관(24)은 상기 분배기(22)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분기되도록 상기 난방배관(23)의 선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난방배관(23)은 상기 T자 연결배관(24)이 연결되도록 동파이프로 구성하였다.
또한, 도 3과 같이, 보일러(20)의 온수를 분배기(22)를 통하여 제1방(31), 제2방(32), 제3방(33), 제4방(34)으로 분배하여 난방을 하였으며 보일러(20)에는 공급용 밸브(V4)와 환수용 밸브(V5)가 구비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보일러(20)의 온수를 분배기(22)를 통하여 각 방(31-34)으로 분배하여 난방할 경우, 보일러(20)와 인접한 제4방(34)은 제어할 수 없고 무조건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배관 구조상의 결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방별로 국부난방이 어렵고, 별도 분배기 등을 설치함에 따라 설치 비용이 증가됨은 물론 분배기와 배관의 설치 공사에 따른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며, 온수 배관 설치시 방바닥을 다 파내고 배관을 묻어야 하므로 난방용 배관작업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공사가 번거로운 등의 제반 결점이 있었다.
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049063호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89055호 실용 출원번호 제20-2016-0005649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 난방 배관 구조를 개선하여 보일러의 온수를 분배기를 통하여 각 방에 분배하여 난방하는 온수배관구조에 있어서, 각 방에는 분배기를 통하여 온수를 공급하도록 하고, 나머지 보일러와 연계된 방은 보일러의 온수공급용 제1밸브와 난방밸브사이에 별도로 설치된 밸브를 통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난방용 온수배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보일러의 난방용 온수가 분배기까지 짧은 거리로 신속히 공급되도록 하여 난방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난방용 온수배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온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며 공급용 제1밸브 및 환수용 제2밸브를 가진 보일러와, 보일로로부터 공급된 온수를 각각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에서 공급된 온수로 가열되는 난방배관과, 상기 보일러와 분배기 사이에 설치되는 온수 공급배관과, 상기 보일러의 난방배관과 제1밸브사이에 설치되어 보일러의 온수를 밸브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제3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기존 난방 배관 구조를 개선하여 보일러의 온수를 분배기를 통하여 각 방에 분배하여 난방하는 온수배관구조에서, 다수개의 방에는 분배기를 통하여 온수를 공급하고, 나머지 보일러쪽 1방은 밸브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보일러와 연계된 방에 기존에는 항상 온수가 공급되었던 것을 탈피하여 밸브를 통해 잠궈 보일러의 온수가 분배기를 통해 다른 방으로 신속히 분배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난방용 온수분배기의 개략구성도
도 2와 도 3은 종래 난방용 온수분개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난방용 온수 분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난방용 온수 분배장치의 구성도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보일러(1)와, 상기 보일러(1)의 온수공급 또는 환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와, 상기 보일러(1)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각방으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3)와, 상기 분배기(3)에서 공급된 온수를 제1방(2)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난방배관(4)과, 상기 보일러(1)의 제1밸브(V1)와 난방배관(4)사이에 설치되어 보일러(1)의 온수가 제1방(2)의 제1난방배관(4)을 거치지 않고 분배기(3)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볼 밸브인 제3밸브(V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분배기(3)로부터 온수가 공급되는 제2방, 8은 제2방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2난방배관, 9는 공급배관(5)과 제1난방배관(4)사이에 별도로 설치되는 T분기관이다.
단, 상기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제1방(2)과, 제2방(7)의 경우를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3방, 제4방 등의 다수방의 경우에도 모두 분배기(3)에서 분배되어 각 방으로 온수가 공급되도록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보일러(1)의 온수가 분배기(3)를 통하여 각 방에 분배되어 공급 되는데 기존에 보일러(1)의 온수가 예컨대, 도 4와 같이 제1방(2), 제2방(7)에 공급되는 경우, 무조건 제1방(2)에 온수가 공급되고, 또한 제2방(7)에도 분배기(3)를 통하여 온수가 분배되어 공급됨으로써 온수 공급이 늦어져 난방효율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보일러(1)의 온수가 분배기(3)를 통하여 각방에 분배되도록 하는 것은 기존과 동일하나, 보일러(1)와 인접한 제1방(2)의 경우, 무조건 온수가 공급되던 것을 탈피하여 밸브(V3)를 잠그는 수단에 의해 제1방(2)으로의 온수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중앙난방에서 개별난방으로 변경하면서 새로 설치되는 보일러(1)와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제1난방배관(4)을 활용할 수 있으며, 제1난방배관(4)에 연결된 분배기(3)를 사용할 수 있다.
통상, 보일러(1)로부터 가열된 온수는 제1난방배관(4)을 거쳐 분배기(3)에 공급되며, 분배기(3)에서는 제2난방배관(8)을 통하여 제2방(7)에 온수를 공급하거나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기타 다른 방으로도 온수를 공급하여 방바닥을 따뜻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제3방이나 제4방 등 다수의 구획된 공간에 난방배관을 통하여 온수를 순환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3)는 건축물의 바닥면 크기에 따라 거실, 안방, 침실 등에 온수를 분배하여 공급하며, 분배기(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난방배관(4), 제2난방배관(8) 등이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방(2)과 제2방(7)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서는 도 4와 같이, 보일러(1)로부터 제1난방배관(4)을 거쳐 분배기(3)로 온수가 공급되던 것을, 보일러(1)와 분배기(3)사이에 별도로 설치된 제3밸브(V3)를 잠궈 보일러(1)의 온수가 제1방(2)을 거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보일러(1)의 제1밸브(V1)에 설치된 제3밸브(V3)를 잠금으로써 보일러(1)의 온수가 제1방(2)의 제1난방배관(4)으로는 공급되지 못하고 바로 분배기(3)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보일러(1)의 온수가 공급배관(5)을 통하여 분배기(3)에 공급되면, 분배기(3)에서는 예를 들어, 제2난방배관(8)을 통하여 제2방(7)에 온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보일러(1)로부터의 온수가 제1방(2)을 거치지 않고 분배기(3)를 통해 바로 제2방(7)에 공급되므로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보일러(1)로부터의 온수가 제1난방배관(4)을 거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방(2)으로 온수를 공급하지 않고자 할 때에는 제3밸브(V3)를 잠그면 보일러(1)의 온수가 제1방(2)으로 공급되지 않고 분배기(3)를 통해 다른 방으로 신속히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일러(1)는 건축물의 보일러실에 설치되고, 보일러(1)에는 분배기(3)에 온수를 공급하도록 공급배관(5)이 설치되며, 공급배관(5)과 제1난방배관(4)사이에는 T분기관(9)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T분기관(9)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분배기(3)쪽의 제1난방배관(4)을 절단하며 이렇게 절단된 부분에 T분기관(5)을 설치한다.
1: 보일러 2: 제1방
3: 분배기 4: 제1난방배관
5: 공급배관 7: 제2방
8: 제2난방배관 9:T분기관
V1:제1밸브 V2:제2밸브
V3:제3밸브

Claims (2)

  1. 공급배관을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공급된 온수를 각각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에서 공급된 온수로 가열되는 제1,제2난방배관을 포함하여 보일러의 온수가 분배기를 통해 각 방으로 공급되는 난방용 온수 배관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의 제1밸브와 제1난방배관 사이에 제3밸브를 설치하여 보일러의 온수공급시 상기 제3밸브를 잠궈 보일러의 온수가 제1난방배관을 거치지 않고 분배기를 통해 각 방으로 분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 분배장치.
  2. 삭제
KR2020200002573U 2020-07-17 2020-07-17 난방용 온수배관구조 KR200495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73U KR200495620Y1 (ko) 2020-07-17 2020-07-17 난방용 온수배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73U KR200495620Y1 (ko) 2020-07-17 2020-07-17 난방용 온수배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21U KR20220000221U (ko) 2022-01-25
KR200495620Y1 true KR200495620Y1 (ko) 2022-07-08

Family

ID=80048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573U KR200495620Y1 (ko) 2020-07-17 2020-07-17 난방용 온수배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2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921Y1 (ko) * 2016-09-29 2017-03-17 김형곤 난방용 온수 분배장치
KR101823956B1 (ko) * 2016-11-30 2018-01-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정유량 난방 공급 기능을 포함하는 통합배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063A (ko) 2002-12-03 2004-06-11 신관철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온수 분배장치 및 방법
KR20140089055A (ko) 2013-01-02 2014-07-14 고려전자주식회사 난방용 온수분배기 밸브조립체
KR20210002992A (ko) * 2019-07-01 2021-01-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921Y1 (ko) * 2016-09-29 2017-03-17 김형곤 난방용 온수 분배장치
KR101823956B1 (ko) * 2016-11-30 2018-01-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정유량 난방 공급 기능을 포함하는 통합배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21U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7356A (ko) 칠드빔 펌프 모듈, 시스템, 및 방법
KR101627640B1 (ko) 중앙난방 및 지역난방을 위한 난방 온수 공급 장치 및 제어방법
US11578882B2 (en) Combined heating and cooling system
KR101595371B1 (ko) 온수기능을 갖는 난방시스템
CA2728585C (en) Pipe arrangement for temperature control of buildings
KR200495620Y1 (ko) 난방용 온수배관구조
US20120118556A1 (en) Control device for a heating system and heating system
CN103982932A (zh) 一种可分区域调节供热量的循环供暖系统
CN109268991A (zh) 地板辐射空调系统及其单元分流器
KR200484019Y1 (ko) 난방용 온수 분배장치
KR20140088348A (ko)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KR20050078338A (ko) 온수분배기의 각방 온도 조절시스템
KR100701756B1 (ko) 난방온수 분배 시스템 및 난방온수 분배 방법
JP2010032086A (ja) 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
CN211176987U (zh) 一种集中供热换热站分布式变频二级泵多区分温控制系统
KR101706146B1 (ko) 지역 및 중앙 난방에 적용되는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52731A (ko)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1894936B1 (ko) 공조 장치
KR200482921Y1 (ko) 난방용 온수 분배장치
CN213656919U (zh) 一种节能供暖系统
EP1033539B1 (en) Modular collector provided with a system of thermoregulation for heating plants with radiating panels or the like
DE102014008319B4 (de) Raumtemperatur-Regelung für eine Flächenheizung
RU2464499C2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отопления
KR102431559B1 (ko) 세대별 난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2538005U (zh) 一种毛细地暖双系统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