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601Y1 -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601Y1
KR200495601Y1 KR2020220000026U KR20220000026U KR200495601Y1 KR 200495601 Y1 KR200495601 Y1 KR 200495601Y1 KR 2020220000026 U KR2020220000026 U KR 2020220000026U KR 20220000026 U KR20220000026 U KR 20220000026U KR 200495601 Y1 KR200495601 Y1 KR 200495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pipe
fastening member
type pip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민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2020220000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출된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 외부에서 전달된 강한 충격을 완충하여 배관을 보호하는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Double fastening type pipe protection cover}
본 고안은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출된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 외부에서 전달된 강한 충격을 완충하여 배관을 보호하는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물, 가스, 기름 등 기체 및 유체 등을 운반하기 위해 지하 또는 지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배관은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일정 주기로 유지보수와 손상 및 파손이 발생한 일정 지점의 교체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매립된 배관을 노출시켜 유지보수 및 교체작업을 수행할 때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사고가 발생한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된 배관은 장기간 사용시 노후,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에 의한 사고가 유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배관 보호 커버"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배관을 감싸 상기 배관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단열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배관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릿부를 포함하는 배관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단부 슬릿부와, 상기 단부 슬릿부의 형성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 중앙 슬릿부와, 상기 중앙 슬릿부와 상기 단부 슬릿부를 연결하는 연결 슬릿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단열 및 보호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슬립부를 통해 배관의 둘레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지하에 매립된 배관 또는 외부에 노출된 배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배관이 일부 노출되거나, 벽면에 밀착된 경우,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가그리고 매립된 배관을 노출시키기 위해 땅을 파내는 중에 배관이 노출되는 경우, 보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7226호(2018.08.17.)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노출된 배관의 외면을 감싸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여 배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는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폐자재를 가공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관의 둘레에 맞춰 수축 및 팽창하여 용이하게 밀착시켜 충격은 완충할 수 있는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면에 내구성을 향상시켜 가해진 충격에 의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며, 배관의 노출된 부분에 맞춰 다수개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노출된 배관의 외부를 감싸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호커버는, 폐자재를 성형하여 변형 가능한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플랫체결부재가 형성된 제1완충부와, 고무재질을 통해 충격을 완충하는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져, 타면이 상기 플랫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1완충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완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출된 배관의 외부를 감싸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호커버는 폐자재를 성형하여 변형 가능한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플랫체결부재가 형성된 제1완충부를 상호 밀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랫체결부재는, 상기 제1완충부의 일면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연결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2완충부 두께의 1/2 또는 2/3의 길이로 제작되며, 끝단이 상기 제2완충부에 삽입되는 뾰족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핀은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배관의 둘레를 따라 감싸는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커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직경에 맞춰 절곡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절곡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완충부의 일면에서 상기 플랫체결부재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 형성된 제1개방홈과, 상기 제2완충부의 일면과 타면이 상호 어긋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함몰 형성된 제2개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체결부재는 상기 제1완충부의 일면에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진 삽입공간에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간은 상기 제1완충부의 일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커버의 외측면 테두리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양 끝단 또는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를 연결하는 클립부재가 더 포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따르면, 노출된 배관의 외부에 탈착 가능하게 간편하게 설치하여 외추 충격으로부터 배관의 손상 및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플랫체결부재 및 절곡부를 통해 배관의 둘레에 용이하게 밀착시켜 돌출 또는 이격된 부분 없이 감싸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배관의 노출된 면적에 맞춰 보호커버를 상호 연장하거나, 양측 끝단을 상호 체결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곡부 및 연결핀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삽입공간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곡부 및 연결핀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삽입공간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출된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 외부에서 전달된 강한 충격을 완충하여 배관을 보호하는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노출된 배관(100)의 외부를 감싸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제1완충부(20)와 제2완충부(30)로 이루어진 보호커버(1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완충부(20)는 폐자재를 성형하여 절곡 및 변형 가능한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플랫체결부재(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완충부(30)는 고무재질을 통해 충격을 완충하는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져, 타면이 상기 플랫체결부재(21)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완충부(20)와 상기 제2완충부(30)는 상기 플랫체결부재(21)를 통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보호커버(10)로 구성된다.
이렇게 상기 보호커버(10)는 노출된 상기 배관(100)의 외면을 감싸 외부 충격을 완충하여 상기 배관(100)을 보호한다.
이에 따른 상기 보호커버(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완충부(20)는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및 폐고무 등의 폐자재를 가공, 성형하여 일정한 크기의 패널을 제작한다.
따라서 상기 제1완충부(20)는 내구성을 통해 외부충격에 의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배관(100)의 둘레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절곡 등의 변형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는 상기 플랫체결부재(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플랫체결부재(21)는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연결핀(2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핀(22)은 상기 제2완충부(30) 두께의 1/2 또는 2/3의 길이로 제작되며, 끝단이 상기 제2완충부(30)에 삽입되는 뾰족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플랫체결부재(21)는 다수개의 상기 연결핀(22)이 돌출되어 상기 제2완충부(30)에 삽입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플랫체결부재(21)는 상기 보호커버(10)가 상기 배관(100)의 둘레를 감싸 외부충격을 완충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22)은 상기 보호커버(10)가 상기 배관(100)의 둘레를 따라 감싸는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상기 배관(1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연결핀(22)은 지그재그 방향으로 배치되어 끝단이 순차적으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
Figure 112022001196342-utm00001
" 패턴으로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보호커버(10)가 상기 배관(100)을 감싸면서 발생되는 굴곡에 맞춰 상기 연결핀(22)이 일정각도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완충부(20)와 상기 제2완충부(30)의 밀착면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밀착되도록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완충부(30)는 고무재질을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 밀착되는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완충부(30)는 상기 제1완충부(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제2완충부(30)는 고무재질을 통해 탄성력과 수축 및 팽창 가능하게 이루어져, 외부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배관(100)의 둘레를 감싸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완충부(30)는 상기 플랫체결부재(21)를 가압시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1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배관(100)의 직경에 맞춰 절곡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절곡부(40)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40)는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서 상기 플랫체결부재(21)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 형성된 제1개방홈(41)과, 상기 제2완충부(30)의 일면과 타면이 상호 어긋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함몰 형성된 제2개방홈(42)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개방홈(41)은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서 상기 배관(100)의 둘레 방향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개방홈(42)은 상기 제2완충부(30)의 일면과 타면에서 상기 배관(100)의 둘레 방향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일면과 타면이 상호 어긋나게 위치하여 상기 배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보호커버(10)의 외측면과 내측면은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외측면은 확장되고, 내측면은 수축되어 상기 배관(100)에 원활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개방홈(41, 42)을 통해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절곡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커버(10)는 상기 제1 및 제2 개방홈(41, 42)을 통해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배관(100)에 밀착시 접히는 부분, 튀어나오는 부분 없이 둘레를 따라 원활하게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플랫체결부재(21)는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진 삽입공간(23)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간(23)은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공간(23)은 상기 제1완충부(2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되, 패턴에 맞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패턴은 일정한 간격을 따라, 전,후, 좌,우 사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거나,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22)은 상기 삽입공간(23)에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플랫체결부재(21)는 상기 제1완충부(20)의 특정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제2완충부(30)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플랫체결부재(21)는 상기 제1완충부(20)와 상기 제2완충부(30)를 상호 연결하되, 특정 지점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보호커버(10)의 절곡시 상기 플랫체결부재(21)가 위치하지 않은 공간에서 원활한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완충부(20)와 상기 제2완충부(30)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배관(100)의 둘레에 원활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10)의 외측면 테두리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연결홈(1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11)에 체결되어 상기 보호커버(10)의 양 끝단 또는 상기 보호커버(10)와 상기 보호커버(10)를 연결하는 클립부재(12)가 더 포힘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홈(11)은 상기 제1완충부(20)의 상단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홈(11)은 테두리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테두리 부분과 대응하는 길이의 장홈으로 형성되거나,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홈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클립부재(12)는 양측단에 상기 연결홈(11)에 각각 체결되는 연결돌기(13)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클립부재(12)는 상기 배관의 둘레를 감싼 상기 보호커버의 양측 끝단으 상호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12)는 상기 보호커버(10)와 상기 보호커버(10)를 상호 연장하여 상기 배관(100)의 둘레 및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된 상기 보호커버(10)를 연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완충부(20)는 폐자재를 통해 패널형상으로 제작하며, 상기 플랫체결부재(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완충부(30)는 고무재를 통해 상기 제1완충부(20)와 동일한 규격의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1완충부(20)와 상기 제2완충부(30)는 상기 플랫체결부재(21)를 통해 상호 결합하여 상기 보호커버(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보호커버(10)는 노출된 상기 배관(100)의 외면을 감싸 보호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여 상기 배관(100)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플랫체결부재(21)는 상기 보호커버(10)가 상기 배관(100)을 감싸 보호하기 위해 원활하게 절곡 등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일정 패턴에 맞춰 특정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핀(22)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곡시 원활한 변경을 통해 상기 제1완충부(20)와 상기 제2완충부(30)를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완충부(20, 30)에 상기 절곡부(40)를 통해 상기 배관(100)에 설치시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돌출되는 부분 없이 전면이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10)가 상기 배관(100)에 설치되면, 상기 클립부재(12)를 통해 마감하여 임의로 이동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12)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보호커버(10)가 상기 배관(100)에 설치 또는 제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클립부재(12)는 상기 보호커버(10)와 상기 보호커버(10)를 상호 연결함에 따라 노출된 상기 배관(100)의 면적에 맞춰 다수개의 상기 보호커버(1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호커버(10)를 간편하게 탈착 가능하게 설치함에 따라 상기 배관(100)의 노출된 부분을 보호하여 충격으로부터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관(100)의 유지보수 등의 작업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히되, 상기 보호커버(10)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커버(10)는 폐자재를 성형하여 변형 가능한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플랫체결부재(21)가 형성된 제1완충부(20)를 상호 밀착시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보호커버(10)는 폐자재로 이루어진 상기 제1완충부(20)가 양면에서 상기 플랫체결부재(21)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이때, 상기 플랫체결부재(21)는 상호 어긋나게 위치하여 상기 제1완충부(20)에 각각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플랫체결부재(21)는 다수개의 연결핀(2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핀(22)은 상기 제1완충부의 두께의 1/2 또는 2/3의 길이로 제작로 제작되어 외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플랫체결부재(21)는 제1실시예와 같이 전체 또는 상기 삽입공간(23)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는 상기 제1개방홈(41)이 형성되어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100)과 밀착되는 상기 제1완충부(20)의 외면에는 부가적으로 상기 제1개방홈(41)이 형성되며, 상부로 노출된 상기 제1완충부(20)의 외면에는 상기 연결홈(11)이 형성되어 상기 클립부재(12)를 통해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10)는 노출된 상기 배관(100)의 외면을 감싸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보호커버 11: 연결홈 12: 클립부재
13: 연결돌기
20: 제1완충부 21: 플랫체결부재 22: 연결핀
23: 삽입공간
30: 제2완충부
40: 절곡부 41: 제1개방홈 42: 제2개방홈
100: 배관

Claims (7)

  1. 노출된 배관(100)의 외부를 감싸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1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호커버(10)는,
    폐자재를 성형하여 변형 가능한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플랫체결부재(21)가 형성된 제1완충부(20)와,
    고무재질을 통해 충격을 완충하는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져, 타면이 상기 플랫체결부재(21)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완충부(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호커버(1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배관(100)의 직경에 맞춰 절곡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절곡부(4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절곡부(40)는,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서 상기 플랫체결부재(21)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 형성된 제1개방홈(41)과,
    상기 제2완충부(30)의 일면과 타면이 상호 어긋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함몰 형성된 제2개방홈(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체결부재(21)는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연결핀(2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핀(22)은 상기 제2완충부(30) 두께의 1/2 또는 2/3의 길이로 제작되며, 끝단이 상기 제2완충부(30)에 삽입되는 뾰족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22)은 상기 보호커버(10)가 상기 배관(100)의 둘레를 따라 감싸는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체결부재(21)는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진 삽입공간(23)에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간(23)은 상기 제1완충부(20)의 일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의 외측면 테두리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연결홈(1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11)에 체결되어 상기 보호커버(10)의 양 끝단 또는 상기 보호커버(10)와 상기 보호커버(10)를 연결하는 클립부재(12)가 더 포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KR2020220000026U 2022-01-05 2022-01-05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KR200495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26U KR200495601Y1 (ko) 2022-01-05 2022-01-05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26U KR200495601Y1 (ko) 2022-01-05 2022-01-05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601Y1 true KR200495601Y1 (ko) 2022-07-05

Family

ID=8239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026U KR200495601Y1 (ko) 2022-01-05 2022-01-05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01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588A (ja) * 1991-11-19 1993-06-08 Kinugawa Rubber Ind Co Ltd ホース用プロテクタ
KR200197771Y1 (ko) * 2000-04-26 2000-09-15 박정한 가로등의 감전방지장치
JP2008049721A (ja) * 2006-08-22 2008-03-06 Calsonic Kansei Corp 吸音材取付構造
WO2010000880A1 (es) * 2008-06-30 2010-01-07 Relats, S.A. Funda tubular múltiple de protección
JP2012118148A (ja) * 2010-11-30 2012-06-21 Tigers Polymer Corp 吸音材取付構造
KR200487226Y1 (ko) 2016-09-21 2018-08-27 주식회사코리아엠에프 배관 보호 커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588A (ja) * 1991-11-19 1993-06-08 Kinugawa Rubber Ind Co Ltd ホース用プロテクタ
KR200197771Y1 (ko) * 2000-04-26 2000-09-15 박정한 가로등의 감전방지장치
JP2008049721A (ja) * 2006-08-22 2008-03-06 Calsonic Kansei Corp 吸音材取付構造
WO2010000880A1 (es) * 2008-06-30 2010-01-07 Relats, S.A. Funda tubular múltiple de protección
JP2012118148A (ja) * 2010-11-30 2012-06-21 Tigers Polymer Corp 吸音材取付構造
KR200487226Y1 (ko) 2016-09-21 2018-08-27 주식회사코리아엠에프 배관 보호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8533T3 (es) Cable de fibra optica con sistema de proteccion para apilamiento de cintas de fibra optica.
CN103851270B (zh) 减振器
US7394025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cables or other elongated objects from traffic damage
NL2013819B1 (nl) Bekledingskoker voor het omhullen van een onderwater-leiding.
KR200495601Y1 (ko) 이중체결형 배관 보호커버
JP7157700B2 (ja) タイヤ
CN101633303A (zh) 保护性地支撑在可相对移动的部件之间延伸的元件的结构
KR200495584Y1 (ko) 가변형 배관 보호커버
US20110203698A1 (en) Device for protecting a threaded tubular component and tubular component provided with the device
JPS6120680B2 (ko)
ES2341110T3 (es) Disposicion de muelle para un vehiculo de motor y platito de resorte para una disposicion de muelle de este tipo.
KR200495598Y1 (ko) 친환경 배관용 안전보호커버
KR101803735B1 (ko) 튜브형 지중케이블 보호관
KR200495599Y1 (ko) 삽입형 배관 보호커버
JP4799326B2 (ja) ケーブル保護管
KR200495585Y1 (ko) 롤러형 배관 보호커버
TW201937098A (zh) 複合管
KR102462509B1 (ko) 배관 보호커버
KR102075012B1 (ko) 지주 보호 충격흡수장치
US20050189767A1 (en) Spacer for putting into place on a tubular element
KR20090030171A (ko) 배관지지구
KR200439820Y1 (ko) 케이블 보호관
JP2017175801A (ja) 外装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0771424B1 (ko) 건축단지내 지중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JPS63500251A (ja) 緩衝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