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219Y1 - 양변기용 풋 스위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풋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219Y1
KR200495219Y1 KR2020210001341U KR20210001341U KR200495219Y1 KR 200495219 Y1 KR200495219 Y1 KR 200495219Y1 KR 2020210001341 U KR2020210001341 U KR 2020210001341U KR 20210001341 U KR20210001341 U KR 20210001341U KR 200495219 Y1 KR200495219 Y1 KR 200495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rm
cable
toilet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이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이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이네
Priority to KR2020210001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219Y1/ko
Priority to US17/704,477 priority patent/US11976451B2/en
Priority to US17/704,527 priority patent/US20220349167A1/en
Priority to JP2022000965U priority patent/JP3238122U/ja
Priority to JP2022000966U priority patent/JP3238123U/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2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8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foot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양변기의 레버식 세척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풋 스위치로서, 양변기의 세척 밸브에 장착되어, 세척 밸브의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 작동부와, 일단이 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이 풋 스테퍼에 연결되는, 구동 케이블과, 사용자의 발에 의해 눌러져서 구동 케이블을 당기도록 구성된, 풋 스테퍼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작동부는 세척 밸브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구동 케이블이 당겨짐에 따라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아암을 포함하여, 아암이 회전되어 레버에 접촉하여 레버를 밀어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양변기용 풋 스위치{FOOT SWITCH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의 레버식 세척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풋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설치된 양변기용 세척 밸브의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여, 양변기용 세척 밸브나 양변기 주변 시설물에 대한 구조적 변경 내지 훼손 없이 발로 양변기용 세척 밸브를 구동시킬 수 있는 양변기용 풋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의 수세식 양변기는 손으로 레버를 누르거나 올려서 물을 내리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용 세척 밸브(2)는 양변기 후방에서 위로 연장하는 배관(1)에 설치되며, 이러한 양변기용 세척 밸브(2)에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버(3)가 구비되며, 이 레버(3)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거나 올려져서 세척 밸브(2)가 구동된다. 그러나, 여러 사용자들이 세척 밸브(2)의 레버(3)를 만지게 되기 때문에, 위생상 좋지 못하고, 실제로 세균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비접촉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실용신안 공개번호: 실1999-0036062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레버를 올리거나 내려서 세척 밸브를 구동시키는 기존의 기능을 선택함에 있어서 위화감을 주지 않으면서, 발로 양변기용 세척 밸브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코로나 등 각종 바이러스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고, 상체 움직임이 어려운 환자도 쉽게 세척 밸브를 구동시킬 수 있는 양변기용 풋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양변기용 세척 밸브나 양변기 주변 시설물에 대한 어떠한 구조적 변경 내지 훼손 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양변기용 풋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별한 공구의 도움 없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간단한 구조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양변기용 풋 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잦은 사용에도 유지 보수가 쉬운 양변기용 풋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주 물청소해야 하는 양변기 및 화장실 환경에서도 고장 가능성이 낮은 양변기용 풋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변기의 레버식 세척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풋 스위치로서, 양변기의 세척 밸브에 장착되어, 세척 밸브의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 작동부와, 일단이 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이 풋 스테퍼에 연결되는, 구동 케이블과, 사용자의 발에 의해 눌러져서 구동 케이블을 당기도록 구성된, 풋 스테퍼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작동부는 세척 밸브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구동 케이블이 당겨짐에 따라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아암을 포함하여, 아암이 회전되어 레버에 접촉하여 레버를 밀어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케이블은, 내측 케이블과, 내측 케이블을 감싸는 외측 케이블을 포함하고, 내측 케이블은 외측 케이블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내측 케이블이 상기 아암에 연결되어, 내측 케이블이 당겨짐에 따라 아암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레버 작동부는 프레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아암은 상기 구동 케이블이 당겨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구동 케이블이 당겨져서 아암이 회전됨에 따라 아암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아암이 회전됨에 따라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레버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하기 위한 레버 홈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세척 밸브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그 하부가 개방되고, 가이드 홈 및 상기 레버 홈도 그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은, 세척 밸브에 고정되기 위한 제1 고정 부재와, 외측 케이블의 단부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아암의 일단에는 내측 케이블과 연결하기 위한 돌출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암의 회전 축의 방향은 작동되지 않은 상태의 레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고정 부재는 세척 밸브를 휘감아 고정되는 금속 밴드이며, 금속 밴드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암의 회전 시에 레버가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풋 스테퍼는, 베이스 판과, 베이스 판 상에 안착되는 페달과, 구동 케이블과 연결되고, 베이스 판 내부에 베이스 판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페달이 하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페달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작동 부재의 안착면에 접촉하여 작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밀도록 작동 부재의 안착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페달을 발로 밟기 전까지는 레버 주변에 레버를 구동하기 위한 어떠한 기계적 장치도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레버를 올리거나 내려서 세척 밸브를 구동시키는 기존의 기능을 선택함에 있어서 위화감을 주지 않으면서, 발로 레버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풋 스위치의 레버 작동부가 세척 밸브에 고정되는 것으로 족하고, 추가적으로 양변기 주변 바닥 또는 벽에 풋 스위치의 구성 요소들(예컨대, 구동 케이블)이 고정될 필요가 없으므로, 바닥이나 벽에 추가 시공이 불필요하고 바닥이나 벽이 훼손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풋 스위치의 각 구성 요소들은 간단한 구조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양변기의 세척 밸브라는 기능 상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되는 바, 이러한 손쉬운 분해, 조립을 통해 특정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쉬운 이점이 있다.
도 1은 통상의 공중화장실에 사용되는, 레버식 세척 밸브를 구비한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스위치가 설치된 양변기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암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레버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암이 회전되어 레버를 밀어 올린 상태의 레버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제거된) 레버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밸브에 장착된 상태의 레버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스테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이 제거된 상태의 베이스 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의 하부가 드러나도록 바라본 페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스위치가 설치된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스위치(10)는 레버 작동부(100), 구동 케이블(200), 및 풋 스테퍼(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풋 스위치(10)를 통해, 사용자가 여전히 손으로 레버(3)를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림으로써 세척 밸브(2)를 작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는 발로 풋 스테퍼(300)의 페달(340)을 밟음으로써 세척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암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레버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암이 회전되어 레버를 밀어 올린 상태의 레버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140)은 하우징(120) 내부에 있다가, 사용자가 발로 풋 스테퍼(300)의 페달(340)을 밟을 때에만, 아암(140)이 레버 작동부(100)의 하우징(120)으로부터 돌출되게 회전되어 레버(3)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 스위치(10)가 세척 밸브(2)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풋 스테퍼(300)의 페달(340)을 밟기 전까지는 세척 밸브(2)의 레버(3) 주변에 어떠한 기계 장치 내지 기구도 노출되지 않는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스위치(10)는 모터 등과 같은 전자 장치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기계적 구조만을 채택하면서도, 사용자가 페달(340)을 발로 밟기 전까지는 레버(3) 주변에는 레버(3)를 구동하기 위한 어떠한 기계적 장치도 노출되지 않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풋 스위치(10)를 장착하지 않은 통상의 양변기와 큰 차이를 느끼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레버(3)를 올리거나 내려서 세척 밸브(2)를 구동시키는 기존의 기능을 선택함에 있어서 위화감을 주지 않으면서, 발로 레버(3)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20)이 제거된) 레버 작동부(100)의 사시도이다. 레버 작동부(100)는 세척 밸브(2)에 고정되는 프레임(160)과, 구동 케이블(200)이 당겨짐에 따라 프레임(16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아암(140)을 포함한다. 아암(140)은 회전되어 레버(3)에 접촉하여 레버(3)를 밀어서 회전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40)의 회전 시에 레버(3)가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는 안착 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레버(3)는 프레임(160) 및 아암(140)은 스틸로 제작될 수 있다.
레버 작동부(100)는 프레임(160)을 세척 밸브(2)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부재(110)와, 구동 케이블(200)의 단부를 프레임(160)에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110)는, 예컨대, 소정의 연성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 밴드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밸브에 장착된 상태의 레버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부재(110)의 일단은 프레임(160)에 나사(161, 162)를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고정 부재(110)로 세척 밸브(2) 주위를 감은 후 나사(111)에 의해 조임으로써 프레임(160)을 세척 밸브(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작동부(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회전 축(170)이 아암(140)의 홀(144)와 프레임(160)의 홀(164)에 삽입됨으로써, 아암(140)은 프레임(16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40)의 회전 축(170)의 방향(L2)은 작동되지 않은 상태의 레버(3)의 길이 방향(L1)과 평행하다. 아암(140)의 일단에는 돌출 핀(150)이 아암(140)의 회전 축(170)과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아암(140)의 홀(142)에 결합된다. 프레임(160)의 단부에는 홀(1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홀(166)에 제2 고정 부재(130)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제2 고정 부재(130)는 중공의 실린더 형태로서 중공에 구동 케이블(20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아암(140)과 돌출 핀(150) 및 회전 축(170)의 결합, 제2 고정 부재(130)와 프레임(160)의 결합 시에는 고정을 위해 고정용 패킹(180)이 사용될 수 있다.
구동 케이블(200)은 복선 케이블 구조로서, 내측 케이블(240)과, 내측 케이블(240)을 감싸는 외측 케이블(220)로 구성되며, 외측 케이블(220)은 예컨대 피복선일 수 있다. 내측 케이블(240)은 외측 케이블(220)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케이블(220)은 제2 고정 부재(130)의 중공에 끼워져 고정되고, 내측 케이블(240)은 외측 케이블(220)로부터 더 연장하여 돌출 핀(15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돌출 핀(15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 케이블(240)이 당겨지면, 아암(140)은 회전 축(17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술한 구조(즉, 복선 케이블 구조 및 외측 케이블(220)의 일단이 세척 밸브(2)에 부착된 레버 작동부(100)를 통해 소정 지점에서 고정되는 구조)를 통해, 구동 케이블(200)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서, 구동 케이블(200)이 팽팽한 늘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지 않더라도 내측 케이블(240)이 당겨짐으로써 아암(140)은 회전된다. 예컨대, 구동 케이블(200)이 단선 구조인 경우, 구동 케이블(200)은 팽팽한 늘어지지 않은 상태가 아니라면, 구동 케이블(200)을 당기더라도 아암(140)은 회전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양변기 주변(예컨대, 바닥이나 벽)에 구동 케이블(200)을 팽팽한 늘어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추가 고정물들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바닥이나 벽에 추가 시공이 필요하고 바닥이나 벽을 훼손하게 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에는 가이드 홈(122)이 형성되고, 아암(140)이 회전됨에 따라 가이드 홈(1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20)에는 레버(3)가 하우징(120) 외부로 돌출하기 위한 레버 홈(124)이 형성된다. 하우징(120)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세척 밸브(2)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그 하부가 개방되고, 가이드 홈(122) 및 레버 홈(124)도 그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기존의 세척 밸브(2)를 분해하거나 변경할 필요 없이, 제1 고정 부재(110)를 통해 프레임(160)을 세척 밸브(2)에 고정한 후 하우징(120)을 그 위에 덮음으로써 쉽게 레버 작동부(100)를 세척 밸브(2)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하우징(120)을 제거하고 제1 고정 부재(110)를 세척 밸브(2)로부터 해제함으로써 쉽게 레버 작동부(100)를 세척 밸브(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양변기의 세척 밸브(2)라는 기능 상 레버 작동부(100)는 사용자의 잦은 사용이 전제된 것인 바, 이러한 손쉬운 탈부착 내지 분해, 조립을 통해 특정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스테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스테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풋 스테퍼는 베이스 판(320)과, 베이스 판(320) 상에 배치되는 페달(340)과, 레버(3)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케이블(200)과 연결되고, 베이스 판(320) 내부에 베이스 판(320)의 전후 방향(F, R)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작동 부재(370)를 포함한다. 부식성을 고려하여, 베이스 판(320), 작동 부재(370) 및 페달(340)은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사용 중 풋 스테퍼(300)가 의도치 않게 뒤집어지거나 공중화장실 바닥면 상에서 쉽게 이동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풋 스테퍼(300)는 추가적으로 거치대(36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360)는 바닥에 닿는 면이 많도록 하부로 갈수록 크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쉽게 이동되지 않도록, 베이스 판(320) 등과는 달리, 거치대(360)는 (플라스틱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량이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이 제거된 상태의 베이스 판의 사시도이지만, 설명의 목적을 위해 페달(340)의 하면에 형성되는 돌출부(342)의 일부도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판(320)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테두리부는 전방 테두리부(321), 후방 테두리부(322), 및 전방 테두리부(321)와 후방 테두리부(322)를 연결하는 측면 테두리들(323, 324)을 포함한다. 전방 테두리부(321)와 작동 부재(370)의 사이에는 복수의 스프링(350)이 배치될 수 있다. 전방 테두리부(321)에 걸이부(325)가 형성되고, 작동 부재(370)의 안착면(374)에 홈(372)이 형성되고, 스프링(350)의 양단들이 각각 걸이부(325)와 홈(372)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링(350)은 전방 테두리부(321)와 작동 부재(37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의 하부가 드러나도록 바라본 페달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340)의 하면에는 돌출부(342)가 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작동 부재(370)는 돌출부(342)와 접촉하는 안착면(374)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페달(340)을 발로 밟음으로써 페달(340)이 하방(L)으로 가압됨에 따라, (페달(340)과 함께) 돌출부(342)가 하방(L)으로 이동하게 된다. 작동 부재(370)의 안착면(374)은 전후 방향(F, R)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돌출부(342)는 하방(L)으로 이동하면서 작동 부재(370)를 후방(R)으로 밀게 된다. 작동 부재(342)가 후방(R)으로 밀림에 따라, 작동 부재(342)에 연결된 구동 케이블(더 정확하게는 내측 케이블(240))은 당겨지게 된다.
사용자가 페달(340)로부터 발을 떼어 페달(340)에 가압되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350)의 복원력 및 레버(3)가 제 위치로 돌아감에 따라 구동 케이블(200)을 당기는 힘에 의해 작동 부재(370)는 전방(F)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돌출부(342)가 작동 부재(370)의 안착면(374)을 따라 상방(U)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페달(340)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342)는 작동 부재(370)의 안착면(374)의 경사 각도에 상응하는 경사 각도로 경사지는 안착면(346)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342)와 작동 부재(370)는 안정적인 면접촉이 가능하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풋 스테퍼(300)의 전체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기존의 세척 밸브(2)에 따라 물을 배수하기 위해 당겨져야 하는 내측 케이블(240)의 길이가 정해진다. 즉, 기존의 세척 밸브(2)에 따라 작동 부재(370)가 후방(R)으로 이동해야 할 거리가 정해지는데, 이 거리는 페달(340)의 하방(L) 이동 거리에 의해 비례하지만, 그 비율은 베이스 판(320)의 바닥면에 대한 작동 부재(370)의 안착면(374)의 경사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베이스 판(320)의 바닥면에 대한 작동 부재(370)의 안착면(374)의 경사 각도가 작게 설정되면, 페달(340)의 하방(L) 이동에 따라 작동 부재(370)는 후방(R)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달(340)을 밟지 않은 상태의 풋 스테퍼(300)의 전체 높이는 낮게 유지되고, 이에 따라 풋 스테퍼(30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페달(340)은 그 하면의 모서리마다 하방(L)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핀(344)을 포함하고, 베이스 판(320)은 그 상면의 모서리마다 가이드 핀(344)이 삽입되기 위한 실린더 형태의 가이드 홀(326)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홀(326)의 길이는 충분히 길어서, 가이드 핀(344)은 가이드 홀(326) 내에 삽입된 상태로 페달(340)은 상하 방향(U, L)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페달(340)의 상하 방향(U, L) 이동이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예컨대, 자동차의 페달과 같은 힌지식 구조의 경우, 발목에 부담이 될 수 있는데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340)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짐에 따라 그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충분히 레버가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측면 테두리 부(323, 324)의 적어도 일부에는 작동 부재(370)의 전후 방향(F, R)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327)가 형성되고, 작동 부재(370)의 측면에는 가이드 부(327)를 따라 안내되기 위한 걸림 턱(37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동 부재(370)의 전후 방향(F, R) 이동이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베이스 판(320)의 바닥에는 구동 케이블(200)을 고정하기 위한 홈(374)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외측 케이블(220)이 홈(374)에 억지 끼움으로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내측 케이블(240)은 작동 부재(37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작동 부재(370)의 후방(R) 이동에 따라, 내측 케이블(240)은 당겨지게 된다.
풋 스테퍼(300)는 자주 청소해야 하는 공중화장실 바닥에 배치되는 바, 물에 자주 노출된다. 이에, 베이스 판(320)의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329)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의도치 않게 풋 스테퍼(300)의 내부 공간으로 침투하게 되는 물이 배수 구멍(329)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2: 세척 밸브
3: 레버
10: 풋 스위치
100: 레버 작동부
120: 하우징
140: 아암
150: 돌출 핀
160: 프레임
170: 회전 축
200: 구동 케이블
300: 풋 스테퍼
340: 페달

Claims (10)

  1. 양변기의 레버식 세척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풋 스위치로서,
    양변기의 세척 밸브에 장착되어, 세척 밸브의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 작동부와,
    일단이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이 풋 스테퍼에 연결되는, 구동 케이블과,
    사용자의 발에 의해 눌러져서 상기 구동 케이블을 당기도록 구성된, 풋 스테퍼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작동부는 상기 세척 밸브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구동 케이블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아암을 포함하여, 상기 아암이 회전되어 상기 레버에 접촉하여 상기 레버를 밀어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버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구동 케이블이 당겨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 케이블이 당겨져서 상기 아암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아암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게 되고,
    상기 하우징은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버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하기 위한 레버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상기 세척 밸브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그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 홈 및 상기 레버 홈도 그 하부가 개방되는,
    양변기용 풋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케이블은, 내측 케이블과, 내측 케이블을 감싸는 외측 케이블을 포함하고, 내측 케이블은 외측 케이블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내측 케이블이 상기 아암에 연결되어, 내측 케이블이 당겨짐에 따라 아암이 회전되는, 양변기용 풋 스위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세척 밸브에 고정되기 위한 제1 고정 부재와, 외측 케이블의 단부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의 일단에는 내측 케이블과 연결하기 위한 돌출핀이 형성되는,
    양변기용 풋 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회전 축의 방향은 작동되지 않은 상태의 레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양변기용 풋 스위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세척 밸브를 휘감아 고정되는 금속 밴드이며, 상기 금속 밴드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양변기용 풋 스위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회전 시에 레버가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안착 홈이 형성되는, 양변기용 풋 스위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풋 스테퍼는,
    베이스 판과,
    베이스 판 상에 안착되는 페달과,
    상기 구동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판 내부에 베이스 판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이 하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페달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작동 부재의 안착면에 접촉하여 작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밀도록 상기 작동 부재의 안착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양변기용 풋 스위치.


KR2020210001341U 2021-04-28 2021-04-28 양변기용 풋 스위치 KR200495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41U KR200495219Y1 (ko) 2021-04-28 2021-04-28 양변기용 풋 스위치
US17/704,477 US11976451B2 (en) 2021-04-28 2022-03-25 Foot switch for toilet bowl
US17/704,527 US20220349167A1 (en) 2021-04-28 2022-03-25 Foot stepper for toilet bowl
JP2022000965U JP3238122U (ja) 2021-04-28 2022-03-29 洋便器用フットスイッチ
JP2022000966U JP3238123U (ja) 2021-04-28 2022-03-29 洋便器用フットステッ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41U KR200495219Y1 (ko) 2021-04-28 2021-04-28 양변기용 풋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219Y1 true KR200495219Y1 (ko) 2022-04-01

Family

ID=8118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341U KR200495219Y1 (ko) 2021-04-28 2021-04-28 양변기용 풋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21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062A (ko) 1995-08-03 1999-05-25 롯시니 에드윈 알 공기 소독방법
JP2004156412A (ja) * 2002-11-05 2004-06-03 Yoshino Kinzoku Co Ltd 開栓操作レバー遠隔操作装置
KR101468104B1 (ko) * 2013-06-26 2014-12-05 진명홈바스(주) 절수기
KR20210000298U (ko) * 2019-07-29 2021-02-08 김흥준 양변기의 페달형 물내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062A (ko) 1995-08-03 1999-05-25 롯시니 에드윈 알 공기 소독방법
JP2004156412A (ja) * 2002-11-05 2004-06-03 Yoshino Kinzoku Co Ltd 開栓操作レバー遠隔操作装置
KR101468104B1 (ko) * 2013-06-26 2014-12-05 진명홈바스(주) 절수기
KR20210000298U (ko) * 2019-07-29 2021-02-08 김흥준 양변기의 페달형 물내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8764B1 (en) Closure apparatus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5060320A (en) Recreational vehicle toilet with foot pedal flush
KR102637495B1 (ko) 양변기용 풋 스테퍼
US5142708A (en) Footflush adapter for urinals
US4710988A (en) Flush toilet
JP4552589B2 (ja) リモコン
KR200495219Y1 (ko) 양변기용 풋 스위치
US6968579B1 (en) Flushing activator and toilet seat and lid lifting and closing mechanism
WO2006044484A2 (en) Foot actuated flushing apparatus and method
US7832026B1 (en) Toilet actuation apparatus
US7975322B1 (en) Foot pedal toilet flush device
KR20220149902A (ko) 양변기용 풋 스위치
US20220349167A1 (en) Foot stepper for toilet bowl
JP3238122U (ja) 洋便器用フットスイッチ
GB2402136A (en) Water saving device for toilet
KR102411495B1 (ko) 양변기의 자동과 수동 겸용 물내림 장치
KR20230139289A (ko) 양변기용 풋 스위치
BR0307684A (pt) conjunto de alavanca de acionamento montável através de um orifìcio de uma parede de tanque, e, tanque de vaso sanitário e conjunto de alavanca de acionamento combinados
KR100915901B1 (ko) 벽걸이형 양변기의 물내림장치
JP2860526B2 (ja) リモコン型フラッシュバルブ
WO2006102663A2 (en) Sink having drain actuation apparatus housed in overflow cavity
KR200442998Y1 (ko) 양변기
KR20230139758A (ko) 양변기용 풋 스위치
KR200291859Y1 (ko) 좌변기의 좌판개폐 및 자동배수장치
KR940002092Y1 (ko)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