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092Y1 -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2092Y1 KR940002092Y1 KR9206733U KR920006733U KR940002092Y1 KR 940002092 Y1 KR940002092 Y1 KR 940002092Y1 KR 9206733 U KR9206733 U KR 9206733U KR 920006733 U KR920006733 U KR 920006733U KR 940002092 Y1 KR940002092 Y1 KR 94000209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ondensed
- predetermined
- piston
- bottom cas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의 일 실시예를 적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양변기의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A부분만을 확대하여 좌판의 열림 작동전 및 열림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의 작동편 및 로울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B부분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제6도 및 제7도는 제1도의 B부분만을 확대하여 좌판의 열림 작동 전 및 열림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
제8도는 a 내지 k는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발판 조립체의 잠김 과정 및 해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9도 및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의 열림 작동 전 및 열림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1도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작동레버의 사시도.
제12도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피스톤의 단면도.
제13도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고무판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동구 조립체 3 : 발판 조립체
4 : 철선 조립체 11 : 본체 하우징
12 및 14 : 작동편 13 및 15 : 로울러
본 고안은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좌판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이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양변기의 좌판을 개폐하고자 할 경우 좌판을 손으로 직접 잡고 개폐시켜야만 했으므로 가정용이 아닌 공중용의 경우에는 특히 사용자에게 심한 불쾌감을 주었을 뿐만아니라 실제로도 매우 비위생적이었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양변기의 좌판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이를 개폐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다면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양변기의 좌판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되,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원활한 작동을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양변기에 손쉽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되어진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고안에 따른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는, 본체 하우징, 일측단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방 양 측벽상에 축착되는 제1작동편, 상기 제1작동편을 타측단에 축착되어 좌판의 저면부위와 맞닿도록 되어진 제1로울러, 상측단이 상기 제1작동편의 중간부위에 축착되는 제2작동편, 그리고 상기 제2작동편의 하측단에 축착되어 변기 본체의 상면부위와 맞닿도록 되어진 제2로울러를 가지는 개폐작동수단과; 상기 개폐작동수단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수단과; 상기 개폐작동수단과 동력제공수단간에 구성되어 상기 동력제공수단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개폐작동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동(傳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시킨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고안에 따른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적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양변기의 사시도로서, 개폐작동수단인 작동구 조립체(1)가 변기 본체(2)의 상면 후방 소정부위에 구성되고, 동력제공수단인 발판 조립체(3)가 전동수단인 철선 조립체(4)에 의해 상기 작동구 조립체(1)와 연결된 상태에서 지면상에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A부분만을 확대하여 좌판의 열림 작동전 및 열림 작동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작동구 조립체(1)는 체결수단(21)에 의해 변기 본체(2)의 상면 후방 소정 부위상에 변기 뚜껑(22) 및 좌판(23)과 함께 고정되는 본체 하우징(11), 일측단이 상기 본체 하우징(11)의 전방 양 측벽상에 축착되는 제1작동편(12), 상기 제1작동편(12)의 타측단에 축착되어 좌판(23)의 저면부위와 맞닿도록 되어진 제1로울러(13), 상측단이 상기 제1작동편(12)의 중간 부위에 축착되는 제2작동편(14), 그리고 상기 제2작동편(14)의 하측단에 축착되어 변기 본체(2)의 상면 부위와 맞닿도록 되어진 제2로울러(15)를 구비하고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의 작동편 및 로울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제5도는 제1도의 B부분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제6도 및 제7도는 제1도의 B부분만을 확대하여 좌판의 열림 작동전 및 열림 작동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발판 조립체(3)는 바닥 케이스(31), 상기 바닥 케이스(31)의 상측 개구부를 덮어주면서 그 일측단이 상기 바닥 케이스(31)의 대응부위와 축착되는 발판 (32), 상기 바닥 케이스(31) 및 발판(32) 간의 축착부위에 탄설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3), 중간부위가 상기 받가 케이스(31)의 양 측벽상의 전방 소정 부위에 축착되고 상측단은 상기 발판(32)의 내측 저면부위에 맞닿은 상태로 있게 되는 작동레버(34),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34)의 하측 소정부위와 상기 바닥케이스(31)의 전방벽 소정부위간에 고정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35)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선단부에 잠김봉(36a)을 구성시킨 소정 길이의 판 스프링(36)이 작동레버(34)의 하측단 소정부위에 돌출 고정되고, 상기 잠김봉(36a)의 잠김 및 해제를 위한 소정의 궤도가 형성된 제1, 제2 및 제3안내패턴(31a, 31b 및 31c)이 바닥 케이스(31)의 일측벽 소정부위에 각각 구성되어 있다.
한편, 철선 조립체(4)는 제2도 내지 제7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구 조립체(1)의 제2작동편(14)의 하측단 중간부위와 발판 조립체(3)의 작동레버(34)의 하측단 중간부위 간에 연결되는 철선 (41), 그리고 작동구 조립체(1)의 본체 하우징(11)이 후방벽 소정부위와 발판 조립체(3)의 바닥 케이스(31)의 전방벽 소정부위간에 고정되어 그의 내측으로 상기 철선(41)이 삽입되는 안내관(42)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먼저 제6도에 도시된 발판 조립체(3)의 발판(32)을 밟아 작동 레버(34)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의 하측단에 연결된 철선(41)이 제2도에 도시된 작동구 조립체(1)의 제2작동편(14)의 하측단을 본체 하우징(11)의 후방벽 방향으로 당겨주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작동편(14)은 그의 하측단에 축착된 제2로울러(15)를 변기 본체(2)의 상면 부위와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전 이동을 시키면서 그의 상측단이 축착된 제1작동편(12)의 중간부위를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만큼 세워지게 되며, 제1작동편(12)은 상기 제2작동편(14)이 소정 각도 만큼 세워지게 됨에 따라 본체 하우징(11)의 전방 양 측벽상에 축착된 그의 일측단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2작동편(14)의 세워지는 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만큼 세워지면서 그의 타측단에 축착된 제1로울러(13)로 좌판(23)을 밀어올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까지 열어주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발판 조립체(3; 제7도)의 발판(32)을 다시 밟아 작동레버(34)를 작동시키게 되면 작동레버(34)는 잠김상태에서 해제상태로 복귀(이에 대하여는 후술함)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발판(32)으로부터 발을 떼게 되면 좌판(23)은 자중에 의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되면서 제1작동편(12), 제1로울러 (13), 제2작동편(14) 및 제2로울러도 최초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제8도의 a 내지 k는 제5도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발판 조립체의 잠김 과정 및 해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판(23)의 열림작동전의 최초의 상태에서 제6도의 발판(32)을 밟게되면 작동레버(34)는 바닥 케이스(31)의 양 측벽상의 전방 소정부위에 축착된 그의 중간부위를 축으로 하여 그의 최초위치(제8도의 a)로 부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작동레버(34)의 하측단 소정부위에 돌출 고정된 판 스프링(36)의 선단부의 잠김봉(36a)이 제8도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내패턴(31a)의 하측 궤도를 따라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판 스프링(36)은 상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그후 작동레버(34)가 회전을 계속하여 최종 위치에 이르게 되면 잠김봉(36a)은 제8도의 d에서와 같이 제1안내패턴(31a)의 하측 궤도를 벗어나 판 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제2안내패턴(31b)의 하측 궤도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 밟고 있던 발판(32)으로부터 발을 떼게 되면 바닥 케이스(31) 및 발판(32)간의 축착부위에 탄설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33)과, 그리고 작동 레버(34)의 하측 소정부위 및 바닥 케이스(31)의 전방벽 소정 부위간에 고정된 인장 코일 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레버(34)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려고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잠김 봉(36a)은 상기 판 스프링(36)에 남아 있던 잔여 복원력에 의해 제8도의 e 및 f에서와 같이 제2안내패턴(31b)의 하측 궤도를 따라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제1안내패턴(31a)의 중간측 궤도의 좌방향 중단점에서 멈춰 잠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제3도에서와 같은 좌판(23)의 열려진 상태이며, 발판 조립체(3)는 제7도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한편, 제3도에서와 같이 좌판(23)이 열려진 상태에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판 조립체(3)의 발판(32)을 다시 밟아 작동레버(34)를 작동시키게 되면 잠김봉(36a)은 제8도의 f에서와 같은 잠김 상태로부터 제8도의 g 내지 i자에서와 같이 제3안내패턴(31c)의 하측 궤도를 따라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궤도의 종단점을 지남과 동시에 판 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자신의 고유궤도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발판(32)으로부터 발을 떼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33) 및 인장 코일 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 레버(34)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려고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잠김 봉(36a)은 자신의 고유 궤도를 따라 내려오다가 제8도의 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안내패턴(31c)의 상측 궤도에 이르게 되면서 부터 그 궤도 및 제8도의 k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안내 패턴(31a)의 상측 궤도를 거쳐 제8도의 a에서 와 같은 최초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제9도 및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좌판 개페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의 열림 작동전 및 열림 작동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동력제공수단은 본체 하우징(11)의 후방 소정부위에 구성된 수용실(51), 상기 수용실(5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피스턴(52), 상기 피스톤(52)의 전방에 돌출 구성되는 피스톤 봉(53), 상기 수용실(51)의 내측 후방벽과 피스톤(52)의 내측 전방벽간에 탄설되는 압축 코일스프링(54), 그리고 상기 수용실(51)의 전방 개구부의 밀폐를 위한 덮개(55)를 구비하여 있으며, 전동수단은 작동레버(61), 상기 작동레버(61)의 중간 소정부위에 상측단이 축착되고 하측단은 본체 하우징(11)에 구성된 수용실(51)로부터 전방 소정부위에 축착되는 지지 아암(62),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61)의 하측단과 제2작동편(14)의 하측단 간을 연결하는 연접봉(63)을 구비하고 있다.
제11도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작동레버의 사시도로서, 작동레버(61)는 전방면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피스톤 봉(53)의 단부가 삽입되는 안내 홈(61a), 중간 부위의 전후방 및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천공되어 지지 아암(62)의 상측단을 축착시키기 위한 축착용 장공(61b 및 61c), 하측단의 세로방향으로 소정 높이 만큼 형성된 트임 홈(61d), 그리고 전방면의 하측 소정부위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연접 봉(63)의 일측 단부에 구성된 미끄러짐 봉(63a)을 걸쳐두기 위한 걸침 홈(61e)을 구비하고 있다.
제12도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피스톤의 단면도로서, 피스톤(52)의 전방벽상에 다수개의 공기 토출공(52a)이 천공되어 있다.
제13도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고무판의 단면도로서, 고무판(56)의 전후방으로 미소 직경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 토출공(56a)이 천공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제9도에서와 같이 좌판(23)이 열려진 상태가 최초의 상태로서, 착석을 위해 좌판(23)을 누르게 되면 제1로울러(13)가 좌판(23)의 저면 부위를 따라 전방으로 구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작동편(12)이 본체 하우징(11)의 전방 양 측벽상에 축착된 그의 일측단을 축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눕게 되며, 제2작동편(14)은 제1작동편(12)이 수평방향으로 눕게 됨에 따라 그의 상측단이 축착된 상기 제1작동편(12)의 중간 부위를 축으로 하여 상기 제1작동편(12)의 눕은 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만큼 눕게 되며서 그의 하측단에 축착된 제2로울러(15)를 변기 본체(2)의 상면부위를 따라 전방으로 회전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작동편(14)의 하측단에 일측단이 연결된 연접봉(63)도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는데, 이때 연접봉(63)의 타측단에 구성된 미끄러짐 봉(63a)은 본체 하우징(11)의 양 측벽상에 형성된 안내용 장공(11a)에 양측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전방으로 수평이동을 하면서 작동 레버(61)의 하측단을 당겨주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레버(61)는 지지아암(62)의 상측단이 축착된 그의 축착용 장공(61b 및 61c)을 축으로 하여 그의 전방면 안내홈(61a)상에 단부가 삽입되어 있는 피스톤 봉(53)을 수용실(51)의 내측으로 밀어주게 되며, 피스톤 봉(53)이 수용실(51)의 내측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상기 수용실(51)의 내측 후방벽과 피스톤(52)의 내측 전방벽간에 탄설된 압축 코일 스프링(54)에는 많은 압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이 완료된 상태를 제10도에 나타내었으며, 좌판(23)의 열림작동은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54)의 복원력에 의해 상술한 닫힘 작동의 역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좌판(23)의 개폐 작동시 피스톤(52)이 수용실(51)의 후방벽 방향으로 밀려 들어갈 경우(좌판의 닫힘 작동)에는 수용실(51)의 후방벽과 피스톤(52)의 전방벽간의 공기가 상기 피스톤(52)의 전방벽 상에 천공된 다수개의 공기토출공(52a)을 통해 빠져나와 고무판(56)을 들어주게 되므로 작동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나, 반대로 피스톤(52)이 수용실(51)의 덮개(55)방향으로 밀려나올 경우 (좌판의 열림작동)에는 피스톤(52)의 전방벽과 덮개(55)간의 공기가 상기 고무판(56)에 천공된 미소 직경의 공기토출공(56a)으로만 빠져나오게 되므로 작동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양변기의 좌판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이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불괘감을 주지 않을 뿐만아니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양변기에 손쉽게 적용시킬 수 있게 되는 둥의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7)
- 본체 하우징(11), 일측단이 상기 본체 하우징(11)의 전방 양측벽상에 축착되는 제1작동편(12), 상기 제1작동편(12)의 타측단에 축착되어 좌판의 저면 부위와 맞닿도록 되어진 제1로울러(13), 상측단이 상기 제1작동편(12)의 중간 부위에 축착되는 제2작동편(14), 그리고 상기 제2작동편(14)의 하측단에 축착되어 변기 본체의 상면 부위와 맞닿도록 되어진 제2로울러(15)를 가지는 개폐 작동수단과; 상기 개폐작동수단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 수단과; 상기 개폐작동수단과 동력제공수단간에 구성되어 상기 동력제공수단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개폐작동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동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동력제공수단이 바닥케이스(31), 상기 바닥케이스(31)의 상측 개구부를 덮어주면서 그 일측단이 상기 바닥케이스(31)의 대응부위와 축착되는 발판(32), 상기 바닥케이스(31) 및 발판(32)간의 축착부위에 탄설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33), 중간 부위가 상기 바닥케이스(31)의 양측벽상의 전방 소정부위에 축착되고 상측단은 상기 발판(32)의 내측 저면부위에 맞닿은 상태로 있게 되는 작동레버(34),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34)의 하측 소정부위와 상기 바닥케이스(31)의 전방벽 소정부위간에 고정되는 인장코일스프링(3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선단부에 잠김봉(36a)을 구성시킨 소정 길이의 판스프링(36)이 작동레버(34)의 하측단 소정부위에 돌출 고정되고, 상기 잠김봉(36a)의 잠김 및 해제를 위한 소정의 궤도가 형성된 제1, 제2 및 제3안내패턴(31a, 31b 및 31c)이 바닥케이스(31)의 일측벽 소정부위에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전동수단이 철선(41) 및 상기 철선(41)이 삽입되는 안내관(4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동력제공수단이 본체하우징(11)의 후방 소정부위에 구성된 수용실(51), 상기 수용실(5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피스톤(52), 상기 피스톤(52)의 전방에 돌출 구성되는 피스톤봉(53), 상기 수용실(51)의 내측 후방벽과 피스톤(52)의 내측 전방벽 간에 탄설되는 압축 코일스프링(54), 그리고 상기 수용실(51)의 전방 개구부의 밀폐를 위한 덮개(5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 제5항에 있어서, 피스톤(52)의 전방벽상에 다수개의 공기토출공(52a) 천공되며, 미소직경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토출공(56a)이 천공된 소정직경의 고무판(56)이 상기 피스톤(52)의 전방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전동수단이 작동레버(61), 상기 작동레버(61)의 중간 소정부위에 상측단이 축착되고 하측단은 본체 하우징(11)에 구성된 수용실(51)로부터 전방소정부위에 축착되는 지지아암(62),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61)의 하측단과 제2작동편(14)의 하측단 간을 연결하는 연접봉(6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6733U KR940002092Y1 (ko) | 1992-04-23 | 1992-04-23 |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6733U KR940002092Y1 (ko) | 1992-04-23 | 1992-04-23 |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22990U KR930022990U (ko) | 1993-11-25 |
KR940002092Y1 true KR940002092Y1 (ko) | 1994-04-06 |
Family
ID=1933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9206733U KR940002092Y1 (ko) | 1992-04-23 | 1992-04-23 |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4000209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466Y1 (ko) * | 2007-08-13 | 2011-05-06 | 백성수 | 변기시트 개폐장치 |
-
1992
- 1992-04-23 KR KR9206733U patent/KR94000209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466Y1 (ko) * | 2007-08-13 | 2011-05-06 | 백성수 | 변기시트 개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22990U (ko) | 1993-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33293B2 (en) | Waste disposal device | |
JP4552589B2 (ja) | リモコン | |
US5142708A (en) | Footflush adapter for urinals | |
KR940002092Y1 (ko) | 양변기 좌판 개폐장치 | |
AU704759B2 (en) | A dual flush assembly for water closets | |
US4803741A (en) | Toilet seat lifter | |
WO2004010828A1 (ja) | 幼児用安全柵 | |
KR102637495B1 (ko) | 양변기용 풋 스테퍼 | |
JPH10131586A (ja) | トイレット扉用施錠装置 | |
JPH0857004A (ja) | 歩行補助器 | |
JP2596390Y2 (ja) | 遠隔操作式排水栓開閉装置 | |
KR200495219Y1 (ko) | 양변기용 풋 스위치 | |
PL178423B1 (pl) | Urządzenie do uruchamiania zatyczki odpływu, zwłaszcza w wannie | |
KR200442998Y1 (ko) | 양변기 | |
US5822805A (en) | Toilet flush actuator | |
JP2020084404A (ja) | 引戸の初動アシスト装置 | |
KR100473854B1 (ko) | 남성용 소변기 보조장치 | |
KR870001789Y1 (ko) | 족답식 위생변기 | |
JP2005287814A (ja) | 移動式シャンプー装置 | |
JP3054585B2 (ja) | 扉スイッチ装置 | |
JP2860526B2 (ja) | リモコン型フラッシュバルブ | |
JP4201272B2 (ja) | 移動式シャンプー装置 | |
EP0512841A1 (en) | Air freshener device | |
KR100403013B1 (ko) | 양변기 좌대의 오염방지장치 | |
KR200349292Y1 (ko) | 양변기의 절수용 레버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