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155Y1 -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155Y1
KR200495155Y1 KR2020210000867U KR20210000867U KR200495155Y1 KR 200495155 Y1 KR200495155 Y1 KR 200495155Y1 KR 2020210000867 U KR2020210000867 U KR 2020210000867U KR 20210000867 U KR20210000867 U KR 20210000867U KR 200495155 Y1 KR200495155 Y1 KR 200495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tray
vehicle
cup holder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우
Original Assignee
박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우 filed Critical 박성우
Priority to KR2020210000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6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를 자동차의 컵홀더에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차내에서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노트북 등 스마트 기기를 올려 놓고 업무의 수행이 가능한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 { A connecting structure of multi-cup holder or tray for an automobile }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를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홀더에 안정되게 지지함으로써 차내에서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노트북 등 스마트 기기를 올려 놓고 업무의 수행이 가능한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는 자동차의 내부에는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구비되는데 그러한 장치에는 특히 주행 중에 음료수가 내부에 수용된 컵 또는 캔 등의 음료 용기를 놓아둘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컵홀더도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컵홀더는 도 1과 같이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구비되어 운전자와 조수석의 탑승자가 음료수를 마시다가 들고 있던 음료 용기를 잠시 안전하게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컵홀더는 운전자용으로 한 개만이 설치되기도 하지만 조수석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주로 두 개가 설치된다.
그런데 대개의 자동차의 경우에 여러 사람이 자동차에 승차하는 경우에 컵홀더가 한 개 또는 두 개만이 구비되어 음료 용기를 두 개만 거치하고, 나머지는 들고 있을 수밖에 없어 불편한 경우가 많았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의 경우에 컵홀더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인식한 결과, 자동차 내에서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여러 개의 컵들을 쉽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타입의 컵홀더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765호(2014. 07. 31.)에는 사각 형태로 된 4개의 측판들(300)과 상기 측판들(300)을 각각 연결하는 4개의 제1경첩들(301)을 포함하여 중앙에 컵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컵홀더(31); 사각 형태로 된 4개의 측판들(300)과 상기 측판들(300)을 각각 연결하는 4개의 제1경첩들(301)을 포함하여 중앙에 컵을 넣을 수 있은 공간을 제공하는 제2컵홀더(32); 및 상기 제1컵홀더(31) 및 제2컵홀더(32)의 모서리 부분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모서리 부분들이 서로 고정되게 끔 제1 및 제2컵홀더들(31,32)의 측면들(300)을 연결하는 제2경첩들(302);을 포함하는 멀티 컵 홀더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733885호(2017. 05. 08.)에는 컵수납홈을 구성하는 벽체 사방에 지지공이 구비된 하우징; 박막 구조의 얇은 판체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각 지지공 마다 설치되며, 상단부는 지지공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부착되어 구비되고, "〉"형으로 절곡된 접촉부는 지지공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돌출되는 지지부; 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컵 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는 자동차에 장착이 어렵고 고정이 확실하게 거치되지 아니하여 차량의 가동중에 음료의 엎질러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의 내부에는 노트북 등의 스마트 기기를 거치할 공간이 부재하여 주행중인 차량에서 흔들림이 발생하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업무 수행시 오조작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 모든 고속도로 휴게소 실내 매장에서는 좌석 운영이 금지되고 음식은 포장만 허용되고 있어 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장거리 여행을 하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경우에 차량의 실내에서 식사를 해결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에는 컵홀더가 두 개만 구비되고, 또한 음식물을 올려 놓을 테이블 또는 트레이 등이 부족하여 차량에서의 식사는 매우 불편한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자량의 내부에서 급한 업무를 수행할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으나, 노트북 등의 스마트 기기를 거치할 공간이 없어 업무의 수행이 불가하여 차량 실내의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직경을 갖는 음료 용기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차내에서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노트북 등의 스마트 기기로 업무를 수행이 가능한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는,
원기둥 형상의 축부(20); 상기 축부(2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축부(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상부 단차부(30); 상기 상부 단차부(30)의 상부 말단부의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나사부(35); 상기 상부 단차부(30)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컵하부 받침대(40); 상기 컵하부 받침대(40)의 상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원기둥 형상의 지지부(50); 상기 나사부(35)에 수평으로 체결되는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 상기 축부(2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축부(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부 단차부(80); 및 상기 하부 단차부(80)에 삽입장착되어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수용홀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고정구(90);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20)와 컵하부 받침대(40)와 지지부(50), 트레이(60) 및 컵삽입 플레이트(70)는 합성수지재, 목재 또는 금속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에는 컵수용공(77)이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90)는 연질의 미세다공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폼(foam)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9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 단차부(80)의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고정구(90)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구(90)의 두께(T)는 0.5 내지 1.5 cm 이고, 상기 고정구(90)의 중심부에는 제 3체결공(95)이 형성되고, 외경부는 라운드진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나사부(35)가 체결되도록 체결부(75)가 구비되고, 상기 컵수용공(77)의 일측에는 빨대 안착구(7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100)는 멀티 컵홀더(10) 또는 트레이(60)를 차량에 구비되는 컵홀더(10)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음료 또는 음식물 등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노트북 등의 스마트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차내에서 음식물을 섭취하여도 음식물이 무릎이나 바닥에 떨어지지 않으므로 차내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안에서 노트북 등의 스마트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오조작 없이 업무의 수행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동시에 여러 개의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어 여러 명이 차량 내부에서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에도 음료 용기를 계속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차량 내부의 공간활용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자동차 내부에 구비되는 통상의 컵홀더(10)의 사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의 결합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에 장착되는 고정구(90)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의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의 변형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100)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의 결합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에 장착되는 고정구(90)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의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의 변형도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자의 운전석 옆에는 운전자 또는 조수석에 승차하는 사람이 사용하기 위한 도 1과 같은 한 개 또는 두 개의 컵홀더(1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컵홀더(10)는 여러 사람이 함께 자동차에 승차하게 되면 부족하게 되고, 또한 차내에서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음식물들을 거치할 수 없어 불편하다. 또한 차량의 운전 중에 급한 업무가 발생하면 차량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나, 종래의 차량 내부에는 노트북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를 올려 놓고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자동차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고 불편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100)는 다양한 구경을 갖는 자동차의 컵홀더(10)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고, 차내에서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노트북 등의 스마트 기기를 올려 놓고 업무 수행이 가능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공간활용도가 높아지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축부(20);와, 상기 축부(20)의 상부에 직경이 작아지도록 단차지는 상부 단차부(30);와, 상기 상부 단차부(30)의 말단부의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나사부(35);와, 상기 상부 단차부(30)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컵하부 받침대(40);와, 상기 컵하부 받침대(40)의 상부에 안착되는 지지부(50);와, 상기 나사부(35)에 수평으로 체결되는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와, 상기 축부(20)의 하부에 직경이 작아지도록 단차지는 하부 단차부(80); 및 상기 하부 단차부(80)에 삽입장착되어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홀더(10)의 내부면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고정구(9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100)에 구비되는 원기둥 형상의 축부(20)는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홀더(10)에 삽입체결되어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를 수평으로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100)를 기존의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홀더(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축부(20)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단차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단차부(30)는 상기 원기둥 형상의 축부(20)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되어 상기 축부(20)의 직경 대비 단차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축부(20)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되는 상부 단차부(30)의 말단부의 중심에는 이후에 체결되는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가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나사부(35)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나사부(35)는 상기와 같이 상부 단차부(30)의 말단부의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체결부(75)에 회전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축부(20)에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축부(20)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되는 상부 단차부(30)에는 이후에 컵삽입 플레이트(70)에 구비되는 컵수용공(77)에 삽입되는 컵의 하부를 지지하는 컵하부 받침대(40)가 삽입되어 체결되게 된다.
즉, 상기 컵하부 받침대(40)는 상부 단차부(30)에 삽입하여 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는 컵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대(42)와, 중앙부에는 상기 상부 단차부(30)에 삽입되도록 제 1 체결공(45)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공(45)의 직경은 상부 단차부(3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컵하부 받침대(40)가 상기 상부 단차부(30)로 억지끼움 됨으로써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
상기 컵하부 받침대(40)가 삽입된 상부 단차부(30)에는 이후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0)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컵하부 받침대(40)와 이후에 체결되는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와의 일정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컵하부 받침대(40)와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의 사이에 일정 거리가 확보되어야 상기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에 구비되는 컵수용공(77)에 삽입되는 음료가 담긴 컵의 지지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단차부(30)의 길이는 컵하부 받침대(40) 및 지지부(50)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 단차부(30)의 길이는 컵하부 받침대(40) 및 지지부(50)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면 상기 상부 단차부(30)의 상부에 구비되는 나사부(35)가 상기 지지부(5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되므로 이후에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와의 체결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50)의 중앙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50)를 상부 단차부(30)에 삽입하기 위하여 재 2 체결공(55)이 구비된다. 상기 제 2 체결공(55)의 직경도 상부 단차부(3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50)가 상기 상부 단차부(30)로 억지끼움 됨으로써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단차부(30)에 컵하부 받침대(40)와 지지부(50)가 삽입된 후에는 상기 상부 단차부(30)의 상부에 구비되는 나사부(35)에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부(35)에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가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의 하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75)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75)는 상기 상부 단차부(30)의 상부에 구비되는 나사부(35)가 용이하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는 너트 형상의 체결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트 형상의 체결구에 상기 나사부(35)가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나사부(35)와 너트 형상의 체결구 간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75)가 상부 단차부(30)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의 하부에 구비되는 체결부(75)가 상기 상부 단차부(30)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나사부(35)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축부(20)와 상기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와 같이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가 체결된 축부(20)를 기존의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홀더(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축부(20)의 하부에 하부 단차부(80) 및 상기 컵홀더(10)의 내주면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고정구(90)를 구비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축부(20)의 하부에는 하부 단차부(8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하부 단차부(80)는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고정구(90)를 삽입수용함으로써 상기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가 체결된 축부(20)를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홀더(10)에 체결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단차부(80)는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고정구(90)를 삽입하여 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부(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가 체결된 축부(20)를 기존의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홀더(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단차부(80)에는 고정구(90)를 삽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구(90)가 삽입된 하부 단차부(80)를 기존의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홀더(10)에 억지끼움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가 체결된 축부(20)를 기존의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홀더(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단차부(80)는 상기 축부(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하부 단차부(80)의 직경이 상기 축부(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하부 단차부(8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고정구(90)가 축부(20)의 상부로 밀려 올라기지 않고 상기 하부 단차부(80)에서 체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단차부(8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고정구(90)는 상기 하부 단차부(80)를 컵홀더(10)에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하여 연질의 미세다공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폼(foam)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구(90)는 자동차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 등을 흡수하여 상기 축부(20)를 컵홀더(1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 즉 미세다공이 형성된 연질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폼(foam)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질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아미드계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구(90)는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미세다공성 폼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구(90)를 제조하는 상기 미세다공이 형성된 연질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폼(foam)은 매우 낮은 밀도, 즉 0.1 g/㎤ 내지 0.35 g/㎤의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단차부(80)에 복수 개가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제 3 체결공(9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90)는 하부 단차부(90)에 복수 개가 삽입되되, 상기 하부 단차부(80)의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고정구(90)가 장착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고정구(9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부 단차부(80)의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고정구(90)가 장착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고정구(90)가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100)가 자동차에 구비되는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컵홀더(10)에 모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컵홀더(10)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직경이 큰 고정구(90)를 선택하여 장착하고, 상기 컵홀더(10)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경이 작은 고정구(90)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하부 단차부(80)에 삽입장착되는 고정구(90)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100)는 자동차의 컵홀더(10)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하부 단차부(80)에 삽입되어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고정구(90)의 중앙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체결공(95)이 구비된다. 상기 제 3 체결공(95)은 하부 단차부(80)에 억지끼움될 수 있는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구(90)의 두께(T)는 0.5 내지 2..0 cm 로 형성되어, 5 cm이상의 길이를 갖는 상기 하부 단차부(80)에 복수 개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90)는 삽입되는 상기 하부 단차부(80)의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고정구(90)가 장착됨으로써,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컵홀더(10)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홀더(10)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동일한 경우에도 하부 단차부(80)의 상부에 십입되는 가장 외경이 큰 고정구(90)에 의해 상기 컵홀더(1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컵홀더(10)에 축부(2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90)의 중심부에는 제 3 체결공(9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9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3 체결공(95)은 상기 하부 단차부(80)에 삽입되어 상기 축부(20)를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홀더(10)에 견고하게 체결고정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90)의 외경부는 라운드진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90)의 외경부가 상기와 같이 라운드진 톱니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의 컵홀더(10)에 연질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폼(foam)으로 제조되는 고정구(90)를 억지끼움시 압축되어 상기 컵홀더(10)에 삽입된 후 신장되면서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구(90)는 하부 단차부(80)에 복수 개를 장착하여 상기 컵홀더(10)에 축부(20)를 장착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90)의 외경은 1 내지 2 mm의 차이를 두고 복수 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외경의 차이를 두고 고정구(90)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동차의 컵홀더(10)의 직경을 고려하여 복수 개를 선택하여 상기 하부 단차부(80)에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단차부(30)의 말단부의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나사부(35)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가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60)와 컵삽입 플레이트(70)는 도 5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컵삽입 플레이트(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수용공(77)이 두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5의 (a)와 같이 컵수용공(77)이 세 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트레이(60)는 도 5의 (b)와 같이 음식물 또는 노트북 등의 스마트 기기 등을 올려놀 수 있는 수평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트레이(60)의 일측에는 도 5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수용공(77)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컵수용공(77)의 일측에 형성되는 빨대 안착구(7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빨대 안착구(79)는 상기 컵수용공(77)에 수용되는 음료가 든 컵에 구비되는 빨대를 용이하게 보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100)를 구성하는 축부(20)와 컵하부 받침대(40)와 지지부(50), 트레이(60) 및 컵삽입 플레이트(70)는 합성수지, 목재 또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축부(20)의 하부에는 상기 축부(2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연장부(미도시)가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축부(20)의 하부에 연장부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컵삽입 플레이트(70) 또는 트레이(60)를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높은 위치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100)를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홀더(10)에 고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원기둥 형상의 축부(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단차부(30)에 컵하부 받침대(40)를 삽입체결한다. 상기 컵하부 받침대(40)를 상부 단차부(30)에 삽입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컵하부 받침대(40)의 중앙에는 도 2와 같이 제 1 체결공(4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컵하부 받침대(40)에 형성되는 제 1 체결공(45)을 상부 단차부(30)에 억지끼움으로써, 상기 컵하부 받침대(40)를 축부(20)에 체결하게 된다.
이후에는 상기 컵하부 받침대(40)의 상부에 지지부(50)를 삽입하여 체결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50)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조되되, 상부 단차부(30)에 삽입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50)의 중앙에는 제 2 체결공(55)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단차부(30)에 컵하부 받침대(40)와 지지부(50)를 삽입체결한 후에 상기 상부 단차부(30)의 말단부의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나사부(35)를 통해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의 하부에 구비되는 체결부(75)에 상기 축부(20)를 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를 축부(20)와 체결한 후에는 상기 축부(2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단차부(80)에 고정구(90) 복수 개를 도 4와 같이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90)는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홀더(10)의 외경 또는 깊이에 따라서 복수 개를 삽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축부(320)의 상부에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가 체결되고, 하부에 고정구(90)가 삽입체결된 후에는 상기 고정구(90)를 자동차의 컵홀더(10)에 억지끼움 함으로써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100)를 자동차의 컵홀더(1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90)는 연질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폼(foam)으로 제조되어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홀더(10)의 내주면에 억지끼움되고, 이후에 신장되면서 상기 컵홀더(100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멀티 컵홀더의 체결구조(100)를 자동차의 컵홀더(10)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에는 음료수가 담긴 컵을 상기 트레이(60) 또는 멀티 컵홀더(70)의 일측에 구비되는 컵수용공(77)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식물 또는 노트북 등의 스마트 기기 등을 트레이(60)의 상부에 올려 놓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 축부
30 : 상부 단차부
35 : 나사부
40 : 컵하부 받침대
50 : 지지부
60 : 트레이
70 : 컵삽입 플레이트
80 : 하부 단차부
90 : 고정구

Claims (6)

  1. 원기둥 형상의 축부(20);
    상기 축부(2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축부(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상부 단차부(30);
    상기 상부 단차부(30)의 상부 말단부의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나사부(35);
    상기 상부 단차부(30)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컵하부 받침대(40);
    상기 컵하부 받침대(40)의 상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원기둥 형상의 지지부(50);
    상기 나사부(35)에 수평으로 체결되는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
    상기 축부(2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축부(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부 단차부(80); 및
    상기 하부 단차부(80)에 삽입장착되어 자동차에 구비되는 컵수용홀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고정구(9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부(20)와 컵하부 받침대(40)와 지지부(50), 트레이(60) 및 컵삽입 플레이트(70)는 합성수지재, 목재 또는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에는 컵수용공(77)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90)는 연질의 미세다공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폼(foam)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60)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7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나사부(35)가 체결되도록 체결부(7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컵수용공(77)의 일측에는 빨대 안착구(7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100)

KR2020210000867U 2021-03-22 2021-03-22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 KR200495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67U KR200495155Y1 (ko) 2021-03-22 2021-03-22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67U KR200495155Y1 (ko) 2021-03-22 2021-03-22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155Y1 true KR200495155Y1 (ko) 2022-03-15

Family

ID=8081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867U KR200495155Y1 (ko) 2021-03-22 2021-03-22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5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3809A (ja) * 1999-05-26 2000-12-05 Aqua New Tech:Kk 食 器
JP2001508722A (ja) * 1996-11-08 2001-07-03 ギブス,ドリアン 固定形容器ホルダ
KR20200123564A (ko) * 2019-04-22 2020-10-30 박민우 자동차용 컵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8722A (ja) * 1996-11-08 2001-07-03 ギブス,ドリアン 固定形容器ホルダ
JP2000333809A (ja) * 1999-05-26 2000-12-05 Aqua New Tech:Kk 食 器
KR20200123564A (ko) * 2019-04-22 2020-10-30 박민우 자동차용 컵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247B2 (en) Removable console cupholder adaptor
US6732990B2 (en) Tray and cup holder combination
US5052649A (en) Drink holder adapter
US5465891A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US5312013A (en) Beverage container construction
US4974741A (en) Insulated carri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20020043603A1 (en) Cup holder insert with snack or combo carrier
US6883692B2 (en) Sauce holder for fold out arm rest
US20050072889A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for vehicle
US10328835B1 (en) Finger well insertable cup holder
US20040099186A1 (en) Bucket seat fold out diaper changing table
GB2439985A (en) Insert for hold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vehicle cup holder
US20230042946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assisting a vehicle driver with transporting food/drinks and associated items
US20140158852A1 (en) Beverage Holder Assembly
JP2012025184A (ja) 高さ調整式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200495155Y1 (ko) 자동차용 트레이 또는 컵삽입 플레이트의 체결구조
US5383586A (en) Pull out cup and can holder
KR200490753Y1 (ko) 차량용 보냉온 컵 홀더
KR20060084283A (ko) 접이식 좌석의 컵 홀더
JP3579523B2 (ja) 車両用飲料容器ホルダ
US20040206873A1 (en) Apparatus To Hold And Stabilize Fast Food Containers In A Cylindrical Automobile Cup Holder
JP3170996U (ja) カップホルダー
US10772448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beverage containers
JP2023034792A (ja) 車載用ドリンクホルダ
JP2000335303A (ja) 容器載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