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147Y1 - A prefabricated high-place workable - Google Patents

A prefabricated high-place work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147Y1
KR200495147Y1 KR2020200002457U KR20200002457U KR200495147Y1 KR 200495147 Y1 KR200495147 Y1 KR 200495147Y1 KR 2020200002457 U KR2020200002457 U KR 2020200002457U KR 20200002457 U KR20200002457 U KR 20200002457U KR 200495147 Y1 KR200495147 Y1 KR 200495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llar
support
fixed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4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0161U (en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성화시스템챤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화시스템챤넬(주) filed Critical 성화시스템챤넬(주)
Priority to KR2020200002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47Y1/en
Publication of KR20220000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6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4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고정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고정되어 일정높이의 작업공간을 싱글 또는 더블형태로 구성되는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공간부에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함과 함께 작업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부를 구성함으로써, 분해, 조립의 간편성과 확고한 고정에 의한 견고성과, 작업자의 출입통제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바닥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단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싱글타입의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합체가 구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성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들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구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천정 및 바닥슬래브 사이에 상기 기둥프레임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상단 및 하단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1연결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제1연결브라켓 각각에 양단 각각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기둥프레임에 대하여 보강력을 강화하는 복수의 보강바와;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을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 각각에 양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에 대한 내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복수의 내진보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aerial work bench, comprising: a column frame fixed between a floor and a ceiling slab; By configuring the doo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work while controlling the worker's access, it improves the simplicity of disassembly and assembly, the robustness by firm fixation, and the safety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worker's access control. Its purpose is to mak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pillars fix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slab; and a single-type working space part configured at one end of the pillar part to form a space so that a worker can safely work; The pillar portion comprises: a pillar frame in which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are combined, and a plurality of pillar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Upper and lower brackets configur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lumn frames, respectively, to support the column frame to be fix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loor slab by a fixing mean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brackets fix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and the first frame;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each having both ends fix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brackets by fastening means to strengthen the reinforc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pillar frame;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brackets fixed to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seismic reinforcing bars having both ends fix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brackets by fastening means, and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to improve seismic resistance to the pillar frame.

Description

조립식 고소작업대{A prefabricated high-place workable}A prefabricated high-place workable

본 고안은 조립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고정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고정되어 일정높이의 작업공간을 싱글 또는 더블형태로 구성되는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공간부에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함과 함께 작업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부를 구성함으로써, 분해, 조립의 간편성과 확고한 고정에 의한 견고성과, 작업자의 출입통제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aerial work bench, and more specifically, a column frame fixed between the sea and a ceiling slab, and a work space portion fixed to the column frame to provide a work space of a certain height in a single or double form, and , By configuring the doo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work while controlling the access of the worker to the work space, the simplicity of disassembly and assembly, the robustness by firm fixation, and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worker's access control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aerial work platform to improve safety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건축물의 벽체 내, 외장작업 또는 대형선박의 내,외장 작업을 하기 위해서 건축물 또는 대형선박의 개별적 블록의 내, 외부에는 건축물 또는 개별적 블록 높이로 조립된 고소(高所) 작업대가 설치된다. 상기 고소작업대는 작업자가 소정의 내, 외장작업을 하기 위한 발판이 여러 층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발판 외측에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In general, in order to perform internal and external work on the wall of a building or exterior work of a large vessel on the ground, a high-altitude workbench assembled at the height of a building or individual block is located inside and outside individual blocks of a building or large vessel. is installed The high-altitude work platform is provided with several layers of scaffolding for the operator to perform internal and external work, and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s essential on the outside of each scaffold.

상기한 고소작업대는 설치된 후 소정의 작업이 종료되면, 장치를 해체하고, 또 다른 고소의 작업장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반복작업을 수행하게 된다.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complete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above-mentioned high-place work platform, the device is disassembled, and the repetitive operation of being installed and used in another high-place workshop is performed.

그러나,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대부분 대형화된 구조를 이룸에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사용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운반이나 보관 등의 취급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most of the conventional aerial work platforms have an enlarged structure,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installation and use are very inconvenient, and handling such as transportation or storage is inconvenient.

특히,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작업높이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이 설치되어, 상기 발판을 통해 작업자가 통행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이 경우, 조립식의 특성상 발판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판이 설치될 경우 고소작업대의 외측부에 별도의 사다리를 구성하여, 지면에서부터 발판이 설치된 작업공간까지 이동하도록 하였다.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aerial work platform is configured to have at least one footrest installed according to the working height, so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work while passing through the footrest. , when the footrest is installed, a separate ladder is constructed on the outer side of the high-place workbench to move from the ground to the work space where the footrest is installed.

이때, 고소작업대의 외측에 구성된 사다리를 통해 작업구간별 이동할 때, 작업자의 실수 등에 의해 낙하될 수 있다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된다.At this time, when moving for each work section through the ladder constructed on the outside of the high-place work platform, there is a safety problem that the worker may fall due to a mistake or the like.

이에, 상기 고소작업대의 외측에 상기 사다리를 통해 안전한 통행을 보장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장치를 추가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safety device must be additionally configured to ensure safe passage through the ladder on the outside of the aerial work platform.

또한, 고소작업대에 별도의 안전장치를 추가함에 따른 조립의 복잡성과, 조립 및 해체시 작업공수의 추가로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mplexity of assembling due to the addition of a separate safety device to the high-place workbench, and the work efficiency decrease due to the addition of work man-hours during assembling and dismantling.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38983호(2008.03.14.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438983 (2008.03.14. Announcement)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903023호(2018.10.01.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03023 (2018.10.01. Announcement)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858호(2020.05.04. 공개)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20-858 (published on May 4, 202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고정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고정되어 일정높이의 작업공간을 싱글 또는 더블형태로 구성되는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공간부에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함과 함께 작업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부를 구성함으로써, 분해, 조립의 간편성과 확고한 고정에 의한 견고성과, 작업자의 출입통제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As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umn frame fixed between a floor and a ceiling slab and a work space fixed to the column frame and configured in a single or double work space with a predetermined height. It includes a part and controls the worker's access to the work space and configures the door to not interfere with the work, so that the simplicity of disassembly and assembly and the robustness by firm fixation, and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worker's access control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aerial work platform to improve safety, etc.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단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싱글타입의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합체가 구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성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들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구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천정 및 바닥슬래브 사이에 상기 기둥프레임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상단 및 하단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1연결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제1연결브라켓 각각에 양단 각각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기둥프레임에 대하여 보강력을 강화하는 복수의 보강바와;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을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 각각에 양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에 대한 내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복수의 내진보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t least one or more pillars fix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slab; and a single-type working space part configured at one end of the pillar part to form a space so that a worker can safely work; The pillar portion comprises: a pillar frame in which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are combined, and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upper and lower brackets configur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lumn frames to support the column frame to be fix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loor slab by fixing mean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brackets fix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and the first frame;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each having both ends fix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brackets by fastening means to strengthen reinforc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pillar frame;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brackets fixed to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seismic reinforcing bars having both ends fix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brackets by fastening means, and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thereby improving seismic resistance to the pillar frame.

본 고안에 있어서, 작업공간부는, 상단에 발판이 구성되어 작업자의 통행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안전난간과; 상기 발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부와; 상기 안전난간의 상단부와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강화시키는 상부보강리브; 및 상기 안전난간의 하단부와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강화시키는 하부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space unit, a support frame is configured on the upper end to support the operator so that the passage is made freely; a safety handrail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door unit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footrest, which opens and closes to control the entry and exit of the operator; an upper reinforcing rib configur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afety handrail and the first frame of the pillar frame to strengthen the reinforcing force; and a lower reinforcing rib configur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afety handrail and the first frame of the pillar frame to strengthen the reinforcing force.

본 고안에 있어서, 도어부는, 상기 발판에 형성된 개구부에 위치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이송력을 발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스터와;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 구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개폐판의 양단측에 각각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캐스터가 수납되어 상기 캐스터의 이송을 안내하며, 개폐판의 개폐작용으로 발판의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받침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되는 복수의 도어레일; 및 상기 받침프레임과 복수의 도어레일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레일이 받침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uni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positioned in the opening formed in the footrest; at least one or more caster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closing plate to exert a conveying force; a handle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 plurality of doors configured on both end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the casters are accommodated inside, to guide the transport of the casters, and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footrest by the opening and closing a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rail; and at least one rail fixing bracket configur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plurality of door rails to support the door rail to be fixed to the support frame.

본 고안에 있어서, 받침프레임은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복수의 제1받침바와,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2받침바와,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 사이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보강바와, 상기 제1프레임과 제1받침바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제3연결브라켓, 및 상기 제1받침바와 중간보강바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제4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난간은 상기 받침프레임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1테두리프레임과, 상기 제1테두리프레임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2테두리프레임과, 상기 제2테두리프레임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3테두리프레임과, 받침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연결브라켓과,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6연결브라켓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7연결브라켓, 및 상기 제1 및 제2테두리프레임의 외주연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성되는 난간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보강리브 각각은 안전난간과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제공하는 상,하부보강바, 및 상기 상,하부보강바와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복수의 제8 및 제9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first frame of the column frame, a second support bar fixed to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and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At least one intermediate reinforcing bar configured between the bars, a plurality of third connection brackets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supporting bar to support to maintain a fixed state, an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bar and the intermediate reinforcing bar and a plurality of fourth connection brackets configured to support to maintain a fixed state; The safety handrail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vertical frames extending vertically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by a predetermined length, a first frame fram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fram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t least one fifth connection bracket configured to exert a fixing force, a second frame frame configured to be so, a third frame fram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rame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upport frame and a vertical frame, At least one sixth connection bracket is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to third frame frames of the pillar frame to exert a fixing force, and is configur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to third frame frames to exert a fixing force at least one or more seventh connection brackets, and a balustrade configur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 frames to prevent a worker from falling at regular intervals; Each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ribs is configured between the safety handrail and the first frame to provide reinforcing force, and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are configur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and the first frame to exert a fixing for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8th and 9th connection brackets.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고정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고정되어 일정높이의 작업공간을 싱글 또는 더블형태로 구성되는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공간부에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함과 함께 작업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부를 구성함으로써, 분해, 조립의 간편성과 확고한 고정에 의한 견고성과, 작업자의 출입통제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column frame fixed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slab and a work space portion fixed to the column frame and configured in a single or double form to provide a work space of a certain height to the column frame, and to prevent the worker from entering and leaving the work space. By configuring the doo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work together with the control box,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implicity of disassembly and assembly, the robustness by firm fixation, and the safety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the access control of workers.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고소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고소작업대의 측면도로서,
2a는 더블타입 작업공간부이고, 2b는 싱글타입 작업공간부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로서,
3a는 "A"부 확대도이고, 3b는 "B"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공간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부의 설치상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부의 설치상태 정단면도로서,
6a는 사시도이고, 6b는 6a의 "C"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부의 설치상태 측단면도로서,
7a는 사시도이고, 7b는 7a의 "D"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부의 개폐판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aerial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prefabricated high-plac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double-type workspace part, and 2b is a single-type workspace part.
Figure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ure 1,
3a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and 3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erspective view, and 6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6a.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perspective view, and 7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7a.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of the 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조립식 고소작업대(1)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0), 및 층간작업공간부(20)를 포함하여 트러스트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조립의 간편성과 운반의 용이성 및 구조물의 견고성을 가지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1 to 8, the prefabricated high-place work tab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trust structure including a column part 10 and an inter-floor work space part 20, so that the ease of assembly and transport Ease of use and robustness of the structure should be ensured.

이 경우, 상기 기둥부(10) 및 작업공간부(20)는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다수의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파일 방식의 조립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일면에 일정폭을 가지는 개구가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된 C형강 형태로 형성되고, 다른 일면들에는 다수의 통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pillar part 10 and the working space part 20 are configured in a profile-type prefabricated type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and a bracke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rames. In addition, the fram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shaped steel in which opening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상기 기둥부(10)는 바닥슬래브(2)와 천정슬래브(3)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기둥부(10)는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성된다.The pillar 10 is configured between the floor slab 2 and the ceiling slab 3 to exert a fixing force. In this case, the pillar portion 10 is configured in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상기 기둥부(10)는 기둥프레임(110)과, 상단브라켓(120)과, 하단브라켓(130)과, 제1연결브라켓(140)과, 보강바(150)와, 제2연결브라켓(160), 및 내진보강바(170)를 포함한다.The pillar portion 10 includes a pillar frame 110 , an upper bracket 120 , a lower bracket 130 , a first connection bracket 140 , a reinforcing bar 150 , and a second connection bracket 160 . ), and a seismic reinforcing bar 170 .

상기 기둥프레임(110)은 바닥 및 천정슬래브(2)(3) 사이에 구성되어, 버팀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illar frame 110 is configured between the floor and ceiling slabs 2 and 3,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holding force.

상기 기둥프레임(110)은 횡방향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성됨으로써, 작업공간부(20)의 일단에 버팀에 의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기둥프레임(110)은 상기 작업공간부(20)의 일단에 구성되는 싱글타입을 기본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서, 상기 작업공간부(20)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는 더블타입도 사용 가능하다.The pillar frame 110 is configured in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force by the brace acts on one end of the work space portion 20 . In this case, the pillar frame 110 is based on a single type configured at one end of the working space unit 20 , and in some cases, a double type configured at both ends of the working space unit 20 is also used. possible.

상기 기둥프레임(110)은 제1 및 제2프레임(112)(114)이 합체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2)(114)은 일면에 형성된 개구가 상호 외측방향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The pillar frame 110 is a combination of first and second frames 112 and 114 .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12 and 114 are configured such that openings formed on one surface are positioned in the mutual outward direction.

상기 제1프레임(112)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보강바(15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버팀에 의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프레임(112)은 작업공간부(20)가 형성된 방향의 내측에 구성된다.The first frame 112 ha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5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rforms a function of exerting the fixing force by the brace. In this case, the first frame 112 is configured on the in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ing space 20 is formed.

상기 제2프레임(114)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내진보강바(170)가 형성되어, 고소작업대(1)에 대한 내진성을 강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2프레임(114)은 작업공간부(20)가 형성된 방향의 외측에 구성된다.The second frame 114 has a plurality of seismic reinforcing bars 17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rforms a function of strengthening the seismic resistance of the aerial work platform (1). In this case, the second frame 114 is configured outside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ing space 20 is formed.

상단브라켓(120)은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천정슬래브(3)의 하단에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력을 발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upper bracket 120 is configured at the upper end of the pillar frame 110, and performs a function of exerting a fixing force to be firmly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eiling slab (3).

상기 상단브라켓(120)은 천정슬래브(3)의 하단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일정폭의 상단판(122), 및 상기 상단판(122)의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기둥프레임(110)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상단지지판(124)을 포함한다.The upper bracket 120 extends a certain length from one side of the upper plate 122 of a certain width and the upper plate 122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slab 3, and is a column frame by fastening means. It includes an upper support plate 124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110 is fixed.

또한, 상기 상단판(122)은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천정슬래브(3)의 하단에 앵커볼트 또는 기타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상단판(122)이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12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so that the upper plate 122 is firmly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eiling slab 3 by an anchor bolt or other fixing means capable of exerting a fixing force.

또한, 상단지지판(124)은 상기 상단판(122)에서 일정높이 연장되고, 기둥프레임(110)의 일면에 위치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기둥프레임(11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상단지지판(124)은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양단 각각에 위치되도록 복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plate 124 extends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plate 122 and is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column frame 110 so that the column frame 110 is fixed by a fastening mean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pport plate 124 is configured in plurality so as to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pillar frame 110 .

이 경우,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 직결볼트 또는 고소작업대에 사용되는 전용 볼트 등으로 구성되어, 기둥프레임(10) 및 작업공간부(20)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브라켓 등을 용이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fastening means is composed of a bolt and a nut, a direct connection bolt or a dedicated bolt used for a high-place workbench, etc. to easily fasten the frame and the bracket forming the pillar frame 10 and the working space 20, Any means that can be fixed can be used.

하단브라켓(130)은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바닥슬래브(2)의 상단에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력을 발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ower bracket 130 i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umn frame 110 and performs a function of exerting a fixing force to be firm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loor slab 2 .

상기 하단브라켓(130)은 바닥슬래브(2)의 상단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일정폭의 하단판(132), 및 상기 하단판(132)의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기둥프레임(110)의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하단지지판(134)을 포함한다.The lower bracket 130 is a lower plate 132 of a certain width that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slab 2, and extends a certain length from one side of the lower plate 132, and is a pillar frame by means of a fastening means. It includes a lower support plate 134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110 is fixed.

또한, 상기 하단판(132)은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바닥슬래브(2)의 상단에 앵커볼트 또는 기타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하단판(132)이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plate 132 so that the lower plate 132 is firm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loor slab 2 by anchor bolts or other fixing means capable of exerting a fixing force.

또한, 하단지지판(134)은 상기 하단판(132)에서 일정높이 연장되고, 기둥프레임(110)의 일면에 위치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기둥프레임(11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하단지지판(134)은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양단 각각에 위치되도록 복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support plate 134 extends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plate 132 and is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column frame 110 so that the column frame 110 is fixed by a fastening mean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upport plate 134 is configured in plurality so as to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pillar frame 110 .

제1연결브라켓(140)은 기둥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구성되는 보강바(150)가 상기 기둥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onnection bracket 14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fixing force so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50 configur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frame 110 can be fixed to the pillar frame 110 . .

상기 제1연결브라켓(140)은 기둥프레임(110)의 일측 즉, 제1프레임(112)의 일측에 밀착되게 구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지지바(142), 및 상기 제1지지바(142)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보강바(150)의 일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1안착바(144)를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on bracket 140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illar frame 110 , that is,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12 , and a first support bar 142 fixed by a fastening means, and the first support. A first seating bar 144 extending horizontally from one end of the bar 142 and supporting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50 to be fixed by a fastening means is included.

상기 제1지지바(142)는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에 확고한 밀착 및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수의 면에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ㄴ' 또는 'ㄷ' 형태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ㄴ'형태의 제1지지바(142)는 하나의 보강바(150) 일단에 대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위치에 사용되고, 'ㄷ'형태의 제1지지바(142)는 복수의 보강바(150) 양측 각각에 보강바(150)에 대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위치에 사용된다.The first support bar 142 is configured in a 'b' or 'c' shape to mainta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a plurality of surfaces to maintain a firm adhesion and fixation state to the first frame 112 of the column frame 110 . . For example, the 'b'-shaped first support bar 142 is used at a position to exert a fixing force on one end of one reinforcing bar 150, and the 'C'-shaped first support bar 142 is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bar 150 is used at each of both sides of the position to exert the fixing force for the reinforcing bar 150 .

상기 제1안착바(144)는 'ㄷ'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일면을 통해 보강바(150)를 삽입시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안착바(144)는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제1안착바(144)를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first seating bar 144 is formed in a 'c' shape, and the reinforcing bar 15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surface to allow assembly.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seating bar 144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pe and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seating bar 144 is inserted inside.

보강바(150)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기둥프레임(1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구성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프레임(110)에 대하여 수평방향에 대한 보강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복수의 기둥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된 제1연결브라켓(140)의 제1안착바(144) 사이에 양단 각각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보강력을 발휘한다.The reinforcing bar 150 is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11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strengthen the reinforcing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ly erected pillar frame 110 . carry out In this case, both ends are fixed between the first seating bars 144 of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140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110 by fastening means, thereby exerting a reinforcing force.

제2연결브라켓(160)은 기둥프레임(110)의 제2프레임(114)에 고정되어, 내진보강바(170)가 상기 기둥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160 is fixed to the second frame 114 of the pillar frame 110 , and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the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bar 170 to be fixed to the pillar frame 110 .

상기 제2연결브라켓(160)은 기둥프레임(110)의 제2프레임(114)에 밀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지지바(162)와, 상기 제2지지바(162)의 일측에 수평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내진보강바(17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안착바(164)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1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frame 114 of the pillar frame 110 and a second support bar 162 fixed by a fastening means, and at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bar 162 . It includes a second seating bar 164 extending a certain length horizontally so that one end of the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bar 170 can be fixed.

상기 제2지지바(162)는 상술된 제1지지바(142)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 및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econd support bar 162 form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and structur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support bar 142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2안착바(164)는 상기 제2지지바(162)의 일측에 구성되어, 내진보강바(17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제2안착바(164)에는 일측에 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된 절첩바(166)가 구성된다.The second seating bar 164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bar 162 so that one end of the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bar 170 is fixed. In this case, the second seating bar 164 has one side A folding bar 166 hinged by a hinge is configured.

즉, 상기 제2안착바(164)는 일단이 제2지지바(162)에 고정되고, 타단에 힌지에 의해 결합된 절첩바(166)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절첩바(166)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내진보강바(170)의 일정각도 경사진 연결상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at is, one end of the second seating bar 164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bar 162 and a folding bar 166 coupled by a hinge to the other end is configured, so that the folding bar 166 is hinged. As it rotates to the center, the connection stat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of the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bar 170 is smoothly made.

상기 내진보강바(170)는 복수의 기둥프레임(110)의 제2프레임(114) 사이 각각에 구성된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160)에 의해 양단 각각이 고정되어, 기둥프레임(110)에 대한 내진성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ismic reinforcing bar 170 is fixed at both ends by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brackets 160 configured between the second frames 114 of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110 , respectively, for the pillar frame 110 .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seismic resistance.

이 경우, 상기 내진보강바(170)는 일정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복수의 기둥프레임(110) 사이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연결브라켓(160)의 절첩바(166)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이 이루어져, 상기 내진보강바(170)의 경사진 형태의 조립이 용이하다.In this case, the earthquake-resistant reinforcing bar 170 is configured between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110 in a inclined shape at a certain angle, and the folding bar 166 of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160 is rotated around a hinge. This makes it easy to assemble the seismic reinforcing bar 170 in an inclined shape.

작업공간부(20)는 기둥프레임(10)의 일단에 작업자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작업공간부(20)는 작업형태에 따라 상기 기둥프레임(10)에 하나 또는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복수로 구성된다.The work space unit 20 performs a function of forming a work space at one end of the pillar frame 10 so that the work of the operator is easy. In this case, the work space unit 20 is configured in plurality to have one or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pillar frame 10 according to the work type.

상기 작업공간부(20)는 받침프레임(210)과, 안전난간(220)과, 도어부(230)와, 상부보강리브(240)와, 하부보강리브(250), 및 발판(260)을 포함한다.The work space unit 20 includes a support frame 210 , a safety handrail 220 , a door unit 230 , an upper reinforcing rib 240 , a lower reinforcing rib 250 , and a footrest 260 . include

상기 받침프레임(210)은 복수의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 각각에서 수직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성되는 복수의 제1받침바(212)과,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212)의 끝단에 구성되는 제2받침바(214)와,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212) 사이에 복수로 구성되어 보강력을 강화하는 복수의 중간보강바(216)를 포함한다.The support frame 2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212 configured to vertically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each of the first frames 112 of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110, and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 It includes a second support bar 214 configured at the end of the 212, an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reinforcing bars 216 configured in plurality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212 to strengthen the reinforcing force.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2)과 제1받침바(212) 사이에 구성되어, 상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3연결브라켓(218), 및 상기 제1받침바(212)와 중간보강바(216) 사이에 구성되어, 상호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제4연결브라켓(319)을 포함한다.In addition, a third connection bracket 218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frame 112 and the first support bar 212 to support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a fixed state, and the first support bar 212 and the middle It is configured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216 and includes a fourth connection bracket 319 for supporting each other to maintain a fixed state.

즉, 상기 받침프레임(210)은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 일측에 제3연결브라켓(218)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3연결브라켓(218)의 타단에 제1받침바(212)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3연결브라켓(218)에 의해 기둥프레임(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1받침바(212) 고정이 완료된다.That is, in the support frame 210 , one end of the third connection bracket 218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12 of the pillar frame 110 , and the first suppor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connection bracket 218 . One end of the bar 212 is fixed, and the fixing of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21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frame 110 by the third connection bracket 218 is completed.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212) 일측 각각에는 제4연결브라켓(219)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4연결브라켓(219)의 타단에 중간보강바(216)의 양단 각각이 고정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212)에 대한 보강력이 강화되도록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ourth connection bracket 219 is fix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212 , and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reinforcing bar 216 ar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connection bracket 219 , respectively. By doing so, the reinforcing force for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ing bars 212 is strengthened.

이 경우, 상기 제3 및 제4연결브라켓(218)(219)은 상술된 제1연결브라켓(14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고정방식 및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since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on brackets 218 and 219 ar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fixing method and shap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connection bracket 140,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받침바(212)(214)에는 제3 및 제4연결브라켓(218)(219)을 통해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마감브라켓을 통해 연결하는 등의 연결방식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212 and 214 are configured to be mutually fixed through third and fourth connection brackets 218 and 219, or, as shown, through a separate closing bracket. A connection method such as connecting may be configured.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받침프레임(210)의 상면에는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수행이 이루어지도록 발판(260)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footrest 260 is configured so that the operator can safely perform work.

상기 발판(260)은 작업자의 안전한 통행 및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철판과 같은 판재형상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철편을 일정간격으로 구성한 크레이팅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The footrest 260 has a plate shape such as an iron plate so that the safe passage and work of the operator is made.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formed in a crating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iron pieces at regular intervals.

또한, 상기 발판(260)에는 도어부(230)에 의해 개폐되면서, 작업자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구부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ootrest 260 is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unit 230, and configured to allow the worker to enter and exit the opening.

안전난간(220)은 받침프레임(210) 상에 일정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프레임(210) 상에서 작업자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난간(欄干) 기능을 수행한다.The safety handrail 2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support frame 210 , and performs a handrail function so that a worker can safely perform a work on the support frame 210 .

상기 안전난간(220)은 수직프레임(221)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222)(223)(224)과, 제5 내지 제7연결브라켓(225)(226)(227), 및 난간대(228)를 포함한다.The safety handrail 220 includes a vertical frame 221 , first to third frame frames 222 , 223 , 224 , fifth to seventh connection brackets 225 , 226 , 227 , and and a handrail 228 .

상기 수직프레임(221)은 받침프레임(210)의 외곽테두리 즉, 제1 및 제2받침바(212)(2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일정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작업공간부(20)에 대한 주(主) 고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210)은 받침프레임(210)의 외곽테두리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The vertical frame 221 is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outer edge of the supporting frame 210 ,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bars 212 and 214 ,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roviding the main anchoring forc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vertical frames 21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outer edge of the support frame 210 .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222)(223)(224)은 받침프레임(210) 즉, 제1 및 제2받침바(212)(214)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수직프레임(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구성되어, 작업자의 작업안전성을 보장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to third frame frames 222, 223 and 224 ar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size as the support frame 21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212 and 214, the vertical frame ( 221)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rforms a supporting function to ensure the work safety of the worker.

상기 제1테두리프레임(222)은 받침프레임(210)에 대하여 상방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안전난간(220)의 하단에 대한 받침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border frame 222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frame 2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supporting force for the lower end of the safety handrail 220 .

상기 제2테두리프레임(223)은 상기 제1테두리프레임(222)에서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안전난간(220)의 상단에 대한 받침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frame frame 223 is formed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first frame frame 222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ovide support for the upper end of the safety handrail 220 .

상기 제3테두리프레임(224)은 상기 제2테두리프레임(223)에서 상방에서 일정격되게 구성되어, 수직프레임(221)에 대한 보강 및 안전난간의 보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3테두리프레임(224)은 경우에 따라서 생략 가능하다.The third frame 224 is configur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rame 223,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vertical frame 221 and the reinforcing force of the safety handrail. In this case, the third border frame 224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제5연결브라켓(225)은 받침프레임(210)과 수직프레임(221)의 하단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받침프레임(210)에 대하여 수직프레임(221)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한다.The fifth connection bracket 225 is configur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10 and the vertical frame 221 to apply a fixing force to the support frame 210 to maintain the vertical frame 221 stably fixed. to provide.

제6연결브라켓(226)은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222)(223)(224) 사이의 연결부위에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12)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222)(223)(224)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제공한다.The sixth connection bracket 226 is configur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frame 112 and the first to third frame frames 222, 223 and 224 of the pillar frame 110, and the first frame ( With respect to 112), the first to third frame frames 222, 223, and 224 provide a fixing force so that they can be stably fixed.

제7연결브라켓(227)은 수직프레임(221)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222)(223)(224)의 상호 연결부위에 구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221)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222)(223)(224)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seventh connection bracket 227 is configured at the interconnection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221 and the first to third frame frames 222 , 223 , 224 , and the first to first to third fram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221 . 3 to keep the frame frames 222, 223, and 224 stably fixed.

난간대(228)는 제1 및 제2테두리프레임(222)(223)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테두리프레임(222)(223) 사이공간으로 작업자 등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도록 복수로 구성된다.The handrail 228 is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 frames 222 and 223, so as to prevent a fall accident such as an operator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 frames 222 and 223. is composed

상기 난간대(228)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난간봉(2282), 및 상기 난간봉(2282)의 상,하단 각각에 구성되고, 일면이 개구되는 고정대(228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대(2284)의 개구(開口)로 제1 및 제2테두리프레임(222)(223)의 일측을 삽입시킨 후 체결수단으로 확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난간대(228)의 설치를 완료한다.The balustrade 228 includes a balustrade bar 2282 erected vertically, and a fixing bar 2284 that is configur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lustrade bar 2282 and has one surface open. Accordingly,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 frames 222 and 223 into the opening of the holder 2284 and then firmly fixing it with a fastening means, the installation of the handrail 228 is completed. do.

도어부(230)는 받침프레임(2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공간부(20)로 작업자의 안전한 출입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oor unit 230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210 to ensure safe entry and exit of the operator into the work space unit 20 .

상기 도어부(230)는 개폐판(232)과, 캐스터(234)와, 손잡이(236)와, 도어레일(238), 및 레일고정브라켓(239)를 포함한다.The door unit 230 includes an opening/closing plate 232 , a caster 234 , a handle 236 , a door rail 238 , and a rail fixing bracket 239 .

상기 개폐판(232)은 받침프레임(210) 상에 구성된 발판(26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The opening/closing plate 232 is configured in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footrest 260 configured on the support frame 21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상기 개폐판(232)은 상기 발판(260)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상판(2322), 및 상기 상판(2322)의 일단에 하향되게 절곡되어, 전방에 구성되는 보강바(150)에 계합되는 절곡판(2324)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판(232)은 절곡판(2324)의 대향된 방향으로 개폐가 이루어진다.The opening/closing plate 232 is bent downwardly at one end of the upper plate 2322 and the upper plate 2322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footrest 260, to the reinforcing bar 150 configured in the front. It is composed of a bending plate 2324 to be engaged. 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32 is opened and cl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ent plate 2324 .

캐스터(234)는 상기 개폐판(232)의 하단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어, 상기 개폐판(232)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송기능을 수행한다.At least one caster 234 is configured at each lower end of the opening/closing plate 232 to perform a transfer function so that the opening/closing plate 232 can be smoothly opened and closed.

손잡이(236)는 개폐판(232)의 일측 예컨대, 절곡판(2324)의 근접된 위치에 개폐판(232)의 상,하단 각각에 구성되어, 작업자가 작업공간부(20)으로 출입하고자할 때, 상기 개폐판(232)의 개폐를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한다.The handle 236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32 , for example,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32 in a position close to the bending plate 2324 , so that the operator wants to enter and exit the work space 20 .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32 is smoothly opened and closed.

도어레일(238)은 받침프레임(210)에 구성되는 복수의 제1받침바(212) 각각 일측에 구성되고, 내측에 복수의 캐스터(234)가 삽입되어, 개폐판(232)의 개폐가 이루어질 때, 상기 캐스터(234)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oor rail 238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212 included in the support frame 210 , and a plurality of casters 234 are inserted therein,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32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is time, it performs a function of guiding and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caster 234 .

이 경우, 상기 도어레일(238)은 기둥프레임(10) 및 작업공간부(20)에서 채용하고 있는 프레임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프레임은 C형강 형태의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일면에 일정폭의 개구가 형성된 형상으로서, 내측에 캐스터(234)를 삽입시킨 후 상기 캐스터(234)에서 연장된 고정축이 상기 프레임의 개구를 통해 개폐판(232)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개폐판(232)에 캐스터(234)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as the door rail 238 , it is preferable to use a frame employed in the pillar frame 10 and the work space unit 20 . That is, the frame is composed of a C-shaped steel profile, and an opening of a certain width is formed on one surface. By being fix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32 through the, the caster 234 is stably fix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32 .

레일고정브라켓(239)은 받침프레임(210)의 제1받침바(212)와 도어레일(238)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받침바(212)에 의해 도어레일(238)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The rail fixing bracket 239 is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212 and the door rail 238 of the support frame 210 , and the door rail 238 is stably fixed by the first support bar 212 . support to keep it.

상부보강리브(240)는 작업공간부(20)의 상방에 구성되어, 기둥부(10)에 대하여 작업공간부(20)의 상방에 대한 버팀 및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upper reinforcing rib 240 is configured above the working space 20 , and performs a function of exerting support and fixing force for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ing space 20 with respect to the column 10 .

상기 상부보강리브(240)는 상부보강바(242), 및 제8연결브라켓(244)을 포함한다.The upper reinforcing rib 240 includes an upper reinforcing bar 242 and an eighth connection bracket 244 .

상기 상부보강바(242)는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과 안전난간(220)의 상단 즉, 제3테두리프레임(224) 사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버팀 및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보강바(242)는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The upper reinforcing bar 242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are fixed between the first frame 112 of the pillar frame 110 and the upper end of the safety handrail 220, that is, the third frame 224, respectively, to strengthen it. In this case, the upper reinforcing bar 242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제8연결브라켓(244)은 제1프레임(112)과 상부보강바(242) 또는 제3테두리프레임(224)과 상부보강바(242)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12)과 제3케두리프레임(224) 사이에 상부보강바(242)가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한다.The eighth connection bracket 244 is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frame 112 and the upper reinforcing bar 242 or the third frame 224 and the upper reinforcing bar 242, and the first frame 112 and The upper reinforcing bar 242 is firmly fixed between the third Keduri frame 224 and is supported.

이 경우, 상기 제8연결브라켓(244)은 상술된 제2연결브라켓(1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작용관계를 가지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since the eighth connection bracket 244 has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o the above-described second connection bracket 16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하부보강리브(250)는 작업공간부(20)의 하방에 구성되어, 기둥부(10)에 대하여 작업공간부(20)의 하방에 대한 버팀 및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ower reinforcing rib 250 is configured below the working space 20, and performs a function of exerting support and fixing force for the lower side of the working space 20 with respect to the column 10.

상기 하부보강리브(250)는 하부보강바(252), 및 제9연결브라켓(254)을 포함한다.The lower reinforcing rib 250 includes a lower reinforcing bar 252 and a ninth connection bracket 254 .

상기 하부보강바(252)는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과 안전난간(220)의 하단 즉, 제1테두리프레임(222) 사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버팀 및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하부보강바(252)는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The lower reinforcing bar 252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are fix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afety handrail 220 of the pillar frame 110, that is, the first frame 222, respectively, to strengthen it. In this case, the lower reinforcing bar 252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제9연결브라켓(254)은 제1프레임(112)과 하부보강바(252) 또는 제1테두리프레임(222)과 하부보강바(252)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12)과 제1케두리프레임(222) 사이에 하부보강바(252)가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한다.The ninth connection bracket 254 is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frame 112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52 or the first frame 222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52, and the first frame 112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52 is supported to be firmly fixed between the first Keduri frame 222.

이 경우, 상기 제9연결브라켓(254)은 상술된 제2연결브라켓(1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작용관계를 가지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since the ninth connection bracket 254 has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to the above-described second connection bracket 16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소작업대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y and use of the aerial work platfor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바닥 및 천정슬래브(2)(3) 사이에 복수의 기둥프레임(110)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110)의 사이에 다수의 보강바(150), 및 내진보강바(170)로 이루어진 기둥부(10)를 구성한다.First, a plurality of column frames 110 between the floor and ceiling slabs (2) and (3),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bars 150 between the plurality of column frames 110, and an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bar (170). constituting the formed column part 10 .

즉,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구성된 상단 및 하단브라켓(120)(130)을 이용하여, 바닥 및 천정슬래브(2)(3) 사이에 복수의 기둥프레임(110)을 고정하고,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 일측에 제1연결브라켓(140)을 고정하여, 상기 제1연결브라켓(140)에 의해 복수의 기둥프레임(110)의 사이공간에 다수의 보강바(150)를 고정한다.That is,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110 are fixed between the floor and ceiling slabs 2 and 3 using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120 and 130 configur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lumn frame 110, respectively. and fixing a first connection bracket 140 to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12 of the pillar frame 110, and a plurality of spaces between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110 by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140 of the reinforcement bar 150 is fixed.

이어서, 상기 기둥프레임(110)에는 제2연결브라켓(160)을 이용하여,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제2프레임(114)에 제2연결브라켓(160)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내진보강바(170)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강바(150)에 의해 기둥프레임(110)의 보강력을 강화함과 함께, 내진보강바(170)에 의해 기둥프레임(110)의 내진성을 강화하게 된다.Nex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160 is fixed to the second frame 114 of the pillar frame 110 using a second connection bracket 160 to the pillar frame 110 ,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end. By fixing the seismic reinforcing bar 170 at an angle inclined, while reinforcing the reinforcing force of the column frame 110 by the reinforcing bar 150, the seismic resistance of the column frame 110 by the seismic reinforcing bar 170 is improved. will be strengthened

그리고,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일측에 일정높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공간부(20)를 구성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working space unit 20 is configur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pillar frame 110 .

상기 작업공간부(20)는 받침프레임(210)과 상기 받침프레임(210) 상에 구성되는 발판(260)과, 상기 받침프레임(210)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안전난간(220)과, 도어부(230)및 상,하단보강리브(240)(250)로 구성된다.The work space unit 20 includes a support frame 210 and a footrest 260 configured on the support frame 210, a safety rail 220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frame 2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door unit. 230 and upper and lower reinforcing ribs 240 and 250 .

즉, 상기 받침프레임(210)은 기둥프레임(110)의 일측에 제3연결브라켓(218)을 고정하여, 상기 제3연결브라켓(218)의 타측에 제1받침바(212)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212) 사이에 제4연결브라켓(219)에 의해 중간받침바(216)가 고정되어 보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받침바(212)의 끝단부에 제2받침바(214)가 고정됨으로써, 받침프레임(210)의 틀을 형성한다.That is, the support frame 210 fixes the third connection bracket 218 to one side of the pillar frame 110 , and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212 are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bracket 218 . The intermediate support bar 216 is fix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212 by a fourth connection bracket 219 to exert a reinforcing force, and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bar 212 is By fixing the second support bar 214 to the part, the frame of the support frame 210 is formed.

이어서, 상기 받침프레임(210) 상에 발판(260)을 고정한다.Then, the footrest 260 is fixed on the support frame 210 .

이때, 상기 발판(260)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개구부에 도어부(230)를 장착시켜, 작업자가 작업공간으로 출입됨을 보장함과 함께, 개구부를 통한 작업자 등의 임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한다.At this time, since an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ootrest 260, the door unit 230 is mounted on the opening to ensure that the operator enters and exits the work space, and any fall of the operator through the opening is prevented. to prevent

즉, 상기 도어부(230)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1받침바(212)의 일측에 도어레일(238)을 레일고정브라켓(239)으로 고정한다.That is, the door part 230 fixes the door rail 238 to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bar 212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with the rail fixing bracket 239 .

그리고, 개폐판(232)의 하단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된 다수의 캐스터(234)를 상기 도어레일(238)에 삽입시켜, 상기 개폐판(232)이 도어레일(238)을 따라 이송됨으로써, 상기 개폐판(232)에 의해 발판(260)의 개구부를 개폐시킨다.Then, by inserting a plurality of casters 234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3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to the door rail 238,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32 is transported along the door rail 238, The opening of the footrest 260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closing plate 232 .

또한, 상기 도어부(230)가 장착된 받침프레임(210)의 상방에 안전난간(220)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afety handrail 220 is configured above the support frame 210 on which the door part 230 is mounted.

상기 안전난간(220)은 받침프레임(210)의 제1받침바(212) 일측에 제5연결브라켓(225)을 체결시켜, 상기 제5연결브라켓(225)에 의해 받침프레임(210)에서 일정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수직프레임(221)을 고정하고, 상기 수직프레임(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하방에서 상방에 순차적으로 제1 내지 3테두리프레임(222)(223)(224)을 제6연결브라켓(226)에 의해 고정시킨다.The safety handrail 220 fastens a fifth connection bracket 225 to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bar 212 of the support frame 210, and is fixed in the support frame 210 by the fifth connection bracket 225.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221 having a height are fixed, and the first to third frame frames 222, 223, and 224 are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221. It is fixed by the sixth connection bracket (226).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테두리프레임(222)(223) 사이에 다수의 난간대(228)를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시켜 작업공간을 형성한다.Then, a plurality of handrails 228 are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 frames 222 and 223 by fastening means to form a working space.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210) 및 안전난간(220)에 대한 보강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기둥프레임(110)과 안전난간(220)의 상단 사이에 상부보강리브(240)를 구성하고, 기둥프레임(110)과 받침프레임(210) 하단 사이에 하부보강리브(250)를 구성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reinforcing force for the support frame 210 and the safety handrail 220, an upper reinforcing rib 24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pillar frame 110 and the safety handrail 220, and the pillar A lower reinforcing rib 25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and the supporting frame 210 .

한편, 기둥부(10)에 복수의 작업공간부(20)가 형성될 경우에는, 복수의 작업공간부(20) 각각에 구성된 도어부(230)는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교호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rality of working space units 20 are formed on the pillar 10 , the door units 230 configu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ing space units 20 are not positioned on the same axis, but are configured alternately. It is preferable to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조립식 고소작업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prefabricated aerial work platform,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 고소작업대 10: 기둥부
110: 기둥프레임 112: 제1프레임
114: 제2프레임 120: 상단브라켓
122: 상단판 124: 상단지지판
130: 하단브라켓 132: 하단판
134: 하단지지판 140: 제1연결브라켓
142: 제1지지바 144: 제1안착바
150: 보강바 160: 제2연결브라켓
162: 제2지지바 164: 제2안착바
166: 절첩바 170: 내진보강바
20: 작업공간부 210: 받침프레임
212: 제1받침바 214: 제2받침바
216: 중간보강바 218: 제3연결브라켓
219: 제4연결브라켓 220: 안전난간
221: 수직프레임 222: 제1테두리프레임
223: 제2테두리프레임 224: 제3테두리프레임
225: 제5연결브라켓 226: 제6연결브라켓
227: 제7연결브라켓 228: 난간대
2282: 난간봉 2284: 고정대
230: 도어부 232: 개폐판
234: 캐스터 236: 손잡이
238: 도어레일 239: 레이고정브라켓
240: 상부보강리브 242: 상부보강바
244: 제8연결브라켓 250: 하부보강리브
252: 하부보강바 254: 제9연결브라켓
260: 발판
1: Aerial workbench 10: Column part
110: pillar frame 112: first frame
114: second frame 120: upper bracket
122: top plate 124: top support plate
130: lower bracket 132: lower plate
134: lower support plate 140: first connection bracket
142: first support bar 144: first seating bar
150: reinforcement bar 160: second connection bracket
162: second support bar 164: second seating bar
166: fold bar 170: seismic reinforcement bar
20: work space unit 210: support frame
212: first support bar 214: second support bar
216: intermediate reinforcement bar 218: third connection bracket
219: fourth connection bracket 220: safety handrail
221: vertical frame 222: first frame frame
223: second border frame 224: third border frame
225: fifth connection bracket 226: sixth connection bracket
227: seventh connection bracket 228: handrail
2282: handrail 2284: fixing bar
230: door 232: opening and closing plate
234: caster 236: handle
238: door rail 239: lay fixing bracket
240: upper reinforcing rib 242: upper reinforcing bar
244: eighth connection bracket 250: lower reinforcement rib
252: lower reinforcement bar 254: ninth connection bracket
260: scaffold

Claims (4)

바닥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단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싱글타입의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합체가 구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성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들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구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천정 및 바닥슬래브 사이에 상기 기둥프레임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상단 및 하단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1연결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제1연결브라켓 각각에 양단 각각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기둥프레임에 대하여 보강력을 강화하는 복수의 보강바와;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을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 각각에 양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에 대한 내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복수의 내진보강바; 포함하고,
상기 작업공간부는,
상단에 발판이 구성되어 작업자의 통행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안전난간과;
상기 발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부와;
상기 안전난간의 상단부와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강화시키는 상부보강리브; 및
상기 안전난간의 하단부와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강화시키는 하부보강리브;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발판에 형성된 개구부에 위치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이송력을 발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스터와;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 구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개폐판의 양단측에 각각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캐스터가 수납되어 상기 캐스터의 이송을 안내하며, 개폐판의 개폐작용으로 발판의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받침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되는 복수의 도어레일; 및
상기 받침프레임과 복수의 도어레일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레일이 받침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고정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
at least one column fix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slab; and
It is configured at one end of the pillar part, and includes a single-type working space part that forms a space so that a worker can safely work;
The pillar portion comprises: a pillar frame in which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are combined, and a plurality of pillar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Upper and lower brackets configur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lumn frames, respectively, to support the column frame to be fix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loor slab by a fixing mean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brackets fix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and the first frame;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each having both ends fix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brackets by fastening means to strengthen the reinforc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pillar frame;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brackets fixed to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seismic reinforcing bars having both ends fix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brackets by fastening means, and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improve seismic resistance to the pillar frame; including,
The work space unit,
a support frame configured on the upper end to support the operator's passage freely;
a safety handrail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door part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footrest, which opens and closes to control entry and exit of the operator;
an upper reinforcing rib configur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afety handrail and the first frame of the pillar frame to strengthen the reinforcing force; and
a lower reinforcing rib configur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afety handrail and the first frame of the pillar frame to strengthen the reinforcing force; includes,
The door part,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positioned in an opening formed in the footrest;
at least one caster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closing plate to exert a conveying force;
a handle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 plurality of doors respectively configured on both end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the casters are accommodated inside to guide the transport of the casters, and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footrest by the opening and closing a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rail; and
at least one rail fixing bracket configur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plurality of door rails to support the door rail to be fixed to the support frame;
Prefabricated aerial workbench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은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복수의 제1받침바와,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2받침바와,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 사이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보강바와, 상기 제1프레임과 제1받침바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제3연결브라켓, 및 상기 제1받침바와 중간보강바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제4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난간은 상기 받침프레임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1테두리프레임과, 상기 제1테두리프레임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2테두리프레임과, 상기 제2테두리프레임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3테두리프레임과, 받침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연결브라켓과,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6연결브라켓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7연결브라켓, 및 상기 제1 및 제2테두리프레임의 외주연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성되는 난간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보강리브 각각은 안전난간과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제공하는 상,하부보강바, 및 상기 상,하부보강바와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복수의 제8 및 제9연결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frame is configured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first frame of the pillar frame, a second support bar fixed to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and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bars at least one intermediate reinforcing bar, a plurality of third connection brackets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support bar to support to maintain a fixed state, and a fixed state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intermediate reinforcing bar It includes a plurality of fourth connection brackets for supporting to maintain;
The safety handrail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vertical frames extending vertically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by a predetermined length, a first frame fram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upward of the support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fram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t least one fifth connection bracket configured to exert a fixing force, a second frame frame configured to be so, a third frame fram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rame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upport frame and a vertical frame, At least one sixth connection bracket is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to third frame frames of the pillar frame to exert a fixing force, and is configur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to third frame frames to exert a fixing force at least one seventh connection bracket, and a handrail configur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 frames to prevent a worker from falling at regular intervals;
Each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ribs is configured between the safety handrail and the first frame to provide reinforcing force, and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are configur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and the first frame to exert a fixing force. eighth and ninth connection brackets;
Prefabricated aerial workbench comprising a.
KR2020200002457U 2020-07-09 2020-07-09 A prefabricated high-place workable KR2004951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57U KR200495147Y1 (en) 2020-07-09 2020-07-09 A prefabricated high-place work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57U KR200495147Y1 (en) 2020-07-09 2020-07-09 A prefabricated high-place work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61U KR20220000161U (en) 2022-01-18
KR200495147Y1 true KR200495147Y1 (en) 2022-03-16

Family

ID=8004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457U KR200495147Y1 (en) 2020-07-09 2020-07-09 A prefabricated high-place work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47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4113A (en) * 2011-01-27 2012-08-16 Toda Constr Co Ltd Platform for high lift work
JP2015212477A (en) * 2014-05-02 2015-11-26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Suspended scaffold
KR101823021B1 (en) * 2017-06-19 2018-01-31 백종균 Scaffold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200487460Y1 (en) * 2017-12-14 2018-09-18 조규현 System scaffolding diagonal brace lock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983Y1 (en) 2007-04-17 2008-03-14 이종하 The assembly working table
KR101717731B1 (en) * 2015-07-28 2017-03-17 주식회사 창건 Sliding type safety walk plate
KR101903023B1 (en) 2018-07-17 2018-10-01 (주)에이원렌탈 Limit switch apparatus for aerial work substitute with omnidirectional impact sensing
KR200492251Y1 (en) 2018-10-22 2020-09-04 대명테크 주식회사 High-place workable with prefabricated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4113A (en) * 2011-01-27 2012-08-16 Toda Constr Co Ltd Platform for high lift work
JP2015212477A (en) * 2014-05-02 2015-11-26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Suspended scaffold
KR101823021B1 (en) * 2017-06-19 2018-01-31 백종균 Scaffold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200487460Y1 (en) * 2017-12-14 2018-09-18 조규현 System scaffolding diagonal brace loc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61U (en)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8157A (en) Dismountable facade scaffold
JP4995337B1 (en) Handrail advance type scaffold curing system, handrail advance type scaffold using the same, and handrail advance type scaffold curing method
JP4900673B2 (en) Fen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20080264725A1 (en) Hook-On Scaffold
KR200495147Y1 (en) A prefabricated high-place workable
KR101773833B1 (en) Gang Foaming Workbench with Folding Cage
JP2007138416A (en) Climbing construction method of external protective unit
KR20090099182A (en) Integrated guard railing for built up scaffolding
KR100828576B1 (en) Railing for moveable scaffolding frame
JPH03120183A (en) Work bench for setting up elevator
JP4944628B2 (en) Handrail structure of work table of elevator equipment
KR102612484B1 (en) A prefabricated high-place workable
JP6717285B2 (en) Elevator pit ladder equipment
RU137024U1 (en) LIFT SHAFT
KR20010111537A (en) Self climbing net
KR200445362Y1 (en) Lower support of the safety netting device
JP4072581B2 (en) Scaffolding equipment
KR102655505B1 (en) Extendable and variable gondola
JP3137257B2 (en) Scaffolding equipment and scaffold construction method
KR102219660B1 (en) Elevating workbench for cable installation of cable-stayed bridge main tower and cable construction method for cable-stayed bridge main towerusing the same
KR200496177Y1 (en) Safety work tower for construction of large rack structures
JP6793960B2 (en) Large tent
JP6788282B2 (en) Large tent
KR200317313Y1 (en) equipment for constructing an elevator shaft
JP3045993U (en) Work gondola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