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050Y1 - 영상변류기 - Google Patents

영상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050Y1
KR200495050Y1 KR2020210002052U KR20210002052U KR200495050Y1 KR 200495050 Y1 KR200495050 Y1 KR 200495050Y1 KR 2020210002052 U KR2020210002052 U KR 2020210002052U KR 20210002052 U KR20210002052 U KR 20210002052U KR 200495050 Y1 KR200495050 Y1 KR 200495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hielding cover
current transformer
coi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란
이보인
최해봉
한용희
최일권
Original Assignee
디이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이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이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2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050Y1/ko
Priority to KR2020220000445U priority patent/KR20230000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형 특성이 개선되어 오출력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변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영상변류기는 코어와, 상기 코어가 내삽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차폐 커버와, 상기 코어가 내삽된 차폐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절연캡을 포함하는 코어 유닛 및 상기 코어 유닛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변류기{Zero current transformer}
본 고안은 평형 특성이 개선된 영상변류기에 관한 것이다.
영상변류기(zero current transformere, ZCT)란 전자기 유도의 원리를 이용하는 장치로서, 전기회로 상에서 발생된 누전 현상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자세하게는, 영상변류기는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고, 전기회로 상에서 부하로 입력되는 전류와 부하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변류기를 통과하는 입력단 전류와 출력단 전류가 평형을 이루는 경우, 입력단 전류와 출력단 전류가 유도하는 자속은 서로 상쇄되므로 영상변류기에는 전류가 유도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영상변류기를 통과하는 입, 출력단의 전류가 평형을 이루지 않는 경우 자속이 완전히 상쇄되지 아니하므로 유도 전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검출함으로써 전기회로 상의 누전을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영상변류기는 전류가 평형을 이루는 경우에도, 영상변류기를 통과하는 부하 전류의 크기와 변류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자속이 완전히 상쇄되지 않아 오출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평형 특성이 개선된 영상변류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평형 특성이 개선되어 누전 전류가 없는 경우에 부하 전류로 인한 오출력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변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설치, 운반 및 사용 중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변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전술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영상변류기는 코어와, 상기 코어가 내삽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차폐 커버와, 상기 코어가 내삽된 차폐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절연캡을 포함하는 코어 유닛 및 상기 코어 유닛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커버는 적어도 일 영역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이 권선된 코어 유닛이 수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영상변류기는 평형 특성이 개선되어 누전 전류가 없는 경우에 부하 전류로 인한 영상변류기의 오출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영상변류기는 영상변류기의 설치, 운반 및 사용 중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영상변류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효과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변류기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영상변류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코어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차폐 커버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A'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영상변류기(10)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10)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회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변류기(1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10)는 전기회로에서 누전 발생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영상변류기(10)의 중심부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통공에는 도선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공에는 전원으로부터 부하를 향해 입력단 전류(I1)가 흐르는 도선과 부하로부터 전원을 향해 출력단 전류(I2)가 흐르는 도선이 배치될 수 있다.
영상변류기(10)는 별도로 구비되는 검출 제어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변류기(10)는 검출 제어 장치와 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검출 제어 장치는 영상변류기(10)로부터 발생되는 유도전류(I4)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단 전류(I1)와 출력단 전류(I2)가 서로 평형을 이루는 경우 유도전류(I4)는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검출 제어 장치는 유도전류(I4)를 검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누설전류(I3)가 발생하는 경우 입력단 전류(I1)와 출력단 전류(I2)가 서로 평형을 이루지 않게 되고, 이에 의해 유도전류(I4)가 발생되므로 검출 제어 장치는 유도전류(I4)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영상변류기(10)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코어 유닛(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차폐 커버(12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A'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10)는 코어 유닛(100), 코일(200) 및 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유닛(100)은 외부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속이 통과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변류기(10)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도록 전류가 흐르는 경우, 해당 전류에 의해 코어 유닛(100)에는 자속이 통과할 수 있다.
코어 유닛(100)은 코어(110)와 코어(110)가 내삽되기 위한 수용 공간(122)이 형성되는 차폐 커버(120)와 코어(110)가 내삽된 차폐 커버(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절연캡(1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110)는 자속의 통로 역할을 하는 수단일 수 있다. 코어(110)는 코어 유닛(100)의 최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코어(110)는 폐자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어(110)는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된 고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코어(110)는 개략적으로 '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어(110)의 둘 이상의 변에는 코일(200)이 권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어(110)의 서로 대향하는 두 변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변에는 코일(200)이 권선될 수 있다.
코어(110)가 개략적으로 '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꼭지점의 적어도 일 영역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어(110)가 꼭지점에서 급격하게 절곡되지 않아 코일(200)이 코어(110)를 따라 용이하게 권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코어(110)는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된 원환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어(110)를 따라 코일(200)이 권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환을 따라 코일(200)이 권선될 수 있다.
코어(110)는 일정 이상의 투자율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코어(110)는 철심 규소(Si) 또는 니켈(Ni)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코어(110)는 페라이트(Ferrite)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어(110)는 망간-아연계 페라이트, 구리-아연계 페라이트 및 니켈-아연계 페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코어(110)는 나노 크리스탈 코어(110)일 수 있다. 즉, 코어(110)는 나노크리스탈린 합금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폐 커버(120)는 코어(110)를 커버하여 코어(110)를 차폐(shielding)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폐 커버(120)는 코어(110)를 커버하여 전자기적으로 유도되는 값을 차폐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변류기(10)는 오출력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된 코어(110)에 코일(200)이 권선되고, 코일(200)이 권선된 코어(110)는 철편으로 차폐된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오출력이 발생하는 문제는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고안에 따른 영상변류기(10)는 코일(200)을 권선하기 전에 코어(110) 자체를 차폐하는 차폐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하게 살펴보면, 차폐 커버(12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폐 커버(120)는 철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류에 의해 코어(110) 내부의 자속 밀도는 증가할 수 있다.
차폐 커버(120)의 내부에는 코어(110)가 내삽되기 위한 수용 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코어(110)의 모든 면이 차폐 커버(120)에 의해 완전히 밀폐 되는 경우 입력단 전류와 출력단 전류가 흐름에도 불구하고 자속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차폐 커버(12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개방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차폐 커버(120)는 적어도 일 영역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폐 커버(120)는 일면에는 개구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개구부(121)로부터 내부를 향해 수용 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다. 코어(110)는 개구부(121)를 통해 차폐 커버(120)에 내삽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폐 커버(120)는 일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커버(120)는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어(110)가 차폐 커버(120)에 내삽되는 경우, 코어(110)의 단면을 기준으로 세 면은 차폐되나, 한 면은 차폐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폐 커버(120)의 일면의 일부분만 개방되도록 형성되거나 복수의 면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수용 공간(122)은 코어(1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어(110)가 개략적으로 '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차폐 커버(120)의 수용 공간(122)은 코어(1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코어(110)가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차폐 커버(120)의 수용 공간(122)은 코어(1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 커버(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차폐 커버(120)는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루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어(110)는 일체로 형성된 차폐 커버(120)에 끼움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차폐 커버(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차폐 커버(120)는 차폐 커버(120)의 각 면을 이루는 구성이 코어(110)의 각 면에 부착되어 코어(110)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차폐 커버(120)를 이루는 각 구성이 코어(110)의 모든 면을 완전히 밀폐하지 않도록, 차폐 커버(120)의 각 면을 이루는 각 구성은 코어(110)의 적어도 일 영역이 개방되도록 코어(110)의 각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코어(110) 전체는 수용 공간(122)에 수용될 수 있게 되고, 코어(110)는 차폐 커버(1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절연캡(130)은 코어(110)가 내삽된 차폐 커버(120)의 외측에 배치되어 차폐 커버(120)를 커버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절연캡(130)은 차폐 커버(120)의 외측을 커버하여 코어(110)와 코일(20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절연캡(13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캡(130)은 부도체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캡(130)은 차폐 커버(1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차폐 커버(120)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캡(130)은 차폐 커버(120)가 내삽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절연캡(130)은 도 4를 기준으로 코어(110)가 내삽된 차폐 커버(120)를 정면과 후면에서 각각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캡(130)은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부분은 코어(110)가 내삽된 차폐 커버(120)를 정면에서 커버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코어(110)가 내삽된 차폐 커버(120)를 후면에서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캡(130)의 두 부분은 차폐 커버(120)를 커버하도록 정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되고, 두 부분이 맞닿는 부분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절연캡(130)의 두 부분이 맞닿는 부분은 차폐 커버(120)를 밀폐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캡(130)의 두 부분이 맞닿는 부분에 틈이 생김으로써, 형성된 틈을 통해 절연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절연캡(130)은 차폐 커버(120)의 외면을 전부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캡(130)의 각 변의 단면은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절연캡(130)이 차폐 커버(120)의 외면에 배치됨으로써 차폐 커버(120)의 외면이 전부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절연캡(130)의 각 변의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절연캡(130)은 차폐 커버(120)의 변을 따라 차폐 커버(120)를 커버할 수 있고, 차폐 커버(120)의 외측에 절연캡(130)이 씌워진 경우에도 코어 유닛(100)의 중심부에는 도선이 배치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200)은 코어 유닛(10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권선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200)은 코어 유닛(100)의 둘레를 따라 권선될 수 있다. 즉, 코일(200)은 차폐 커버(120)를 커버하는 절연캡(130)의 외측을 따라 권선될 수 있다.
코일(200)에는 코어 유닛(100)에 발생된 자속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단 전류와 출력단 전류가 평형을 이루지 않는 경우, 코어 유닛(100)에 발생된 자속이 서로 상쇄되지 않아 코일(200)에는 유도전류가 흐를 수 있다.
코일(200)은 코어 유닛(100)에 권선되어 코어 유닛(100)에 발생되는 자속에 따라 유도 전류가 발생되는 권선부(210)와 검출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선부(210)는 코어 유닛(100)의 외측에 권선된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권선부(210)는 코어 유닛(100)의 외측에 복수회 감김으로써, 솔레노이드 형상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만약 코어 유닛(100)에 발생된 자속이 서로 상쇄되지 않는 경우, 권선부(210)에는 유도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코어 유닛(100)에 발생되는 자속이 서로 상쇄되는 경우 권선부(210)에는 유도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연결부(220)는 권선부(210)와 검출 제어 장치를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권선부(210)에 유도 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유도 전류는 연결부(220)를 통해 검출 제어 장치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B-B'단면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1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영상변류기(10)의 최내측에는 코어(110)가 배치될 수 있다.
코어(110)의 외측에는 차폐 커버(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차폐 커버(120)는 코어(110)의 외측의 적어도 일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폐 커버(120)는 'ㄷ'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코어(110)의 세 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코어(110)의 세 면은 차폐 커버(1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고, 일 면은 차폐 커버(120)에 의해 차폐되지 않을 수 있다.
코어(110)가 내삽된 차폐 커버(120)는 절연캡(1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절연캡(130)은 두 부분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기준으로, 절연캡(130)의 두 부분은 차폐 커버(120)를 양면에서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절연캡(130)의 각 부분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ㄷ'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절연캡(130)이 차폐 커버(120)의 양 측에 배치되므로, 차폐 커버(120)는 전체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차폐 커버(120)는 절연캡(130)에 의해 외부와 절연될 수 있다.
코일(200)은 차폐 커버(120)를 커버하는 절연캡(130)의 외측에 권선될 수 있다. 이때, 권선되는 코일(200)과 차폐 커버(120)의 사이에는 절연캡(130)이 배치되므로, 코일(200)과 차폐 커버(120)는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합구조를 포함함으로써,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10)는 누전 전류가 없는 경우 부하전류로 인한 영상변류기(10)의 오출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10)는 누전 전류의 정밀한 계측이 가능할 수 있고, 진동, 충격 등에 의해 코어(110)의 특성이 변화되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류기(10)는 코일(200)이 권선된 코어 유닛(100)이 수용되는 케이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케이스(300)는 코일(200)이 권선된 코어 유닛(100)이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를 덮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는 코일(200)이 권선된 코어 유닛(100)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는 코일(200)이 권선된 코어 유닛(100)을 고정하는 코어 유닛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어 유닛 고정부는 코어 유닛(100)이 끼워지도록 코어 유닛(1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는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 유닛(100)이 케이스 본체에 수용된 경우에도 케이스 본체의 중심부를 통과하도록 도선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 커버는 케이스 본체를 덮어 케이스(300)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 본체는 케이스 커버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케이스 커버에는 결합구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핀이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 본체에는 결합핀이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케이스 커버에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 본체에는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 커버가 케이스 본체를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된 후 관통구와 결합구를 관통하도록 결합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는 나사, 못, 볼트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스 커버와 케이스 본체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라면 채용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영상변류기
100: 코어 유닛
110: 코어
120: 차폐 커버
121: 개구부
122: 수용 공간
130: 절연캡
200: 코일
210: 권선부
220: 연결부
300: 케이스

Claims (3)

  1. 코어와, 상기 코어가 내삽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 영역이 개방되는 차폐 커버와, 상기 코어가 내삽된 차폐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차폐 커버를 밀폐하는 절연캡을 포함하는 코어 유닛; 및
    상기 코어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절연캡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영상변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커버는,
    단면이 'ㄷ'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영상변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이 권선된 코어 유닛이 수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영상변류기.
KR2020210002052U 2021-06-29 2021-06-29 영상변류기 KR200495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052U KR200495050Y1 (ko) 2021-06-29 2021-06-29 영상변류기
KR2020220000445U KR20230000068U (ko) 2021-06-29 2022-02-16 영상변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052U KR200495050Y1 (ko) 2021-06-29 2021-06-29 영상변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445U Division KR20230000068U (ko) 2021-06-29 2022-02-16 영상변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050Y1 true KR200495050Y1 (ko) 2022-02-25

Family

ID=804747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052U KR200495050Y1 (ko) 2021-06-29 2021-06-29 영상변류기
KR2020220000445U KR20230000068U (ko) 2021-06-29 2022-02-16 영상변류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445U KR20230000068U (ko) 2021-06-29 2022-02-16 영상변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9505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854A (ja) * 1999-05-18 2000-11-30 Tokin Corp 零相変流器
KR20090007053U (ko) * 2008-01-08 2009-07-13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변류기 일체형 영상변류기
KR20170069712A (ko) * 2015-12-11 2017-06-2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기차폐형 변류기
KR101887094B1 (ko) * 2018-05-18 2018-08-13 청진산전 주식회사 탈착형 영상변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854A (ja) * 1999-05-18 2000-11-30 Tokin Corp 零相変流器
KR20090007053U (ko) * 2008-01-08 2009-07-13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변류기 일체형 영상변류기
KR20170069712A (ko) * 2015-12-11 2017-06-2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기차폐형 변류기
KR101887094B1 (ko) * 2018-05-18 2018-08-13 청진산전 주식회사 탈착형 영상변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68U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8066B2 (en) Current sensor for earth leakage module
KR100948630B1 (ko) 로고스키코일을 구비하는 전류센서
CN103050265B (zh) 剩余电流互感器
US20170278606A1 (en) Magnetic circuit component
GB2546532A (en) Measurement device
KR200495050Y1 (ko) 영상변류기
JP3522840B2 (ja) 電流センサ
JPH0815322A (ja) 電流センサ
JP4532034B2 (ja) 零相変流器
US20050141159A1 (en) Device for supplying an electronic protection device to be used in a low-voltage circuit breaker
KR102193986B1 (ko) 펄스캡을 이용한 영상변류기의 자성코어 및 그 제조방법
US6442006B1 (en) Ground fault circuit breaker
JP4371307B2 (ja) 零相変流器
JP6426903B2 (ja) 零相変流器
JP2942448B2 (ja) 静止誘導電器
JP3327460B2 (ja) 変流器
JP4935568B2 (ja) 零相変流器
JPH05114522A (ja) 零相変流器
JP2002372552A (ja) 電流測定器
EP3842812B1 (en)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a dc component of an electric current and associated measuring method
JP2009088084A (ja) 静止誘導電器
JP6571290B2 (ja) 三相貫通形変流器
JP5465599B2 (ja) 零相変流器
JPH07106164A (ja) 中性点リアクトル
CN111751593A (zh) 电流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