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990Y1 -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 - Google Patents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990Y1
KR200494990Y1 KR2020190005332U KR20190005332U KR200494990Y1 KR 200494990 Y1 KR200494990 Y1 KR 200494990Y1 KR 2020190005332 U KR2020190005332 U KR 2020190005332U KR 20190005332 U KR20190005332 U KR 20190005332U KR 200494990 Y1 KR200494990 Y1 KR 200494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eight
adjustment ring
adjusting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558U (ko
Inventor
김성운
조형철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190005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99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5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9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중에 매립되는 방식전위 측정함이나 가스 누설 검지 공함 등과 같은 가스설비용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HEIGHT ADJUSTING STRUCTURE OF CASING}
본 고안은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립되는 방식전위 측정함이나 가스 누설 검지 공함 등과 같은 가스설비용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 등의 수송을 위하여 지중에 매설된 배관은 통상 철계의 금속부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관은 부식 등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코팅을 하게 되며, 전기 화학적 반응의 결과인 부식을 전기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전기방식(電氣防蝕)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금속배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방식설비는 토양으로부터 배관을 절연하기 위한 코팅과 함께 배관보다 부식이 잘되는 희생양극을 도선으로 배관과 연결하여 배관을 방식하거나 외부에서 직류전원을 가하여 배관을 방식하고 있다.
이와같은 전기방식설비는 그 설치 및 설치후 주위환경(지하철에 의한 누설전류, 다른 배관 등의 접지, 굴착 공사에 의한 코팅손상 등) 변화의 영향으로 적정한 방식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방식상태를 점검하여야 한다.
종래의 매설 가스배관의 방식전위 측정함이나 가스 누설 검지 공함은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의 상태를 지상에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테스트 박스로서 적당한 감지회로를 내장하게 되고, 이것을 이용해서 지하 매설 가스 배관의 피복상태, 부식, 균열 등을 지상에서 검사하여 가스 누출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방식전위 측정함은 차도, 인도 등의 도로상에 매립되고 상단은 노출되어 있는 형태로 시설되어 있으며, 측정함에 시건장치가 없이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측정함내에 고가의 측정장치를 설치할 경우 손실의 우려가 있으며, 차량 등이 지나가는 충격에 의해 뚜껑이 열리거나, 혹은 열린 뚜껑이 또다른 충격에 의해 망실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경첩부분이 부식되거나 토양, 모래 등이 끼어서 개폐가 어려워지기도 한다.
기존 매설배관 방식전위 측정함과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4440호 "매설 가스배관의 방식전위 측정함"(등록일자 : 1999.02.04)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방식전위 측정함(또는 가스 누설 검지 공함)은 함 본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뚜껑 안쪽으로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거나 걸림돌기에서 벗어날 수 있게 회전 작동되는 자물쇠 막대를 설치하고, 외부에서 키를 이용해서 상기 뚜껑속의 자물쇠 막대를 회전 작동시켜 뚜껑을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부식에 대항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차량 등의 외부 충격에도 잘 견뎌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방식전위 측정함 본체는 차도, 인도 등의 노면에 매립되고 뚜껑은 지면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측정함 내부에는 배관리드선과 접지선이 내장된다.
상기 배관리드선은 지중에 매설된 배관으로부터 인출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선은 지중에 접지되어 있다.
상기 방식전위 측정함은 배관의 경로를 따라서 일정 구간마다 설치하고 이 측정함으로부터 전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주기로 배관의 방식전위를 수작업으로 측정한 다음, 측정된 전위를 보고 배관의 방식상태를 판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 전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뚜껑을 열고, 측정함 본체 내부에 있는 배관리드선과 접지선의 측정단자에 감겨진 절연테이프를 벗겨낸 다음, 전위측정장치로 측정한 후에 원상복구하여야 함으로써, 측정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차량통행에 지장을 주고 측정자의 교통사고 위험이 많다.
상기 측정작업을 위해 무게가 무거운 뚜껑을 들어서 열고 닫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으며, 하절기 온도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주철 재질로 구성된 뚜껑이 팽창되면서 측정함 몸체에 밀착되므로, 뚜껑의 개방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뚜껑의 개방을 위해 햄머 등의 타격도구를 이용하여 타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방식전위 측정함은 지표면에 노출되는 커버의 높이 조절이 안될 경우에 지표면과 단차지게 배치되어 높낮이 조절을 위해 높이 조절링이 구비되고 있으나, 높이가 부족할 경우 다시 새로운 높이 조절링을 추가로 배치하도록 재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한 방식전위 측정함 뿐만 아니라, 소위 GLP(Gas Leak Pipe)라 지칭되는 가스누설 검지용 파이프의 경우에도 높낮이 조절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4440호 "매설 가스배관의 방식전위 측정함"(등록일자 : 1999.02.04)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중에 매립되는 방식전위 측정함이나 가스 누설 검지 공함 등과 같은 가스설비용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이 지표면에 노출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가 수용되고 내주면에 제1지지턱이 형성된 상부 높이조절링과; 상기 상부 높이조절링의 하부가 안착되는 제1플랜지가 상부에 형성된 제1하부 조절링과, 상기 제1하부 조절링이 수용되고 하부에 형성된 제2플랜지가 케이싱 바디의 제2지지턱에 안착되는 제2하부 조절링으로 구성된 하부 높이조절링과; 상기 제1,2하부 조절링의 연결부위 높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과; 상기 제2하부 조절링의 하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2플랜지가 안착되는 제2지지턱이 형성된 케이싱 바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제1하부 조절링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격되고 내,외측이 연통되도록 복수개 천공 형성된 제1고정공과, 상기 제2하부 조절링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격되고 내,외측이 연통되도록 복수개 천공되게 형성된 제2고정공과, 상기 제1,2고정공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조절볼트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높이조절링은 MC 나일론과 테프론의 합성수지재 재질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커버와 케이싱 바디의 사이에 상부 높이조절링과 높낮이 조절수단에 의해 가변 높이를 갖는 제1,2하부 조절링을 이용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방식전위 측정함이나 가스 누설 검지공함 등의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하부 높이조절링의 분해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지표면에 노출되는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의 하부가 수용되고 내주면에 제1지지턱(210)이 형성된 상부 높이조절링(200)과; 상기 상부 높이조절링(200)의 하부가 안착되는 제1플랜지(312)가 상부에 형성된 제1하부 조절링(310)과, 상기 제1하부 조절링(310)이 수용되고 하부에 형성된 제2플랜지(322)가 케이싱 바디(500)의 제2지지턱(510)에 안착되는 제2하부 조절링(320)으로 구성된 하부 높이조절링(300)과; 상기 제1,2하부 조절링(310,320)의 연결부위 높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400)과; 상기 제2하부 조절링(320)의 하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2플랜지(322)가 안착되는 제2지지턱(510)이 형성된 케이싱 바디(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100)는 상면이 지표면(G)에 노출되고 안내 문구 등이 기재되어 있으며, 하부가 단턱진 외경을 갖는 뚜껑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높이조절링(200)은 상기 커버(100)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내주면에 제1지지턱(210)이 형성되고, 하부가 제1하부 조절링(310)의 제1플랜지(312)에 안착된다.
상기 상부 높이조절링(200)은 점검작업을 위해 중앙에 상,하로 개구된 통공(20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높이조절링(300)의 상기 제1,2하부 조절링(310,320)은 상,하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서로 분할되는 링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 조절링(310)의 하부와 상기 제2하부 조절링(320)의 상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중앙에 중공(302)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중공(302)은 상기 통공(20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커버(100)를 개방시키고 케이싱 바디(500) 내부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싱 바디(500)는 내주면에 상기 제2하부 조절링(320)의 제2플랜지(322)가 안착되는 제2지지턱(5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 바디(500)는 내부에 연통홀(50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지중 바닥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플랜지(5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턱(210)에는 상,하로 연통되는 제1볼트관통홀(2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턱(510)은 상기 제1볼트관통홀(215)과 동일 수직선상에 제2볼트관통홀(515)이 형성되며, 제1,2플랜지(312,322)에도 상기 제1,2볼트관통홀(215,515)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제3,4볼트관통홀(315,32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지지턱(210,510)과 제1,2플랜지(312,322)는 동일수직선상으로 볼트부재가 관통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부 조절링(310)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격되고 내,외측이 연통되도록 복수개 천공 형성된 제1고정공(410)과, 상기 제2하부 조절링(320)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격되고 내,외측이 연통되도록 복수개 천공되게 형성된 제2고정공(420)과, 상기 제1,2고정공(410,42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조절볼트(430)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볼트(430)는 제1하부 조절링(310)이 제2하부조절링에 겹쳐진 상태로 제1,2고정공(410,420)을 통해 결합되어 제1,2하부 조절링(310,32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조절볼트(430)는 일 예로 스터드볼트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높이조절링(300)은 가볍고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MC 나일론과 테프론의 합성수지재 재질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방식전위 측정함이나 가스 누설 검지 공함 등과 같은 가스설비용 매립형 케이싱을 지중의 매립공 내에 설치하는 작업 수행중에, 상부 높이조절링(200)과 높낮이 조절수단(400)에 의해 높이가 가변 조절되는 하부 높이조절링(300)을 이용하여 커버(100)의 높이를 지표면(G) 높이에 일치하도록 한다.
그 작업 순서는 매립공 내에 케이싱 바디(500)를 거치한 후에, 상기 제2하부 조절링(320)을 케이싱 바디(500)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제2지지턱(510) 상측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2하부 조절링(320)의 상측에 제1하부 조절링(310)의 하부가 높낮이 조절수단(400)에 의해 높이 조절되어 결합된다.
이어서, 상기 제1하부 조절링(310)의 상측에 상기 상부 높이조절링(200)이 안착되고, 상기 상부 높이조절링(200)의 제1지지턱(210)에 커버(100)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2하부 조절링(310,320)의 높이는 앞서 설명한 높낮이 조절수단(400)에 의해 높이가 가변 조절되므로, 커버(100)의 높이 조절이 안될 경우 제1,2하부 조절링(310,32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커버(100)의 상면 높이를 지표면(G)의 높이에 일치하도록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커버(100)와 케이싱 바디(500)의 사이에 상부 높이조절링(200)과 높낮이 조절수단(400)에 의해 가변 높이를 갖는 제1,2하부 조절링(310,320)을 이용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방식전위 측정함이나 가스 누설 검지공함 등의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100 : 커버 200 : 상부 높이조절링
202 : 통공 210 : 제1지지턱
215 : 제1볼트관통홀 300 : 하부 높이조절링
302 : 중공 310,320 : 제1,2하부 조절링
312,322 : 제1,2플랜지 315,325 : 제3,4볼트관통홀
400 : 높낮이 조절수단 410 : 제1고정공
420 : 제2고정공 430 : 조절볼트
500 : 케이싱 바디 502 : 연통홀
510 : 제2지지턱 515 : 제2볼트관통홀
520 : 고정플랜지 G : 지표면

Claims (3)

  1. 상면이 지표면(G)에 노출되고 하부가 단턱진 외경을 갖는 뚜껑 형태의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의 하부가 수용되고 내주면에 제1지지턱(210)이 형성된 상부 높이조절링(200)과;
    상기 상부 높이조절링(200)의 하부가 안착되는 제1플랜지(312)가 상부에 형성된 제1하부 조절링(310)과, 상기 제1하부 조절링(310)이 수용되고 하부에 형성된 제2플랜지(322)가 케이싱 바디(500)의 제2지지턱(510)에 안착되는 제2하부 조절링(320)으로 구성된 하부 높이조절링(300)과;
    상기 제1,2하부 조절링(310,320)의 연결부위 높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400)과;
    상기 제2하부 조절링(320)의 하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2플랜지(322)가 안착되는 제2지지턱(510)이 형성된 케이싱 바디(500);를 구비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400)은 상기 제1하부 조절링(310)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격되고 내,외측이 연통되도록 복수개 천공 형성된 제1고정공(410)과,
    상기 제2하부 조절링(320)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격되고 내,외측이 연통되도록 복수개 천공되게 형성된 제2고정공(420)과,
    상기 제1,2고정공(410,42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조절볼트(43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높이조절링(200)은 점검작업을 위해 중앙에 상,하로 개구된 통공(202)이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하부 높이조절링(300)의 상기 제1,2하부 조절링(310,320)은 상,하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서로 분할되는 링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 조절링(310)의 하부와 상기 제2하부 조절링(320)의 상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중앙에 중공(302)을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중공(302)은 상기 통공(20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커버(100)를 개방시키고 케이싱 바디(500) 내부로 점검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높이조절링(300)은 MC 나일론과 테프론의 합성수지재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2020190005332U 2019-12-30 2019-12-30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 KR200494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332U KR200494990Y1 (ko) 2019-12-30 2019-12-30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332U KR200494990Y1 (ko) 2019-12-30 2019-12-30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58U KR20210001558U (ko) 2021-07-08
KR200494990Y1 true KR200494990Y1 (ko) 2022-02-09

Family

ID=7686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332U KR200494990Y1 (ko) 2019-12-30 2019-12-30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99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366Y1 (ko) * 1999-10-28 2000-03-15 유영호 상하이동이 가능한 맨홀
KR101827734B1 (ko) * 2017-08-07 2018-02-09 김광휘 가변형 맨홀철개 조립체
KR102035621B1 (ko) * 2019-03-14 2019-10-23 주식회사 그린에코텍 각도 및 높이조절 가능한 맨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6902A (ja) * 1996-05-31 1997-12-09 Maezawa Kasei Ind Co Ltd 浄化槽のマンホール口の嵩上げ装置
KR200144440Y1 (ko) 1996-11-28 1999-06-15 한갑수 매설 가스배관의 방식전위 측정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366Y1 (ko) * 1999-10-28 2000-03-15 유영호 상하이동이 가능한 맨홀
KR101827734B1 (ko) * 2017-08-07 2018-02-09 김광휘 가변형 맨홀철개 조립체
KR102035621B1 (ko) * 2019-03-14 2019-10-23 주식회사 그린에코텍 각도 및 높이조절 가능한 맨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58U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933Y1 (ko) 방식전위 측정함용 용기 구조체
KR100712394B1 (ko) 감시형 방수 맨홀
KR200494990Y1 (ko) 지중 매립형 케이싱의 높낮이 조절구조체
US20220128378A1 (en) Utility cover for use with automated metering equipment
KR100888392B1 (ko) 매설 가스배관 케이싱의 가스누설 검지용 파이프 설치구조
Guyer et al. An introduction to cathodic protection
KR200254149Y1 (ko) 매설 가스배관의 방식전위 측정함
KR200494211Y1 (ko) 방식전위 측정용 테스트 박스
US9638667B2 (en) Detection of coating defects on buried pipelines using magnetic field variations within the pipeline
KR200489930Y1 (ko) 방식전위 측정함
KR200494200Y1 (ko) 매설 가스배관의 전위측정함
RU62207U1 (ru) Колодец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наблюдения за работой трубопровода и е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1868124B1 (ko) 공동주택 단지내 누전방지 전기맨홀
KR100566663B1 (ko) 전기감전사고 방지용 전기 맨홀
US20190219624A1 (en) Buried gas pipeline multi-measurement device
KR101366766B1 (ko) 매립 배관용 전위측정함
KR101529114B1 (ko) 전위측정 스마트 단자함
KR200496556Y1 (ko) 방식전위측정함
KR200443121Y1 (ko) 기준전극 구조체
KR20220042262A (ko) 비개폐식 및 침하방지 전위측정용 터미널
KR101445095B1 (ko) 독립전원을 이용한 무선통신방식의 부식방지 원격 감시 및 측정 장치
RU2609121C2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от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й коррозии участка стального подзем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находящегося в агрессивной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е.
KR20140124135A (ko) 매설 배관의 입상 방식전위 측정함
CN109778198B (zh) 套管内带状镁阳极防腐蚀安装结构及腐蚀程度检测方法
KR20240000909U (ko) 직립형 방식전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