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712Y1 - 채 썰기 장치 - Google Patents

채 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712Y1
KR200494712Y1 KR2020200003271U KR20200003271U KR200494712Y1 KR 200494712 Y1 KR200494712 Y1 KR 200494712Y1 KR 2020200003271 U KR2020200003271 U KR 2020200003271U KR 20200003271 U KR20200003271 U KR 20200003271U KR 200494712 Y1 KR200494712 Y1 KR 200494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hole
handle
board
cutt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107U (ko
Inventor
구정민
김기환
Original Assignee
구정민
김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정민, 김기환 filed Critical 구정민
Priority to KR2020200003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712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1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7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26D1/0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는 외부에 돌출된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서 다수의 채칼이 승하강하는 뚜껑부와, 상기 뚜껑부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며 그 내부의 상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착이 가능한 도마판이 구비된 몸체부로 구성된 장치로서, 상기 뚜껑부는, 손잡이의 중심부가 통과될 수 있는 손잡이 홀과 네 모서리에 승하강 기어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와 이의 아래쪽에서 결합되는 하부 커버로 구성되고, 상부 커버의 내부에는 다수의 채칼이 하방으로 수직 고정되어 있는 채칼 고정판과, 상기 채칼 고정판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채칼 고정판의 네 모서리 위치를 관통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 홀이 포함된 나사산 가이드와, 긴 나사의 형태로서 상부에는 기어가 형성된 승하강 기어와 그 아래부터는 긴 나사산이 형성된 승하강 나사산이 상기의 각 나사산 홀에 4곳에 통과되어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 기어의 각 안쪽 측면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4개의 방향전환기어와, 상기 각 방향전환기어의 안쪽 측면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게 중심부에 위치한 중심기어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상기 채칼의 하부에는 채칼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채칼 수만큼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 승하강 나사산의 하부 끝단 일부가 삽입되어 저항없이 회전할 수 있는 나사산 없는 홀인 회전부 홀이 포함된 판 형태의 채칼 홀 판과, 상기 채칼 홀 판이 올려질 수 있게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채칼 홀 판 거치부가 하부 커버에 포함되며, 상기 몸체부는 손잡이 형태의 도마 손잡이가 구비된 도마 판과 야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 커버에는 채칼이 하방으로 최대로 이동했을 때 접촉되는 높이에 도마판이 위치할 수 있도록 도마판이 외부에서 몸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홀 형태인 도마 판 홀과 삽입된 도마판이 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제 2 도마 판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마 판 가이드의 하부에 채 썰기가 완료된 야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야채 수용부가 포함되어,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서 채칼이 승하강하여 도마 판 위에 올려진 야채를 편리하게 채 썰기 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 썰기 장치{Slicing Device}
본 고안은 채 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채칼이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채칼 판의 네 모서리에 나사산이 있는 홀을 구비하고, 채칼 판의 상부에 손잡이와 연결된 중심기어와 이의 바깥방향에 맞물린 4개의 방향전환기어와 이에 맞물린 4개의 기어가 있는 나사산을 홀에 삽입시켜,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채칼 판이 승하강하여, 하부의 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탈착되는 도마 판에 올려진 야채를 채썰기하고, 채썰기가 끝나면 도마 판을 빼내어 채썰기가 끝난 야채를 몸체부에 담을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리 재료를 만들기 위해서는 야채나 채소의 채썰기가 필요한 경우가 많이 있다.
기존의 채 썰기는 주로 도마위에 야채를 올리고 손으로 잡아 누른 상태에서 반대쪽 손으로 부엌칼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잘게 써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상기의 경우 채를 썰기 위한 야채를 누르고 있는 손을 뗄 수 없기 때문에 손으로 누르고 있는 야채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만큼 남아 있어야 하므로, 더 가는 굵기의 채 썰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가는 굵기의 채 썰기된 야채가 필요한 요리의 경우, 손으로 잡고 있던 야채부분은 활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부엌칼을 사용하는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서 일정한 굵기의 채썰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톱니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날이 형성되어 있는 칼이 고정되어 있는 판으로 구성된 장치를 이용하여 야채를 칼날에 반복적으로 밀고 당기는 작업을 통해서 채썰기하는 장치가 시중에 시판 중이다.
하지만 상기의 장치 또한 사람의 손으로 야채를 잡아야 하기 때문에, 손으로 집는 부분의 야채는 채썰기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에서 출원번호 10-2018-0113312 두께 조절이 가능한 채 써는 장치가 게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조상 채썰기 된 야채의 일부가 칼날과 제 1 통공과 제 2 통공에 쉽게 잔류할 수 있어서, 채썰기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일일이 손으로 붙어 있는 야채를 떼어내야 하므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여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장치는 채썰기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야채를 움직여야 하므로 야채의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힘과 시간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채칼이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채칼 판의 네 모서리에 나사산이 있는 홀을 구비하고, 채칼 판의 상부에 손잡이와 연결된 중심기어와 이의 바깥방향에 맞물린 4개의 방향전환기어와 이에 맞물린 4개의 기어가 있는 나사산을 홀에 삽입시켜,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채칼 판이 승하강하여, 하부의 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탈착되는 도마 판에 올려진 야채를 채썰기하고, 채썰기가 끝나면 도마 판을 빼내어 채썰기가 끝난 야채를 몸체부에 담을 수 있게 하여, 손잡이의 회전 반복에 따라서 채 썰기를 쉽게 완료할 수 있으며, 채칼 판의 하부에 채칼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는 부드러운 소재의 채칼 가이드가 구비된 채칼 홀 판을 포함하여, 채칼의 상승 시 채칼에 붙어 있는 야채를 쉽게 아래로 떨어뜨릴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는 외부에 돌출된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서 다수의 채칼이 승하강하는 뚜껑부와, 상기 뚜껑부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며 그 내부의 상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착이 가능한 도마판이 구비된 몸체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부는 손잡이의 중심부가 통과될 수 있는 손잡이 홀과 네 모서리에 승하강 기어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와 이의 아래쪽에서 결합되는 하부 커버로 구성되고, 상부 커버의 내부에는 다수의 채칼이 하방으로 수직 고정되어 있는 채칼 고정판과, 상기 채칼 고정판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채칼 고정판의 네 모서리 위치를 관통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 홀이 포함된 나사산 가이드와, 긴 나사의 형태로서 상부에는 기어가 형성된 승하강 기어와 그 아래부터는 긴 나사산이 형성된 승하강 나사산이 상기의 각 나사산 홀에 4곳에 통과되어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 기어의 각 안쪽 측면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4개의 방향전환기어와, 상기 각 방향전환기어의 안쪽 측면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게 중심부에 위치한 중심기어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상기 채칼의 하부에는 채칼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채칼 수만큼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 승하강 나사산의 하부 끝단 일부가 삽입되어 저항없이 회전할 수 있는 나사산 없는 홀인 회전부 홀이 포함된 판 형태의 채칼 홀 판과, 상기 채칼 홀 판이 올려질 수 있게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채칼 홀 판 거치부가 하부 커버에 포함되며, 상기 몸체부는 손잡이 형태의 도마 손잡이가 구비된 도마 판과 야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 커버에는 채칼이 하방으로 최대로 이동했을 때 접촉되는 높이에 도마판이 위치할 수 있도록 도마판이 외부에서 몸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홀 형태인 도마 판 홀과 삽입된 도마판이 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제 2 도마 판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마 판 가이드의 하부에 채 썰기가 완료된 야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야채 수용부가 포함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는 채칼 홀 판의 각 채칼 홀에는, 단면이 삼각형의 끝이 아래로 향한 형태인 채칼 가이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각 채칼 홀마다 구비되고, 채칼 하강 시 각 채칼 가이드의 삼각형 끝부분이 채칼에 접촉되며, 채칼 가이드는 탄력성이 있는 부드러운 소재인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는 승하강 기어의 상부와 승하강 나사산의 하부에는 나사산과 동일한 지름으로 일부 돌출되고 표면이 매끄러운 형태인 회전부가 더 포함되며, 도마 판 홀에는 단면이 삼각형의 끝이 몸체 커버의 안쪽으로 향한 형태인 제 1 도마 판 가이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도마 판이 도마 판 홀로 삽입 시 상기 제 1 도마 판 가이드의 각 삼각형의 양끝부분이 도마 판에 접촉되며, 제 1 도마 판 가이드는 탄력성이 있는 부드러운 소재인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채 썰기 장치는 손잡이의 반복적인 회전만으로 손잡이에 결합된 중심기어와 이에 맞닿은 방향전환기어, 승하강기어의 회전에 의해 다수의 채칼이 승하강하여 도마 판 위에 올려진 야채가 채칼의 수만큼 동시에 채 썰기되므로 적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며, 야채의 별도 고정이 불필요하여 이를 고정하기 위한 야채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야채의 낭비없이 균일하게 채썰기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채칼이 통과되는 채칼 홀이 있는 채칼 홀 판에 채칼에 맞닿아 있는 부드러운 소재의 채칼 가이드에 의해서, 채썰기 이후 채칼이 상승할 때 채칼에 붙어 있는 야채를 쉽게 도마 판 위에 떨어뜨려 모을 수 있으므로, 채칼에 붙은 야채를 떼어 내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뚜껑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뚜껑부에서 채칼과 각 구성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뚜껑부에서 기어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하부 커버와 각 구성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채칼 가이드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몸체부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제 1도마 판 가이드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작동 시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작동 시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작동 시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작동 시 네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작동 시 다섯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작동 시 여섯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작동 시 일곱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채 썰기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게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뚜껑부의 분해도, 도 3은 뚜껑부에서 채칼과 각 구성을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뚜껑부에서 기어 부분의 평면도, 도 5는 하부 커버와 각 구성을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채칼 가이드를 확대한 사시도, 도 7은 몸체부의 분해도, 도 8은 제 1도마 판 가이드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채 썰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채 썰기 장치는 외부에 돌출된 손잡이(112)의 회전에 따라서 다수의 채칼(102)이 승하강하는 뚜껑부(100)와, 상기 뚜껑부(100)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며 그 내부의 상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착이 가능한 도마 판(202)이 구비된 몸체부(200)로 구성된 채썰기 장치로서, 상기 뚜껑부(100)는 손잡이(112)의 중심부가 통과될 수 있는 손잡이 홀(113)과 네 모서리에 승하강 기어(110)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커버(111)와 이의 아래쪽에서 결합되는 하부 커버(121)로 구성되고, 상부 커버(111)의 내부에는 다수의 채칼(102)이 하방으로 수직 고정되어 있는 채칼 고정판(108)과, 상기 채칼 고정판(108)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채칼 고정판(108)의 네 모서리 위치를 관통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 홀(107)이 포함된 나사산 가이드(106)와, 긴 나사의 형태로서 상부에는 기어가 형성된 승하강 기어(110)와 그 아래부터는 긴 나사산이 형성된 승하강 나사산(103)이 상기의 각 나사산 홀(107) 4곳에 통과되어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 기어(110)의 각 안쪽 측면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4개의 방향전환기어(104)와, 상기 각 방향전환기어(104)의 안쪽 측면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게 중심부에 위치한 중심기어(105)가 상기 손잡이(112)에 결합되고, 상기 채칼(102)의 하부에는 채칼(102)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채칼(102) 수만큼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 승하강 나사산(103)의 하부 끝단 일부가 삽입되어 저항없이 회전할 수 있는 나사산 없는 홀인 회전부(109) 홀이 포함된 판 형태의 채칼 홀 판(122)과, 상기 채칼 홀 판(122)이 올려질 수 있게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채칼 홀 판 거치부(125)가 하부 커버(121)에 포함되며, 상기 몸체부(200)는 손잡이 형태의 도마 손잡이부(203)가 구비된 도마 판(202)과 야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 커버(201)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 커버(201)에는 채칼(102)이 하방으로 최대로 이동했을 때 접촉되는 높이에 도마 판(202)이 위치할 수 있도록 도마 판(202)이 외부에서 몸체부(200)로 삽입될 수 있는 홀 형태인 도마 판 홀(205)과 삽입된 도마 판(202)이 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제 2 도마 판 가이드(206)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마 판 가이드(206)의 하부에 채 썰기가 완료된 야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야채 수용부(207)가 포함된다.
상기 뚜껑부(100)의 상부 커버(111)와 하부 커버(121)는 도면에는 별도로 표기하지 않았지만 서로 단단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채칼(102)의 세척이 필요할 경우 탈착이 가능하도록 잠금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뚜껑부(100)와 몸체부(200)에는 도면에는 별도로 표기하지 않았지만 탈착이 가능한 잠금 장치가 포함되며, 본 잠금 장치는 뚜껑부(100)와 몸체부(200)가 결합된 후 도마 판(202) 위에 올려진 야채에 채칼(102)이 하강하여 채 썰기 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발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채칼 고정판(108)은 수직으로 세워진 다수의 채칼(102)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고, 강한 힘과 수분에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채칼 고정판(108)과 채칼(102)은 용접 결합 또는 금형으로 제작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사산 가이드(106) 또한 강한 힘과 수분에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채칼 고정판(108)에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용접 결합 또는 금형으로 제작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나사산 가이드(106)의 나사산 홀(107)은 손잡이(11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강한 회전력이 승하강 나사산(103)에 의해서 승하강하기 위한 수직 방향의 힘으로 변경되어야 하므로 나사산 가이드(106) 자체는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사산 홀(107)은 채칼 고정판(108)의 네 모서리 부분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됨으로써 야채의 채 썰기를 위해서 가해지는 강한 힘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채칼 고정판(108)의 네 모서리에 위치한 승하강 나사산(103)의 상단에는 작은 직경의 기어로 구성된 승하강 기어(110)가 구비되고, 이의 안쪽에 맞물려서 방향전환기어(104)가 배치되며, 또 방향전환기어(104)의 안쪽인 상부 커버(111)의 중심부에는 손잡이(112)에 연결된 중심기어(105)가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손잡이(112)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맞물린 방향전환기어(104)는 왼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방향전환기어(104)에 맞물린 승하강 기어(110)는 다시 오른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12)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방향전환기어(104)도 오른쪽으로 회전하게 되며, 방향전환기어(104)에 결합되어 있는 4개의 승하강 나사산(103)도 함께 오른쪽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4개의 승하강 나사산(103)은 4개의 나사산 홀(107)에 나사산으로 맞물려 있으므로 채칼 고정판(108) 자체가 회전할 수 없어 아래로 내려가려는 힘으로 변경된다.
이때 승하강 나사산(103)의 끝 일부가 채칼 홀 판(122)의 나사산이 없는 회전부(109) 홀에 들어가 있어 하부로 더 이상 내려갈 수 없으므로 이 힘에 의해서 나사산 가이드(106)가 위로 상승하게 되며, 상기 나사산 가이드(106)는 채칼 고정판(108)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에 결합된 채칼(102)이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만약 손잡이(112)를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의 과정이 반대로 진행되어서 결과적으로 채칼(102)이 아래로 하강하여 도마 판(202) 위에 올려진 야채를 채 썰기할 수 있는 것이다.
채칼 홀 판(122)은 다수의 채칼(102)이 통과될 수 있도록 채칼(102)보다 넓은 폭의 홀이 채칼(102)과 동일한 숫자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 모서리에는 승하강 나사산(103)의 끝 일부가 삽입되어 저항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없는 회전부(109) 홀이 4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채칼 홀 판(122)은 승하강 나사산(103)의 회전력과 수분을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몸체부(200)에 슬라이드 형태로 탈착되는 도마 판(202)은 채칼(102)이 최대로 하강했을 때에 채칼(102)이 닿는 높이에 위치하며, 해당 높이에 도마 판(202)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 도마 판 가이드(206)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 2 도마 판 가이드(206)는 도마 판(202)이 몸체 커버(201)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끝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도마 판(202)의 두께보다 조금 여유가 있는 3면의 가이드로 형성되며, 도마 판 홀(205) 또한 상기 제 2 도마 판 가이드(206)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도마 판(202)이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2 도마 판 가이드(206)의 아래부분에는 채 썰기 된 야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야채 수용부(207)가 형성되어 있어, 채 썰기가 완료된 이후 도마 판(202)의 도마 판 손잡이부(203)를 잡아당겨서 몸체 커버(201) 밖으로 꺼내면 도마 판(202) 위의 야채가 아래의 야채 수용부(207)에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채칼 홀 판(122)의 각 채칼 홀에는, 단면이 삼각형의 끝이 아래로 향한 형태인 채칼 가이드(123)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각 채칼 홀마다 구비되고, 채칼(102) 하강 시 각 채칼 가이드(123)의 삼각형 끝부분이 채칼(102)에 접촉된다.
따라서 채칼 가이드(123)의 끝이 채칼(102)의 날카로운 날에 절단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에서 채칼(102)이 부드럽게 미끄러져 이동되며, 반대로 채칼(102)이 상승할 때는 채칼(102)의 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걷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채칼(102)이 하강하여 야채를 썰기 한 후 야채 자체의 수분에 의해서 채칼(102)에 야채가 흡착된 상태에서 채칼(102)이 상승하면, 채칼 가이드(123)에 의해서 야채가 채칼(102)이 분리되어 아래에 있는 도마 판(202) 위에 올려지게 되고 다시 채칼(102)을 도마 판(202)으로 하강시키면 좀더 가는 채 썰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채칼 가이드(123)는 탄력성이 있는 부드러운 소재인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채칼 가이드(123)의 끝부분이 부드럽게 휜 상태로 채칼(102)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날카로운 채칼(102) 끝이 하강하여도 채칼 가이드(123)가 절단되거나 긁히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는 승하강 기어(110)의 상부와 승하강 나사산(103)의 하부에는 나사산과 동일한 지름으로 일부 돌출되고 표면이 매끄러운 형태인 회전부(109)가 더 포함된다.
도면에는 기재되지 않았지만 상부 커버(111)의 네 모서리에는 승하강 기어(110)의 상부에 위치한 회전부(109)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구비되며, 승하강 나사산(103) 하부에 위치한 회전부(109)는 채칼 홀 판(122)의 네 모서리에 위치한 회전부(109) 홀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112)의 회전력을 받은 승하강 기어(110)가 회전할 때 나사산이 없는 회전부(109)가 상부 커버(111)와 채칼 홀 판(122)에서 마찰력이 없이 회전하게 되므로 채칼부(101)가 더 적은 힘으로 부드럽게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도마 판 홀(205)에는 단면이 삼각형의 끝이 몸체 커버(201)의 안쪽으로 향한 형태인 제 1 도마 판 가이드(204)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도마 판(202)이 도마 판 홀(205)로 삽입 시 상기 제 1 도마 판 가이드(204)의 각 삼각형의 양끝부분이 도마 판(202)에 접촉된다.
따라서 채 썰기가 완료된 후 도마 손잡이부(203)를 당겨 도마 판(202)을 몸체 커버(201)에서 슬라이드하여 빼내는 과정에서 도마 판(202)위에 올려진 야채가 제 1 도마 판 가이드(204)에 걸려서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게 되며, 도마 판(202)을 몸체 커버(201)에서 완전히 빼내면 아래 쪽의 야채 수용부(207)에 모두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제 1 도마 판 가이드(204)는 탄력성이 있는 부드러운 소재인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마 판(202)이 제 2 도마 판 가이드(206)를 따라서 이동할 때 제 1 도마 판 가이드(204)에 의해서 도마 판(202)이 손상되지 않고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의 작동 시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작동 시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작동 시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작동 시 네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작동 시 다섯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작동 시 여섯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작동 시 일곱번째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채 썰기 장치를 작동할 때의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을 이어간다.
먼저 첫번째 단계에서는 손잡이(112)를 회전시켜 채칼(102)을 최대한의 높이로 상승시켜 야채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든 후, 뚜껑부(100)를 몸체부(200)에서 들어올려 열고 도마 판(202) 위에 야채를 올려 놓은 후 뚜껑부(100)를 닫는다.
이후 두번째 단계에서 손잡이(112)를 첫번째 단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채칼(102)이 도마 판(202)에 접촉될 때까지 하강시켜 도마 판(202) 위에 올려진 야채를 채 썰기 한다.
세번째 단계에서 손잡이(112)를 두번째 단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채칼(102)을 다시 상승시키는데, 이때 채칼(102) 사이의 좁은 간격과 야채 자체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서 일부 야채가 채칼(102)에 붙어 있는 상태로 채칼(102)과 함께 상승하게 된다.
네번째 단계에서 손잡이(112)를 계속 회전시켜 채칼(102)이 더 상승하면, 채칼(102)의 양쪽면에 접촉되어 있는 채칼 가이드(123)에 의해 채칼(102)에 붙어있는 야채가 아래로 떨어져 다시 도마 판(202) 위에 올려진다.
다섯 번째 단계에서 손잡이(112)를 네번째 단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시 채칼(102)을 하강시키면, 도마 판(202) 위에 올려진 야채의 채 썰기가 다시 진행되어 두번째 단계보다 더 가는 굵기의 야채 채썰기가 가능하게 된다.
여섯 번째 단계에서 손잡이(112)를 다섯 번째 단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시 채칼(102)을 상승시키면 채칼(102)에 일부 붙어서 올라간 야채가 다시 떨어져 도마 판(202) 위에 올려진다.
일곱 번째 단계에서는 도마 손잡이부(203)를 잡아당겨 도마 판(202)을 몸체 커버(201) 밖으로 꺼내고, 도마 판(202) 위에 있는 야채는 제 1 도마 판 가이드(204)에 걸려서 함께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고, 바로 아래에 있는 야채 수용부(207)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뚜껑부(100)와 몸체부(200)를 분리하고 몸체부(200)에 있는 채썰기가 완료된 야채를 꺼내어 요리에 사용할 수 있다.
야채의 채썰기는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더 고운 채 썰기를 원할 경우에는 두 번째 단계부터 여섯 번째 단계까지를 반복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야채의 슬라이스 가공이 필요할 때에는 두번째 단계와 세번째 단계 이후 일곱 번째 단계를 곧바로 진행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 뚜껑부
101 채칼부
102 채칼
103 승하강 나사산
104 방향전환기어
105 중심기어
106 나사산 가이드
107 나사산 홀
108 채칼 고정판
109 회전부
110 승하강기어
111 상부 커버
112 손잡이
113 손잡이 홀
121 하부 커버
122 채칼 홀 판
123 채칼 가이드
124 회전부 홀
125 채칼 홀 판 거치부
200 몸체부
201 몸체 커버
202 도마 판
203 도마 손잡이부
204 제 1 도마 판 가이드
205 도마 판 홀
206 제 2 도마 판 가이드
207 야채 수용부

Claims (4)

  1. 외부에 돌출된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서 다수의 채칼이 승하강하는 뚜껑부와,
    상기 뚜껑부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며 그 내부의 상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착이 가능한 도마판이 구비된 몸체부로 구성된 채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손잡이의 중심부가 통과될 수 있는 손잡이 홀과 네 모서리에 승하강 기어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와 이의 아래쪽에서 결합되는 하부 커버로 구성되고,
    상부 커버의 내부에는 다수의 채칼이 하방으로 수직 고정되어 있는 채칼 고정판과,
    상기 채칼 고정판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채칼 고정판의 네 모서리 위치를 관통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 홀이 포함된 나사산 가이드와,
    긴 나사의 형태로서 상부에는 기어가 형성된 승하강 기어와 그 아래부터는 긴 나사산이 형성된 승하강 나사산이 상기의 각 나사산 홀에 4곳에 통과되어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 기어의 각 안쪽 측면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4개의 방향전환기어와,
    상기 각 방향전환기어의 안쪽 측면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게 중심부에 위치한 중심기어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승하강 기어의 상부와 승하강 나사산의 하부에는 나사산과 동일한 지름으로 일부 돌출되고 표면이 매끄러운 형태인 회전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채칼의 하부에는 채칼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채칼 수만큼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 승하강 나사산의 하부 끝단 일부가 삽입되어 저항없이 회전할 수 있는 나사산 없는 홀인 회전부 홀이 포함된 판 형태의 채칼 홀판과, 상기 채칼 홀 판이 올려질 수 있게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채칼 홀 판 거치부가 하부 커버에 포함되며,
    채칼 홀 판의 각 채칼 홀에는, 단면이 삼각형의 끝이 아래로 향한 형태인 채칼 가이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각 채칼 홀마다 구비되고, 채칼 하강 시 각 채칼 가이드의 삼각형 끝부분이 채칼에 접촉되며, 채칼의 상승 시 각 채칼 가이드의 끝부분이 접촉된 상태에서 채칼이 미끄러져 이동되어 채칼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걷어내고,
    상기 채칼 가이드는 탄력성이 있는 부드러운 소재인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손잡이 형태의 도마 손잡이가 구비된 도마 판과 야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 커버에는 채칼이 하방으로 최대로 이동했을 때 접촉되는 높이에 도마판이 위치할 수 있도록 도마판이 외부에서 몸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홀 형태인 도마 판 홀과 삽입된 도마판이 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제 2 도마 판 가이드가 형성되고,
    도마 판 홀에는 단면이 삼각형의 끝이 몸체 커버의 안쪽으로 향한 형태인 제 1 도마 판 가이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도마 판이 도마 판 홀로 삽입 시 상기 제 1 도마 판 가이드의 각 삼각형의 양끝부분이 도마 판에 접촉되며, 제 1 도마 판 가이드는 탄력성이 있는 부드러운 소재인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도마 판 가이드의 하부에 채 썰기가 완료된 야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야채 수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 썰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200003271U 2020-09-08 2020-09-08 채 썰기 장치 KR200494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71U KR200494712Y1 (ko) 2020-09-08 2020-09-08 채 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71U KR200494712Y1 (ko) 2020-09-08 2020-09-08 채 썰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07U KR20200002107U (ko) 2020-09-28
KR200494712Y1 true KR200494712Y1 (ko) 2021-12-07

Family

ID=7266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271U KR200494712Y1 (ko) 2020-09-08 2020-09-08 채 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71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5041A (zh) * 2020-10-16 2021-01-26 武汉理工大学 一种蔬果切条机的操作工艺
CN113500639A (zh) * 2021-08-16 2021-10-15 赣州统茂塑胶五金有限公司 一种智能切菜机
CN117681259B (zh) * 2024-01-30 2024-04-05 山东曲记生物科技有限公司 海蜇快速切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044246U (zh) * 2017-07-20 2018-02-27 林欣 一种新型果蔬切条机
KR101964547B1 (ko) * 2018-01-31 2019-04-01 이충구 고기절단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0309Y1 (ko) * 1987-07-23 1990-11-10 주식회사 금성사 야채 및 양념 다짐기
KR20090094573A (ko) * 2008-03-03 2009-09-08 한재묵 씨감자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044246U (zh) * 2017-07-20 2018-02-27 林欣 一种新型果蔬切条机
KR101964547B1 (ko) * 2018-01-31 2019-04-01 이충구 고기절단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07U (ko)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712Y1 (ko) 채 썰기 장치
CA2148681C (en) Fruit and vegetable juicer
US5089286A (en) Appliance for spirally slicing fruits and vegetables
CN2456604Y (zh) 多功能刨榨器
CN207544976U (zh) 一种蔬菜刨丝器
US20130232794A1 (en) Food chopper
CN2439236Y (zh) 手动水果切削机
CN205989353U (zh) 一种手摇自动送料式切菜器
CN205043827U (zh) 一种切菜器
CN210019076U (zh) 一种多功能切菜切丝装置
JP7154489B2 (ja) 調理器具及び調理器具セット
CN213918655U (zh) 一种切丝刀具及其使用该切丝刀具的切丝器
AU684615B2 (en) Fruit and vegetable juicer
KR20130135673A (ko) 복층구조 칼 및 칼 세트
KR200466822Y1 (ko) 다용도 채칼
KR200475441Y1 (ko) 자동 채칼 장치
KR20190002711U (ko) 다기능 도마
CN214520359U (zh) 一种刨丝器
CN215038393U (zh) 一种将竹叶制成一次性餐盒的装置
KR102078460B1 (ko) 마늘 세절기
KR200448086Y1 (ko) 채칼
CN218799826U (zh) 海绵切割机的毛边清理机构
CN213647708U (zh) 一种可更换切丝和切片的蔬菜装置
CN109732672B (zh) 一种食物切削装置
CN211459917U (zh) 一种多功能食物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