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622Y1 -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622Y1
KR200494622Y1 KR2020200000530U KR20200000530U KR200494622Y1 KR 200494622 Y1 KR200494622 Y1 KR 200494622Y1 KR 2020200000530 U KR2020200000530 U KR 2020200000530U KR 20200000530 U KR20200000530 U KR 20200000530U KR 200494622 Y1 KR200494622 Y1 KR 200494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plate
closing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915U (ko
Inventor
안영진
Original Assignee
안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진 filed Critical 안영진
Priority to KR2020200000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622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9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9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6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5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7Arrangement of backflow preven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수구와 급수구가 형성된 수도 계량기의 급수구 내측에 삽입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면서 내주면에는 개폐걸림단이 돌출 형성된 메인바디, 메인바디의 후단 내측에 삽입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면서 내주면에는 걸림지지단이 돌출 형성된 체결바디, 메인바디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며, 개폐걸림단과의 밀착 여부에 따라 메인바디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판부, 메인바디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일단이 걸림지지단에 걸림된 상태로 타단은 개폐판부를 탄성 지지하면서 개폐판부가 개폐걸림단에 밀착 배치되게 하는 탄성 스프링, 메인바디 및 개폐판부에 설치하며, 개폐판부가 개폐걸림단에 밀착 배치되도록 당김힘을 발생시키는 당김 부착부를 포함하는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Backflow preventing device for water meter}
본 고안은 수도 계량기에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계량기를 통과한 유체가 다시 계량기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 계량기는 공급되는 유체를 통해 회전하는 익차의 시간당 유량을 측정하여 계량하는 장치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통의 내부에 설치한다.
이러한, 수도 계량기는 전방에 앵글밸브가 설치되고 후방에 엘보우가 설치되어 배관으로 통과된 후 유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압력차이에 의하여 수도 계량기를 통과하면서 유량이 측정된 유체가 역류하게 되면서 익차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정확한 계량이 어려운 바, 배관 라인 상에 유체의 일방향 흐름을 허용하는 체크밸브를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의 체크밸브는 배관 라인에 연결 설치해야 함으로써 설치작업이 번거로움과 더불어 고장에 따른 수리나 교환을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도 계량기의 내부에 체크 밸브를 일체 상태로 설치하는 기술도 사용되나, 기존의 이미 설치된 수도 계량기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완전히 수도 계량기를 교체해야 하거나 보호통도 확장해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체크 밸브는 오랜기간 사용할 경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약해지면서 유체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수도 계량기의 역류방지장치에 대한 관련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02687호(2005.07.12)에 제시된다.
본 고안은, 기존의 수도 계량기에 간단하게 설치를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오랜기간 사용하거나 유체의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유체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는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입수구와 급수구가 형성된 수도 계량기의 급수구 내측에 삽입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면서 내주면에는 개폐걸림단이 돌출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후단 내측에 삽입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면서 내주면에는 걸림지지단이 돌출 형성된 체결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며, 개폐걸림단과의 밀착 여부에 따라 메인바디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판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일단이 걸림지지단에 걸림된 상태로 타단은 개폐판부를 탄성 지지하면서 개폐판부가 개폐걸림단에 밀착 배치되게 하는 탄성 스프링, 상기 메인바디 및 개폐판부에 설치하며, 개폐판부가 개폐걸림단에 밀착 배치되도록 당김힘을 발생시키는 당김 부착부를 포함하는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폐판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서 메인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는 바디판, 상기 바디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바디판의 전면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선측돌출판, 상기 바디판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바디판의 후면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후측돌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김 부착부는, 상기 개폐판부에 결합 설치하는 금속판, 상기 개폐걸림단에 결합 설치하며, 메인바디를 통한 유체의 배출이 중지될 경우, 자력에 의해 개폐판부가 개폐걸림단에 밀착되도록 개폐걸림단 방향으로 당겨지게 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한 쌍의 치아 밀착 몸체를 턱 벌림 지지대로 연결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며, 상악의 어금니와 하악의 어금니 사이에서 각각의 어금니를 상악안착홈 및 하악안착홈에 삽입시 하악이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고, 턱 벌림 지지대는 입천장에 밀착 배치되면서 턱 관절을 벌림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바, 구강을 통한 호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용 역류방지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용 역류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수도 계량기용 역류방지장치는, 메인바디(100), 체결바디(200), 개폐판부(300), 탄성 스프링(400), 당김 부착부(500)를 구비한 상태로 입수구(11)와 급수구(12)가 형성된 수도 계량기(10)에 연결 설치한다.
상기 메인바디(100)는 수도 계량기(10)의 급수구(12) 내측에 삽입상태로 결합 설치하는 부분이다. 이때, 메인바디(100)는 급수구(12)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하며, 급수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메인바디(100)의 후단 외주면에는 외측 나사부(101)가 형성되어, 급수구(12)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12a)와 외측 나사부(101)의 나사 결합을 통한 착탈 가능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더불어, 메인바디(100)의 후단 내주면에는 이후 설명될 체결바디(200)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 나사부(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선단 내주면에는 개폐걸림단(110)이 메인바디(1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개폐걸림단(110)은 메인바디(100)의 내주면 둘레로 형성되도록 링 구조를 가지며, 이후 설명될 탄성 스프링(400) 및 당김 부착부(500)를 통해 메인바디(100)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개폐판부(300)를 안정적으로 걸림되게 함과 더불어 개폐판부(300)와의 연결시 메인바디(100)의 내측을 밀폐하면서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측에는 개폐판부(300)를 개폐걸림단(110)에 연결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개폐판부(300)와 개폐걸림단(110) 사이를 안정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씰링부재(120)를 삽입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씰링부재(120)는 개폐판부(300)와 개폐걸림단(110) 사이에 위치하도록 메인바디(10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개폐걸림단(110)의 후면에 밀착되게 배치한다. 여기서, 씰링부재(120)는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200)는 탄성 스프링(400)의 후단 부분을 걸림상태로 지지함과 더불어 메인바디(100)의 내측에서 개폐판부(300)가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체결바디(200)는 메인바디(100)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체결바디(200)는 메인바디(100)의 내측에 삽입 상태로 결합 설치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바디(100)의 후단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한다. 이러한, 체결바디(200)의 후단 외주면에는 체결 나사부(201)가 형성되어, 메인바디(100)의 내측 나사부(102)와 체결 나사부(201)의 나사 결합을 통한 착탈 가능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바디(200)의 후단 내주면에는 탄성 스프링(400)의 후단 부분을 걸림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지지단(210)이 체결바디(2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지지단(210)은 체결바디(200)의 내주면 둘레로 형성되도록 링 구조를 가지며, 탄성 스프링(400)의 후단 부분을 안정적으로 걸림 지지되게 한다.
상기 개폐판부(300)는 급수구(20)를 통한 유체의 배출 여부에 따라 메인바디(100)의 내측을 개폐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개폐판부(300)는 탄성 스프링(400)의 선단에 연결되면서 탄성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메인바디(100)의 내측에 삽입 설치한다. 여기서, 개폐판부(300)는 바디판(310), 선측돌출판(320), 후측돌출판(33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판(310)은 메인바디(200)의 내측에서 메인바디(2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바디판(310)은 메인바디(100)의 개폐걸림단(110), 보다 상세하게는 씰링부재(120)에 상호 마주보는 면부가 맞닿도록 배치되지 않고 이격될 경우에는 메인바디(100)를 통한 유체의 유입 및 배출과 같은 유동이 가능하도록 메인 바디(100)의 내경 크기보다 작은 직경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바디판(310)은 메인바디(100)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선측돌출판(320)은 메인바디(100)의 선측 입구(100a)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바디판(310)에 안정적으로 전달되게 하면서 메인바디(100)로의 유체 유입시, 바디판(310)이 메인바디(100)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안정적인 밀림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즉, 선측돌출판(320)은 바디판(3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바디판(310)의 전면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며, 메인바디(100)로 유입된 후 이동하는 유체가 선측돌출판(320)을 중심으로 분할상태로 바디판(310)의 전면 양측에 각각 충돌되게 하면서 바디판(310)이 후방으로 안정적인 밀림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선측돌출판(320)은 직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선측돌출판(320)의 선단 테두리는 메인바디(100)의 선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모서리부(도면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같은, 모서리부는 선측돌출판(320)의 선단 테두리 부분에서 유체의 충돌 및 와류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유체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후측돌출판(320)은 바디판(310)의 외측 테두리와 메인바디(100)의 내주면 사이를 통해 통과하는 유체가 메인바디(100)의 후측 출구(100b)를 통해 배출될 때, 바디판(310)의 후방에서 유체의 와류발생을 억제시켜 유체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후측돌출판(320)은 바디판(31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바디판(310)의 후면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며, 바디판(310)과 메인바디(100)의 내주면 사이를 통과한 유체가 메인바디(100)의 출구(100b) 방향으로 이동시 와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되게 한다. 여기서, 후측돌출판(320)은 직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후측돌출판(320)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 방향, 즉 메인바디(100) 내 유체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가이드홈(도면미도시)이 형성되게 하면서 바디판(310)의 외측 테두리와 메인바디(100)의 내주면 사이를 통해 통과한 유체가 메인바디(100)의 출구(100b)로 안정적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 스프링(400)은 수도 계량기(10)의 급수구(12)에서 메인바디(100) 내측으로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즉 개폐판부(300)의 전면 부분으로 유체의 밀림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개폐판부(300)의 전면 부분이 개폐걸림단(110)에 밀착 배치되면서 메인바디(100)의 내측을 밀폐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즉, 탄성 스프링(400)은 메인바디(100) 내측으로 유체의 유입 및 배출 이동을 통해 개폐판부(300)가 밀림된 후, 메인바디(100)를 통해 유체의 배출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개폐판부(300)가 밀림 이동되게 하면서 개폐걸림단(110)에 밀착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메인바디(100)의 출구(100b)에서 입구(100a) 방향으로 유체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탄성 스프링(400)은 메인바디(100)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탄성 스프링(4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체결바디(200)의 걸림지지단(210)에 걸림되고, 탄성 스프링(400)의 길이방향 타단은 개폐판부(300)의 후면 부분에 연결 배치되면서 개폐판부(400)를 개폐걸림단(110) 방향으로 밀림시키도록 탄성 지지한다.
상기 당김 부착부(500)는 수도 계량기(10)의 급수구(12)에서 메인바디(100) 내측으로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즉 개폐판부(300)에 유체의 배출에 따른 밀림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 스프링(400)에 의해 개폐판부(300)가 개폐걸림단(110)에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충격이나 메인바디(100) 내 유체의 요동이 발생하더라도 개폐판부(300)와 개폐걸림단(110)의 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즉, 당김 부착부(500)는 일정 이상의 압력, 즉 메인바디(100)의 입구(100a)에서 출구(100b) 방향으로의 유체 배출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자력을 이용하여 개폐판부(300)가 개폐걸림단(110)에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개폐판부(300)가 개폐걸림단(110) 방향으로 접하도록 당김힘이 발생되게 한다. 이러한, 당김 부착부(500)는 메인바디(100) 및 개폐판부(300)에 설치하며, 금속판(510), 영구자석(520)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판(510)은 개폐판부(3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판부(300)의 전면에 결합 설치한다. 이때, 금속판(510)은 자력에 의한 부착이 이루어지면서 부식성이 강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개폐판부(300)의 전면에 안정적인 결합 및 영구자석(520)의 자력을 안정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개폐판부(300)의 전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영구자석(520)은 메인바디(200)의 내측으로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이 중지된 상태에서 개폐판부(300)가 탄성 스프링(400)에 의해 밀림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개폐판부(300)가 개폐걸림단(110)에 밀착 유지되도록 개폐걸림단(110) 방향으로 추가적인 당김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영구자석(520)은 메인바디(200)의 개폐걸림단(110) 후면에 결합 설치하며, 개폐걸림단(110)에 안정적인 결합 및 개폐판부(300)에 결합된 금속판(510)으로 안정적인 자력을 전달되게 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개의 판 형태를 가지는 단위자석부재를 상호 이격되게 개폐걸림단(110)에 결합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의 수도 계량기용 역류방지장치의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체의 사용에 따라 수도 계량기(10)의 입수구(11)에서 급수구(12)로의 유체 이동이 이루어질 경우, 유체의 이동 압력에 의해 개폐판부(300)가 메인바디(100)의 흐측 방향으로 밀림 이동되고, 메인바디(100)의 입구(100a)로 유입된 유체는 개폐판부(300)의 외측 테두리와 메인바디(100)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통해 이동하면서 출구(100b)에서 체결바디(200)를 통해 배관 라인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유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수도 계량기(10)의 입수구(11)에서 급수구(12)로의 유체 이동이 차단될 경우, 유체의 이동 압력도 해제됨과 더불어 탄성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판부(300)는 메인바디(100)의 선측 방향으로 밀림 이동되면서 개폐판부(300)의 선측은 메인바디(100)의 개폐걸림단(110) 후측, 보다 상세하게는 씰링부재(120)의 후측에 밀착되면서 메인바디(100)를 밀폐상태로 유지한다.
이렇게, 상기 개폐판부(300)의 선측의 개폐걸림단(110)에 밀착 배치될 경우, 당김 부착부(500)의 영구자석(520)에서 발생된 자력을 통해 개폐판부(300)를 개폐걸림단(110) 방향으로 당기면서 개폐판부(300)를 통한 메인바디(100) 내측의 밀폐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탄성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한 밀림힘과 당김 부착부(500)에 의해 당김힘이 개폐판부(300)에 가해지면서, 개폐판부(300)가 개폐걸림단(110)에 안정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바, 메인바디(100)의 출구(100b)로 배출된 유체가 다시 메인바디(100)의 입구(100a) 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는, 메인바디(10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개폐판부(300)가 탄성 스프링(40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유체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개폐판부(300)가 탄성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밀림되면서 메인바디(100)의 개폐걸림단(110)에 밀착되며 메인바디(100)의 내부를 밀폐되게 하여 메인바디(100)의 출구(100b)에서 입구(100a) 방향으로의 유체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당김 부착부(500)의 자력을 통해 개폐판부(300)가 개폐걸림단(110)에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바, 충격이나 메인바디(100) 내 유체의 요동이 발생하더라도 메인바디(100)를 통한 유체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메인바디 110: 개폐걸림단
200: 체결바디 210: 걸림지지단
300: 개폐판부 310: 바디판
320: 선측돌출판 320: 후측돌출판
400: 탄성 스프링 500: 당김 부착부
510: 금속판 520: 영구자석

Claims (3)

  1. 입수구와 급수구가 형성된 수도 계량기의 급수구 내측에 삽입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면서 내주면에는 개폐걸림단이 돌출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후단 내측에 삽입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면서 내주면에는 걸림지지단이 돌출 형성된 체결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며, 개폐걸림단과의 밀착 여부에 따라 메인바디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판부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일단이 걸림지지단에 걸림된 상태로 타단은 개폐판부를 탄성 지지하면서 개폐판부가 개폐걸림단에 밀착 배치되게 하는 탄성 스프링; 및
    상기 메인바디 및 개폐판부에 설치하며, 개폐판부가 개폐걸림단에 밀착 배치되도록 당김힘을 발생시키는 당김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판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서 메인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는 바디판, 상기 바디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바디판의 전면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선측돌출판, 상기 바디판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바디판의 후면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후측돌출판을 포함하고,
    상기 선측돌출판과 후측돌출판은 직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선측돌출판의 선단 테두리는 메인바디의 선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모서리부가 형성되어, 선측돌출판의 선단 테두리 부분에서 유체의 충돌 및 와류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유체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후측돌출판에는 메인바디 내 유체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바디판의 외측 테두리와 메인바디의 내주면 사이를 통해 통과한 유체가 메인바디의 출구로 와류발생이 억제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되게 하는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김 부착부는,
    상기 개폐판부에 결합 설치하는 금속판과,
    상기 개폐걸림단에 결합 설치하며, 메인바디를 통한 유체의 배출이 중지될 경우, 자력에 의해 개폐판부가 개폐걸림단에 밀착되도록 개폐걸림단 방향으로 당겨지게 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

KR2020200000530U 2020-02-14 2020-02-14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 KR200494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530U KR200494622Y1 (ko) 2020-02-14 2020-02-14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530U KR200494622Y1 (ko) 2020-02-14 2020-02-14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915U KR20210001915U (ko) 2021-08-24
KR200494622Y1 true KR200494622Y1 (ko) 2021-11-17

Family

ID=7749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530U KR200494622Y1 (ko) 2020-02-14 2020-02-14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622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218B1 (ko) * 2012-05-29 2014-01-29 박재삼 자석을 이용한 역류 방지 장치
KR102121613B1 (ko) * 2018-03-22 2020-06-10 김경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915U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3570A (en) Backflow check valve
US7484526B2 (en) Sanitary check valve
BR112015018494B1 (pt) Dispositivo de retenção de chuveiro manual
US3861415A (en) Flow actuated automatic valve
NZ510586A (en) Taps and containers for dispensing fluid
KR200494622Y1 (ko)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
BRPI0409301B1 (pt) dispositivo para evitar refluxo
JP2004176873A (ja) リーク機能付逆止弁
KR101130945B1 (ko) 체크밸브장치
KR20090034461A (ko) 소방용 개폐밸브
KR101238180B1 (ko)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JP2008224646A (ja) 水道メータの逆流防止部品
US20090057598A1 (en) Resilient Wedge Gate Valve
KR100993446B1 (ko) 상수도용 역류방지장치
KR200438690Y1 (ko) 유니온 타입 역류방지용 연결밸브
KR101774986B1 (ko) 유체 역류 방지 장치
KR101268980B1 (ko) 체크밸브
KR101437594B1 (ko) 수충격 방지 디스크장치
CN219141927U (zh) 一种水流量计
JP2006234777A (ja) 水道メータの整流効果を有する逆流防止部品
KR100669517B1 (ko) 밸브
KR10208153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KR20100098362A (ko) 스윙 체크 밸브
CN110043697B (zh) 一种双向止逆阀及相关装置
JP2505111B2 (ja) 複合型量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