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503Y1 - 낚시용 봉돌 - Google Patents

낚시용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503Y1
KR200494503Y1 KR2020210000699U KR20210000699U KR200494503Y1 KR 200494503 Y1 KR200494503 Y1 KR 200494503Y1 KR 2020210000699 U KR2020210000699 U KR 2020210000699U KR 20210000699 U KR20210000699 U KR 20210000699U KR 200494503 Y1 KR200494503 Y1 KR 200494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urbulence
fishing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안식
Original Assignee
김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안식 filed Critical 김안식
Priority to KR2020210000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낚시 줄에 결합되어 낚시 바늘을 수중에서 하강시키기 위한 중량체, 중량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중량체의 진행 방향을 하측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향 조절부, 및 중량체의 표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중량체의 하강 시 중량체의 표면에 난류를 발생시키는 제1 난류 발생부를 포함하는 낚시용 봉돌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낚시용 봉돌 {SINKER FOR FISHING}
본 고안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봉돌은 낚시 채비의 일부로 무거운 중량을 가지고 있어 채비를 원하는 장소나 수심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채비를 빨리 가라 앉도록 하며, 미끼가 원하는 장소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역할도 한다.
기존 낚시용 봉돌은 줄 꼬임이 자주 발생될 뿐 아니라 물속에 침강되는 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낚시용 봉돌은 형태가 불 균일하여, 물속에 침강되면서 한쪽으로 흘러가서 낚시용 봉돌이 수면에 떨어진 위치와 낚시용 봉돌이 물속에 완전히 가라앉은 후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되며 낚시를 하는 사람이 봉돌의 위치를 정확히 알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4-0001491호 (2014.03.12 공개)
본 고안은 수중에서 낚시 채비의 하강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낚시 줄에 결합되어 낚시 바늘을 수중에서 하강시키기 위한 중량체, 중량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중량체의 진행 방향을 하측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향 조절부, 및 중량체의 표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중량체의 하강 시 중량체의 표면에 난류를 발생시키는 제1 난류 발생부를 포함하는 낚시용 봉돌이 제공된다.
제1 난류 발생부는 중량체 표면에 난류 발생량이 증가되도록 오목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방향 조절부는 중량체와 방향 조절부 전체의 무게 중심이 중량체 측에 위치되도록 단면이 상단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낚시용 봉돌은 방향 조절부 표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중량체의 하강 시, 방향 조절부의 표면에 난류를 발생시키는 제2 난류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난류 발생부는 제2 난류 발생부보다 촘촘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방향 조절부보다 중량체의 표면에서 난류 발생량을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중량체는 방향 조절부와 결합되는 본체부, 및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중량체의 하강 시 본체부에 대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낚시용 봉돌은 회전부에 형성되어 중량체의 하강에 따른 유체의 상대적인 유동을 이용하여 회전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유도부는 중량체의 진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에 의한 힘을 회전부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제1 난류 발생부 각각은 회전 유도부의 경사진 기울기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중량체의 표면에는 발수층이 형성되어 수중에서 유체와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수중에서 낚시 채비의 하강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이 낚시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하강 속도 증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을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줄과 결합하여 낚시 바늘을 수중에서 빠르게 하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중량체, 방향 조절부, 제1 난류 발생부, 제2 난류 발생부, 발수층, 고리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낚시용 봉돌이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낚시 바늘 및 낚시용 봉돌이 수중에서 하강 시 하강 속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빠른 하강 속도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캐스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낚시용 봉돌 하강 시 수중에서 난류를 발생시켜 발생하는 기포는 어류의 측선을 자극하여 낚시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체에서 물체가 일 방향으로 진행할 때 진행 방향의 반대편에 일시적인 진공 상태가 형성되어 압력차가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압력차에 따라 물체를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저항인 형상 저항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 저항으로 인하여 유체 내에서 물체의 진행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은 중량체 표면에 복수의 제1 난류 발생부가 형성되고, 방향 조절부 표면에 제2 난류 발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난류 발생부 및 제2 난류 발생부에 의해 난류가 발생되어 봉돌의 진행 방향과 반대편에 유체가 고루 분포하게 됨으로써 압력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력차에 의한 마찰력이 감소되어 진행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봉돌의 하강 시 제1 난류 발생부 및 제2 난류 발생부를 통해 발생하는 난류로 인해 미세 기포가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기포는 수중에 다양한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
어류의 몸의 양측면은 기계적 감각기로 물체 및 다른 생물을 감지하거나 수류변화를 감수하는 촉각 기관인데, 상술한 난류에 의해 발생된 파장은 어류의 측선을 자극하여 어류에게 생명체로 인식, 감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류에게 봉돌의 상단 미끼를 보다 효과적으로 인식시켜 포식을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중량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 줄에 결합되어 낚시 바늘을 수중에서 하강시킬 수 있다. 하강 속도의 향상을 위해 텅스텐과 같은 비중이 높은 물질이 중량체의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방향 조절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중량체의 진행 방향을 하측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향 조절부는 중량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량체는 수중에서 하강 시 하측(중력 방향)으로 방향성과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방향 조절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상단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중량체 측의 단면이 방향 조절부 보다 넓고 상하가 짧게 형성됨으로써, 중량체와 방향 조절부, 즉 낚시용 봉돌 전체의 무게 중심이 중량체 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낚시용 봉돌은 하강 시 진행 방향이 하측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낚시용 봉돌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 부분을 곡면의 모양으로 형성하고 방향 조절부를 상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태인 유선형의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물방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체의 흐름에 따라 물체 진행 방향의 뒷부분에서 압력차에 의한 저항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유선형의 모양에 가까울수록 층류에 가까운 형태로 유체가 흘러 압력차에 의한 마찰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낚시용 봉돌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 기둥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행 방향의 뒷부분에 압력 차이에 의한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전체적으로는 유선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낚시용 봉돌이 다각 기둥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중량체와 방향 조절부의 표면은 다각형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낚시용 봉돌이 수중에서 하강 시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경우, 중량체와 방향 조절부의 다각형의 평면이 기울어진 반대 방향으로 유체에 의한 부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낚시용 봉돌의 하강 시 자세 안정성이 향상되어 방향 유지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제1 난류 발생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의 표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수중에서 중량체의 하강 시 중량체 표면에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난류 발생부를 이용하여 중량체 표면에 난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낚시용 봉돌의 후방에 발생되는 형상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수중에서 중량체의 하강 속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중량체 하강 시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에 많은 난류가 발생하여 압력이 낮아 지면서 물체를 끌어당기는 형상 저항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난류 발생부에서 작은 난류들을 발생시켜 유체가 중량체와 방향 조절부의 표면에 밀접하여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중량체의 진행 방향의 후방으로 유체가 보다 잘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가 낚시용 봉돌의 후방에 분산됨에 따라 낚시용 봉돌의 후방에 발생하던 난류가 감소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낚시용 봉돌의 진행 방향 전후방에서 압력의 차이가 감소되어 저항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수중에서 중량체의 하강 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난류 발생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조절부의 표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수중에서 중량체의 하강 시 방향 조절부 표면에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난류 발생부는 전술한 제1 난류 발생부와 동일/유사한 원리에 따라 유체가 방향 조절부의 표면에 보다 밀접하여 유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저항을 감소시켜 중량체의 하강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난류 발생부 및 제2 난류 발생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효과적인 난류 발생을 위해 오목한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중에서 유체와의 마찰을 더욱 줄이기 위해 제1 난류 발생부와 제2 난류 발생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반구형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저항 감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난류 발생부 및 제2 난류 발생부는 그 크기를 균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난류 발생량이 증가될 수도 있고,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난류 발생량이 증가될 수 있다.
제1 난류 발생부와 제2 난류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난류는 수중에서 다양한 파동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난류 발생부와 제2 난류 발생부에 의해 생성되는 파동은 어류의 측선을 자극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낚시의 성공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즉, 어류는 측선을 통해 미끼 혹은 공격 대상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제1 난류 발생부와 제2 난류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파동은 어류의 측선을 자극하여 어류의 관심을 끌 수 있다. 낚시 채비 중 가장 먼저 하강하는 낚시용 봉돌이 일종의 미끼 및 공격 대상 역할을 하여 낚시용 봉돌 상단에 위치한 미끼를 인식시킬 수 있어, 어류의 포식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낚시의 성공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낚시 고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조절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낚시줄과 결합될 수 있다. 낚시 고리와 방향 조절부를 결합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리와 방향 조절부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발수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 표면에 형성되어 수중에서 중량체의 하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발수 처리를 한 물체는 표면에서 물을 튕겨 내어 표면에 물과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수중에서 중량체 하강 시 침강 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경우, 제1 난류 발생부와 제2 난류 발생부와 중량체의 구성 측면에서 전술한 도 2(a)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으므로, 이하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의 낚시용 봉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중량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와 회전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는 방향 조절부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방향 조절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체부와 방향 조절부가 점선을 통해 구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와 유사하게 별도의 부품으로 구현되어 접착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회전부는 낚시용 봉돌 하단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중량체가 수중에서 하강 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가 본체부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함으로써, 중량체의 하강 속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중량체 하강 시 회전부에 상대적으로 작용하는 유체의 유동으로 인해 회전부는 유동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유체의 유동력로 인해 회전부에 회전력이 작용하여 회전부가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가 회전 운동을 함에 따라 중량체의 진행 방향의 유체를 밀어내어 중량체 하강 시 하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체의 유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무동력 타입을 일 예로 제시하였으나, 모터 등 별도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회전부를 회전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회전부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의 중앙 영역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회전부의 회전축은 회전부의 중심을 지나도로 배치되어 회전 시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방향 조절부와 회전부는 서로 맞닿는 면적이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회전부와 방향 조절부의 표면이 연속적인 매끄러운 곡면을 이룰 수 있으므로, 중량체 하강 시 유체의 저항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에는 중량체의 하강에 따른 유체의 유동을 이용하여 회전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 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유도부는, 유체의 유동 시 회전부에 작용하는 유동력이 작용하는 표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회전부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유도부는 중량체의 진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에 의한 힘을 회전부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중량체의 진행 방항에 나란하게 하측에서 상측으로 작용하는 유체의 유동력은 경사진 회전 유도부에 의해 중량체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회전부는 유체 유동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회전 운동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부 표면에 대해 돌출된 구조를 갖는 회전 유도부를 일 예로 제시하고 있으나, 이 밖에도 회전 유도부는 회전부 표면에 오목한 슬릿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 유도부의 유체와 접촉 면적을 넓혀 유동력을 회전력으로 보다 많이 변환시키기 위해 회전 유도부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회전 유도부는 회전부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부의 회전력을 보다 상승시킬 수 있다.
제1 난류 발생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 중 회전부 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난류 발생부는 방향 조절부의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 난류 발생부는 그 간격이 제2 난류 발생부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촘촘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량체 전방 영역에서 난류의 발생량이 증가되어 유체의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낚시용 봉돌의 전체적인 형상 저항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난류 발생부는 제2 난류 발생부에 비해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난류 발생부의 크기를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1 난류 발생부를 보다 조밀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1 난류 발생부의 밀도를 높임에 따라 낚시용 봉돌의 전체적인 형상 저항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제1 난류 발생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난류 발생부 각각이 회전 유도부의 경사진 기울기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난류 발생부를 회전 유도부와 나란하게 배치함으로써 회전부의 회전력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낚시용 봉돌의 하강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경우, 중량체와 방향 조절부의 형상 구조 측면에서 전술한 도 4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이하 전술한 상이한 중량체와 방향 조절부의 형상 구조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중심으로 본 실시예의 낚시용 봉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중량체와 방향 조절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8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량체의 하강 시 회전부 및 그에 형성된 회전 유도부과 접촉하는 유체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량체와 방향 조절부를 다면체 구조로 형성하여 유체와 접촉면을 증가시킴으로써, 낚시용 봉돌 하강시 발생되는 유체의 상대적 유동에 따른 유동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부의 회전력으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낚시용 봉돌 하강 시 이동 저항을 줄여 하강 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낚시 줄
20: 낚시 바늘
30: 난류
100: 낚시용 봉돌
110: 중량체
111: 본체부
112: 회전부
113: 회전 유도부
120: 방향 조절부
130: 제1 난류 발생부
140: 제2 난류 발생부
150: 발수층
160: 고리
170: 연결부

Claims (10)

  1. 낚시 줄에 결합되어 낚시 바늘을 수중에서 하강시키기 위한 중량체;
    상기 중량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의 진행 방향을 하측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향 조절부; 및
    상기 중량체의 표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의 하강 시 상기 중량체의 표면에 난류를 발생시키는 제1 난류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상기 방향 조절부와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중량체의 하강 시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 운동 가능한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의 하강에 따른 유체의 상대적인 유동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 유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유도부는 상기 중량체의 진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에 의한 힘을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키고,
    복수의 상기 제1 난류 발생부 각각은 상기 회전 유도부의 경사진 기울기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낚시용 봉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난류 발생부는 상기 중량체 표면에 난류 발생량이 증가되도록 오목한 홈 형상을 갖는, 낚시용 봉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절부는, 상기 중량체와 상기 방향 조절부 전체의 무게 중심이 상기 중량체 측에 위치되도록 단면이 상단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되는, 낚시용 봉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절부 표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의 하강 시 상기 방향 조절부의 표면에 난류를 발생시키는 제2 난류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낚시용 봉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난류 발생부는 상기 제2 난류 발생부 보다 촘촘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방향 조절부 보다 상기 중량체의 표면에서의 난류 발생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낚시용 봉돌.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의 표면에는 발수층이 형성되어 수중에서 유체와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낚시용 봉돌.



KR2020210000699U 2021-03-05 2021-03-05 낚시용 봉돌 KR200494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99U KR200494503Y1 (ko) 2021-03-05 2021-03-05 낚시용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99U KR200494503Y1 (ko) 2021-03-05 2021-03-05 낚시용 봉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503Y1 true KR200494503Y1 (ko) 2021-10-25

Family

ID=7826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699U KR200494503Y1 (ko) 2021-03-05 2021-03-05 낚시용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503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8070U (ko) * 1987-03-04 1988-09-12
JPH10262528A (ja) * 1997-03-26 1998-10-06 Katsuya Okamoto 投げ釣りのオモリおよびウキ
JP2008148622A (ja) * 2006-12-18 2008-07-03 Michiaki Uchida 釣り用おもり
US20090229166A1 (en) * 2008-02-29 2009-09-17 Matthew Sawrie Fishing weight
KR20140001491U (ko) 2012-08-31 2014-03-12 (사)한국스포츠피싱협회 루어기능을 갖는 봉돌
JP2017012121A (ja) * 2015-07-03 2017-01-19 株式会社二枚貝養殖研究所 貝類飼育装置
KR20170129302A (ko) * 2016-05-16 2017-11-27 주식회사 피케이에프씨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8070U (ko) * 1987-03-04 1988-09-12
JPH10262528A (ja) * 1997-03-26 1998-10-06 Katsuya Okamoto 投げ釣りのオモリおよびウキ
JP2008148622A (ja) * 2006-12-18 2008-07-03 Michiaki Uchida 釣り用おもり
US20090229166A1 (en) * 2008-02-29 2009-09-17 Matthew Sawrie Fishing weight
KR20140001491U (ko) 2012-08-31 2014-03-12 (사)한국스포츠피싱협회 루어기능을 갖는 봉돌
JP2017012121A (ja) * 2015-07-03 2017-01-19 株式会社二枚貝養殖研究所 貝類飼育装置
KR20170129302A (ko) * 2016-05-16 2017-11-27 주식회사 피케이에프씨 낚싯바늘 회동형 봉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42206A1 (en) Swimbaits with Fluttering Dual Plane Tail Rotation
US20140123540A1 (en) Fishing lure
KR200494503Y1 (ko) 낚시용 봉돌
US20110197492A1 (en) Fish Attracting and Trolling Lure
US20120090218A1 (en) Fishing weight
US20120167446A1 (en) Artificial bait for amateur fishing
KR20230000825U (ko) 낚시용 봉돌
JP6727586B2 (ja) ルアー
US20060230670A1 (en) Fishing lure
EP2798951B1 (en) Surface lure
JP2016049031A (ja) ルアー
JP4842218B2 (ja) 餌木
JP6656851B2 (ja) ルアー
KR20140133627A (ko) 수조 내 유체 순환 및 산소공급 장치
RU119209U1 (ru) Поверхностная блесна
KR101967363B1 (ko) 낚시찌
JP2957973B2 (ja) 振動式ルアー
KR20180001002U (ko) 루어
US7874095B2 (en) Fishing lure
JP6953168B2 (ja) 投げ釣り用飛行機型錘
US20200323185A1 (en) Swimbaits with fluttering dual plane tail rotation
JP5117334B2 (ja) エギ
JP2015149952A (ja) 釣り用ルアー
RU232580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лечения рыбы к рыболовным снастям
JPH08298906A (ja) 浮上おも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