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431Y1 -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 - Google Patents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431Y1
KR200494431Y1 KR2020210001325U KR20210001325U KR200494431Y1 KR 200494431 Y1 KR200494431 Y1 KR 200494431Y1 KR 2020210001325 U KR2020210001325 U KR 2020210001325U KR 20210001325 U KR20210001325 U KR 20210001325U KR 200494431 Y1 KR200494431 Y1 KR 200494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display unit
fingerprint
information recording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헌
김영목
Original Assignee
구자헌
김영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헌, 김영목 filed Critical 구자헌
Priority to KR2020210001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4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4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00013

Landscapes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찍을 손가락의 형상이 인자되어 있는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를 통해 정확한 손가락 지문을 확인하면서 찍을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손가락 지문을 찍을 실수를 제거할 수 있는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Fingerprint card for preschool children}
본 고안은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찍을 손가락의 형상이 인자되어 있는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를 통해 정확한 손가락 지문을 확인하면서 찍을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손가락 지문을 찍을 실수를 제거할 수 있는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문은 지두를 물체상에 눌러 찍음으로써 물체 표면에 남는 무늬에 의한 영상을 말하며, 융선은 땀샘의 출구(땀구멍) 부분이 주위보다 융기한 부분으로 지문 날인 시에 지문 영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지문은 평생 불변이며 만인이 서로 다르므로, 생물학적으로 개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지표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주민등록발급과 같이 일정한 나이가 되면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주민등록증 발급절차에는 십지 지문 채취 작업이 포함되는데, 채취된 지문은 자료화되어 경찰 등의 기관에서 일련의 작업을 통하여 지문 번호를 부여한다.
특히, 경찰 업무에서는 사건 현장 및 변사자, 범죄 피의자, 수배자 신원 확인에 지문 번호를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신원 확인의 지표가 되는 지문을 채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신원확인 자료상에서 잉크 패드, 스탬프를 이용하거나, 롤러 또는 직접 손을 스탬프에 압인하여 지두 부분을 중심으로 손가락에 잉크 액을 묻히고 지면에 누르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문 채취 방식에서는 사체나 지문 융선이 불선명한 행려병자, 노령자, 다한증이 있는 자, 물 일을 많이 하는 자, 노동일을 하는 자의 경우, 지문 융선의 마모 또는 손상으로 선명한 지문 채취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는 경찰 업무에서의 신원 확인뿐 아니라, 주민등록 발급 절차에서 지문을 채취하는 경우에도 발생하는 문제로, 주민등록증 발급 시에, 지문이 선명하게 채취되지 않아 발급 대상자가 발급지를 재방문해야 하는 문제가 빈번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서식 용지를 미리 마련하고 상기 용지상의 특정위치에 좌수와 우수의 지두를 눌러 지문을 채취하였으나, 정확한 지문 채취를 위해서는 종이를 일부 구부려야하고, 잉크가 다른 위치에 묻거나 마르지 않은 잉크에 의해 종이가 오염되어 용지를 재작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착면이 형성된 테이프에 지문을 날인하고 신원 확인용지에 이를 접착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지문이 날인된 접착면이 상면에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투명한 신원 확인용지를 사용하여 그 뒷면에 테이프를 붙여야 하므로, 기존 서식에 적용하기 어렵고, 불필요한 부분까지 투명 재질의 필름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기존 서식에 비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03957호가 있다.
한편, 상기한 지문 채취카드에 아동의 신상정보를 기록하여 특정기관 및 가정에 보관함으로써, 주로 미아 또는 실종 등의 상황에서 아동을 빠른 시간안에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정보기록카드로 최근들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정확한 지문 위치를 확인하면서 찍을 수가 없어서 실수률이 높아 관리자들이 일일히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다음과 같이 손가락을 표시하여 인자시에 혼동이 되어 왼손 엄지를 찍을 시에 자칫 오른손 엄지를 찍곤 했었다.
도 1에서와 같이, 실생활에서는 (a)와 같이 눈으로 보이는데, 지문 채취지의 지시 그림에는 (b)와 같이 되어 있기 때문에 왼손과 오른손 어느쪽인지 혼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눈으로 보이는 대로 지시그림이 (c)와 같이 되어야 혼동을 피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혼동을 피할 수 있도록 손바닥보다는 손등을 기반으로 하여 지시그림이 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찍을 손가락의 형상이 인자되어 있는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를 통해 정확한 손가락 지문을 확인하면서 찍을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손가락 지문을 찍을 실수를 제거할 수 있는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를 고안하게 된 것이다.
(선행문헌)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03957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손등을 기반으로 찍을 손가락의 형상이 인자되어 있는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를 통해 정확한 손가락 지문을 확인하면서 찍을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손가락 지문을 찍을 실수를 제거할 수 있는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왼손 손가락, 오른손 손가락 지문을 각각 찍을 수 있는 지문칸(150)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손가락지문채취지(100);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해당 손가락 지문을 채취하는 미취학 아동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정보기록칸(25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200);와
상기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의 상면에 접착재로 형성되어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에 손가락지문채취지(100)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300);을 포함함으로써,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는,
손등을 기반으로 찍을 손가락의 형상이 인자되어 있는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를 통해 정확한 손가락 지문을 확인하면서 찍을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손가락 지문을 찍을 실수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들이 일일히 확인하는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손가락 인자시 혼동에 따라 잘못 찍은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의 전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의 후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의 지문 채취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뒷면의 글씨나 그림에 의해 지문과 함께 복사되거나 스캐닝될 경우에 오류 처리되는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왼손 손가락, 오른손 손가락 지문을 각각 찍을 수 있는 지문칸(150)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손가락지문채취지(100);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해당 손가락 지문을 채취하는 미취학 아동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정보기록칸(25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200);와
상기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의 상면에 접착재로 형성되어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에 손가락지문채취지(100)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문칸(150)에는 왼손 손가락, 오른손 손가락마다 떼어내어 지문을 각각 찍을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절취선(170);과
상기 절취선에 의해 제거되며, 손등을 기반으로 하여 찍을 손가락의 형상이 인자되어 있는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180)를 제거한 후, 노출된 접착층 부위에 해당 손가락의 지문을 찍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180)의 상측에 위치하며, 손등(수배-手背)를 기반으로 하여 지문을 찍을 손가락 종류가 표시되어 있는 수배손가락종류표시부(190);를 더 포함하게 된다.
이때, 정보기록칸(250)에는,
작성일자를 기록하는 작성일자기록영역부(251);
아이 정보를 기록하는 아이정보기록영역부(252);
보호자 정보를 기록하는 보호자정보기록영역부(253);
신체 특징 정보를 기록하는 신체특징정보기록영역부(254);
아이 사진 정보를 첨부하는 아이사진정보첨부영역부(255);
신체 특징의 기타 정보를 기록하는 신체기타특징정보기록영역부(256);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는,
무게가 140g이상 내지 160g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의 전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의 후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는,
전면에는 손가락지문채취지(100)가, 후면에는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200)가 위치하되, 그 사이에 접착층(300)을 통해 서로 부착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손가락지문채취지(1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왼손 손가락, 오른손 손가락 지문을 각각 찍을 수 있는 지문칸(15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손 손가락 5개, 오른손 손가락 5개를 각각 찍을 수 있는 지문칸(150)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문칸(150)에는 왼손 손가락, 오른손 손가락마다 떼어내어 지문을 각각 찍을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취선(170)을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취선에 의해 제거되며, 손등을 기반으로 하여 찍을 손가락의 형상이 인자되어 있는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180)를 제거한 후, 노출된 접착층 부위에 해당 손가락의 지문을 찍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손 둘째(검지) 손가락 지문을 채취하는 방법을 설명하자면, 우선 지문칸에 형성된 절취선을 제거하게 되면 제거된 부위에 접착층이 노출되게 된다.
이후, 왼손 둘째 손가락 지문을 찍게 되며, 찍은 후에 투명 부착필름을 해당 지문 위에 부착시켜 지문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180)의 상측에는 수배(手背)손가락종류표시부(190)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에는 지문을 찍을 손가락 종류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로 한번 더 제시하여 실수로 다른 손가락을 찍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배(手背)손가락종류표시부(190)에 표시되는 손가락의 형상은,
눈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손등을 포함하고 있는 손가락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왜냐하면, 미취학 아동의 경우, 손가락을 확인하면서 찍음에 있어 혼동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 상기와 같이, 손등을 포함하고 있는 손가락 형상을 인자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손가락 지문을 확인하면서 찍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손가락 지문을 찍을 실수를 제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실제 종래의 지문 채취 카드의 경우, 실수율이 20% ~ 30% 정도 발생하며, 일일히 관리자들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180)에 표시된 손가락종류표시부(190)는,
맨 상측 왼쪽에 위치한 왼손둘째검지손가락표시부(190a);
왼손둘째검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왼손셋째중지손가락표시부(190b);
왼손셋째중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왼손넷째약지손가락표시부(190c);
왼손넷째약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왼손다섯째소지손가락표시부(190d);
왼손다섯째소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왼손첫째엄지손가락표시부(190e);
중앙 부위의 맨 왼쪽에 위치한 오른손둘째검지손가락표시부(190f);
오른손둘째검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오른손셋째중지손가락표시부(190g);
오른손셋째중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오른손넷째약지손가락표시부(190h);
오른손넷째약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오른손다섯째소지손가락표시부(190i);
오른손다섯째소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오른손첫째엄지손가락표시부(190j);
하측 부위의 맨 왼쪽에 위치한 왼손엄지평면표시부(190k);
왼손엄지평면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왼손4지평면표시부(190l);
왼손4지평면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오른손4지평면표시부(190m);
오른손4지평면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오른손엄지평면표시부(190n);을 포함하게 된다.
예를 들어, 14개의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180)마다 각각 손가락 종류를 나타내는 형상이 표시되어 있게 된다.
즉, 왼손둘째검지손가락표시부(190a), 왼손셋째중지손가락표시부(190b), 왼손넷째약지손가락표시부(190c), 왼손다섯째소지손가락표시부(190d), 왼손첫째엄지손가락표시부(190e), 오른손둘째검지손가락표시부(190f), 오른손셋째중지손가락표시부(190g), 오른손넷째약지손가락표시부(190h), 오른손다섯째소지손가락표시부(190i), 오른손첫째엄지손가락표시부(190j), 왼손엄지평면표시부(190k), 왼손4지평면표시부(190l), 오른손4지평면표시부(190m), 오른손엄지평면표시부(190n)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2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해당 손가락 지문을 채취하는 미취학 아동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정보기록칸(25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기록칸(250)에는,
작성일자를 기록하는 작성일자기록영역부(251);
아이 정보를 기록하는 아이정보기록영역부(252);
보호자 정보를 기록하는 보호자정보기록영역부(253);
신체 특징 정보를 기록하는 신체특징정보기록영역부(254);
아이 사진 정보를 첨부하는 아이사진정보첨부영역부(255);
신체 특징의 기타 정보를 기록하는 신체기타특징정보기록영역부(25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작성일자기록영역부(251)에는 작성일자를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아이정보기록영역부(252)에는 아이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이름, 성별, 학교, 주소, 주민등록번호, 나이 등을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보호자정보기록영역부(253)에는 보호자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이름, 집전화, 주소, 관계, 휴대폰, 긴급연락처 등을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신체특징정보기록영역부(254)에는 신체 특징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키, 체중, 체격, 혈액형, 머리색, 흉터/점 위치 및 모양 등을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아이사진정보첨부영역부(255)에는 아이 사진 정보를 첨부하는 영역을 가지게 되므로 해당 영역에 아이 사진을 첨부(부착)하게 된다.
그리고, 신체기타특징정보기록영역부(256)에는 신체 특징의 기타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치과 진료 기록, 병력, 복용 약물 등의 특이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거나, 앞모습 혹은 뒷모습의 이미지 상에 신체 특징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의 상면에는 접착층(300)을 형성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접착재로 형성되어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에 손가락지문채취지(100)를 접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180)를 제거하게 되면, 접착층 중 일부가 노출되게 되며, 해당 노출된 접착층 부위에 해당 손가락의 지문을 찍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인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는,
무게가 120g ~ 180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손가락지문채취지(100),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200), 접착층(300)을 포함하고 있는 지문 채취 카드의 무게를 상기한 범위 내로 제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문 채취 카드를 스캐너에 제공하여 스캐닝을 진행하게 되는데, 스캐닝을 위한 두께가 한정되어 있어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스캐닝이 불가능하여 일일히 관리자들이 두께를 확인하는 검수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대로 너무 얇게 제조되면 뒷면의 글씨나 그림이 지문과 함께 복사되거나 스캐닝되어 오류 처리되는 경향이 많았다.
따라서, 지문채취카드의 기본 원료 상태의 종이를 보통의 A4지를 이용하는데, 이를 지문채취카드는 몇장 덧붙여 특수 제작하게 되며, A4 용지를 3장 정도 덧붙인 두께를 유지해야 비로소 뒷면이 비치지 않으므로 보통 용지의 두께를 T(b)라하면 T(b)는 0.14mm 내지 0.21mm이다.
또한, A4 용지 4장 덧붙이면 스캐너에 자동 급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지문 채취용 카드 용지의 필요 두께를 T(a)라 하면, T(3b) < T(a) < T(4b)라는 식이 성립한다.
a는 지문채취용 카드 1장을 의미하며, b는 지문채취용 카드의 기본 원료 상태의 종이 1장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문 채취 카드의 두께를 정하고 제조과정에서 지문 채취 카드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는 것을 자동으로 검지하도록 설계하게 되는데 컨베이어 벨트에 카드 한 장씩 공급하고 광학을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불량 판별을 하면 검지과정에서 오류도 많이 나고 광학적인 설비가 비싸기 때문에 검출 장비 또한 비싸진다.
그러므로, 광학적으로 두께를 검출하여 불량 유무를 검출하기 보다는 무게를 검지하여 이를 통하여 불량유무를 판별하는 것이 무척 경제적이다.
따라서 지문 채취카드의 적정한 무게를 W(a)라 할 때, W(3b) < W(a) < W(4b)의 식이 성립되게 된다.
지문채취카드는 A4용지보다 작게 제작될 수 있으며, 때때로 A5용지 크기로 제작될 경우도 있다.
따라서, W(b)에서 b는 A4 혹은 A5 혹은 A6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임의의 무게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A4 용지보다는 클 수 없고 A5보다는 작을 수 없기 때문에 A4 용지무게는 보통 5g이며 A5는 2.5g가 된다.
따라서, 지문채취카드의 무게는 최대 5g의 3배 인 15g 이하 혹은 2.5g의 3배인 7.5g이내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고안의 지문채취용 카드는 이형지 및 스티커 재질의 종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A4 용지 4장의 합친 무게에 스티커 및 이형지의 무게를 더하면 180g정도가 나오며, A5 용지의 3장 합친 무게에 스터커 및 이형지의 무게를 더하면 120g에서 결정된다.
따라서, 실험한 결과, 상기한 무게 범위 내에 채취 카드가 제조되면 스캐너에서 스캐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한 무게로 한정하여야 한다.
제조과정에서는 컨베이어 벨트(미도시)상에 한장씩의 지문채취 카드를 이송하게 되며, 일정 위치에 오면 중량센서에 의하여 무게를 검지하고 무게가 120g이상 내지 180g이하를 벗어나게 되며, 알람과 함께 이송 벨트에서 탈락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채취 카드의 크기는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무게로 한정한 것이다.
본 고안을 통해, 찍을 손가락의 형상이 인자되어 있는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를 통해 정확한 손가락 지문을 확인하면서 찍을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손가락 지문을 찍을 실수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손가락지문채취지
150 : 지문칸
200 :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
300 : 접착층

Claims (2)

  1.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왼손 손가락, 오른손 손가락 지문을 각각 찍을 수 있는 지문칸(150)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손가락지문채취지(100);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해당 손가락 지문을 채취하는 미취학 아동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정보기록칸(25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200);와
    상기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의 상면에 접착재로 형성되어 미취학아동정보기록지에 손가락지문채취지(100)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는,
    무게가 140g이상 내지 160g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문칸(150)에는 왼손 손가락, 오른손 손가락마다 떼어내어 지문을 각각 찍을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절취선(170);과
    상기 절취선에 의해 제거되며, 손등을 기반으로 하여 찍을 손가락의 형상이 인자되어 있는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180);와
    상기 손가락형상인자부착지(180)의 상측에 위치하며, 손등(수배-手背)를 기반으로 하여 지문을 찍을 손가락 종류가 표시되어 있는 수배손가락종류표시부(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기록칸(250)에는,
    최상측에 형성되어, 작성일자를 기록하는 작성일자기록영역부(251);
    상기 작성일자기록영역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아이 정보를 기록하는 아이정보기록영역부(252);
    상기 아이정보기록영역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보호자 정보를 기록하는 보호자정보기록영역부(253);
    상기 보호자정보기록영역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신체 특징 정보를 기록하는 신체특징정보기록영역부(254);
    상기 신체특징정보기록영역부의 우측에 형성되어, 아이 사진 정보를 첨부하는 아이사진정보첨부영역부(255);
    상기 신체특징정보기록영역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신체 특징의 기타 정보를 기록하는 신체기타특징정보기록영역부(2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배손가락종류표시부(190)에 표시되는 손가락의 형상은,
    눈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손등을 포함하고 있는 손가락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배손가락종류표시부(190)는,
    맨 상측 왼쪽에 위치한 왼손둘째검지손가락표시부(190a);
    상기 왼손둘째검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왼손셋째중지손가락표시부(190b);
    상기 왼손셋째중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왼손넷째약지손가락표시부(190c);
    상기 왼손넷째약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왼손다섯째소지손가락표시부(190d);
    상기 왼손다섯째소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왼손첫째엄지손가락표시부(190e);
    중앙 부위의 맨 왼쪽에 위치한 오른손둘째검지손가락표시부(190f);
    상기 오른손둘째검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오른손셋째중지손가락표시부(190g);
    상기 오른손셋째중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오른손넷째약지손가락표시부(190h);
    상기 오른손넷째약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오른손다섯째소지손가락표시부(190i);
    상기 오른손다섯째소지손가락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오른손첫째엄지손가락표시부(190j);
    상기 하측 부위의 맨 왼쪽에 위치한 왼손엄지평면표시부(190k);
    상기 왼손엄지평면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왼손4지평면표시부(190l);
    상기 왼손4지평면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오른손4지평면표시부(190m);
    상기 오른손4지평면표시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오른손엄지평면표시부(190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
  2. 삭제
KR2020210001325U 2021-04-27 2021-04-27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 KR200494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25U KR200494431Y1 (ko) 2021-04-27 2021-04-27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25U KR200494431Y1 (ko) 2021-04-27 2021-04-27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431Y1 true KR200494431Y1 (ko) 2021-10-12

Family

ID=7807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325U KR200494431Y1 (ko) 2021-04-27 2021-04-27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43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429U (ko) * 1998-07-15 1998-10-26 김현민 지문기록이 가능한 수표
KR101103957B1 (ko) 2009-12-22 2012-01-13 윤광상 다기능 접착식 지문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채취 방법
JP2020116264A (ja) * 2019-01-25 2020-08-06 株式会社トッパンインフォメディア 鑑定用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429U (ko) * 1998-07-15 1998-10-26 김현민 지문기록이 가능한 수표
KR101103957B1 (ko) 2009-12-22 2012-01-13 윤광상 다기능 접착식 지문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채취 방법
JP2020116264A (ja) * 2019-01-25 2020-08-06 株式会社トッパンインフォメディア 鑑定用粘着シ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6663B2 (en) Evidence preservation items
JP2006079382A5 (ko)
JPH03501175A (ja) 個人識別システム
US5263742A (en) Fingerprinting system and method
US5078426A (en) Fingerprint recording device
KR200494431Y1 (ko) 미취학 아동용 지문 채취 카드
US5114188A (en) Fingerprinting system and method
RU2336018C1 (ru) Носитель биометр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KR101103957B1 (ko) 다기능 접착식 지문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채취 방법
US6260885B1 (en) Latent fingerprint lifting and recordation device
US5287397A (en) Radiograph embosser
CN206166899U (zh) 视力检测装置
CN214475339U (zh) 一种医学影像输出多功能自助取片机
JP2527440B2 (ja) 写真入りicカ−ド
US6494489B2 (en) Latent fingerprint lifting and recordation device
US20150335392A1 (en) Wound mapping markers
JP6759904B2 (ja) 情報収集装置
RU64890U1 (ru) Носитель биометр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JP2006043084A (ja) 医用フィルム印刷装置
WO2022269972A1 (ja) 口角鈎器
JP3084737B2 (ja) 画像印画粘着シートの作成装置
US83981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print capture
JPS58115430A (ja) X線投影デ−タ−カ−ド
JP3013725U (ja) コンピュータ管理用検体提出票
Saviano Obtaining identifiable fingerprints from mummified hands: two quick and accurate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