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378Y1 - 낚시용 봉돌 - Google Patents

낚시용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378Y1
KR200494378Y1 KR2020190004476U KR20190004476U KR200494378Y1 KR 200494378 Y1 KR200494378 Y1 KR 200494378Y1 KR 2020190004476 U KR2020190004476 U KR 2020190004476U KR 20190004476 U KR20190004476 U KR 20190004476U KR 200494378 Y1 KR200494378 Y1 KR 200494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weight
fishing
upper cap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058U (ko
Inventor
임재영
Original Assignee
임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영 filed Critical 임재영
Priority to KR2020190004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378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3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은 상부 캡, 상기 상부 캡과 결합하며 적어도 하나의 길이 조절용 와셔 유닛을 갖는 와셔 부재, 상기 와셔 부재와 결합하는 하부 캡, 상기 상부 캡에 결합되어 있는 도래,
상호 결합된 상기 상부 캡, 와셔 부재 및 하부 캡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무게 추, 그리고, 상기 상부 캡과 상기 무게 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무게 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봉돌{A SINKER FOR FISHING}
본 고안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가 강에서 낚시를 하는 경우 낚시 줄에 연결된 낚시 바늘과 함께 수면에 투척하여 낚시 바늘이 물고기가 이동하는 수면의 아래로 향할 수 있도록 무게추 역할을 하는 중량체인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물이나 바다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용 봉돌은 물고기를 낚기 위하여 낚시줄에 연결된 낚시 바늘과 함께 수면에 투척하여 낚시 바늘이 물고기가 이동하는 수면의 아래로 향할 수 있도록 납덩어리 또는 황동 등과 같은 중량체를 주로 사용하여 오고 있다.
그런데 투척되는 낚시 채비는 무게가 다 다를 뿐만 아니라 유속 등을 고려하여 낚시용 봉돌의 무게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시용 봉돌은 물고기를 낚기 위하여 수면에 투척하여 물밑 바닥에 가라 앉았을 때 물고기가 낚이는 시간 동안 돌과 돌 사이의 틈새에 쉽게 끼이게 되고, 낚시 줄을 걷어 올릴 경우 돌 틈새에 끼인 봉돌이 낚시 줄에서 이탈하여 망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경제적인 부담도 가중되고, 망실된 낚시용 봉돌이 중금속이므로 수질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후기된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1인 특허등록 제10-1450269호의 “바다 낚시용 봉돌” 및 특허문헌2인 특허 등록 제10-1459033호의 “낚시용 봉돌 밑걸림 방지구”가 개발되었다.
상기 특허문헌1에 게시된 “바다 낚시용 봉돌”은 환경 오염이 비교적 적은 철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이나 스테인레스 재질 등으로 마련되며, 특허문헌1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가 다수개로 단위 몸체부(100’)로 분할 구성되어 다수의 단위 몸체부를 체결 개수를 조절하여 상호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봉돌의 중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2에 게시된 “낚시용 봉돌 밑걸림 방지구”는 금속 소재의 봉돌의 상부에 밑걸림 방지용 발(19)을 포함하는 밑걸림 방지구를 결합시킴으로써, 낚시 채비를 투척한 후 끌거나 회수할 때 봉돌이 수중의 바위 등과 같은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1에 게시된 바다 낚시용 봉돌은 비록 비교적 환경 오염이 적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무게 조절이 가능하다고는 하나 중량 표시부(400)나 단위 몸체부(100’)의 스크류 결합을 위해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야 하는 등 구조가 복잡하여 형상 가공을 위해 금속 재질의 기계적 가공이 반드시 장시간 수반되어야 하므로 가공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용되어 제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2의 경우 비록 밑걸림 방지 기능이 있다고는 하나 그 결합 구조가 복잡하고 봉돌과 연결되는 하부 연결 부재(22)가 단순 개방 고리 타입이라 낚시 채비의 투척 및 회수 과정에서 수중의 바위 등과 접촉하는 등의 충격에 의해 봉돌과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밑걸림 방지용 발이 호 형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고탄성 스프링 강철선이나 피아노 선 또는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고는 하나 낚시 채비의 투척 및 회수 과정에서 전체적인 하향 경사진 호의 형상에 변형이 거의 없다. 따라서 낚시 채비 무게 대비 탄성 조절이 쉽지 않아 탄성이 너무 약하면 낚시 채비의 투척 과정에서 바위 틈새에 끼어 들어가 버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탄성이 너무 강하면 저항이 강해 낚시 채비의 투척 회수 과정에서 낚시 채비가 물밑으로 쉽게 가라 앉지 않거나, 회수 과정에서 수면으로 끌어 올리기가 쉽지 않으며, 바위 틈새 등과의 접촉 저항이 발생하는 경우 낚시 채비를 억지로 회수하게 되면 낚시 줄이 터져 낚시 채비를 분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450269 B1 KR 10-1459033 B1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무게를 가변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 공정이 간이하여 제조 효율이 우수한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게 추와의 분리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낚시 채비의 투척 및 회수 과정에서 유체와의 저항을 줄여 낚시 채비의 투척 및 회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밑걸림 방지 기능이 우수한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은 상부 캡, 상기 상부 캡과 결합하며 적어도 하나의 길이 조절용 와셔 유닛을 갖는 와셔 부재, 상기 와셔 부재와 결합하는 하부 캡, 상기 상부 캡에 결합되어 있는 도래,
상호 결합된 상기 상부 캡, 와셔 부재 및 하부 캡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무게 추, 그리고, 상기 상부 캡과 상기 무게 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무게 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캡은 하부가 통공되어 내부에 상기 무게 추의 일부를 수용하는 무게 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도래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래를 수용하는 수용홈의 둘레부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탄성 부재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캡은 내부 하단에 상기 무게 추의 하부를 안착하여 고정 지지하는 무체 추 안착단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캡은 상기 상부 캡의 몸체부의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경첩 부재를 더 포함하며,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은 상기 경첩 부재에 결합되어 낚시 채비의 투척 시 유체와의 접촉 저항에 따른 회동 동작에 의해 펼쳐지고, 낚시 채비의 회수 시 유체와의 접촉 저항에 따른 반대 회동에 의해 오므려지는 날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첩 부재는 상기 상부 캡의 몸체부에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결합핀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 끝단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날개 부재는 상기 경첩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 몸체, 그리고, 상기 회동 몸체에 결합된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스토퍼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인 끝단에는 상기 날개의 일단을 수용하는 날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회동 몸체는 상기 스토퍼 접촉부의 인근 양측에 각각 결합핀 수용공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 힌지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결합핀 통과공과 함께 결합핀의 수용 결합에 의해 상기 경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봉돌에 의하면, 낚시 채비의 무게에 따라 상부 캡 및 하부 캡과 함께 길이에 따라 중량이 조절된 무게 추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합성 수지 재질로 사출 등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상부 캡, 하부 캡 및 와셔 부재를 채용함으로써, 낚시용 봉돌의 무게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효율이 우수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이 따른 낚시용 봉돌에 의하면, 무게 추와의 분리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낚시 채비의 투척 및 회수 과정에서 날개 부재가 회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펼쳐지고 오므려 짐으로써, 유체와의 저항을 줄여 낚시 채비의 투척 및 회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밑걸림 방지 기능이 우수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각각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낚시용 봉돌의 종단면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낚시용 봉돌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날개 부재가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날개 부재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사시도, 단면도 및 상태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낚시용 봉돌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는 각각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낚시용 봉돌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1)은 합성 수지 재질로 사출 등의 성형을 통해 용이 제조가 가능한 상부 캡(100), 와셔 부재(200) 및 하부 캡(300)과 함께 도래(400), 탄성 부재(500), 무게 추(600)를 포함한다.
상부 캡(100)은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경사부(12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하부가 통공된 원통형 타입으로 내부에 무게 추 수용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테두리에는 결합 외턱(114)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부(120)는 몸체부(110)의 상단에서 상부로 뾰족해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120)는 수직 방향 중앙 내부에 하부로 회전 몸체 수용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몸체 수용홈(112)의 상부와 연결되어 외부로 개구된 고리 통과공(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몸체 수용홈(112)의 둘레부에 수직 방향으로 탄성 부재 수용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와셔 부재(200)는 상부 캡(1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무게 추(600)의 길이에 맞추어 무게 추(600)의 중앙부를 내측에 수용하는 3개의 와셔 유닛(210, 220, 230)이 하부로 순차 결합되어 구성된다.
제1 와셔 유닛(210)은 소정 높이를 가지며, 상부 테두리에는 결합 외턱(114)과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 내턱(216)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테두리에는 결합 외턱(21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와셔 유닛(220)도 소정 높이를 가지며, 상부 테두리에는 결합 외턱(214)과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 내턱(226)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테두리에는 결합 외턱(224)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와셔 유닛(230)도 소정 높이를 가지며, 상부 테두리에는 결합 외턱(224)과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 내턱(236)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테두리에는 결합 내턱(234)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캡(300)은 제3 와셔 유닛(2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몸체부(310)및 몸체부(3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경사부(32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상부가 통공된 원통형 타입으로 내부 하단에 무게 추(600)의 하부를 안착하여 고정 지지하는 무체 추 안착단(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테두리에는 결합 외턱(234)과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 내턱(316)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부(320)는 몸체부(310)의 하단에서 하부로 완만한 경사면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래(400)는 회전 몸체(410), 회전 몸체(410)의 상부로 연장된 회전 로드(420) 및 회전 로드(420)의 끝단에 형성된 고리(430)를 포함하고 있다.
고리(430) 및 회전 로드(420)는 회전 몸체(410)와 함께 회전 몸체 수용홈(122)에 수용된 후 고리 통과공(121)을 통과하여 고리(430)는 외부로 돌출되며 회전 로드(420)는 고리 통과공(121)의 내에 수용 상태에 있게 된다.
회전 몸체(410)는 회전 몸체 수용홈(120)의 내부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어, 회전 몸체(410)에 연결된 회전 로드(420) 및 낚시 줄을 결합하는 고리(430)에 자유로운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무체 추(600)는 원기둥 형상으로 낚시 채비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소정 길이를 갖는 단순한 모양인 원기둥 형상의 금속 소재로 가공이 매우 용이한 형태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된 상부 캡(100), 와셔 부재(200) 및 하부 캡(3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내부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가 탄성 부재 수용홈(124)에 수용 결합된 탄성 부재(500)의 일탄과 탄성 접촉을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500)는 공지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판 스프링이나 탄성 고무 등의 다른 공지의 탄성 소재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탄성 부재 수용홈(124)의 형상도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턱인 결합 외턱(114,214,224,234)과 결합 내턱(216,226,236,316)은 상호 변경되어도 무방하며, 억지 끼움 방식이 아니라 나사산 결합이나 추가의 공지의 핀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한 상호 결합이 이루어져도 무방함은 물론이며, 결합 내턱과 외턱 사이에 유체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낙시용 봉돌에 의하면, 낚시 채비의 무게에 따라 상부 캡(100) 및 하부 캡(300)과 함께 그 사이에 무게 추(600)의 길이에 따라 중량이 조절된 무게 추(600)를 수용할 수 있으며, 합성 수지 재질로 사출 등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상부 캡(100), 하부 캡(200) 및 와셔 부재(200)를 채용함으로써, 낚시용 봉돌의 무게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효율이 우수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낚시용 봉돌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날개 부재가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날개 부재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2)은 상부 캡(101)이 몸체부(110)의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경첩 부재(130)를 더 포함하며, 경첩 부재(130)에 결합된 밑걸림 방지 기능을 갖는 날개 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과 동일하다.
경첩 부재(130)는 몸체부(110)에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결합핀 통과공(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 끝단에 스토퍼(134)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 부재(700)는 경첩 부재(130)에 일단이 결합 되어 낚시 채비의 투척 시 경첩 부재(130)에 대해 회동을 통해 펼쳐져 수중 바위 등과의 밑걸림을 방지하고 낚시 채비의 회수 시에는 반대 회동을 통해 오므려져 낚시 채비의 회수의 편의를 보장한다. 이를 위해 날개 부재(700)는 경첩 부재(13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 몸체(710) 및 회동 몸체(710)에 결합된 날개(730)를 포함한다.
회동 몸체(710)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부로 살짝 휜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과공(716)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는 스토퍼 접촉부(7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인 끝단에는 날개(730)의 일단을 수용하는 날개 결합홈(7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토퍼 접촉부(712)의 인근 양측에는 각각 결합핀 수용공(722)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 힌지(720)가 결합되어 있어 결합핀 통과공(134)과 함께 결합핀(740)의 수용 결합에 의해 경첩 부재(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 몸체(710)는 상부로 살짝 휘어 낚시 채비의 투척시 유체 저항에 의해 자연스럽게 날개(730)가 상부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며, 유체 통과공(716)은 낚시 채비의 투척과 회수 시 유체의 일부를 통과시킴으로써, 회동 몸체(710)와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켜 날개 부재(700)의 부드러운 펼침 및 수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스토퍼 접촉부(712)는 낚시 채비의 투척 시 스토퍼(132)와의 접촉을 통해 펼침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날개 부재(700)의 과도한 펼침 동작을 방지한다.
날개(730)는 강도가 있으며, 부식에 강한 합성 수지나 금속 소재로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길이를 갖는 핀 형상으로 마련되었으나 유체와의 저항을 과도하게 받지 않으면서도 펼침과 수축 동작이 용이한 공지의 다른 형상으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2)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 채비의 투척에 의해 수중으로 가라 앉는 경우 유체와의 저항에 의해 날개 부재(700)가 자연스럽게 펼쳐지면서 바위틈 등에 밑걸림이 방지되게 되고, 낚시 채비의 회수 시 반대로 자연스럽게 수축이 되어 회수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2)무게 추와의 분리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낚시 채비의 투척 및 회수 과정에서 날개 부재(700)가 회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펼쳐지고 오므려 짐으로써, 유체와의 저항을 줄여 투척 및 회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밑걸림 방지 기능이 우수한 추가적인 유리한 효과가 있다.
1, 2 : 낚시용 봉돌 100, 101 : 상부 캡
110 : 몸체부 112 : 무게 추 수용홈
114 : 결합 외턱 120 : 경사부
121 : 고리 통과공 122 : 회전 몸체 수용홈
124 : 탄성 부재 수용홈 130 : 경첩 부재
132 : 스토퍼 134 : 결합핀 통과공
200 : 와셔 부재 210, 220, 230 : 와셔 유닛
214, 224, 234 : 결합 외턱 216, 226, 236 : 결합 내턱
300 : 하부캡 310 : 몸체부
312 : 무게 추 안착단 316 : 결합 내턱
320 : 경사부 400 : 도래
410 : 회전 몸체 420 : 회전 로드
430 : 고리 500 : 탄성 부재
600: 무게 추
700 : 날개 부재 710 : 회동 몸체
712 : 스토퍼 접촉부 714 : 날개 결합홈
716 : 유체 통과공
720 : 회동 힌지 722 : 결합핀 수용공
730 : 날개 740 : 결합핀

Claims (7)

  1. 상부 캡,
    상기 상부 캡과 결합하며 적어도 하나의 길이 조절용 와셔 유닛을 갖는 와셔 부재,
    상기 와셔 부재와 결합하는 하부 캡,
    상기 상부 캡에 결합되어 있는 도래,
    상호 결합된 상기 상부 캡, 와셔 부재 및 하부 캡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무게 추, 그리고,
    상기 상부 캡과 상기 무게 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무게 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캡은
    상기 상부 캡의 몸체부의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경첩 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첩 부재에 결합되어 낚시 채비의 투척 시 유체와의 접촉 저항에 따른회동 동작에 의해 펼쳐지고, 낚시 채비의 회수 시 유체와의 접촉 저항에 따른 반대 회동에 의해 오므려지는 날개 부재
    를 더 포함하는
    낚시용 봉돌.
  2. 제1항에서,
    상기 상부 캡은
    하부가 통공되어 내부에 상기 무게 추의 일부를 수용하는 무게 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도래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래를 수용하는 수용홈의 둘레부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탄성 부재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
    를 포함하는
    낚시용 봉돌.
  3. 제1항에서,
    상기 하부 캡은
    내부 하단에 상기 무게 추의 하부를 안착하여 고정 지지하는 무체 추 안착단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낚시용 봉돌.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경첩 부재는
    상기 상부 캡의 몸체부에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결합핀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 끝단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봉돌.
  6. 제5항에서,
    상기 날개 부재는
    상기 경첩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 몸체, 그리고,
    상기 회동 몸체에 결합된 날개
    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스토퍼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인 끝단에는 상기 날개의 일단을 수용하는 날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봉돌.
  7. 제6항에서,
    상기 회동 몸체는
    상기 스토퍼 접촉부의 인근 양측에 각각 결합핀 수용공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 힌지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결합핀 통과공과 함께 결합핀의 수용 결합에 의해 상기 경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낚시용 봉돌.
KR2020190004476U 2019-11-06 2019-11-06 낚시용 봉돌 KR200494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76U KR200494378Y1 (ko) 2019-11-06 2019-11-06 낚시용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76U KR200494378Y1 (ko) 2019-11-06 2019-11-06 낚시용 봉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58U KR20210001058U (ko) 2021-05-17
KR200494378Y1 true KR200494378Y1 (ko) 2021-09-29

Family

ID=7614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476U KR200494378Y1 (ko) 2019-11-06 2019-11-06 낚시용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37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437Y1 (ko) 2002-10-22 2003-01-24 김종섭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중량조절이 가능한 낚시 추
KR101459033B1 (ko) 2013-06-26 2014-11-10 박우준 낚시용 봉돌 밑걸림 방지구
KR101800808B1 (ko) * 2016-08-01 2017-11-24 주식회사 마그마 낚시용 무게추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030U (ko) * 2006-10-23 2006-11-13 강옥길 무게 가변형 무공해봉돌
KR100982541B1 (ko) * 2008-05-22 2010-09-15 홍길표 낚시추
KR20110100810A (ko) * 2010-03-05 2011-09-15 김학일 낚시 봉돌
KR101450269B1 (ko) 2013-04-26 2014-10-22 센트럴공조(주) 바다 낚시용 봉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437Y1 (ko) 2002-10-22 2003-01-24 김종섭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중량조절이 가능한 낚시 추
KR101459033B1 (ko) 2013-06-26 2014-11-10 박우준 낚시용 봉돌 밑걸림 방지구
KR101800808B1 (ko) * 2016-08-01 2017-11-24 주식회사 마그마 낚시용 무게추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58U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02019005661U1 (de) Köder
US5784829A (en) Fishing bobber
US4706404A (en) Opening and recovering type net device
KR200494378Y1 (ko) 낚시용 봉돌
AU2005239751B2 (en) Surfing board leash assembly
DE10392989B4 (de) Dämpfungssystem für einen Kameraverschluss
US5806453A (en) Land anchor device
KR101459033B1 (ko) 낚시용 봉돌 밑걸림 방지구
KR101907893B1 (ko) 낚시채비
US4514926A (en) Snagged fish hook release device
US700694A (en) Hinge.
KR102191301B1 (ko) 낚시용 자동챔질기
US958233A (en) Fishing-tackle.
KR102193949B1 (ko) 형망 어구
JP2010530213A (ja) 釣錘
CA1098312A (en) Fish catcher
JP3538196B1 (ja) 魚釣具
US2785500A (en) Fishhook recoiler from obstacles
CN210712790U (zh) 一种海洋环保海岸带垃圾拦截处理装置
US1766368A (en) Oil-well fishing tool
US1115343A (en) Swimming-paddle.
CN211039359U (zh) 一种内扣式固封螺丝
JP6164996B2 (ja) 水汲み用バケツ
KR20100124124A (ko) 낚시용 봉돌
KR200333548Y1 (ko) 쭈꾸미등 두족류 포획용 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