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220Y1 -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 - Google Patents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220Y1
KR200494220Y1 KR2020210001711U KR20210001711U KR200494220Y1 KR 200494220 Y1 KR200494220 Y1 KR 200494220Y1 KR 2020210001711 U KR2020210001711 U KR 2020210001711U KR 20210001711 U KR20210001711 U KR 20210001711U KR 200494220 Y1 KR200494220 Y1 KR 200494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upport cover
paper
cove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용
Original Assignee
박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용 filed Critical 박기용
Priority to KR2020210001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2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02Covers or strips provided with adhesive for b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9/00Applying glue or adhesive peculiar to bookb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6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in which the fillings and covers are united by o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북(메모장 또는 책)의 겉 표지로 받침커버를 접착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펼쳐진 북이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독서 및 메모를 할 수 있는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겉지의 양단 외측 표면으로 3~5mm 두께로 이루어지는 받침커버가 구비되되, 상.하, 우측부는 북의 폭과 동일하게 구비하고, 접지부를 향하는 좌측부는 접지부의 끝단부로 부터 8~15mm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a book support cover}
본원 고안은 북 받침커버에 관한 것으로, 북(메모장 또는 책)의 겉 표지로 받침커버를 접착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펼쳐진 북이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독서 및 메모를 할 수 있는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은 접착제로 제본되어 있어 읽으려고 펴 놓은 책이 다시 접히는 단점이 있다.
특허등록공보 제10-0898101호는 책이 원활하게 펼쳐지고, 페이지가 스스로 덮이는 것을 방지한 책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접착부는 표지부와 접합되는 부분에 책이 펼쳐지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다수개의 홈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책을 폈을 때 상기 다수개의 홈 간격이 줄어들게 되고, 홈의 반대편이 볼록해져서 페이지가 저절로 덮이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7615호는 세양사와 등지 대신 배지한 일반 천을 사용하여 천이 지닌 유연성을 활용하고, 펼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그 뿐만 아니라 원상태로 돌아갈 경우, 기존 양장제본의 견고성을 그대로 유지 하면서 제품이 손상되는 약점을 개선하고 제본공정도 한 단계 줄인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3435호는 기존의 책 모양을 개선하여 독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책넘김이 쉽고 페이지 움직임이 유연하여 문진이나 페이지 고정장치가 필요 없다.
여러 쪽수들을 붙여두는 책등부분 중앙에 책등과 평행하게 빈 공간을 마련하여 책을 펼 때 각 페이지들이 빈 공간으로 밀려들어가므로 책이 다시 덮이지 않고 특별한 고정장치 없이 완전히 펴지게 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476호는 책의 겉표지와 속지를 용이하게 넘기도록 구성하여, 책이 구겨지거나 더럽혀지는 것을 막고 책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잘 넘겨지는 책을 제작/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측 가장자리가 접착제로 제본되는 속지군, 속지군을 감싸는 겉표지로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속지들은 일측 가장 자리가 접착제로 제본되는 제본부와, 제본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제본부보다 두께가 두꺼우며 활자가 인쇄
되는 인쇄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측면 표지부에 책의 제목, 저자, 출판사 등을 넣기 어렵고, 제작이 복잡하고, 홈 외 부분이 튀어나온 만큼 책의 부피가 커지며, 책이 균일하게 펼쳐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북 구조는 겉지(11)의 내측으로 여러 겹의 속지(12)를 포함하여 일측을 제본에 의한 접지부(13)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북을 펼치려면 북의 두께에 펼쳐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지 못하고 계속 접혀지게 된다.
이는 북의 두께에 따라 펼쳐진 부의가 접지를 기준으로 큰 곡면이 이루어져 발생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계속적으로 북이 접히게되면 학습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특허등록공보 제10-0898101호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761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3435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476호
본 고안의 종래의 구조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북(메모장 또는 책)의 겉 표지로 받침커버를 접착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펼쳐진 북이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독서 및 메모를 할 수 있는 북 받침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북 받침커버는 탈부착 사용이 가능하여 서로 상이한 사이즈의 북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우수한 북 받침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겉지의 내측으로 다수의 속지가 구비되는 메모장 및 책을 포함하는 북을 받쳐주어 펼치기 쉽고 펼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겉지의 양단 외측 표면으로 3~5mm 두께로 이루어지는 받침커버가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받침커버는 겉지의 표면에 접착되어 구비되되, 상.하, 우측부는 북의 폭과 동일하게 구비하고, 접지부를 향하는 좌측부는 접지부의 끝단부로 부터 8~15mm 작게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받침커버는, 중앙이 서로 이격되며, 상단으로 필름지가 접착되어 상호 연결되고, 받침커버의 양 끝단에는 북의 겉지를 체결하기 위한 탄성끈이 더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받침커버는, 북의 겉지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받침커버는, 중앙이 서로 이격되며, 상단으로 필름지가 접착되어 상호 연결되고, 받침커버의 양 끝단에는 겉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체결구는 받침커버의 내측으로 내장되어 인출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은 북(메모장 또는 책)의 겉 표지로 받침커버를 접착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는 효과와, 펼쳐진 북이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독서 및 메모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서로 상이한 사이즈의 북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도 1은 종래의 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북 받침커버가 구비된 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북 받침커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북 받침커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북 받침커버가 구비된 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본원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북 받침커버(100)는 겉지(11)의 내측으로 다수의 속지(12)가 구비되는 메모장 및 책을 포함하는 북(10)을 받쳐주어 펼치기 쉽고 펼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겉지(11)의 양단 외측 표면으로 3~5mm 두께로 이루어지는 대지(110)를 접착 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받침커버(100)의 대지(110)는 겉지(11)의 표면에 접착되어 구비되되, 상.하, 우측부는 북의 폭과 동일하게 구비하고, 접지부(13)를 향하는 좌측부는 접지부의 끝단부로 부터 8~15mm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커버(100)의 대지(110)는 북을 형성하는 겉지의 양 표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지(110)의 대지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북의 두께에 따라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북의 전체두께(겉지, 속지포함)가 10~15mm 일 경우, 대지의 두께를 3~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mm 이상 일 경우, 대지의 두께 또한, 5m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북의 전체두께에 따라 접지부로 근접하게 형성되는 대지 또한, 8~15의 간격을 띄어 형성하되, 두께의 클 수 록 15mm 이상 띄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지의 폭 및 두께는 하기에서 설명할 본 고안의 제2~3실시예에 따른 북 받침커버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첨부 도면 도 5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북 받침커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받침커버(100)는 중앙이 서로 이격되며, 상단으로 필름지(111)가 접착되어 상호 연결되고, 받침커버(100)의 양 끝단에는 북의 겉지를 체결하기 위한 탄성끈(113)이 더 구비된다.
즉, 필름지(111)의 중앙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부(112)를 형성하여 양단으로 대지(110)가 안착구비된다.
또한 양 끝단으로 탄성력이 우수한 탄성끈(113)을 구비된다.
이러한 받침커버(100)는 북의 겉 표면에 탈부착하여 사용이 이루이지되, 이격부(112)가 형성된 부분을 바닥면으로 향하게하고, 북의 겉지(11)를 탄성끈(113)으로 끼워 북에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대지(110)의 상하 폭은 북의 상하폭과 동일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대지보다 폭이 크가나 작은 북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는 탄선력이 우수한 탄성끈(113)으로 겉지(11)를 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호환성이 가능하다.
(제3실시예)
첨부 도면 도 8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북 받침커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북 받침커버(100)는 중앙이 서로 이격되며, 상단으로 필름지(111)가 접착되어 상호 연결되고, 받침커버(100)의 양 끝단에는 겉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120)는 받침커버의 내측으로 내장되어 인출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지(110)의 내측으로 수용부(124)를 형성하고, 체결구(120)는 상기 수용부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인출입되는 편(121)을 형성하고 상기 편의 전방에는 북(10)의 겉지(11)의 끝 표면이 걸칠 수 있는 고리(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편(121)의 둘레부에는 스프링(123)이 감겨져 인출시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인출되고, 겉지 표면을 걸어 놓으면 겉지 표면을 압지하면서 수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의 압지력은 최하의 압지력을 갖도록 겉지 표면의 구겨짐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의 제1실시예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북 받침커버를 북의 길이폭과 대등소의 하게 제작하여 북의 겉지표면에 접착사용 할 수 있으며, 제2 내지 제3실시예와 같이, 구성하여 북의 겉지에 결합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제2내지 제3실시예와 같이 북의 겉지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북의 사이즈에 구애받지않고 모든 사이즈의 북에 호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북 받침커버는 북의 두께에 따라 북 받침커버를 이루는 대지의 뚜께 와 폭을 변경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북을 펼쳤을때, 펼쳐진 책장이 바닥면과 떠 있는 곡면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펼쳐진 책장이 다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받침커버 110: 대지
111: 필름지 112: 이격부
113: 탄성끈 120: 체결구
121: 편 122: 고리
123: 스프링 124: 수용부

Claims (6)

  1. 겉지의 내측으로 다수의 속지가 구비되는 메모장 및 책을 포함하는 북을 받쳐주어 펼치기 쉽고 펼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겉지의 양단 외측 표면으로 3~5mm 두께로 이루어지는 받침커버가 구비되되,
    상기 받침커버의 상.하, 우측부는 북의 폭과 동일하게 구비하고, 접지부를 향하는 좌측부는 접지부의 끝단부로 부터 8~15mm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커버는,
    중앙이 서로 이격되며, 상단으로 필름지가 접착되어 상호 연결되고, 받침커버의 양 끝단에는 북의 겉지를 체결하기 위한 탄성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커버는, 북의 겉지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커버는,
    중앙이 서로 이격되며, 상단으로 필름지가 접착되어 상호 연결되고, 받침커버의 양 끝단에는 겉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받침커버의 내측으로 내장되어 인출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
KR2020210001711U 2021-06-01 2021-06-01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 KR200494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711U KR200494220Y1 (ko) 2021-06-01 2021-06-01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711U KR200494220Y1 (ko) 2021-06-01 2021-06-01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220Y1 true KR200494220Y1 (ko) 2021-08-27

Family

ID=7749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711U KR200494220Y1 (ko) 2021-06-01 2021-06-01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220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615A (ko) 1998-10-13 1999-01-25 우동수 일반 천의 유연성을 이용한 제본방법
KR200403435Y1 (ko) 2005-09-13 2005-12-09 임완율 펴기 쉬운 책
KR20080002476U (ko) 2007-01-03 2008-07-08 최성호 잘 넘겨지는 책
KR100898101B1 (ko) 2007-07-05 2009-05-18 주식회사 엑스엘게임즈 쉽게 펼쳐지는 책
JP3207613U (ja) * 2016-05-09 2016-11-24 義隆 竹生 バインダーバンド
KR101822994B1 (ko) * 2016-11-28 2018-03-23 콜럼버스테크 (주) 북커버
JP3224189U (ja) * 2019-07-26 2019-12-05 忠之 後藤 こども絵本のカバ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615A (ko) 1998-10-13 1999-01-25 우동수 일반 천의 유연성을 이용한 제본방법
KR200403435Y1 (ko) 2005-09-13 2005-12-09 임완율 펴기 쉬운 책
KR20080002476U (ko) 2007-01-03 2008-07-08 최성호 잘 넘겨지는 책
KR100898101B1 (ko) 2007-07-05 2009-05-18 주식회사 엑스엘게임즈 쉽게 펼쳐지는 책
JP3207613U (ja) * 2016-05-09 2016-11-24 義隆 竹生 バインダーバンド
KR101822994B1 (ko) * 2016-11-28 2018-03-23 콜럼버스테크 (주) 북커버
JP3224189U (ja) * 2019-07-26 2019-12-05 忠之 後藤 こども絵本のカ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67249U1 (ru) Книга
KR100838150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MXPA01002681A (es) Carpeta con refuerzo de tres partes y bolsillos visualizadores.
US20060068145A1 (en) Adhesive pad having sheets with removable non-adhesive section
KR200494220Y1 (ko) 북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고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북 받침커버
CN100498877C (zh) 带口袋的标贴
US20060289611A1 (en) Folder with a stand
CN103547460B (zh) 提拉式标签悬挂结构
KR200476994Y1 (ko) 복수의 속지가 구비된 노트
US5540462A (en) Cover device for subsequent mounting on softbound books
JP2010533083A (ja) 目保護カバー支持台
KR100939635B1 (ko) 해당 페이지 자동 고정기능이 구비된 책갈피
KR20080051718A (ko) 표지 겸용 지지대 구조체
KR101002812B1 (ko) 이중노트
US20070183839A1 (en) Bound component with adjustable elastic device
US5386655A (en) Biographical calendar
JPH1035142A (ja) しおり
JP3154410U (ja) ブックカバー
KR101101266B1 (ko) 반영구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식메모지 겸용 수첩
JP2008023901A (ja) 書類・冊子類の取付補助具
JP2010538789A (ja) 目保護カバー支持台
CN202079942U (zh) 活页本
KR200466101Y1 (ko) 다기능 메모장
KR200457426Y1 (ko) 책자 수납 앨범
KR200427470Y1 (ko) 다이어리 겸용 탁상 메모 캘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