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941Y1 -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 - Google Patents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941Y1
KR200493941Y1 KR2020190004613U KR20190004613U KR200493941Y1 KR 200493941 Y1 KR200493941 Y1 KR 200493941Y1 KR 2020190004613 U KR2020190004613 U KR 2020190004613U KR 20190004613 U KR20190004613 U KR 20190004613U KR 200493941 Y1 KR200493941 Y1 KR 200493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board
auxiliary
guitar
chord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135U (ko
Inventor
남궁주용
Original Assignee
남궁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주용 filed Critical 남궁주용
Priority to KR2020190004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94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1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1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9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가락으로 기타줄을 눌러 연주할 때, 손가락이 다른 줄에 닿지 않고, 정확한 음 고르기가 가능하며, 화음 연주가 가능하고, 손가락의 통증을 느끼지 않고 초보자가 쉽게 기타를 연주하는 것이 가능해 잡음 및 손가락 통증으로 기타 연주 및 연습을 쉽게 포기하는 것을 방지하며, 기타에 쉽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기타의 지판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상의 보조지판와; 상기 보조지판와 동일한 투명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하부가 기타줄의 위치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보조지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에 의한 변형이 복원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단음버튼과; 상기 단음버튼 간의 보조지판 하부측에 위치하고,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는 기타의 지판부에 맞닿아 상기 보조지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와; 상기 보조지판를 기타의 지판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지판 착탈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FINGER BORD DEVICE FOR GUITAR}
본 고안은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으로 기타줄을 눌러 연주할 때, 손가락이 다른 줄에 닿지 않고, 정확한 음 고르기가 가능하며, 화음 연주가 가능하고, 손가락의 통증을 느끼지 않고 초보자가 쉽게 기타를 연주하는 것이 가능해 잡음 및 손가락 통증으로 기타 연주 및 연습을 쉽게 포기하는 것을 방지하며, 기타에 쉽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기타(guitar)는 대표적인 유도 발현 악기(有棹發弦樂器)로서, 모양은 네크(목)와 보디(몸체)로 되어 있고, 보통 여섯 줄로 되어 있다. 보디는 8자 모양으로, 좌우의 움푹 들어간 부분이 바이올린과 같은 다른 현악기에 비해 많이 파였다.
핑거보드(지판)의 표면에는 반음마다 금속 프렛이 있고, 그 수는 19개에서 24개까지 다양하다. 줄의 튜닝 방법은 다양하며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스탠더드 튜닝이 있고, 이것은 맨 아랫줄부터 E,A,D,G,B,E(6번줄→1번줄)의 음에 맞추는 튜닝이다. 음역은 최저음인 E에서 최고음인 B 또는 E까지, 3옥타브 반에서 4옥타브이다. 오늘날의 기타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고, 기타줄은 금속제(스틸 스트링)과 나일론의 두 종류를 사용한다.
한편, 초보자들이 배울 때, 가장 많이 호소하는 것 중에 하나는 팽팽한 지판의 기타줄을 손가락으로 잡고 눌러 음정을 고를 때, 손가락끝이 반복적으로 기타줄에 눌려 계속적으로 압박됨에 따라 발생하는 통증이다. 이러한 통증을 극복하고 계속 손가락을 단련하면 손가락끝에 굳은살이 배기어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되나, 대다수 사람들은 그 통증에 못이겨 기타연주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초보자들이 기타를 배울 때, 줄과 줄 사이의 간격이 좁아 손가락이 다른 줄에 닿게 됨으로써 원하는 깨끗한 음을 내지 못하고, 이로 인해 오랜 연습시간이 필요하게 되며, 여러 줄의 코드를 동시에 잡고 눌러 내는 화음 연주는 초보자의 경우 더욱더 어려운 실정에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기타연주용 골무"(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44563호:2015.12.28.공개.)가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골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타를 운지하는 손가락 전체에 끼워 사용한다. 재질은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고 손가락전체를 0.3mm 두께로 덮고 끼울 수 있는 골무본체(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골무본체(10)는 코팅부(20)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연주법을 실행할 때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U자 형태의 홈(31)을 통해 기타 줄을 정확한 운지점으로 유도하는 운지부(30)도 갖는다. 또한 상기 골무본체(10)는 손가락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손가락 전체로 여러 개의 줄을 함께 누르는 바레연주법을 실행할 때에도 손가락이 아프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40은 삽입부 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타연주용 골무는 골무를 일일이 연주자 각각의 손가락에 끼워 사용해야만 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고, 초보자의 경우 동시에 여러 코드의 기타줄을 손가락으로 눌러 화음을 내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44563호(2015.12.28.공개.) "기타연주용 골무"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손가락으로 기타줄을 눌러 연주할 때, 손가락이 다른 줄에 닿지 않고, 정확한 음 고르기가 가능하며, 손가락의 통증을 느끼지 않고, 초보자가 쉽게 기타를 연주하는 것이 가능해 잡음 및 손가락 통증으로 기타 연주 및 연습을 쉽게 포기하는 것을 방지하며, 기타에 쉽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여러 코드의 기타줄이 연주자의 한 번의 누름으로 동시에 압착되어 각각의 해당 코드의 음이 합쳐진 화음을 낼 수 있도록 하여 초보자가 보다 쉽게 흥미를 갖고 기타를 연주 및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의 한 형태는, 기타의 지판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상의 보조지판와; 상기 보조지판와 동일한 투명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하부가 기타줄의 위치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보조지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에 의한 변형이 복원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단음버튼과; 상기 단음버튼 간의 보조지판 하부측에 위치하고,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는 기타의 지판부에 맞닿아 상기 보조지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와; 상기 보조지판를 기타의 지판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지판 착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지판는 기타의 지판 표면에 반음마다 형성된 금속 프렛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하부지지대를 가지며, 상기 하부지지대는 상기 보조지판에 직교하는 수직의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는 기타의 지판에 맞닿아 지지되며, 상기 하부지지대의 하단부는 프렛 삽입홈을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지판 착탈부는 보조지판의 일측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된 수직의 제1 고정면과; 상기 보조지판의 타측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기타의 지판 하부 외측을 감싸는 제2 고정면과; 상기 제1 고정면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벨크로테이프A, 및 상기 제2 고정면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벨크로테이프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면은 상부 외측에서 하부 내측으로 경사진 접착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고정면은 하부 외측에서 상부 내측으로 경사진 상대접착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음버튼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한 번에 눌려져 화음을 낼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화음운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음운지대는 금속재질의 수평바 형태를 이루며, 운지대 착탈부에 의해 상기 단음버튼에 탈부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지대 착탈부는 핀고정홈을 각각의 단음버튼에 상부측으로 개방되게 형성하고, 상기 화음운지대의 하부에 상기 핀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화음운지대는 서로 높이를 다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핀고정홈은 상부가 핀고정홈의 상면과 일치하는 자석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타의 지판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상의 보조지판와; 상기 보조지판와 동일한 투명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하부가 기타줄의 위치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보조지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에 의한 변형이 복원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단음버튼과; 상기 단음버튼 간의 보조지판 하부측에 위치하고,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는 기타의 지판부에 맞닿아 상기 보조지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와; 상기 보조지판를 기타의 지판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지판 착탈부로 구성됨으로써 손가락으로 기타줄을 눌러 연주할 때, 손가락이 다른 줄에 닿지 않고 정확한 음 고르기가 가능해 원하는 연주를 잡음없이 깨끗하게 연주할 수 있게 되고, 손가락의 통증을 느끼지 않고 쉽게 연주할 수 있어 초보자가 잡음 및 손가락 통증으로 기타 배운 것을 쉽게 포기하는 것을 예방함은 물론 기타 연주의 습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기타에 쉽게 장착 및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 휴대 및 사용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금속 재질로 단단하게 형성되어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음버튼에 결합 및 분리되는 화음운지대가 구비됨으로써 연주자의 한 번의 누름으로 화음운지대에 결합된 복수개의 단음버튼이 동시에 눌러지게 되고, 이로 인해 각각의 해당 코드의 음이 합쳐진 화음을 낼 수 있어 초보자라도 화음에 의한 기타 연주가 가능해 보다 쉽게 흥미를 갖고 기타를 배울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타연주용 골무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보조지판 착탈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의한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보조지판 착탈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조지판(1)과 단음버튼(2) 및 지지리브(3), 보조지판 착탈부(4)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지판(1)은 기타의 지판(100)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음버튼(2)은 보조지판(1)와 동일한 투명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하부가 기타줄(110)의 위치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보조지판(1)에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에 의한 변형이 복원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단음버튼(2)은 기타의 지판(100) 상에 팽팽하게 설치된 기타줄(110), 즉 E코드, A코드, D코드, G코드,B코드, E코드의 기타줄(110) 상에 위치한다. 즉 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임의의 개수로 형성되고, 세로에 6개의 단음버튼(2)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단음버튼(2)이 세로에 3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제품은 6개로 형성될 것이며, 단음버튼(2)의 형상 및 구조, 위치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미설명 부호 2a는 기타줄 접촉홈이다.
상기 지지리브(3)는 단음버튼(2) 간의 보조지판(1) 하부측에 위치하고,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1)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는 기타의 지판(100)에 맞닿아 상기 보조지판(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게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지판(1)이 기타의 지판(100)에 탈부착될 수 있게 보조지판 착탈부(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보조지판(1)은 기타의 지판(100) 표면에 반음마다 형성된 금속 프렛(120)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하부지지대(11)를 가지며, 상기 하부지지대(11)는 상기 보조지판(1)에 직교하는 수직의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1)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는 기타의 지판(100)에 맞닿아 지지되며, 상기 하부지지대(11)의 하단부는 프렛 삽입홈(12)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지판 착탈부(4)는 제1 고정면(41)과 제2 고정면(42) 및 벨크로테이프A,B(43)(44)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고정면(41)은 보조지판(1)의 일측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된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면(42)은 보조지판(1)의 타측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기타의 지판(100) 하부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벨크로테이프A(43)는 제1 고정면(41)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벨크로테이프B(44)는 상기 제2 고정면(42)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고정면(41)은 상부 외측에서 하부 내측으로 경사진 접착경사면(45)을 가지며, 상기 제2 고정면(42)은 하부 외측에서 상부 내측으로 경사진 상대접착경사면(46)을 갖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각각의 단음버튼(2)이 각각의 기타줄(110) 상에 위치하게 보조지판(1)을 기타의 지판(100) 상에 올려 놓는다. 그런 다음 제2 고정면(42)으로 기타의 지판(100) 하부를 감싸고 제2 고정면(42)의 벨크로테이프B(44)를 제1 고정면(41)의 벨크로테이프A(43)에 부착시킴으로써 본 고안이 기타의 지판(10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벨크로테이프A,B(43)(44)에 의해 서로 밀착 고정된 제1 고정면(41)과 제2 고정면(42)은 각각의 내.외측면에 형성된 접촉경사면(45) 및 상대접촉경사면(46)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없이 본래의 두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보조지판(1)이 투명의 실리콘 재질로 되어 있어 육안으로 각각의 단음버튼(2)이 각각의 기타줄(110) 상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하부지지대(11)의 프렛 삽입홈(12)에 지판(100)의 금속 프렛(120)이 삽입되어 있어 보조지판(1)이 지판(10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밀려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주자는 본 고안을 손으로 잡고 해당 단음버튼을 손가락으로 눌러 음정을 고르고 다른 손으로 기타줄을 튕겨 기타 연주를 하게 되는 것으로서, 단음버튼(2)은 누름력에 의해 하부로 내려가 해당 코드의 기타줄(110)을 압착하여 음을 낸다. 그리고 다시 눌렀던 해당 단음버튼(2)에서 손가락을 떼면 하부로 내려가 있던 단음버튼(2)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기타줄(110)과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기타 연주 및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금속 재질로 단단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다음(多音)버튼, 즉 화음운지대(5)가 구비된 것에 있고, 상기 화음운지대(5)는 운지대 착탁부(6)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단음버튼(2)에 탈부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각각의 단음버튼(2)은 상부측으로 개방된 좌.우 한 쌍의 핀고정홈(61)을 갖고, 화음운지대(5)는 상기 단음버튼(2)의 핀고정홈(61)에 삽입되는 고정핀(62)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하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화음운지대(5)의 고정핀(62)을 원하는 복수개의 단음버튼(2)의 핀고정홈(61)에 삽입한 상태에서 화음운지대(5)를 누르면, 결합된 복수개의 단음버튼(2)이 동시에 눌러져 해당 기타줄(110)을 압착함으로써 화음을 낼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화음운지대(5)(1)와 제2 화음운지대(5)(2) 및 제3 화음운지대(5)(3)가 각각의 단음버튼(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화음운지대(5)(1)를 누르면, 해당 단음버튼(2)들이 A,G,B코드의 기타줄(110)을 동시에 눌러 화음을 내고, 제2 화음운지대(5)(2)를 누르면, 해당 단음버튼(2)들이 E,A,D,G코드의 기타줄(110)을 동시에 눌러 화음을 내며, 제3 화음운지대(5)(3)를 누르면, 해당 단음버튼(2)들이 E,A,D코드의 기타줄(110)을 동시에 눌러 화음을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화음운지대(5)끼리 서로 겹치면 눌렀을 때 상.하로 움직이는 높이의 차이를 두어 해결할 수 있다.
도 8은 연주자가 화음운지대(5)의 고정핀(62)을 일일이 단음버튼(2)의 핀고정홈(61)에 삽입하고 빼내는 것을 불편해할 경우, 보다 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단음버튼(2)의 핀고정홈(61)에 자석(63)을 내장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자석(63)은 그 상면이 핀고정홈(61)의 상면과 일치되게 내장되고, 연주자는 화음운지대(5)의 고정핀(62)을 일일이 단음버튼(2)의 핀고정홈(61)에 삽입하지 않고 자석(63) 위에 놓는 것만으로도 화음운지대(5)를 해당 단음버튼(2)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본 고안은 기타의 지판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상의 보조지판와; 상기 보조지판와 동일한 투명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하부가 기타줄의 위치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보조지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에 의한 변형이 복원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단음버튼과; 상기 단음버튼 간의 보조지판 하부측에 위치하고,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는 기타의 지판부에 맞닿아 상기 보조지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와; 상기 보조지판를 기타의 지판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지판 착탈부로 구성됨으로써 손가락으로 기타줄을 눌러 연주할 때, 손가락이 다른 줄에 닿지 않고 정확한 음 고르기가 가능해 원하는 연주를 잡음없이 깨끗하게 연주할 수 있게 되고, 손가락의 통증을 느끼지 않고 쉽게 연주할 수 있어 초보자가 잡음 및 손가락 통증으로 기타 배운 것을 쉽게 포기하는 것을 예방함은 물론 기타 연주의 습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기타에 쉽게 장착 및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 휴대 및 사용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금속 재질로 단단하게 형성되어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음버튼에 결합 및 분리되는 화음운지대가 구비됨으로써 연주자의 한 번의 누름으로 화음운지대에 결합된 복수개의 단음버튼이 동시에 눌러지게 되고, 이로 인해 각각의 해당 코드의 음이 합쳐진 화음을 낼 수 있어 초보자라도 화음에 의한 기타 연주가 가능해 보다 쉽게 흥미를 갖고 기타를 배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보조지판
11: 하부지지대 12: 프렛 삽입홈
2: 단음버튼 2a: 기타줄 접촉홈
3: 지지리브
4: 보조지판 착탈부
41,42: 제1,2 고정면 43,44: 벨크로테이프A,B
45: 접촉경사면 46: 상대접촉경사면
5: 화음운지대
6: 운지대 착탈부
61: 핀고정홈 62: 고정핀
63: 자석 100: 지판
110: 기타줄 120: 금속 프렛

Claims (7)

  1. 기타의 지판(100)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상의 보조지판(1)와;
    상기 보조지판(1)와 동일한 투명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하부가 기타줄(110)의 위치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보조지판(1)에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에 의한 변형이 복원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단음버튼(2)과;
    상기 단음버튼(2) 간의 보조지판(1) 하부측에 위치하고,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1)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는 기타의 지판부()에 맞닿아 상기 보조지판(1)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3)와;
    상기 보조지판(1)를 기타의 지판(100)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지판 착탈부(4);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지판(1)는 기타의 지판(100) 표면에 반음마다 형성된 금속 프렛(120)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하부지지대(11)를 가지며, 상기 하부지지대(11)는 상기 보조지판(1)에 직교하는 수직의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부는 상기 보조지판(1)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는 기타의 지판(100)에 맞닿아 지지되며, 상기 하부지지대(11)의 하단부는 프렛 삽입홈(12)을 갖도록 형성한 것이며,
    상기 보조지판 착탈부(4)는 보조지판(1)의 일측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된 수직의 제1 고정면(41)과;
    상기 보조지판(1)의 타측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기타의 지판(100) 하부 외측을 감싸는 제2 고정면(42)과;
    상기 제1 고정면(41)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벨크로테이프A(43), 및 상기 제2 고정면(42)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벨크로테이프B(44);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고정면(41)은 상부 외측에서 하부 내측으로 경사진 접착경사면(45)을 가지며 상기 제2 고정면(42)은 하부 외측에서 상부 내측으로 경사진 상대접착경사면(46)을 갖도록 형성한 것이며,
    상기 단음버튼(2)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한 번에 눌려져 화음을 낼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화음운지대(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음운지대(5)는 금속재질의 수평바 형태를 이루며, 운지대 착탈부(6)에 의해 상기 단음버튼(2)에 탈부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고,
    상기 운지대 착탈부(6)는 핀고정홈(61)을 각각의 단음버튼(2)에 상부측으로 개방되게 형성하고 상기 화음운지대(5)의 하부에 상기 핀고정홈(61)에 삽입되는 고정핀(62)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화음운지대(5)는 서로 높이를 다르게 형성한 것이며,
    상기 핀고정홈(61)은 상부가 핀고정홈(61)의 상면과 일치하는 자석(63)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90004613U 2019-11-18 2019-11-18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 KR200493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613U KR200493941Y1 (ko) 2019-11-18 2019-11-18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613U KR200493941Y1 (ko) 2019-11-18 2019-11-18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35U KR20210001135U (ko) 2021-05-26
KR200493941Y1 true KR200493941Y1 (ko) 2021-07-01

Family

ID=7614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613U KR200493941Y1 (ko) 2019-11-18 2019-11-18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941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048A (ko) * 2004-01-14 2004-02-11 박대근 현악기의 음정보조기구
KR20120091572A (ko) * 2011-02-09 2012-08-20 이상진 현악기용 연주보조장치
KR20150144563A (ko) 2014-06-17 2015-12-28 송태호 정확한 기타 줄 운지를 돕고 연주 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기타연주용 골무
KR20170049979A (ko) * 2015-10-29 2017-05-11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현악기 연주 보조 기구
KR20180092693A (ko) * 2017-02-10 2018-08-20 신춘우 현악기의 줄 누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35U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8035B2 (en) String depressing device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8269084B2 (en) Finger sleeve with raised flexible bar for playing barre chords
US8969694B2 (en) Chord playing attachment
US4854212A (en) Bowing guide for stringed instrument
JP3217159U (ja) 弦楽器用コード押さえ補助具
JP2007256520A (ja) フレットレス擦弦楽器
CA2308713C (en) Device for forming chords
KR200493941Y1 (ko)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
JP6007800B2 (ja) 着脱式演奏補助具
JP3240807U (ja) 装着具
US10672290B1 (en) Method of learning, teaching, and playing guitar
US8962957B2 (en) Guitar training aid
US10643585B1 (en) Auxiliary device coupled to a stringed instrument
US2021031282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iolin and Viola Vibrato Training
EP1705639A1 (en) Fingerboard for a necked string musical instrument
JP3246771U (ja) バイオリン
KR200384051Y1 (ko) 휴대용 기타연습기
JP7165456B1 (ja) 弦楽器
RU2754982C1 (ru) Музыкальный щипковый инструмент
JP4447646B1 (ja) バイオリン族の弦楽器の指板
KR20140015809A (ko) 연주 및 반주 겸용 우쿨렐레
CN207268929U (zh) 一种指板可拆卸式简易小提琴和指板
KR102078351B1 (ko) 기타용 바디 구조
JP3861067B2 (ja) トレモロ奏法が容易な弦楽器及びハンドカバー
JP6521375B2 (ja) 弦楽器用指板音階表示精度別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