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351B1 - 기타용 바디 구조 - Google Patents

기타용 바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351B1
KR102078351B1 KR1020170099480A KR20170099480A KR102078351B1 KR 102078351 B1 KR102078351 B1 KR 102078351B1 KR 1020170099480 A KR1020170099480 A KR 1020170099480A KR 20170099480 A KR20170099480 A KR 20170099480A KR 102078351 B1 KR102078351 B1 KR 102078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tar
plate
neck
present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819A (ko
Inventor
배현진
Original Assignee
배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현진 filed Critical 배현진
Priority to KR102017009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35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5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타용 바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타용 바디의 후판이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에 가까워지도록 구성하여 연주 시 기타용 바디 후판을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면 네크의 지판이 보이도록 하여 초보자도 쉽게 코드잡는 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기타용 바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타용 바디에 있어서, 상기 기타용 바디의 전판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후판은 폭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타용 바디 구조{The structure for guitar body}
본 발명은 기타용 바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타용 바디의 후판이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에 가까워지도록 구성하여 연주 시 기타용 바디 후판을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면 네크의 지판이 보이도록 하여 초보자도 쉽게 코드잡는 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기타용 바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는 우리 생활 주변에서 흔히 접하는 현악기 중의 하나로 가격이 저렴하고 연주가 어렵지 아니하여 대중적인 악기로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2)와, 상기 몸체(2)에 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된 네크(4)와, 상기 네크(4)의 단부에 형성시킨 헤드와, 기타줄(6)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기타를 연주하기 위해 몸체(2)를 연주자의 신체에 지지한 상태에서 네크(4)를 한손으로 잡고, 네크(4)에 위치한 기타줄(6)을 정해진 코드에 맞춰 누른 상태에서 몸체(2)의 전판에 위치한 기타줄(6)을 반대쪽 손으로 튕기며 소리를 내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20-0234860호에는 기타몸체가 나타나 있는데, 그 기술적 구성은 기타 몸체(10)의 후판(12)의 후방측 부분에, 전방측부분(2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률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타몸체는 연주자의 신체에 지지 시 몸체 하부면을 다리 등에 지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되므로 네크가 연주자의 전방을 향하게 되어 연주 시 네크가 시야에 들어오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초보자의 경우 정해진 코드대로 기타줄을 누르기 어렵고, 정확한 코드를 잡기 위해 일일이 기타 몸체를 연주자의 몸쪽으로 돌려가며 손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기타를 배우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기타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기타 몸체를 몸쪽으로 돌리는 경우 기타 몸체의 측판과 후판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 등이 신체에 접촉하게 되어 신체의 통증을 야기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48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65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타용 바디의 후판이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에 가까워지도록 구성하여 연주 시 기타용 바디 후판을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면 네크의 지판이 보이도록 하여 초보자도 쉽게 코드 잡는 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기타용 바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타용 바디의 후판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경사면이 신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연주 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타용 바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판, 후판 및 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타용 바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판에는 전판 방향으로 상향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상부면 폭이 측판의 하부면 폭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판의 좌측면 및 우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좌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측판의 상부면 폭은 좌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측판의 하부면 폭은 좌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측판의 우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우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우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측판의 상부면 폭은 우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측판의 하부면 폭은 우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측판의 좌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경사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판, 후판 및 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타용 바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판에는 후판 방향으로 상향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상부면 폭이 측판의 하부면 폭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기타용 바디의 후판이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에 가까워지도록 구성하여 연주 시 기타용 바디 후판을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면 네크의 지판이 보이도록 하여 초보자도 쉽게 코드 잡는 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타용 바디의 후판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경사면이 신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연주 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기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기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의 (a) 내지 (d)는 도 3의 기타용 바디 구조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a) 내지 (d)는 도 6의 기타용 바디 구조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의 (a) 내지 (d)는 도 8의 기타용 바디 구조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측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a) 내지 (d)는 도 3의 기타용 바디 구조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의 (a) 내지 (d)는 도 6의 기타용 바디 구조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의 (a) 내지 (d)는 도 8의 기타용 바디 구조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측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타용 바디의 후판이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에 가까워지도록 구성하여 연주 시 기타용 바디 후판을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면 네크의 지판이 보이도록 하여 초보자도 쉽게 코드잡는 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기타용 바디 구조(100)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는 전판(110), 후판(120) 및 측판(130)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울림공간이 형성되는 기타용 바디(1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기타용 바디(100)의 전판(110)은 편평하게 형성되며, 사운드홀(미도시)이 형성되고, 기타줄이 연결되는 브리지 등이 구비되며, 측판(130)에는 상기 전판(110)과 평행하게 일측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네크(5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기타용 바디(100)의 후판(120)은 전판(110) 방향으로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측판(130)의 상부면 폭이 하부면 폭보다 좁게 형성되게 된다.
이때, 도면 4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3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오른손잡이용은 네크(50)가 기타용 바디(100)의 측판(130)의 좌측면에 구비되고, 왼손잡이용은 네크(50)가 기타용 바디(100)의 측판(130)의 우측면에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타용 바디(100)의 후판(120)이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면 후판(120) 형상에 의해 기타용 바디(100)의 상부가 연주자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전판(110)이 연주자의 전방 상측을 향하게 되어 연주 시 연주자가 네크(50)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초보자도 쉽게 코드 위치를 확인하여 연주법을 익힐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기타는 전판과 후판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기타용 바디를 신체에 지지하는 경우, 전판이 연주자의 전방을 향하므로 초보자의 경우 정해진 코드대로 기타줄을 누르기 어렵고, 정확한 코드를 잡기 위해 일일이 기타 몸체를 연주자의 몸쪽으로 돌려가며 손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기타를 배우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기타 학습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에 의하면 기타용 바디(100)의 후판(120)을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지지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전판(110)이 연주자의 전방이 아닌 전방상측을 향하게 됨에 따라 네크(50)도 전방상측을 향하게 되므로 연주자가 네크를 잡을 때 용이하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기타 코드의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되므로 초보자라도 쉽게 코드를 익힐 수 있으며, 기타를 보다 쉽게 연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기타용 바디(100)의 후판(120)의 기울어진 형상에 의해 기타용 바디(100) 내부의 울림공간의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되어 음질의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후면(120)의 경사면(122)이 신체에 지지되게 되므로 기타용 바디(100)의 모서리가 신체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연주 시 압박감이 없고,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타용 바디(100')는 후판(120')의 경사면(122')은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11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측판(130)의 좌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측판(130)의 상부면 폭은 좌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면(122')은 좌측 하단에서 우측 상단을 연결하는 대각선을 기준으로 하여 위쪽 부분에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110)에 가까워지도록, 화살표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대각선의 아래쪽 부분에는 편평면(124)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타용 바디(100')는 오른손잡이용으로 네크(50)가 측판(130)의 좌측에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100')를 연주할 때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면, 기타용 바디(100')의 후판(120') 형상에 의해 기타용 바디(100')가 기울어지게 되고, 전판(110)이 전방상측을 향하게 되고, 그에 따라 네크(50)도 전방상측을 향하게 되어 연주자가 네크(50)를 잡는 손가락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코드를 잡을 수 있게 되므로 초보자라도 쉽게 코드를 익힐 수 있으며, 기타를 보다 쉽게 연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왼손잡이용의 경우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네크가 측판의 좌측에 구비되게 되며, 후판의 경사면은 우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측판의 우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측판의 상부면 폭은 우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면은 우측 하단에서 좌측 상단을 연결하는 대각선을 기준으로 하여 위쪽 부분에 우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며, 대각선의 아래쪽 부분에는 편평면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타용 바디 구조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타용 바디(100")는 후판(120")의 경사면(122")은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11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측판(130)의 좌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측판(130)의 상부면 폭은 좌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측판(130)의 하부면 폭은 좌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측판(130)의 우측면 폭은 상부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기타용 바디(100")의 우측 하단에서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110)에 가까워지도록 화살표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타용 바디(100")는 오른손잡이용으로 네크(50)가 측판(130)의 좌측에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100")를 연주하기 위해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면, 기타용 바디(100")의 후판(120") 형상에 의해 기타용 바디(100")의 전판(110)이 전방상측을 향하게 되고, 그에 따라 네크(50)도 전방상측을 향하게 되어 연주자가 네크(50)를 잡는 손가락의 위치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코드를 잡을 수 있게 되므로 초보자라도 쉽게 코드를 익힐 수 있으며, 기타를 보다 쉽게 연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왼손잡이용의 경우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네크가 측판의 좌측에 구비되게 되며, 후판의 경사면은 우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측판의 우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측판의 상부면 폭은 우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측판의 하부면 폭은 우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측판의 좌측면 폭은 상부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기타용 바디의 좌측 하단에서 우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에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타용 바디 구조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기타용 바디(100,100',100")의 후판(120,120',120")의 경사면(122,122',122")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기타용 바디(100,100',100")의 경사면(122,122',122")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기타용 바디(100,100',100")가 연주자의 신체에 보다 밀착되게 지지될 수 있으며,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후판(120,120',120") 형상에 의해 보다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122,122',122")은 원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사면(122,122',122")의 다양한 형상에 의해 내부 울림공간의 형상이 변하게 되어 다양한 음색이 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는 전판(210)의 상부가 후판(22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그에 따라 전판(210)과 평행하도록 일측으로 기울어진 네크(50')가 측판(230)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후판(120,120',120")에 경사면(122,122',122")이 형성된 것으로 서술되어 있으나, 이와는 반대로 기타용 바디(200)의 전판(210)에 후판(220)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212)이 형성되어 기타용 바디(200)를 연주자의 신체에 지지하는 경우, 연주자의 몸쪽으로 기울어지는 전판(210) 형상에 의해, 네크(50')가 연주자의 몸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전술한 실시 예들과 마찬가지로 초보자도 쉽게 코드를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에 의하면, 기타용 바디(100,100',100")의 후판(120,120',120")이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11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면(122,122',122")을 구성하여 연주 시 기타용 바디(100,100',100")의 후판(120,120',120")을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면 네크(50)의 지판이 보이도록 하여 초보자도 쉽게 코드 잡는 법을 익힐 수 있으며, 경사면(122,122',122")이 신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연주 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 구조의 기타용 바디(100,100',100",200)가 내측에 울림공간이 형성되는 어쿠스틱 기타, 클래식 기타의 기타용 바디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전자기타, 우쿠렐레 등의 바디를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바디(100,100',100",200)로 제작하여 어린이나 초급자도 쉽게 전자기타, 우쿠렐레 등을 익힐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타용 바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타용 바디의 후판이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에 가까워지도록 구성하여 연주 시 기타용 바디 후판을 연주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면 네크의 지판이 보이도록 하여 초보자도 쉽게 코드잡는 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기타용 바디 구조에 관한 것이다.
50: 네크 100,100',100",200: 기타용 바디
110,210: 전판 120,120',120",220: 후판
122,122',122",212: 경사면 130,230: 측판

Claims (8)

  1. 전판, 후판 및 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타용 바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판에는 전판 방향으로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되,
    네크가 측판의 좌측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경사면은 후판의 좌측 하단에서 우측 상단을 연결하는 대각선을 기준으로 하여 위쪽 부분에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전판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대각선 아래쪽 부분에는 편평면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좌측면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측판의 상부면 폭은 좌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용 바디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99480A 2017-08-07 2017-08-07 기타용 바디 구조 KR102078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480A KR102078351B1 (ko) 2017-08-07 2017-08-07 기타용 바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480A KR102078351B1 (ko) 2017-08-07 2017-08-07 기타용 바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819A KR20190015819A (ko) 2019-02-15
KR102078351B1 true KR102078351B1 (ko) 2020-02-17

Family

ID=6536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480A KR102078351B1 (ko) 2017-08-07 2017-08-07 기타용 바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3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2028A (en) * 1966-08-15 1969-12-02 Ivan F Cox Guitar type keying system for other instruments
US6034308A (en) * 1997-02-18 2000-03-07 Hampshire College Ergonomic string instrument
US7183473B2 (en) * 2003-07-31 2007-02-27 Kaman Music Corporation Ergonomic stringed instrument and ergonomic roundback guitar
US20080110318A1 (en) * 2005-08-05 2008-05-15 Fox Charles E Tonally improved hollow body stringed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860Y1 (ko) 2001-03-09 2001-09-26 송영호 기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2028A (en) * 1966-08-15 1969-12-02 Ivan F Cox Guitar type keying system for other instruments
US6034308A (en) * 1997-02-18 2000-03-07 Hampshire College Ergonomic string instrument
US7183473B2 (en) * 2003-07-31 2007-02-27 Kaman Music Corporation Ergonomic stringed instrument and ergonomic roundback guitar
US20080110318A1 (en) * 2005-08-05 2008-05-15 Fox Charles E Tonally improved hollow body stringed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819A (ko) 201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7568B1 (en) Fuccion
JP2023027381A (ja) 弦楽器演奏アシスト具
US8853511B2 (en) Percussive block for musical instruments
JP2007256520A (ja) フレットレス擦弦楽器
US7157633B1 (en) Simulated stringed instrument practice device
KR102078351B1 (ko) 기타용 바디 구조
US5696337A (en) Concave finger board for stringed instruments
TWI321484B (ko)
US4041830A (en) Teaching ukelele
US8962957B2 (en) Guitar training aid
CN107025897B (zh) 古琴面板三维曲面结构
US2141735A (en) Stringed instrument
JP2006293055A (ja) 弦楽器
US10643585B1 (en) Auxiliary device coupled to a stringed instrument
US7411120B2 (en) Stringed instrument with offset structure
US6958439B1 (en) Dobro capo
JP2012058402A (ja) 電気擦弦楽器および電気撥弦楽器−電気擦弦楽器変換キット
CN201107791Y (zh) 琴鼓两用型琴
JP2005173515A (ja) 三駒型一弦楽器
JP5802640B2 (ja) 弦楽器練習具
CN220041378U (zh) 一种led灯教学小提琴
KR200493941Y1 (ko) 기타용 보조지판 장치
CN113129684B (zh) 一种多功能音乐教学用指导装置
CN201984792U (zh) 胡声提琴
US497973A (en) Finger-board for musical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4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26

Effective date: 202001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