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879Y1 -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879Y1
KR200493879Y1 KR2020210000523U KR20210000523U KR200493879Y1 KR 200493879 Y1 KR200493879 Y1 KR 200493879Y1 KR 2020210000523 U KR2020210000523 U KR 2020210000523U KR 20210000523 U KR20210000523 U KR 20210000523U KR 200493879 Y1 KR200493879 Y1 KR 200493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play panel
pad
injection hole
adjustmen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신테크
Priority to KR2020210000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03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gnetic Bearings And Hydrostatic B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패널의 합착을 위해 디스플레이패널의 위치를 조절하는 멀티정반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띄우기 위한 에어베어링 패드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에어를 공급받도록 외면에 관통되게 공급공이 형성된 패드캡본체; 및 상기 패드캡본체에 끼움되며 분사면 중앙에 분사공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공급공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공급받아 상기 분사공에 전달하도록 상기 분사공과 연통되게 연결공이 형성된 에어패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는 디스플레이패널들을 합착하는 과정에서 위치교정을 위해 디스플레이패널을 에어에 의해 부양시킨 후 이동시켜 위치가 교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동하는 과정에서 정반과 마찰되지 않아 균일이나 흡집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신속한 위치교정이 가능하여 생산성과 공정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에어패드부재를 화강암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다공질 카본재질이나 알루미늄재질에 비해 디스플레이패널과 마찰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표면 훼손시 보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Air bearing pad for multi-platform device with display panel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패널들을 합착하는 과정에서 위치교정을 위해 디스플레이패널을 에어에 의해 부양시킨 후 이동시켜 위치가 교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동하는 과정에서 정반과 마찰되지 않아 균일이나 흡집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신속한 위치교정이 가능하여 생산성과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터치하여 조작하도록 된 휴대용 단말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노트북이나 통신장비 또는 내비게이션과 같이 터치스크린패널의 적용범위가 넓혀지고 있다.
상기한 디스플레이 패널(터치스크린 패널)은 저항막 방식의 패널과, 정전용략 방식의 패널 및 인프라레드형 방식의 패널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정전용량 방식 디스플레이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필름 또는 패널을 액정패널 상에 설치하고 투명전극에 균일한 전기장이 생성되도록 필름 또는 패널의 각 모서리 또는 코너에 전압을 인가하여, 펜 또는 손가락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면 전압 강하(Voltage Drop)가 발생되도록 하여 위치 좌표를 찾는 방식으로, 최근 가장많이 적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의 내구성 확보 및 보호를 위하여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윈도우 글래스(window glass)를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 설치하는 구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과정에서는 윈도우 글래스를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 안정적으로 접착하는 과정을 필연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윈도우 글래스를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 접착하는 방법 중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 합착용 레진을 도포하고 그 상부에 윈도우 글래스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윈도우 글래스를 접착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레진을 이용한 패널 합착 공정에서는 패널 또는 윈도우 글래스 전면에 합착용 레진을 일정한 형태로 도포하기 전에, 레진이 도포될 영역을 미리 확정하고 이후에 도포된 합착용 레진이 그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정하는 일종의 댐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댐라인이 패널 또는 윈도우 글래스 표면에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윈도우 글래스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시키는 위해 상기 윈도우 글래스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멀티정반에 배치한 후 위치를 정렬시키게 되는데, 위치를 정렬시키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멀티정반과 마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흡집이나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제품의 불량률이 향상되면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8315호
본 고안은 최근의 소비자의 요구조건에 부응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디스플레이패널들을 합착하는 과정에서 위치교정을 위해 디스플레이패널을 에어에 의해 부양시킨 후 이동시켜 위치가 교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동하는 과정에서 정반과 마찰되지 않아 균일이나 흡집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신속한 위치교정이 가능하여 생산성과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에어패드부재를 화강암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다공질 카본재질이나 알루미늄재질에 비해 디스플레이패널과 마찰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표면 훼손 시 보수가 가능하도록 된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패널의 합착을 위해 디스플레이패널의 위치를 조절하는 멀티정반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띄우기 위한 에어베어링 패드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에어를 공급받도록 외면에 관통되게 공급공이 형성된 패드캡본체; 및
상기 패드캡본체에 끼움되며 분사면 중앙에 분사공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공급공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공급받아 상기 분사공에 전달하도록 상기 분사공과 연통되게 연결공이 형성된 에어패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부재는 석재인 화강암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부재에는 분사면에 상기 분사공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공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전달받아 분사하도록 에어분출홈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에어분출홈에는 상기 분사공의 에어를 전달받아 분사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사선의 분기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에어패드부재에는 분사면에 상기 에어분출홈들을 연결하면서 환형의 링분출홈들이 더 형성되며, 상기 링분출홈들은 연결분출홈들에 의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에어를 전달받아 분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패드부재에는 상기 에어분출홈들의 일단이 상기 분사공의 상단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에어패드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분사공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상기 에어분출홈들의 타단에 공급하도록 연결공급공들이 더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급공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분사공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분사면에 형성된 상기 에어분출홈의 타단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분사공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상기 에어분출홈의 타단에 공급하여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는 디스플레이패널들을 합착하는 과정에서 위치교정을 위해 디스플레이패널을 에어에 의해 부양시킨 후 이동시켜 위치가 교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동하는 과정에서 정반과 마찰되지 않아 균일이나 흡집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신속한 위치교정이 가능하여 생산성과 공정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패드부재를 화강암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다공질 카본재질이나 알루미늄재질에 비해 디스플레이패널과 마찰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표면 훼손시 보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에어베어링 패드라 명명함)는 디스플레이패널의 합착을 위해 디스플레이패널의 위치를 조절하는 멀티정반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띄우도록 된 에어베어링 패드(10)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에어베어링 배드는 패드캡본체(20)와 에어패드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드캡본체(20)는 내부에 수용공간(22)이 형성되고 에어를 공급받도록 외면에 관통되게 공급공(21)이 형성된다.
상기 패드캡본체(20)의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의 캡형상으로 형성되고, 에어(압축공기)를 공급받도록 외면에 공급공(21)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패드부재(30)가 끼움되도록 일면에 상기 수용공간(22)과 연통되게 체결구(23)가 형성된다.
상기 정반본체에 설치된 상기 패드캡본체(20)의 공급공(21)에는 관 또는 호스가 체결되어 외부에서 에어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패드캡본체(20)는 금속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석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패드캡본체(20)는 상기 멀티정반의 상면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패드캡본체(20)는 상기 에어패드부재(30)와 같이 석재인 화강암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에어패드부재(30)는 상기 패드캡본체(20)에 끼움되며 분사면 중앙에 분사공(31)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공급공(21)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공급받아 상기 분사공(31)에 전달하도록 상기 분사공(31)과 연통되게 연결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패드부재(30)의 분사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래이패널은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공중에 부양하게 된다.
상기 패드캡본체(20)에 끼움된 상기 에어패드부재(30)은 상기 연결공(32)이 상기 공급공(21)과 연통되게 배치되어, 에어를 전달받게 된다.
상기 에어패드부재(30)는 상기 패드캡본체(20)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고, 끼움된 후 나사체결 또는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에어패드부재(30)는 석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패드부재(30)는 석재중 화강암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에어패드부재(30)를 화강암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다공질 카본재질이나 알루미늄재질에 비해 디스플레이패널과 접촉되어 마찰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표면 훼손 시 보수가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에어베어링 패드(10)는 에어를 공급받아 상기 분사공(31)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상기 에어패드부재(30)의 상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띄우게 되고, 상기 멀티정반에 마련되는 실린더가 공중에 띄워진 디스플레이패널을 이동시켜 합착을 위한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에어에 의해 띄워진 상태에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이 이동시 마찰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패드부재(30)에는 분사면에 상기 분사공(31)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공(31)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전달받아 분사하도록 에어분출홈(33)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에어분출홈(33)에는 상기 분사공(31)의 에어를 전달받아 분사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도면에서와 같이 사선의 분기홈(34)이 더 형성된다.
즉, 멀티정반으로 공급된 디스플레이패널은 상기 에어패드부재(30)의 분사면에 맞닿게 배치되는데, 상기 에어패드부재(30)의 분사공(31)을 통해 에어가 분사되면 상기 에어분출홈(33) 및 상기 분기홈(34)으로 에어가 이동하면서 상기 분사공(31)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와 상기 에어분출홈(33) 및 상기 분기홈(34)으로 이동된 에어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가압하여 도면상 상향으로 이동시켜 최초 에어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을 띄우는 과정에서 에어가 편중되게 디스플레이어패널을 가압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기울러진 상태로 띄워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수평을 유지하며 띄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패드부재(30)의 분사면에는 베어링홈들을 더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홈에는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볼베어링이 회전되게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사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이 분사면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볼베어링에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패드부재(30)에는 분사면에 상기 에어분출홈(33)들을 연결하면서 환형의 링분출홈(35)들이 더 형성되며, 상기 링분출홈(35)들은 연결분출홈들에 의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에어를 전달받아 분출시키도록 된다.
즉,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분출홈(33)들을 연결하며 연통되게 형성되는 링분출홈(35)들을 통해 에어가 분출되어, 재차 균일하게 디스플레이프널에 에어를 공급하여 띄울 수 있게 되고, 상기 링분출홈(35)들을 연결하며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결분출홈들에 의해 링분출홈(35)들에 에어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에어분출홈(33)과 함께 공급함으로 빠르게 전달 및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패드부재(30)에 형성되는 상기 링분출홈(35)들은 도면에서와 같이 직경이 점차 커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패드부재(30)에는 상기 에어분출홈(33)들의 일단이 상기 분사공(31)의 상단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에어패드부재(30)의 내부에는 상기 분사공(31)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상기 에어분출홈(33)들의 타단에 공급하도록 통로구조의 연결공급공(36)들이 더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급공(36)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분사공(31)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분사면에 형성된 상기 에어분출홈(33)의 타단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분사공(31)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상기 에어분출홈(33)의 타단에 공급하여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사공(31)으로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에어분출홈(33)의 양단부에 공급되어, 상기 에어분출홈(33)의 일단에 에어가 공급되어 타단으로 이동되는 것에 비해 빠르게 공급되고, 분출되는 에어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이 가압되어 기울어지지 않고 균일하게 띄워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공급공(36)은 상기 분사공(31)과 상기 분기홈(34)이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에어패드부재(30)에 형성시켜, 상기 분사공(31)의 에어가 상기 분기홈(34)에 직접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공급공(36)은 상기 분사공(31)과 상기 링분출홈(35)이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에어패드부재(30)에 형성시켜, 상기 분사공(31)의 에어가 상기 링분출홈(35)에 직접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에어베어링 패드 20 : 패드캡본체
21 : 공급공 22 : 수용공간
23 : 체결구 30 : 에어패드부재
31 : 분사공 32 : 연결공
33 : 에어분출홈 34 : 분기홈
35 : 링분출홈 36 : 연결공급공

Claims (5)

  1. 디스플레이패널의 합착을 위해 디스플레이패널의 위치를 조절하는 멀티정반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띄우기 위한 에어베어링 패드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에어를 공급받도록 외면에 관통되게 공급공이 형성된 패드캡본체; 및
    상기 패드캡본체에 끼움되며 분사면 중앙에 분사공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공급공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공급받아 상기 분사공에 전달하도록 상기 분사공과 연통되게 연결공이 형성된 에어패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부재에는 분사면에 상기 분사공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공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전달받아 분사하도록 에어분출홈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에어분출홈에는 상기 분사공의 에어를 전달받아 분사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사선의 분기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에어패드부재에는 분사면에 상기 에어분출홈들을 연결하면서 환형의 링분출홈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링분출홈들은 연결분출홈들에 의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에어를 전달받아 분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패드부재의 분사면에는 베어링홈들을 더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홈에는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볼베어링이 회전되게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사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이 분사면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부재는 석재인 화강암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부재에는 상기 에어분출홈들의 일단이 상기 분사공의 상단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에어패드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분사공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상기 에어분출홈들의 타단에 공급하도록 연결공급공들이 더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급공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분사공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분사면에 형성된 상기 에어분출홈의 타단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분사공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상기 에어분출홈의 타단에 공급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
KR2020210000523U 2021-02-17 2021-02-17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 KR200493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523U KR200493879Y1 (ko) 2021-02-17 2021-02-17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523U KR200493879Y1 (ko) 2021-02-17 2021-02-17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879Y1 true KR200493879Y1 (ko) 2021-06-22

Family

ID=7660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523U KR200493879Y1 (ko) 2021-02-17 2021-02-17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7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0825A (ja) * 1993-09-10 1995-05-19 Sumitomo Metal Ind Ltd 試料の離脱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試料保持装置
JP2006008350A (ja) * 2004-06-28 2006-01-12 Motoyama:Kk 物体浮上ユニットおよび物体浮上装置
KR101208315B1 (ko) 2011-05-04 2012-12-05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장치
KR102170860B1 (ko) * 2019-10-23 2020-10-28 주식회사 대신테크 에어베어링 패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용 멀티정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0825A (ja) * 1993-09-10 1995-05-19 Sumitomo Metal Ind Ltd 試料の離脱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試料保持装置
JP2006008350A (ja) * 2004-06-28 2006-01-12 Motoyama:Kk 物体浮上ユニットおよび物体浮上装置
KR101208315B1 (ko) 2011-05-04 2012-12-05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장치
KR102170860B1 (ko) * 2019-10-23 2020-10-28 주식회사 대신테크 에어베어링 패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용 멀티정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29200A1 (en) Supporting Suction Assembly, Supporting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WO2008033867A3 (en) Method of doping surfaces
KR101593516B1 (ko)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CN101199965A (zh) 用涂料装饰塑料组件的方法
KR200493879Y1 (ko) 디스플레이패널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멀티정반장치용 에어베어링 패드
KR102170860B1 (ko) 에어베어링 패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용 멀티정반장치
CN101199964A (zh) 用于等离子体处理塑料组件的系统
CN111231485A (zh) 一种显示面板全贴合工艺
KR102034763B1 (ko) 공기압을 이용한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식 라미네이션 방법
JP4215170B2 (ja) ガラスパネル削減平坦化方法及びガラスパネル削減平坦化装置
KR100994507B1 (ko) 기판정렬장치
JP3940426B2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の外面機械研磨装置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KR101547899B1 (ko) 터치 패널용 기판 합지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018217A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の外面機械研磨装置
US20050016567A1 (en)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KR101697487B1 (ko) 글래스 합착장치
CN206140312U (zh) 一种板材阳口处理装置
JP3824626B2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の外面機械研磨装置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KR101471455B1 (ko) 레진 합착 방법
KR102058089B1 (ko) 변형을 이용한 저진공 합착장치 및 합착방법
KR20150077141A (ko) Oled 패널용 합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64502B1 (ko) 패널 이송장치
KR200173371Y1 (ko) 자동차유리창 수리기
KR101722407B1 (ko) 레진 도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재 합착 방법
KR100700293B1 (ko) 기판 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