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751Y1 - 프레임 상자 - Google Patents

프레임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751Y1
KR200493751Y1 KR2020190004183U KR20190004183U KR200493751Y1 KR 200493751 Y1 KR200493751 Y1 KR 200493751Y1 KR 2020190004183 U KR2020190004183 U KR 2020190004183U KR 20190004183 U KR20190004183 U KR 20190004183U KR 200493751 Y1 KR200493751 Y1 KR 200493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x
frames
side plate
out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889U (ko
Inventor
이세이
Original Assignee
이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이 filed Critical 이세이
Priority to KR2020190004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5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8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 시계나 거울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자 테두리 부분인 프레임이 벌어져 틈이 생기지 않고, 충격에도 찌그러지지 않고 단단한 외형을 유지하는 프레임 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 상자 {Frame box}
본 고안은 액자, 시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자 테두리 부분인 프레임이 벌어져 틈이 생기지 않고, 충격에도 찌그러지지 않고 단단한 외형을 유지하는 프레임 상자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상자는 물건을 수납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소품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이 상자에 시계를 설치하거나, 종이 상자에 사진을 부착하여 액자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자는 종이를 접어 도 1과 같이 테두리에 각각 상 프레임(110A), 하 프레임(110B), 좌 프레임(110C) 및 우 프레임(110D)을 형성한 사각형 상자가 구성되는데, 상자의 각 프레임이 접하는 부분이 벌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자가 찌그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는 등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603041호, "다각형 포장용 상자 및 박스 커버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787722호, "테두리보강재와 더블 원터치 클립을 포함하는 수납상자.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0457488호, "음식물 포장박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계, 액자 및 거울 등의 다양한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자의 각 프레임이 접하는 부분이 벌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자가 찌그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한 프레임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상자는 한 장의 종이를 접어 구성된 상자에 있어서, 사각 형태의 바닥(101); 상기 바닥(101)의 테두리 부분에 상 프레임(110A);, 하 프레임(110B);, 좌 프레임(110C); 및 우 프레임(110D);이 형성되되, 상기 각 프레임은 바닥(101)의 테두리가 상향 절곡 연장된 외부 측판(111)과, 상기 외부 측판(111)이 바닥(101) 측으로 절곡 연장된 상판(112)과, 상기 상판(112)이 하향 절곡 연장된 내부 측판(113)과, 상기 내부 측판(113)이 바닥(101)과 접하여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하판(114)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 프레임(110A,110B)의 내부 측판(113)에 구멍 형태로 형성된 제1 삽입구(117); 상기 바닥(101)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삽입구(117)에 삽입되는 내측 고정편(102); 및 상기 상,하 프레임(110A,110B)의 내부 측판(113)의 양측이 절곡 연장되고 단부에 체결홈(122)이 형성되어 마주하는 프레임의 내측 지지편(121)과 체결되어 좌,우 프레임(110C,110D)의 내부 측판(113)과 밀착되는 내측 지지편(1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하 프레임(110A,110B) 외부 측판(111) 양측이 연장되어 좌,우 프레임(110C,110D)의 외부 측판(111)과 밀착되는 외측 지지편(1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101)에서 돌출된 'ㄱ'형태의 걸쇠(103); 상기 하판(114)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1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판(114)의 삽입홈(116)에 걸쇠(103)가 삽입되어 프레임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 프레임(110A,110B)의 외측 지지편(123)에 형성된 외측 고정편(119); 상기 좌,우 프레임(110C,110D)의 외부 측판(111)에 형성된 구멍 형태의 제2 삽입구(1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 삽입구(118)에 외측 고정편(119)이 삽입되어 프레임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외부 측판(111) 양측에 형성된 제2 삽입구(118); 탄성이 있는 밴드(141)와, 상기 밴드(141) 양측에 형성된 삽입구(142)로 구성된 고정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정구(140)의 삽입구(142)가 제2 삽입구(118)에 삽입되어 프레임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ㄱ'형태로 성형되어 프레임의 접하는 부분에 삽입되는 보형구(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형구(130)의 내부에는 입벽 형태로 평단면이 'V' 형태인 지지편(1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바닥(101)의 테두리에 상,하,좌,우 프레임(110A,110B,110C,110D)가 형성된 본 발명의 프레임 상자는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계, 액자 및 거울 등의 다양한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자의 각 프레임이 접하는 부분이 벌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자가 찌그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상자의 전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상자의 전개 사시도.
도 4 내지 도 11은 전개도를 접어 본 고안의 프레임 상자를 형성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인접한 프레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상자의 모서리에 삽입되는 보형구 전개도.
도 14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상자의 모서리에 삽입되는 보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6은 보형구를 삽입하여 프레임 상자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상자(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바닥(101)의 테두리에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각각 상 프레임(110A), 하 프레임(110B), 좌 프레임(110C), 우 프레임(110D)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 상자(100)에 여러 가지 소품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도 있고, 바닥(101)에 사진을 부착하여 액자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바닥(101)에 시계를 부착하여 인테리어 시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프레임 상자(1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한 장의 종이로 성형된 전개도를 접어 완성된다.
도 2 및 도 3의 전개도를 접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서 본 고안의 프레임 상자(1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평평한 사각 판 형태의 바닥(101)의 네 변에는 각각 외부 측판(111), 상판(112), 내부 측판(113) 및 하판(114)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114) 양측에는 삽입홈(116)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 측판(111), 상판(112), 내부 측판(113) 및 하판(114)이 바닥(101)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각각 바닥(101) 테두리 부분에 상 프레임(110A), 하 프레임(110B), 좌 프레임(110C), 우 프레임(110D)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 측판(111)은 각 프레임의 외측 면에 해당하고, 상판(112)은 각 프레임의 상부 면에 해당하며, 내부 측판(113)은 각 프레임의 내측 면에 해당하고, 하판(114)은 각 프레임의 하부 면에 해당한다.
먼저, 도 4 및 도 5와 같이, 바닥(101)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내측 고정편(102)과 걸쇠(103)를 접어 돌출시키고, 상,하 프레임(110A,110B)의 외부 측판(111)을 접는다.
상기 상,하 프레임(110A,110B)의 외부 측판(111) 양측에는 외측 지지편(123)이 돌출되는데, 도 6과 같이 외측 지지편(123)을 접는다.
그리고 도 7 및 도 8과 같이, 내부 측판(113)과 하판(114)을 접어 프레임의 형태를 갖춘다. 이때, 내부 측판(113)의 양측에는 내측 지지편(121)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측 지지편(121)을 접어 도 8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내측 지지편(121)의 단부에는 홈 형태의 체결홈(122)이 형성되는데, 내부 측판(113)의 내측 지지편(121)을 접으면 상 프레임(110A)의 내측 지지편(121)과 하 프레임(110B)의 내측 지지편(121) 단부가 일부 겹치고, 내측 지지편(121)의 체결홈(122)을 상호 삽입함으로써 상 프레임(110A)과 하 프레임(110B)의 내측 지지편(121)이 체결된다.
그리고 하판(114)을 접는 과정에서 하판(114)의 삽입홈(116)에 바닥(101)의 'ㄱ' 형태로 돌출된 걸쇠(103)가 삽입되면서 접혀진 상,하 프레임(110A,110B)이 쉽게 풀리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 프레임(110A)의 내측 지지편(121)과 하 프레임(110B)의 내측 지지편(121)을 체결한 후에는 도 9와 같이, 좌,우 프레임(110C,110D)의 외부 측판(111)을 접는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좌,우 프레임(110C,110D)의 각 상판(112), 내부 측판(113) 및 하판(114)을 접어 프레임의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좌,우 프레임(110C,110D)의 외부 측판(111)은 상,하 프레임(110A,110B)의 외측 고정편(119)에 밀착되고, 좌, 우 프레임(110C,110D)의 내부 측판(113)은 상,하 프레임(110A,110B)의 내측 지지편(121)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길이가 긴 좌,우 프레임(110C,110D)이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찌그러지지 않고 강도가 우수해진다.
그리고 좌,우 프레임(110C,110D)의 하판(114)을 접는 과정에서 하판(114)의 삽입홈(116)에 바닥(101)의 'ㄱ' 형태로 돌출된 걸쇠(103)가 삽입되면서 접혀진 좌,우 프레임(110C,110D)이 쉽게 풀리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 결합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하 프레임(110A,110B)의 외측 지지편(123)에는 외측 고정편(119)이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외측 지지편(123)을 접을 때 도 6과 같이 외측 고정편(119)이 접혀지지 않도록 하면 도 11과 같이 상,하 프레임(110A,110B)의 외부 측판(111) 양측에 외측 고정편(119)이 돌출된다.
좌,우 프레임(110C,110D)의 외부 측판(111)에는 구멍 형태로 제2 삽입구(118)가 형성되는데, 상기 외측 고정편(119)을 접어 상기 제2 삽입구(118)에 삽입한다.
상기 제2 삽입구(118) 단부는 화살촉 형태로 성형됨으로써, 제2 삽입구(118)에 삽입된 후에 임의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외측 고정편(119)을 제2 삽입구(118)에 삽입하면 각 프레임이 접하는 부분이 벌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 유지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하 프레임(110A,110B)의 외부 측판(111) 양측에 외측 고정편(119)을 형성하고, 이를 접어 좌,우 프레임(110C,110D)의 제2 삽입구(118)에 삽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의 외부 측판(111) 양측에 제2 삽입구(118)를 형성하고, 별도의 고정구(140)를 삽입하여 프레임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구(140)는 도 13과 같이, 탄성이 있는 밴드(141) 양측에 각각 삽입구(142)를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삽입구(142)를 프레임의 제2 삽입구(118)에 삽입하면 밴드(141)의 탄력으로 프레임 사이가 벌어지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과 같이 바닥(101)에는 외부 측판(111)으로 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바닥(101) 일부가 절개되어 내측 고정편(102)을 형성하고, 각 프레임의 내부 측판(113)에는 제1 삽입구(117)를 형성함으로써, 각 프레임을 접은 후 상기 내측 고정편(102)을 제1 삽입구(117)에 삽입하여 접혀진 각 프레임이 임의로 풀리지 않고 견고하게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프레임 상자(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 프레임(110A), 하 프레임(110B), 좌 프레임(110C), 우 프레임(110D)이 서로 직교하도록 접하여 구성되는데, 프레임이 벌어지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체결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자 모서리 부분이 찌그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자(100)의 모서리 부분 즉, 프레임들이 서로 접하는 4부분에 보형구(130)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형구(130)는 상자(100)와 같이 종이를 접어 구성되는데, 상기 보형구(130)는 도 14와 같은 전개도를 접어서 도 16과 같이 'ㄱ' 형태로 성형된다.
상기 보형구(130)를 접으면 도 16과 같이 내부에 'V'형태의 지지편(130)이 입벽 형태로 형성된다.
도 15 및 도 16과 같이 본 고안의 상자(100)를 접는 과정에서 상기 보형구(130)를 모서리 부분에 삽입함으로써,
프레임이 만나는 부분이 수직이 되어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각 프레임들의 외부측판(111), 상판(112), 내부측판(113) 및 하판(114)이 이웃하는 판과 서로 직각을 형성, 유지하도록 하여 액자의 모서리 부분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 상자를 누르거나 떨어뜨리는 등의 외부 충격에도 모서리 부분이 잘 찌그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6과 같이 보형구(130)의 내부에 입벽 형태로 'V' 형태의 지지편(131)이 형성됨으로써, 외부에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모서리 부분이 찌그러지지 않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바닥(101)의 테두리에 상,하,좌,우 프레임(110A,110B,110C,110D)가 형성된 본 발명의 프레임 상자는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계, 액자나 거울 등의 다양한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자의 각 프레임이 접하는 부분이 벌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자가 찌그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고안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프레임 상자
101 : 바닥
102 : 내측 고정편
103 : 걸쇠
110A : 상 프레임
110B : 하 프레임
110C : 좌 프레임
110D : 우 프레임
111 : 외부측판
112 : 상판
113 : 내부측판
114 : 하판
116 : 삽입홈
117 : 제1 삽입구
118 : 제2 삽입구
119 : 외측 고정편
121 : 체결편
122 : 체결홈
123 : 외측 지지편
130 : 보형구
131 : 지지편
140 : 고정구
141 : 밴드
142 : 삽입구

Claims (7)

  1. 한 장의 종이를 접어 구성된 상자에 있어서,
    사각 형태의 바닥(101);
    상기 바닥(101)의 테두리 부분에 상 프레임(110A);, 하 프레임(110B);, 좌 프레임(110C); 및 우 프레임(110D);이 형성되되,
    상기 각 프레임은 바닥(101)의 테두리가 상향 절곡 연장된 외부 측판(111)과, 상기 외부 측판(111)이 바닥(101) 측으로 절곡 연장된 상판(112)과, 상기 상판(112)이 하향 절곡 연장된 내부 측판(113)과, 상기 내부 측판(113)이 바닥(101)과 접하여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하판(114)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 프레임(110A,110B)의 내부 측판(113)에 구멍 형태로 형성된 제1 삽입구(117); 상기 바닥(101)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삽입구(117)에 삽입되는 내측 고정편(102);
    상기 상,하 프레임(110A,110B)의 내부 측판(113)의 양측이 절곡 연장되고 단부에 체결홈(122)이 형성되어 마주하는 프레임의 내측 지지편(121)과 체결되어 좌,우 프레임(110C,110D)의 내부 측판(113)과 밀착되는 내측 지지편(121);
    상기 바닥(101)에서 돌출된 'ㄱ'형태의 걸쇠(103); 및
    상기 하판(114)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쇠(103)가 삽입되어 프레임을 고정하는 삽입홈(11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프레임(110A,110B) 외부 측판(111) 양측이 연장되어 좌,우 프레임(110C,110D)의 외부 측판(111)과 밀착되는 외측 지지편(1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상자.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프레임(110A,110B)의 외측 지지편(123)에 형성된 외측 고정편(119);
    상기 좌,우 프레임(110C,110D)의 외부 측판(111)에 형성된 구멍 형태의 제2 삽입구(1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 삽입구(118)에 외측 고정편(119)이 삽입되어 프레임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외부 측판(111) 양측에 형성된 제2 삽입구(118);
    탄성이 있는 밴드(141)와, 상기 밴드(141) 양측에 형성된 삽입구(142)로 구성된 고정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정구(140)의 삽입구(142)가 제2 삽입구(118)에 삽입되어 프레임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ㄱ'형태로 성형되어 프레임의 접하는 부분에 삽입되는 보형구(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구(130)의 내부에는 입벽 형태로 평단면이 'V' 형태인 지지편(1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상자.
KR2020190004183U 2019-10-16 2019-10-16 프레임 상자 KR200493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83U KR200493751Y1 (ko) 2019-10-16 2019-10-16 프레임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83U KR200493751Y1 (ko) 2019-10-16 2019-10-16 프레임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89U KR20210000889U (ko) 2021-04-26
KR200493751Y1 true KR200493751Y1 (ko) 2021-05-31

Family

ID=7573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183U KR200493751Y1 (ko) 2019-10-16 2019-10-16 프레임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5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055A (ja) * 2000-10-27 2002-05-09 Katagiri Shiki:Kk 包装容器及び包装容器用部材とこの包装容器用部材を用いた包装容器の組立て方法
KR200378931Y1 (ko) * 2004-12-23 2005-03-16 김정수 종이 액자
KR101252522B1 (ko) * 2012-11-26 2013-04-15 주식회사 우림수출포장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488B1 (ko) 2002-08-12 2004-11-17 주식회사 포스벨 비위생 매립폐기물 선별장치
KR20130003657U (ko) * 2011-12-12 2013-06-20 김재철 조립식 상자
KR200478361Y1 (ko) * 2013-12-26 2015-09-22 김남일 완충재가 구비된 포장상자
KR101603041B1 (ko) 2015-04-07 2016-03-11 이승연 다각형 포장용 상자 및 박스 커버
KR101787722B1 (ko) 2016-09-26 2017-11-15 박종선 박스용 테두리보강재와 더블원터치 클립을 포함하는 수납상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055A (ja) * 2000-10-27 2002-05-09 Katagiri Shiki:Kk 包装容器及び包装容器用部材とこの包装容器用部材を用いた包装容器の組立て方法
KR200378931Y1 (ko) * 2004-12-23 2005-03-16 김정수 종이 액자
KR101252522B1 (ko) * 2012-11-26 2013-04-15 주식회사 우림수출포장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89U (ko)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3283A (en) Case for drawing boards
KR200493751Y1 (ko) 프레임 상자
KR100793239B1 (ko)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
KR101987449B1 (ko) 받침판이 고정되는 케익 포장용 상자
US6588590B1 (en) Combination storage box
KR101319158B1 (ko) 플라스틱 골판지 박스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라스틱 골판지 박스
KR101572778B1 (ko) 조립식 상자
JP2008114922A (ja) 組立て式収納ケース
JP4573268B2 (ja) 箱型容器
JP4034554B2 (ja) 額縁等包装箱
KR102523660B1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KR101021196B1 (ko) 수납 케이스
JPS5827969Y2 (ja) 角押え
KR200380053Y1 (ko) 케이크 포장상자
KR101747597B1 (ko) 조립이 용이한 포장박스
KR101809523B1 (ko) 조립식 수납장용 결합부재
KR200348731Y1 (ko) 상하로 포개지는 운반상자에 적합한 카드홀더와 그 고정장치
KR101782112B1 (ko) 포장용 박스
KR200201171Y1 (ko) 콤팩트 디스크 보관함
JP4192706B2 (ja) 組立式折り箱
KR101843941B1 (ko) 상받침틀 코너 연결 체결구
KR200489871Y1 (ko) 종이 액자
PL208822B1 (pl) Wykrój składany do otrzymywania pudełka do papierosów i pudełko do papierosów
JP2001315761A (ja) 物品保持構造
JPS5916301Y2 (ja) 緩衝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