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433Y1 -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433Y1
KR200493433Y1 KR2020190001655U KR20190001655U KR200493433Y1 KR 200493433 Y1 KR200493433 Y1 KR 200493433Y1 KR 2020190001655 U KR2020190001655 U KR 2020190001655U KR 20190001655 U KR20190001655 U KR 20190001655U KR 200493433 Y1 KR200493433 Y1 KR 200493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ign
safety
road
uni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390U (ko
Inventor
배병주
Original Assignee
배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병주 filed Critical 배병주
Priority to KR2020190001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3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도로에서의 긴급상황 또는 차선통제 알림을 위한 문자, 기호, 숫자, 또는 표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며, 다수의 LED소자가 내장된 안전표지막, 상기 안전표지막을 권취하여 보관하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안전표지막을 출입시키는 입출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중심축에 의해 탄발지지되는 판스프링이 상기 안전표지막의 일단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권취력을 갖는 권취고정부, 상기 안전표지막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권취고정부와 선택적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권취고정부에서 상기 안전표지막을 인출시키는 인출부 및 상기 안전표지막,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LED소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안전표지막이 야간 또는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갖게 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FOR ROAD SAFETY}
본 고안은 도로 안전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LED소자가 내장된 안전표지막을 권취하여 보관하는 권취고정부로부터 인출부를 선택적으로 이격시켜 상기 안전표지막을 인출하고, 전원을 공급하여 LED소자를 발광시켜 야간 또는 원거리에서의 상기 안전표지막의 시인성을 강화시킨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 등에서 사고나 고장으로 인한 차량의 정차, 갑작스러운 재해 또는 재난 상황 등의 비상상황 발생으로 인한 차량 통제, 또는 긴급유지보수 등을 위한 일부차선의 통행 차단이 필요한 경우,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에게 이를 알리기 위하여 손전등이나 수신호로서 경고신호를 주거나, 안전문제 발생장소 부근에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로는, 안전삼각대나 원추형의 도로 교통 표시구(러버콘(traffic cone))를 차량 통제 범위에 다수개 배열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전술된 방식은 야간이거나 원거리에서 주행해오고 있는 운전자에게는 시인성이 부족하고, 일반적인 안전삼각대나 도로 교통 표시구는 도로 상에 긴밀하게 지지되지 않아 고속 주행 차량이나 바람 등에 의해 넘어지거나 움직이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기술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1795호)에는 링 형상의 지지부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깃발 모양의 중량체와 고정링에 끼워지는 다수의 삽입볼을 구비하여 설치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면서 차량 운전자에게 명확하게 차량 유도신호를 제공하는 러버콘 지지대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긴급작업의 경우 넓은 범위의 차선에 차량 통행 차단이 필요하므로, 소정의 높이와 부피를 갖는 다수의 러버콘을 이동시키고 배열하기가 여전히 용이하지 않으며, 차량 구비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된다. 이에, 간단한 구성을 통해 보관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설치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도로 안전용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선행기술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8716호)는 차단체와 걸이체를 이용하여 차단막을 쉽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 통행 차단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하우징 내 구비된 스프링에 의한 장력이 존재하므로, 차단막이 펼쳐진 상태로 차단체와 걸이체가 도로 상에 더욱 긴밀하게 지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자체적으로 발광되지 않으므로 야간 설치시 안전사고위험이 있으며, 차량 통제 범위 또는 설치위치에 따라 차단막에 기재된 안전문구가 후방 주행자에게 다르게 보일 수 있어, 시인성의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17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8716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설치가 용이하고, 보관 및 이동시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도로 안전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시간 설치시에도 도로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도로 안전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장치의 설치위치의 변화에도 안전표지문구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로 안전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로에서의 긴급상황 또는 차선통제 알림을 위한 문자, 기호, 숫자, 또는 표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며, 다수의 LED소자가 내장된 안전표지막, 상기 안전표지막을 권취하여 보관하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안전표지막을 출입시키는 입출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중심축에 의해 탄발지지되는 판스프링이 상기 안전표지막의 일단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권취력을 갖는 권취고정부, 상기 안전표지막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권취고정부와 선택적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권취고정부에서 상기 안전표지막을 인출시키는 인출부 및 상기 안전표지막,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LED소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함으로써 상기 안전표지막이 야간 또는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갖게 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는 각각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요철구조의 마찰면이 도로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를 지지시키는 제1 받침체 또는 제2 받침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받침체 및 제2 받침체는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이 형합가능한 마찰면으로 구비된 한 쌍의 받침판 및 상기 한 쌍의 받침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형합가능한 마찰면 사이를 이격시켜 동일선상에 배치시키는 누름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인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LED소자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스위치, 상기 안전표지막의 일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입출개구부를 통과할 때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LED소자 일부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단위스위치 및 상기 메인스위치 및 상기 단위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취고정부의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인출부의 외면과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출부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는 각각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도를 방지하는 제1 무게부재 또는 제2 무게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는 각각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를 선택적으로 이격 및 결합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제1 손잡이 또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가 용이하며 보관 및 이동시 권취고정부 및 인출부를 결합시켜 장치 전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은 높일 수 있고 보관 및 이동에 따른 소모비용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는 받침체와 무게부재에 의해 장시간 동안 넓은 범위에 설치시에도 도로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는 단위스위치를 통해 장치의 설치범위가 넓어지거나 설치형태가 다양하게 요구되는 경우에도 안전표지문구에 대한 시인성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을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및 이동상태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지막이 인출된 상태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면적이 확장된 상태의 제1 받침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누름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고정부 및 상기 권취고정부 내측에 권취되어 보관된 안전표지막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스위치의 작동 전(a)과 작동 후(b)의 상태를 나타낸 도 5에 도시된 A영역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고안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고안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고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및 이동상태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지막이 인출된 상태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면적이 확장된 상태의 제1 받침체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누름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고정부 및 상기 권취고정부 내측에 권취되어 보관된 안전표지막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스위치의 작동 전(a)과 작동 후(b)의 상태를 나타낸 도 5에 도시된 A영역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은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로에서 발생된 비상상황, 긴급보수작업 중이거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차량 통제 상황에 대하여 주행자에게 알림 및 주의를 주기 위해 상황발생범위 근방에 설치하도록 권고되는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는, 도로에서의 긴급상황 또는 차선통제 알림을 위한 문자, 기호, 숫자, 또는 표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며, 다수의 LED소자가 내장된 안전표지막, 상기 안전표지막을 권취하여 보관하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안전표지막을 출입시키는 입출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중심축에 의해 탄발지지되는 판스프링이 상기 안전표지막의 일단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권취력을 갖는 권취고정부, 상기 안전표지막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권취고정부와 선택적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권취고정부에서 상기 안전표지막을 인출시키는 인출부 및 상기 안전표지막,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LED소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안전표지막이 야간 또는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갖게 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는 안전표지막(10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과 같이, 상기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는 설치되기 전, 또는 장치의 보관 및 이동시에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상기 권취고정부(200)의 내측에 권취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표지막(100)은 전술된 도로상에서의 긴급상황 또는 차선통제 알림을 위한 안전표지문구가 표시된 것일 수 있다.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표지막(100)은 외측에 구비된 비닐막(120)과, 상기 비닐막(120)의 내측에 구비된 다수의 LED소자(140)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닐막(120)은 상기 다수의 LED소자(140)가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시 발광하는 빛을 상기 비닐막(120)의 외부로 잘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안전표지문구는 문자, 기호, 숫자 또는 표식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도로 안전 표시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일 실시예로, 상기 안전표지막에 나타낸 안전표지문구로 일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화살표를 예시하였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비닐막(120)의 외측면에는 상기 다수의 LED소자(140)가 배열된 모양에 의해 나타나는 안전표지문구와 대응되는 추가문구(미도시)가 인쇄 또는 부착된 것일 수도 있다. 이는, 설치된 도로가 낮과 같은 밝은 분위기인 경우, 상기 다수의 LED소자(140)를 발광시키지 않고도 상기 안전표지막(100)에 인쇄 또는 부착된 추가문구를 통해 1차적으로 주행자가 상기 안전표지막(100)에 전달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추가문구는 상기 다수의 LED소자가 배열되어 나타나는 안전표지문구의 폭보다 일정 크기 작게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LED소자(140)가 상기 추가문구의 테두리면에서 발광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안전표지막(100)에 인쇄 또는 부착된 추가문구는 가시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형광물질이나 밝은 색상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는 권취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권취고정부(200)는 상부에 상기 안전표지막(100)을 권취시켜 보관하는 하우징(210)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중심축(212)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중심축(212)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중심축(212)을 둘러싸는 형태로 권취되어 있어 상기 중심축에 의해 탄발지지되는 판스프링(2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전표지막(100)의 일단부는 상기 판스프링(214)에 의해 권취력(또는, 인장력)을 갖도록 상기 판스프링(214)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판스프링(214)을 감싸며 권취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214)은 판상 형상을 갖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중심축(212)에 고정되어 있어 타단에 연결된 상기 안전표지막(100)에 의해 일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중심축(212)에 의해 탄발지지되고, 추후 상기 판스프링(214)에 압축된 탄성력을 통해 상기 안전표지막(100)을 복귀시키는 권취력이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에는 상기 안전표지막(100)을 출입시키는 입출개구부(216)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입출개구부(216)의 폭 및 크기는 상기 안전표지막(100)의 폭 및 크기에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용이하게 출입되도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는 상기 안전표지막(100)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권취고정부(200)와 선택적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권취고정부(200)에서 상기 안전표지막(100)을 인출시키는 인출부(3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인출부(300)는 상기 권취고정부(200)에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210)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안전표지막(100)을 상기 입출개구부(216)를 통해 상기 권취고정부(20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인출부(300)를 상기 권취고정부(200)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켜 배치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출부(300)가 상기 권취고정부(200)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상기 안전표지막(100)은 이격된 거리만큼 인출되어 상기 권취고정부(200)와 상기 인출부(300) 사이에 펼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권취고정부(200)와 상기 인출부(300)가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펼쳐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지지·고정됨에 따라,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나타내는 안전표지문구는 알림 대상인 주행자 또는 도로 상에 위치한 보행자 등에게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부(300)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상기 안전표지막(100)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인출지지대(310)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출지지대(310) 외면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일 실시예로, 상기 인출지지대(310)를 원기둥 형상으로 예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는 전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안전표지막(100), 상기 권취고정부(200) 및 상기 인출부(300)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안전표지막(100)의 일측과, 상기 인출부(300)의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 예시하였다.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다수의 LED소자(14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다수의 LED소자(140)를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야간 또는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갖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인성은 대상물의 존재 또는 모양이 원거리에서도 식별하기 쉬운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명도차가 클수록 시인성이 높아진다고 알려진다. 종래에 주로 사용되었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되지 않고 반사물질이나 형광물질을 일측에 부착하여 자동차의 조명등에 의해 반사되는 빛으로 시인성을 높이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는 발광여부는 자동차의 조명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반사되는 빛의 강도가 크지 않아 야간이나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된 바와 같은 구조로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보관,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하면서도 상기 안전표지막(100)의 내측에 발광가능한 다수의 LED소자(140)를 구비하여 주행자에게 알림으로써 야간 또는 원거리에서의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는 각각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요철구조의 마찰면이 도로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를 지지시키는 제1 받침체 또는 제2 받침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권취고정부(200)의 하단부에 상기 제1 받침체(230)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인출부(300)의 하단부에 상기 제2 받침체(330)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받침체(230) 및 상기 제2 받침체(330)의 일면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된 마찰면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마찰면은 도 2와 같이 도로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권취고정부(200)는 상기 제1 받침체(230)의 마찰력에 의해 도로 상에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권취고정부(200)로부터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배치된 위치에 상기 권취고정부(200)를 지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부(300)도 상기 제2 받침체(330)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권취고정부(20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안전표지막(100)을 인출된 상태로 유지하며 지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권취고정부(200)의 내측에 구비된 판스프링(214)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권취고정부(200)로 복귀하려는 권취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제1 받침체(230) 및 상기 제2 받침체(330)가 도로에 접촉되는 마찰면의 면적을 선택적으로 넓게 확장시켜 상기 안전표지막(100) 및 상기 인출부(300)에 가해지는 권취력보다 더 큰 마찰력을 갖는 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권취고정부(200) 및 상기 인출부(300)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받침체 및 제2 받침체는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이 형합가능한 마찰면으로 구비된 한 쌍의 받침판 및 상기 한 쌍의 받침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형합가능한 마찰면 사이를 이격시켜 동일선상에 배치시키는 누름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상기 권취고정부(200)의 하단부에 배치된 상기 제1 받침체(230)는 제1 상부받침판(233) 및 제1 하부받침판(231)으로 구성된 한 쌍의 제1 받침판과 상기 한 쌍의 제1 받침판의 일측에, 상세하게는, 상기 제1 하부받침판(231)의 일측에 구비된 제1 누름부재(235)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부(300)의 하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2 받침체(330)는 제2 상부받침판(333) 및 제2 하부받침판(331)으로 구성된 한 쌍의 제2 받침판과, 상기 한 쌍의 제2 받침판의 일측에 즉, 상기 제2 하부받침판(331)의 일측에 구비된 제2 누름부재(335)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과 같이, 상기 제1 받침체(230)는 미사용으로 인한 보관 또는 장치의 이동시에는 상기 제1 하부받침판(231) 및 상기 제1 상부받침판(233)에 구비된 각각의 마찰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 후, 상기 권취고정부(200)에서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인출된 상태로 상기 권취고정부(200)가 특정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제1 받침체(230)의 제1 누름부재(235)를 이용하여, 서로 힌지결합된 상기 제1 상부받침판(233) 및 상기 제1 하부받침판(231) 사이를 이격시켜 일측에 형성된 힌지결합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하부받침판(231)이 상기 제1 상부받침판(233)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1 상부받침판(233) 및 상기 제1 하부받침판(231)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하부받침판(231)의 상부면에 형성된 마찰면과 상기 제1 상부받침판(233)의 하부면에 형성된 마찰면은 서로 마주보며 형합된 상태에서 도 2 및 도 4와 같이, 각각의 마찰면이 이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받침체(230) 전체의 마찰면적이 확장되어, 상기 권취고정부(20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한 원리로, 상기 제2 받침체(330)는 상기 인출부(300)가 상기 권취고정부(20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안전표지막(100)을 인출시켜 특정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제2 받침체(330)의 제2 누름부재(335)를 이용하여, 서로 힌지결합된 상기 제2 하부받침판(331) 및 상기 제2 상부받침판(333) 사이를 이격시켜 일측에 형성된 힌지결합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2 하부받침판(331)이 상기 제2 상부받침판(333)의 측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 상부받침판(333) 및 상기 제2 하부받침판(331)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도 2 및 도 4와 같이, 각각의 마찰면이 이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2 받침체(330) 전체의 마찰면적이 확장되며, 상기 인출부(30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제1 받침체(230) 및 제2 받침체(330)의 마찰면을 확장시켜, 상기 안전표지막(100)을 비롯한 상기 권취고정부(200) 및 상기 인출부(300)에 가해지는 권취력 보다 더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어,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인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누름부재(235) 및 상기 제2 누름부재(335)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받침체(230) 및 상기 제2 받침체(330)를 조작하기 위해 허리를 굽혀 앉거나 손으로 만지지 않아도 장치를 잡은 상태에서 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설치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상기 제1 누름부재(235)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받침체(230)의 제1 하부받침판(231)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누름부재(235)의 타단부는 일측에 상기 권취고정부(200)가 배치된 상부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의 돌출고리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누름부재(235)는 상기 제1 받침체(230)를 도로 상에 지지되도록 설치시에, 상기 제1 하부받침판(23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누름부재(235)의 돌출고리가 도로를 향해 구부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로 바닥면을 향해 구부러진 돌출고리 내측에 고정부재(미도시)를 추가로 배치하여 도로 상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1 누름부재(235) 및 상기 제2 누름부재(335)는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1 받침체(230) 및 상기 제2 받침체(330)의 일측에 형성된 각각의 누름부재(235, 335)를 접촉하거나, 누름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받침체(23) 및 상기 제2 받침체(330)의 마찰면적을 확장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1 받침체(230) 상단부에 형성된 누름부재(235)를 누르면 상기 제1 상부받침판(233)의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을 포함한 돌기부(미도시)가 상기 제1 상부받침판(233)에서 상기 제2 하부받침판(231)에 힘을 가해 이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인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LED소자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스위치, 상기 안전표지막의 일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입출개구부를 통과할 때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LED소자 일부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단위스위치 및 상기 메인스위치 및 상기 단위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인출부(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표지막(100)에 내장된 상기 다수의 LED소자(14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스위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표지막의 일측에는 상기 권취고정부(200)의 입출개구부(216)를 통과할 때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다수의 LED소자(140) 일부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단위스위치(440)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메인스위치(420) 및 상기 단위스위치(44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가 상기 도로 안전용 표시 장치 내 일측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LED소자(140)는 상기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메인스위치(420)에 의해 전원의 단락이 조정되면서 온/오프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위스위치(440)는 상기 다수의 LED소자(140) 중의 일부 LED소자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연결된 일부 LED소자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상기 다수의 LED소자(140)가 화살표 방향으로 안전표지문구를 표출하고 있고 차선통제범위가 넓은 경우, 상기 안전표지막(100)은 주행자가 바라보게 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지 못하고 일정 각도로 갖도록 배치되거나, 세로 방향으로 길게 인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후방에서 오는 주행자는 화살표 모양을 형상 그대로 보기 어려울 수 있어,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의도하고자 하는 안전표지문구가 주행자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스위치(440)를 별도로 구비하여, 차선통제범위가 넓어지는 등과 같은 예외적인 상황에서 일부 LED 소자를 추가적으로 온/오프하여 상기 화살표의 길이를 더 길게 발광되도록 하여, 배치위치에 따라 저하되었던 시인성을 보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위스위치(440)는 상기 안전표지막(100)의 외측면에 다수개 구비되되, 일정 단위마다 설치되어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일정 단위로 인출될 때 자동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표지막(100)은 상기 하우징(210) 내에 권취된 상태로 배치되었다가 상기 입출개구부(216)를 통해 인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도 6(a)에서 도 6(b)와 같이,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인출되면서, 상기 안전표지막(100)에 구비된 상기 단위스위치(440)가 상기 입출개구부(216)의 단부에 상기 단위스위치(440)의 탄성 재질의 둥근 외형이 눌리게 되면서 상기 단위스위치(440) 내측에 구비된 스위치버튼이 눌려져 상기 LED소자(140)의 일부가 자동적으로 온(ON)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원리로,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상기 권취고정부(200)로 복귀되어 권취될 때, 상기 단위스위치(440)가 상기 입출개구부(216) 단부에 의해 다시 한번 눌려지게 되면서 인출시 눌려졌던 스위치버튼이 원래대로 돌아오게 되고, 켜진 상태였던 상기 LED소자(140)의 일부가 자동적으로 오프(OFF)되어 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인출되면서, 펼쳐지는 일정 단위 거리마다 구비된 상기 단위스위치(440)를 통해 넓은 범위 설치시 요구되는 시인성 보완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장치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취고정부의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인출부의 외면과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출부의 외면과 대응되는 수용홈이 함몰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권취고정부(200)가 상기 인출부(300)와 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의 보관 및 이동시에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요구면적을 줄이고 이동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권취고정부(200)의 하우징(210)의 외측에는 상기 인출부(300)의 외면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인출부(30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권취고정부(200)와 상기 인출부(300)는 마치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 것처럼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상기 인출부(30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권취고정부(200)는 상기 인출부(300)의 원기둥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 내측으로 함몰된 초승달 형상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인출부(300)와 면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인출부(300)의 형상 및 상기 인출부(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수용홈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210)와 상기 인출부(300)과 면접촉하는 영역에 자석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권취고정부(200)와 상기 인출부(300)의 결합을 견고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권취고정부(200)와 상기 인출부(300)가 면접촉하는 부위는 평행한 외측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는 각각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도를 방지하는 제1 무게부재 또는 제2 무게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권취고정부(200)는 상기 하우징(210) 하부에 제1 무게부재(250)를 구비하여 상기 권취고정부(200)가 상기 안전표지막(100)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지지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바람이나 주행차량 등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권취고정부(200)의 하부에 무게중심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부(300)도 상기 인출지지대(310)의 하부에 제2 무게부재(350)를 구비하여 상기 인출지지대(310)에 가해지는 상기 안전표지막(100)에 의한 권취력과 배치된 환경에 의해 전도되지 않도록 상기 인출부(300)의 하부에 무게중심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무게부재(250) 및 상기 제2 무게부재(350)는 쇠기둥, 무게추 등과 같은 무게감을 갖는 다양한 부재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무게부재(250) 및 상기 제2 무게부재(350)는 상기 제1 받침체(230) 및 상기 제2 받침체(330) 상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는 각각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가 선택적으로 이격 및 결합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제1 손잡이 또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권취고정부(200)의 상부 일측에는 제1 손잡이(2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출부(300)의 상부 일측에는 제2 손잡이(3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손잡이(270) 및 상기 제2 손잡이(37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상기 제1 손잡이(270) 및 상기 제2 손잡이(370)를 파지하여 상기 권취고정부(200)및 상기 인출부(300)를 선택적으로 이격시키거나 결합시키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2와 같이, 상기 안전표지막(100)의 일측에는 상기 안전표지막(100)에 가해지는 바람과 공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통공구(10)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안전표지막 120: 비닐막
140: 다수의 LED소자 200: 권취고정부
210: 하우징 212: 중심축
214: 판스프링 216: 입출개구부
230: 제1 받침체 231: 제1 하부받침판
233: 제1 상부받침판 235: 제1 누름부재
250: 제1 무게부재 270: 제1 손잡이
300: 인출부 310: 인출지지대
330: 제2 받침체 331: 제2 하부받침판
333: 제2 상부받침판 335: 제2 누름부재
350: 제2 무게부재 370: 제2 손잡이
400: 전원부 420: 메인스위치
440: 단위스위치 460: 배터리
10: 통공구

Claims (7)

  1. 도로에서의 긴급상황 또는 차선통제 알림을 위한 문자, 기호, 숫자, 또는 표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며, 다수의 LED소자가 내장된 안전표지막;
    상기 안전표지막을 권취하여 보관하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안전표지막을 출입시키는 입출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중심축에 의해 탄발지지되는 판스프링이 상기 안전표지막의 일단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권취력을 갖는 권취고정부;
    상기 안전표지막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권취고정부와 선택적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권취고정부에서 상기 안전표지막을 인출시키는 인출부; 및
    상기 안전표지막,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LED소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안전표지막이 야간 또는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갖게 하는 전원부;
    상기 권취고정부의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인출부의 외면과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출부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수용홈;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는,
    각각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요철구조의 마찰면이 도로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를 지지시키는 제1 받침체 또는 제2 받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받침체 및 제2 받침체는,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이 형합가능한 마찰면으로 구비된 한 쌍의 받침판; 및
    상기 한 쌍의 받침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형합가능한 마찰면 사이를 이격시켜 동일선상에 배치시키는 누름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인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LED소자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스위치;
    상기 안전표지막의 일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입출개구부를 통과할 때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LED소자 일부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단위스위치; 및
    상기 메인스위치 및 상기 단위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는,
    각각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도를 방지하는 제1 무게부재 또는 제2 무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는,
    각각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고정부 및 상기 인출부를 선택적으로 이격 및 결합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제1 손잡이 또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
KR2020190001655U 2019-04-22 2019-04-22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 KR200493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655U KR200493433Y1 (ko) 2019-04-22 2019-04-22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655U KR200493433Y1 (ko) 2019-04-22 2019-04-22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90U KR20200002390U (ko) 2020-10-30
KR200493433Y1 true KR200493433Y1 (ko) 2021-03-30

Family

ID=7300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655U KR200493433Y1 (ko) 2019-04-22 2019-04-22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3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770Y1 (ko) * 2004-03-22 2004-06-30 김동수 출입구의 내장형 차단휀스
KR200422045Y1 (ko) * 2006-05-04 2006-07-24 주식회사니즈텍 시인성 차단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560U (ko) * 1995-06-14 1997-01-21 자동차의 단차조절용 고정고무의 결합수단
KR101268716B1 (ko) 2013-04-11 2013-05-28 이병운 차량 통행 차단장치
KR200481795Y1 (ko) 2015-09-01 2016-11-09 한국도로공사 러버콘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770Y1 (ko) * 2004-03-22 2004-06-30 김동수 출입구의 내장형 차단휀스
KR200422045Y1 (ko) * 2006-05-04 2006-07-24 주식회사니즈텍 시인성 차단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90U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577B1 (ko)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200493433Y1 (ko) 도로 안전용 표시장치
KR101449662B1 (ko) 자동차 비상상태 표시시스템
KR20120036112A (ko) 차량용 비상경고등
US6678980B2 (en) Traffic safety sign apparatus
KR20200044449A (ko) 차량용 안전표지 케이스
KR20120031663A (ko) 차량용 비상경고등
JP6999981B2 (ja) 車両用緊急通報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後方車両配慮システム
KR101852871B1 (ko) 리드 거치용 롤 타입 경고판
KR101026880B1 (ko) 이동식 교통안전 표지물
KR200352298Y1 (ko) 이동식 발광 안내표지판
KR20180031563A (ko) 차량용 자동 펼침 긴급 알림 장치와 그 방법
JP5603312B2 (ja) 停電時対応型自発光標識
KR101948087B1 (ko)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KR20210046225A (ko) 교통 통제용 가방
KR200466232Y1 (ko) 차량용 경고판
KR20120005584A (ko) 전자동 비상조명피난유도 홍보판
KR200487375Y1 (ko) 고 시인성 엘이디 바 조립체
KR200415905Y1 (ko) 차량용 발광 삼각 표시판
KR101653949B1 (ko) 고장차량 표시용 도로 비상상태 발광 안전교통표지판
KR101697441B1 (ko) 선택적 경고표시기능을 구비하는 경광봉
US11780366B2 (en) Vehicle status indicator
KR200228265Y1 (ko) 휴대용 도로상황안내구
KR200277821Y1 (ko) 도로 안전 표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