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110Y1 - 절삭홈 티크 용접봉 - Google Patents

절삭홈 티크 용접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110Y1
KR200493110Y1 KR2020200000119U KR20200000119U KR200493110Y1 KR 200493110 Y1 KR200493110 Y1 KR 200493110Y1 KR 2020200000119 U KR2020200000119 U KR 2020200000119U KR 20200000119 U KR20200000119 U KR 20200000119U KR 200493110 Y1 KR200493110 Y1 KR 200493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rod
cutting groove
welding
cutt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이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희 filed Critical 이성희
Priority to KR2020200000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40Making wire or rods for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삭홈 티그 용접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봉의 중앙부 외주면에서 일측 또는 양측면에 절삭홈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좁은 공간에서 작업시 즉시 손으로 부러뜨릴 수 있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용접봉에 의한 고주파 감전과 제품 손상을 예방하며, 용접봉을 미리 절삭하지 않아도 되므로 절삭한 용접봉을 넣고 다닐 용접봉통이 따로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소모량을 늘려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절삭홈 티그 용접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삭홈 티크 용접봉{Tig weld rod with cut grooves}
본 고안은 절삭홈 티그 용접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봉의 중앙부 외주면에서 일측 또는 양측면에 절삭홈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좁은 공간에서 작업시 별도의 도구없이 손으로 절단할 수 있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용접봉에 의한 고주파 감전과 제품 손상을 예방하며, 용접봉을 미리 절삭하지 않아도 필요시에만 절삭하면 되므로 절삭한 용접봉을 넣고 다닐 용접봉통이 따로 필요없는 절삭홈 티그 용접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봉은 접합하고자 하는 두 모재 사이의 용접부에 부족한 금속을 보충하기 위한 금속봉으로, 아크용접, 가스용접, 특수용접과 같은 용접방법과 모재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용접봉을 선택하여 사용하는바, 통상 자동식이나 반자동식 용접기에는 길게 권선(捲線) 된 와이어를 사용하고, 수동용접 시에는 일정한 길이로 단선(斷線) 된 용접봉을 사용하며, 구조적인 측면에서 볼 때에는 금속제 심선의 바깥으로 피복제를 코팅한 피복용접봉과, 피복제가 코팅되지 않은 비피복용접봉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상기 공지의 용접방법 중에서 '불활성 가스 텅스텐 아크용접(Tungsten Inert Gas welding)', 일명 티그(TIG)용접'은 텅스텐전극에서 발생하는 아크 방전을 이용하여 용접봉을 융해하면서 모재를 용접하되 상기 텅스텐전극의 주변으로 헬륨가스나 아르곤가스 등을 분사하여 불활성가스 분위기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접부의 산화 및 질화를 방지하도록 한 용접방법이다.
이러한 티그 용접에서 사용되는 용접봉은 길이가 길고 두께가 얇은 형태로 휨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나 손으로는 절단이 안되고, 절단기 또는 니퍼 등으로만 절단이 된다.
용접봉은 용접작업에 지지 등의 이유로 사용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유효 용접 길이를 길게 하여 판매되므로 조선, 자동차 등 대규모 용접작업시에는 유효 용접길이를 길게하므로 적은 길이의 용접봉을 선호하지 않는다.
이러한 용접봉은 작업자가 하루에 100~150개 등 많은 양을 사용하면서 용접 작업을 하게 되므로 유효 용접 길이가 긴 용접봉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 작업자가 좁은 공간에서 용접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용접 각도를 맞추지 못해 긴 용접봉을 사용할 수 없기에 절단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절단기를 별도로 작업장에 구비하거나 또는 니퍼를 휴대하면서 니퍼를 사용해 절단을 하고 작업을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용접봉은 강한 힘에 의해서는 굽어지기는 하여도 절단되지 않아, 절단기 또는 니퍼와 같이 뾰족하고 강한 재질을 도구를 사용해야만 절단된다.
한편, 작업자가 여름에 땀으로 인해 몸이 습한 상태에서 좁은 공간에서 작업시 용접부위가 아닌 곳에 용접봉이 몸에 접촉되어 고주파 전류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거나, 다른 물체에 어스가 되어 품질에 손상이 갈 수 있다.
KR 10-0710614 (등록번호) 2007.04.17.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접봉의 중앙부 외주면에서 일측 또는 양측면에 절삭홈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좁은 공간에서 작업시 용접봉을 별도의 도구없이 손으로 절단할수 있어 용접 작업을 할 수 있는 절삭홈 티그 용접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넓은 공간에서는 긴 용접봉을 사용하고, 좁은 공간에서는 손으로 용접봉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봉에 의한 고주파 감전과 제품 손상을 예방하여 안전하고 품질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절삭홈 티그 용접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좁은 공간에서 지속적인 작업을 할 때 용접봉을 미리 절삭해서 넣고 다닐 용접봉통이 따로 필요없고, 필요할 때만 용접봉을 잘라서 사용할 수 있어 용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삭홈 티그 용접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긴 용접봉으로 용접하고, 필요시에만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용접봉의 유효 용접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용접에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부분이 적은 절삭홈 티그 용접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동용접용 용접봉(100)에 있어서,
상기 용접봉(100)의 중앙부 외주면에서 일측면에 내측으로 일정깊이를 절삭하여 제1절삭홈(110)을 형성하여 손으로 절단된다.
본 고안은 상기 제1절삭홈(110)의 반대측면에 제1절삭홈(110)에 대응하는 형태의 제2절삭홈(120)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상기 제1절삭홈(110)과 제2절삭홈(120)의 각각의 두께는 상기 용접봉(100) 직경의 반보다 작다
본 발명의 상기 용접봉(100)은 반으로 절단되며, 제1절단부(100a)와 제2절단부(100b)로 나눠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절삭홈 티그 용접봉은 용접봉의 중앙부 외주면에서 일측 또는 양측면에 절삭홈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좁은 공간에서 작업시 용접봉을 별도의 도구없이 손으로 절단할수 있어 용접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절삭홈 티그 용접봉은 넓은 공간에서는 긴 용접봉을 사용하고, 좁은 공간에서는 손으로 용접봉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봉에 의한 고주파 감전과 제품 손상을 예방하여 안전하고 품질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절삭홈 티그 용접봉은 좁은 공간에서 지속적인 작업을 할 때 용접봉을 미리 절삭해서 넣고 다닐 용접봉통이 따로 필요없고, 필요할 때만 용접봉을 잘라서 사용할 수 있어 용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절삭홈 티그 용접봉은 긴 용접봉으로 용접하고 필요시에만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용접봉의 유효 용접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용접에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부분이 적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홈 티그 용접봉의 사시도이고,
도 2 (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홈 티그 용접봉의 측단면도이고,
도 2 (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홈 티그 용접봉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절삭홈 티그 용접봉을 손으로 절단하는 실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용접봉은 모재(母材)와 거의 같은 성분을 사용하며 철강용과 비철금속용(구리·구리합금·니켈합금)이 있다. 수동용접으로는 길이 45 cm 이하의 가는 봉 모양의 것을 사용한다.
본 고안에서 용접봉(100)은 수동용접용으로 길이가 1m 이고, 직경이 2mm, 2.4mm, 3.2mm, 4mm 등의 두께를 갖는 얇고 긴 봉으로 이루어지고, 휨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손으로는 절단이 안되며, 절단기 또는 니퍼 등으로만 절단이 가능하다.
이에 본 고안의 절삭홈 티그 용접봉은 도 1 및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접봉(100)의 중앙부 외주면에서 일측면에 내측으로 일정깊이를 절삭하여 제1절삭홈(110)을 형성하여 손으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1절삭홈(110)을 중심으로 양쪽을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면 절삭홈을 중심으로 용접봉 양쪽이 절곡되고, 이러한 절곡 방향을 반대로 가압하는 동작을 수 회 반복하면 절삭홈에서 용접봉이 절단된다.
또한, 상기 제1절삭홈(110)의 반대측면에 제1절삭홈(110)에 대응하는 형태의 제2절삭홈(120)을 형성하여 양측면에 제1절삭홈(110)과 제2절삭홈(120)을 형성함으로써, 손으로 보다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절삭홈이 양쪽에 형성되면 보다 쉽게 절삭이 이루어지나, 절삭홈의 깊이가 크게 되면 일반 용접시에 절단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상기 용접봉(100)은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 외주면에서 일측면에만 제3절삭홈(130)을 형성하여, 하나의 절삭홈만을 형성할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용접봉(100)은 상기 제1절삭홈(110), 제2절삭홈(120) 또는 제3절삭홈(130)에 의해 쉽게 반으로 절단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단부(100a)와 제2절단부(100b)로 나눠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절단부(100a)와 제2절단부(100b)는 길이가 약 50cm로 형성된다. 다수의 용접이 이루어지는 좁은 공간에도 50cm 정도의 용접봉 길이는 대부분 수용가능하여 필요한 용접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삭홈(110), 상기 제2절삭홈(120) 또는 상기 제3절삭홈(130)은 상기 용접봉(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동일한 형태와 두께를 가지는 절삭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절삭홈(110), 상기 제2절삭홈(120), 상기 제3절삭홈(130)의 두께는 상기 용접봉(100)의 직경의 반이나 그보다 작게 즉, 3분의 1 정도로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쉽게 손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절단 없이 용접작업을 할 경우에 절단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된다. 절삭홈의 형성 모양은 외주면을 둘러쌓고 절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고안의 티그 용접봉은 앞서 말한 것처럼, 그 직경이 2mm, 2.4mm, 3.2mm, 4mm 등으로 매우 작아 원형홈으로 제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양쪽을 가압할 때에 홈을 사이에 두고 양쪽이 맞닿으면서 중앙에서의 절단이 어려울 수 있다.
본 고안에 절삭홈(110, 120, 130)은 가장 깊이 형성되는 가운데부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점차 얇도록 하며, 도 1 또는 도3와 같이 단턱이 아닌 경사도를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사도를 갖는 절삭홈의 형상은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고 힘을 가할때에 가운데부를 중심으로 용접봉이 충분히 절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절삭홈은 용접봉 제작후에 펀칭기를 통하여 절단될 수 있기에 절삭홈 제작 과정에 어려움이 없다.
기존 용접봉은 1m 의 길이로 이루어져 좁은 공간에서 작업에 적합하도록 작은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비되는 절단기(그라이더) 또는 니퍼를 이용하여 미리 절단을 하게 되어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나, 좁은 공간에 절단기를 구비하는 것이 번잡스러울뿐 아니라 절단기까지 이동하는 시간도 필요하다. 또한 니퍼를 사용하고자 하여도 니퍼를 항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의 용접봉(100)은 중앙부 외주면에 제1절삭홈(110)과 제2절삭홈(120) 또는 제3절삭홈(130)이 있어 작업 중에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경우 별도의 절단 도구 없이 손으로 부러뜨릴수 있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용접봉(100)을 반으로 잘라 사용하므로 작업자가 여름에 땀으로 인해 몸이 습한 상태에서 좁은 공간에서 작업시 용접부위가 아닌 곳에 용접봉이 몸에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고주파 감전을 예방하고, 제품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접봉(100)을 작업하는 중간에 손으로 절반을 잘라 사용하면 좁은 공간에서의 용접시에 용접봉의 각도 선택에 자유도가 커져 작업이 편리하고 막힘이 없어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고, 안전하며, 품질손상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작업자가 긴 용접봉으로 지속적인 작업을 하는 경우가 더 많기에 용접봉(100)을 미리 절삭하지 않고 그때그때 필요할 때만 잘라 쓰면 되기 때문에 절반짜리 용접봉통이 따로 필요없고, 작업공간이 충분한 작업장에서는 상기 용접봉(100)을 절단하지 않고 길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절삭홈 티그 용접봉은 상기 용접봉(100)의 중앙부 외주면에서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제1절삭홈(110), 제2절삭홈(120) 또는 제3절삭홈(130)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좁은 공간에서 작업시 상기 용접봉(100)을 즉시 손으로 부러뜨릴 수 있어 작업이 원활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용접봉(100)에 의한 고주파 감전과 제품 손상을 예방하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하고 품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절삭홈 티그 용접봉은 좁은 공간에서 지속적인 작업을 할 때 용접봉(100)을 미리 절삭해서 넣고 다닐 용접봉통이 따로 필요없고, 필요할 때만 용접봉(100)을 잘라서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용접봉 100a : 제1절단부
100b : 제2절단부
110 : 제1절삭홈 120 : 제2절삭홈
130 : 제3절삭홈

Claims (4)

  1. 수동용접용 용접봉(100)에 있어서,
    상기 용접봉(100)의 중앙부 외주면에서 일측면에 내측으로 일정깊이를 절삭하여 제1절삭홈(110)을 형성하여 손으로 절단하는 절삭홈 티그 용접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홈(110)의 반대측면에 제1절삭홈(110)에 대응하는 형태의 제2절삭홈(120)을 형성하는 절삭홈 티그 용접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홈(110)과 제2절삭홈(120)의 각각의 두께는 상기 용접봉(100) 직경의 반보다 작은 절삭홈 티그 용접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봉(100)은 반으로 절단되며, 제1절단부(100a)와 제2절단부(100b)로 나눠지는 절삭홈 티그 용접봉.
KR2020200000119U 2020-01-09 2020-01-09 절삭홈 티크 용접봉 KR200493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19U KR200493110Y1 (ko) 2020-01-09 2020-01-09 절삭홈 티크 용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19U KR200493110Y1 (ko) 2020-01-09 2020-01-09 절삭홈 티크 용접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110Y1 true KR200493110Y1 (ko) 2021-02-01

Family

ID=7456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119U KR200493110Y1 (ko) 2020-01-09 2020-01-09 절삭홈 티크 용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11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614B1 (ko) 2006-02-11 2007-04-27 김정남 연결사용이 가능한 가스용접용 용접봉
KR20090058492A (ko) * 2009-05-20 2009-06-09 이임형 일정한 패턴을 갖는 용접봉
KR20110011717U (ko) * 2010-06-14 2011-12-21 김순 똑부러지는 꼬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614B1 (ko) 2006-02-11 2007-04-27 김정남 연결사용이 가능한 가스용접용 용접봉
KR20090058492A (ko) * 2009-05-20 2009-06-09 이임형 일정한 패턴을 갖는 용접봉
KR20110011717U (ko) * 2010-06-14 2011-12-21 김순 똑부러지는 꼬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640B2 (en) MIG welding pliers
MX2008005325A (es) Hoja de sierra.
CN103737253B (zh) 钢质焊接气瓶筒体的加工方法
JPS61136774A (ja) 切削工具のセグメントの取付け方法
KR200493110Y1 (ko) 절삭홈 티크 용접봉
CN106808135A (zh) 一种断裂高速钢焊接修复方法
JP4261519B2 (ja) 溶接給電用コンタクトチ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溶接トーチ
JP6605793B2 (ja) ジグソー等用ブレード
WO1998039138A1 (en) A wire, a core and a process for electrical arc welding
CN208913333U (zh) 一种导电嘴
CN103567611B (zh) 聚焦环的焊接方法
KR102567988B1 (ko) Tig 용접부 말단의 함몰방지 방법
KR20090058492A (ko) 일정한 패턴을 갖는 용접봉
CN111203612A (zh) 一种钢板的焊接方法
CN104384813A (zh) 双金属带锯条快速定位修复法
CN214978420U (zh) 一种油滤罩零件装夹工装及焊接夹具
JP2723826B2 (ja) 中空角パイプ屈曲加工方法及びその加工金型
KR102003435B1 (ko) 용접 토치용 컨택트 팁
US20240189949A1 (en) Welding electrode and spot-welding device
CN211804482U (zh) 一种具有高延展性的药芯焊丝
JP2018061967A (ja) 溶接方法
KR20160142667A (ko) 융접공정용 용가재
JP2501690B2 (ja) 抵抗溶接方法及び電極チップ並びにその回動装置
CN117161531A (zh) 点焊压制硬化钢的电极修整系统
KR20160133424A (ko) 소모성 용접 와이어, 바람직하게는 mig/mag, 및 관련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