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802Y1 -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 - Google Patents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802Y1
KR200492802Y1 KR2020200000849U KR20200000849U KR200492802Y1 KR 200492802 Y1 KR200492802 Y1 KR 200492802Y1 KR 2020200000849 U KR2020200000849 U KR 2020200000849U KR 20200000849 U KR20200000849 U KR 20200000849U KR 200492802 Y1 KR200492802 Y1 KR 200492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region
hybrid
disposed
absorben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한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강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한 filed Critical 강준한
Priority to KR2020200000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8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8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i.e. the joint between the first metatarsal and first phalan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 인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바닥 형상과 대응되고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인솔 바디; 인체 발의 중족골 영역, 족근골 영역 그리고 종골 영역과 대응되며 상기 인솔 바디에 배치되는 제1 흡수패드 수단; 및 상기 인체 발의 중족골 영역과 지골 영역과 대응되며 상기 인솔 바디에 배치되는 제2 흡수패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패드 수단은, 상기 인체 발의 중족골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흡수패드부; 상기 중족골 영역과 종골 영역 사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및 제3 흡수패드부; 상기 인체 발의 종골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4 흡수패드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들을 선택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는 각각 내부 공간에 인체의 무게하중을 흡수 및 분산하기 위한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이 채워져 있고, 상기 액상 젤은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를 통하여 인접한 흡수패드부들로 이동하며, 상기 제2 흡수패드부는 상기 인솔 바디의 내측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제3 흡수패드부는 상기 인솔 바디의 외측 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 {Hybrid Insole with multi-shock absorbing pad}
본 고안은 기능성 인솔(Insol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발의 부위별 뼈의 구조에 대응하는 흡수패드를 배치하여 인체 무게하중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솔(insole)은 신발밑창이 아닌 신발, 운동화 등의 내부에 제공되며, 직접 발바닥 전체와 접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지형 변화를 완만하게 처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신발밑창이 신발을 이루는 요소로서, 갑피의 하부에 교체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요소라면, 인솔 또는 안창은 갑피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위치하는 요소로서 신발의 완충 기능을 부가할 수 있고, 발바닥과의 직접적인 밀착을 통해 충격 흡수 외에 균형 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허리, 무릎, 발목에는 보행이나 조깅 시 체중의 약 1.2배에서 8배나 되는 무게 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무게하중을 흡수하고 관절과 뼈가 손상되지 않도록 각 관절 사이에 존재하는 연골과 발바닥의 아치가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연골과 발바닥의 아치는 지면 상에 발이 착지할 때, 인체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하고 발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순간에는 곧바로 반발 탄성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연골과 발바닥의 아치는 인간이 일상 생활을 하는 동안 인체에 무수히 많이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분산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따라서, 인체에서 어느 기관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연골과 발바닥의 아치는 오래 동안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골과 발바닥의 아치의 보호는 일반적으로 인체의 무게하중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는 발에서 얼마나 무게하중에 의한 충격을 적절히 분산 및 흡수하느냐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발은 크고 작은 26개의 뼈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뼈들은 인대와 근육에 의해 지탱된다. 또한, 발을 이루고 있는 뼈들은 인체의 무게하중을 적절히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돔형 아치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은 비만으로 인한 체중 증가, 딱딱한 콘크리트 바닥이나 아스팔트에서의 생활 및 잘못된 자세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에 충격을 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무게하중을 지탱하고 체중의 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발의 돔형 아치들에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돔형 아치들의 변형은 인체 관절연골들의 밸런스를 무너뜨려 발이 무게하중을 적절히 흡수하거나 분산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발이 인체의 무게하중을 적절히 지탱하지 못하게 되면 족저근막염과 같은 발의 직접적인 질환뿐만 아니라 무릎관절의 연골에까지 지속적인 피로도가 누적되면서 연골 마모도가 증가하여 조기 무릎관절염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등록특허 10-0675816호에서는 발의 내외측 아치가 연결되는 지점에 아치의 높이를 조임을 통하여 보정할 수 있는 공기주머니가 내설된 에어 밴드를 부착하는 발명이 고안되었으나 발바닥 전체에 대한 보호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인간은 보행을 하거나 조깅을 할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면에 닿게 되는 발의 각 부위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이 다른데 위의 발명은 이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어서 발의 돔형 아치 변형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은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0001] 국내 등록특허 제10-0675816호
본 고안은 인체 발의 부위별 뼈의 구조 및 아치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서로 다른 구조의 흡수패드를 배치하여 인체 무게하중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인체 발의 지골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고체 상태의 탄성력이 우수한 흡수패드를 배치하고 인체 발의 중족골 영역, 족근골 영역 그리고 종골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탄성력과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이 주입된 흡수패드들을 배치하여 발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변동에 따른 흡수 및 분산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탄성력과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이 주입된 복수개의 흡수패드들을 서로 연결하여 보행을 하거나 조깅을 할 때에 발 바닥의 부위별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변화에 대응하여 액상 젤의 유동에 의한 충격 흡수 및 분배를 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인체 발을 구성하는 뼈들의 구조와 아치의 형태에 따라 지족 영역에는 고체 형태의 흡수패드를 사용하고 무게하중이 가해지는 힘이 크고 변화가 많은 중족골 영역과 족근골 영역 및 종골 영역에는 유동성 액상 젤을 구비한 복수의 흡수패드들을 사용함으로써 인체 발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을 줄이면서 발의 변형을 방지한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바닥 형상과 아치의 형태에 대응되고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인솔 바디; 인체 발의 중족골 영역, 족근골 영역 그리고 종골 영역과 대응되며 상기 인솔 바디에 배치되는 제1 흡수패드 수단; 및 상기 인체 발의 중족골 영역과 지골 영역과 대응되며 상기 인솔 바디에 배치되는 제2 흡수패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패드 수단은, 상기 인체 발의 중족골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흡수패드부; 상기 중족골 영역과 종골 영역 사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및 제3 흡수패드부; 상기 인체 발의 종골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4 흡수패드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들을 선택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는 각각 내부 공간에 인체의 무게하중을 흡수 및 분산하기 위한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이 채워져 있고, 상기 액상 젤은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를 통하여 인접한 흡수패드부들로 이동하며, 상기 제2 흡수패드부는 상기 인솔 바디의 내측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제3 흡수패드부는 상기 인솔 바디의 외측 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흡수패드 수단은 탄성력을 갖는 타원형 실리콘 재질이고,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의 내부 공간에 채워진 액상 젤은 실리콘이며,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에는 각각 액상 젤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의 내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1 스페이서와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2 스페이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의 내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복수의 스페이서들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은 제4 흡수패드부에서 제1 흡수패드부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의 부위별 뼈의 구조와 아치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서로 다른 구조의 흡수패드를 배치하여 인체 무게하중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의 지골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고체 상태의 탄성력이 우수한 흡수패드를 배치하고 인체 발의 중족골과 족근골 그리고 종골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탄성력과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이 주입된 흡수패드들을 배치하여 발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변동에 따른 흡수 및 분산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탄성력과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이 주입된 복수개의 흡수패드들을 서로 연결하여 보행을 하거나 조깅을 할 때에 발 바닥의 부위별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변화에 대응하여 액상 젤의 유동에 의한 충격 흡수 및 분배를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을 구성하는 뼈들의 구조와 아치의 형태에 따라 지족 영역에는 고체 형태의 흡수패드를 사용하고 무게하중이 가해지는 힘이 크고 변화가 많은 중족골 영역과 족근골 영역 그리고 종골 영역에는 유동성 액상 젤을 구비한 복수의 흡수패드들을 사용함으로써 인체 발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을 줄이면서 발의 변형뿐만 아니라 자세의 변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인체 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이브리드 인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Ⅰ-Ⅰ'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Ⅱ-Ⅱ'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도 2의 Ⅲ-Ⅲ'선과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도 2의 Ⅳ-Ⅳ'선과 B-B'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2의 Ⅴ-Ⅴ'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흡수패드 수단이 인체 발을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에 배치된 흡수패드 수단들이 인체의 무게하중에 따라 충격을 흡수하거나 분산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의 흡수패드부들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의 흡수패드부들에 제1 및 제2 스페이서들이 형성될 경우 액상 젤의 유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흡수패드부들의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스페이서의 형성 개수를 다르게하여 인체 무게하중을 흡수 및 분산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인체 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이브리드 인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Ⅰ-Ⅰ'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Ⅱ-Ⅱ'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도 2의 Ⅲ-Ⅲ'선과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도 2의 Ⅳ-Ⅳ'선과 B-B'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2의 Ⅴ-Ⅴ'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인체 발(300)의 발바닥을 통해 가해지는 무게하중을 흡수 및 분산하는 하이브리드 인솔(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이브리드 인솔(100)은 인체 발바닥 형상과 대응되는 모양을 갖고,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인솔 바디(110)와 상기 인솔 바디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흡수패드 수단(180, 190)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인솔 바디(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층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솔 바디(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층들 각각은 흡수성, 열차단성, 경량성, 항염, 항바이러스, 항미생물, 항균 특성을 갖는 신축성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마(kenaf) 또는 양마와 고무를 혼합한 시트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인솔 바디(110)를 구성하는 층들 중 적어도 하나를 나일론(nylon),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E(폴리에틸렌: polyethylene), EVA(ethylene-vinyl acetate)와 같은 수지계열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솔 바디(110)를 구성하는 시트층을 수지계열의 재질로 형성할 경우, 시트층 제작 과정에서 인솔에 요구되는 무게하중 지탱을 위한 강도, 내구성, 밀착력 및 쿠션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100)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흡착패드 수단(180, 190)은 인솔 바디(110)가 단일 시트층일 경우 상면 또는 배면 즉, 시트층의 일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100)의 인솔 바디(110)가 복수의 시트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시트층들 사이에 제1 및 제2 흡착패드 수단(180, 190)이 배치되거나 복수의 시트층의 최상위의 시트층 상면 또는 최하위의 시트층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솔 바디(110)를 단일한 시트층으로 취급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제1 및 제2 흡착패드 수단(180, 190)이 배치되는 영역이 인솔 바디(110)의 상면인지 하면인지를 구분하지 않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100)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흡착패드 수단(180, 190)들은 인솔 바디(110)가 단일 시트층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100)의 인솔 바디(110)가 복수의 시트층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층들 사이 또는 인솔 바디(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흡착패드 수단(180, 190)이 인솔 바디(110)에 배치될 때 시트층들 사이에 배치될 경우에 제1 및 제2 흡착패드 수단(180, 190)을 상측에 배치된 시트층이 덮을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흡측패드 수단과 대응되는 영역을 오픈 시킨 상태에서 상측 시트층을 압착할 수 있다.
먼저, 인체의 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체이 발은 크게 족근골(Talsal bones), 중족골(Metatarsals group) 및 지골(Phalanges)로 구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족근골에는 종골(Calcaneus) 영역(F5)과, 거골(Talus), 설상골(cuneiform), 부주상골(navicula), 입방골(cuboid) 영역(F4)을 포함하고, 중족골은 내측 중족골 영역(Medial Metatarsal, F2), 외측 중족골 영역(Lateral Metarasal, F3)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영역은 명세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족근골에는 종골 영역(F5) 뿐만 아니라 거골 전방 앞부분에 위치하는 부주상골(Navicula), 발의 외측 측면에 위치하는 입방골(Cuboid), 부주상골 전방에 위치하는 아치 형태의 세 개의 설상골(Cuneiform)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는 내측 중족골 영역(F2)과 외측 중족골 영역(F3)으로 구분하였지만 일부는 종골 영역(F5)에 포함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발바닥을 기준으로 지골(발가락 뼈) 영역(F1) 방향을 전측 방향(F)으로 하고, 종골 영역(F5) 방향을 후측 방향(R)으로 하며 발바닥의 중족골(Metatarsals)을 기준으로 안쪽 방향을 내측 방향(M), 바깥쪽 방향을 외측 방향(L)으로 정의한다.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100)에 배치되는 제1 흡수패드 수단(180)은 상기 인체 발의 중족골 영역(F2, F3) 및 종골 영역(F5)과 대응되는 상기 인솔 바디(11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흡수패드 수단(190)은 상기 인체 발의 중족골 영역(F2, F3)과 지골 영역(발가락 뼈. F1) 사이와 대응되는 상기 인솔 바디(11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흡수패드 수단(180)은, 인체 발(300)의 중족골 영역(F2, F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흡수패드부(180a); 상기 중족골 영역(F2, F3)과 인체 발(300)의 종골 영역(F5) 사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및 제3 흡수패드부(180b, 180c); 상기 인체 발(300)의 종골 영역(F5)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4 흡수패드부(180d);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들(180a, 180b, 180c, 180d)을 선택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181a, 181b, 181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흡수패드부(180b)는 상기 내측 중족골 영역(F2)과 대응되고 상기 제3 흡수패드부(180c)는 상기 외측 중족골 영역(F3)과 대응된다.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각 영역은 인체 발(300)의 각 구성부를 지칭하는 부분들과 엄밀하게 대응시킨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제2 흡수패드부(180b)는 족근골의 거골 영역(F4), 부주상골, 입방골, 설상골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3 흡수패드부(180c) 역시 중족골 영역(F2), 족근골의 입방골, 종골 영역(F5) 등과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181a, 181b, 181c)는 각각 제1 흡수패드 수단(180a)을 구성하는 흡수패드부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181a)는 제1 흡수패드부(180a)와 제2 흡수패드부(180b)를 연결하고, 제2 연결부(181b)는 제3 흡수패드부(180c)와 제4 흡수패드부(180d)를 연결하며, 제3 연결부(181c)는 제2 흡수패드부(180b)와 제4 흡수패드부(180d)를 연결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흡수패드부(180a)와 제3 흡수패드부(180c)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180a, 180b, 180c, 180d) 및 제1 내지 제3 연결부(181a, 181b, 181c)는 각각 내부에 공간을 구비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이들 내부 공간에는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LG: Liquid Gel)이 채워질 수 있다. 특히, 액상 젤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흡수패드부의 내부 공간에는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액정 젤이 채워질 수 있다. 액상 젤은 탄성력이 우수한 실리콘계열의 젤을 사용할 수 있다. 무게하중이 인체 발에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사용되는 액상 젤의 점도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100)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180a, 180b, 180c, 180d)와 제1 내지 제3 연결부(181a, 181b, 181c)는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튜브 형태(Tube Type)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181a, 181b, 181c)에는 액상 젤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흡수패드 수단(190)은 인체 발(300)의 중족골 영역(F2, F3)와 지골 영역(F1: 발가락 뼈) 사이와 대응되는 인솔 바디(1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흡수패드 수단(190)은 제1 흡수패드 수단(180)과 다르게 내부 공간이 존재하지 않은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수패드 수단(190)은 실리콘계열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100)을 구성하는 인솔 바디(110)가 복수의 시트층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흡수패드 수단(180, 190)을 인솔 바디(110)에 부착해야 한다. 특히, 제1 및 제2 흡수패드 수단(180, 190)이 인솔 바디(110)와 견고하게 부착되지 않으면 제1 및 제2 흡수패드 수단(180, 190)이 인솔 바디(110)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흡수패드 수단(180, 190)이 위치하는 인솔 바디(110)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강한 압착력으로 부착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한 제1 압착영역(X)은 다른 영역(제2 압착영역(Y))보다 압착력이 강한 영역이다.
즉, 상기 인솔 바디(110)는 상기 제1 및 제2 흡수패드 수단(180, 190)이 배치되는 영역의 둘레를 따라 제1 압착영역(X)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100)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흡수패드 수단(180, 190)은 인체의 무게하중을 흡수 및 분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체 발(300)의 발바닥 면을 기준으로 인체 무게하중이 패드들에 균일하게 분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100)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흡수패드 수단(180, 190)은 인체 발(300)의 각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과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흡수패드 수단(180)의 제1 흡수패드부(180a)는 인체 발(300)의 중앙 2번째, 3번째 및 4번째 중족골로 형성되는 돔 형태의 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중족골의 아치 영역은 인체가 보행을 하거나 조깅을 할 때 특히 발바닥의 앞쪽 부위에 가해지는 지면과의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족골의 아치 영역은 작지만 발바닥의 지골 방향(전측 방향(F))에서 발생된 무게하중을 60%까지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의 Ⅱ-Ⅱ'선을 절단한 단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흡수패드부(180a)는 중족골 영역(F2, F3)의 돔 형태 아치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중앙 영역이 볼록하고 내측(M) 방향과 외측(L)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단면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흡수패드부(180a)는 심장형, 위장형 및 신장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수패드부(180a)의 중앙 두께(D1)는 인솔 바디(110) 두께(D)의 5-6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솔 바디(110)의 두께가 0.5mm인 경우 상기 제1 흡수패드부(180a)의 가장 두꺼운 중앙 영역은 2.5-3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흡수패드부(180a)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 외측(M, L) 또는 전후측(F, R)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수패드(180a)의 가장 긴 영역(종측)은 45mm로 하고, 횡측은 35mm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일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인체 발의 모양, 사용 환경과 조건 등에 따라 설계 수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흡수패드부(180b)는 내측 족근골 영역(F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인체 발(300)의 세로 방향 즉, 내측 종 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를 지지한다. 인체의 발바닥 구조 상 움푹 들어간 영역이기 때문에 밸런스가 무너질 경우 내측(M)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다리뼈의 내회전 및 골반의 틀어짐과 같은 관절의 변위와 연골 변형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2 흡수패드부(180b)는 내측(M) 방향의 가장자리가 가장 높고(두껍고) 외측(L)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는 낮아지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의 Ⅲ-Ⅲ'선을 절단한 단면도를 보면, 우측 방향이 도 2의 왼발 인솔을 기준으로 내측(M) 방향이고 좌측 방향이 외측(L) 방향이다. 상기 제2 흡수패드부(180b)는 내측(M) 방향에서 외측(L)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는 경사면(두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구조)을 갖는다.
또한, 전측 방향(F)과 후측 방향(R)으로 절단한 도 5b의 A-A'선을 절단한 단면을 보면 내측(M) 방향 영역이 전체적으로 높은 구조로 되어 있고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두께가 작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표면은 둥근 형태로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3차원 형태의 긴 유선형 삼각뿔 형태를 갖는다(단면은 긴 삼각형 모양).
상기 제2 흡수패드부(180b)의 내측 가장 두꺼운 영역(D2)은 상기 인솔 바디(110)의 두께의 11~12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솔 바디(110)의 두께가 0.5mm인 경우 제2 흡수패드부(180b)의 가장 두꺼운 내측 영역은 5.5-6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길이는 종측의 가장 긴 영역이 85mm로 하고 횡측은 30mm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일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인체 발의 모양, 사용 환경과 조건 등에 따라 설계 수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3 흡수패드부(180c)는 외측 족근골 및 중족골 영역(F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인체 발(300)의 세로 방향 즉, 외측 종 아치(Lateral Longitudinal arch)를 지지한다. 상기 제2 흡수패드부(180b)와 배치되는 인접 영역이고 발 바닥의 외측 영역이기 때문에 내측 종 아치 형태와는 정 반대의 아치 모양을 한다.
특히, 인체 발 바닥의 외측 영역은 지면과 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돔의 높이가 낮고 길쭉한 형태로 형성된다.
도 6a의 Ⅳ-Ⅳ'선을 절단한 단면을 보면 좌측이 외측 방향(L)이고 우측이 내측 방향(M)이다. 상기 제3 흡수패드부(180c)는 외측(L) 방향에서 내측(M)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을 갖는다. 또한 도 6b의 B-B'선을 절단한 도면을 보면, 외측 영역을 절단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3 흡수패드부(180c)는 외측(L) 방향에서 내측(M)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3 흡수패드부(180c)의 가장 두꺼운 외측 영역의 두께(D3)는 인솔 바디(110) 두께(D)의 5~6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솔 바디(110)의 두께가 0.5mm인 경우 제3 흡수패드부(180c)의 가장 두꺼운 외측 영역은 2.5-3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흡수패드부(180c)의 길이는 종측을 65mm로 하고 횡측을 20mm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일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인체 발의 모양, 사용 환경과 조건 등에 따라 설계 수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흡수패드부(180d)는 종골 영역(F5)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인체 발(300)의 뒤꿈치 영역을 지지한다. 특히, 인체 발(300)의 종골 영역(F5)은 인체 무게하중이 가장 크고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영역이다.
상기 제4 흡수패드부(180d)는 인체 발(300)의 뒤꿈치를 지지하기 때문에 뒤꿈치 바닥만을 지지하기 위해 둥근 형태로 형성하거나 전측 방향의 일면이 일직선이고 다른 방향에서는 발 뒤꿈치 영역을 감싸는 둥근 형태의 말 발굽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4 흡수패드부(180d)가 말 발굽형 구조일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4 흡수패드부(180d)는 발뒤꿈치 전 영역을 균일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높이)로 형성된다.
도 7의 Ⅴ-Ⅴ'선을 절단한 단면도를 보면 상기 제4 흡수패드부(180d)는 내측 방향(M)에서부터 외측 방향(L)까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제4 흡수패드부(180d)의 두께(D4)는 인솔 바디(110) 두께(D)의 5~6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솔 바디(110)의 두께가 0.5mm인 경우 두께는 2.5-3mm로 형성할 수 있다. 길이는 종측 방향을 55mm로 형성하고 횡측 방향을 50mm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일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인체 발의 모양, 사용 환경과 조건 등에 따라 설계 수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흡수패드 수단(190)은 중족골 영역(F2, F3)와 지골 영역(F1) 사이에 배치되고 타원형 막(Bar)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2 흡수패드 수단(190)의 두께(D5)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인솔 바디(110) 두께(D)의 3~4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Ⅰ-Ⅰ'선을 절단한 단면도를 보면 내측 방향(M)에서부터 외측 방향(L)까지 전체적으로 상기 제2 흡수패드 수단(190)의 두께는 균일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인솔 바디(110)의 두께가 0.5mm인 경우에는 상기 제2 흡수패드 수단(190)의 두께(높이)는 1.5-2mm로 형성될 수 있고, 폭은 2mm, 길이는 70mm로 형성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일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인체 발의 모양, 사용 환경과 조건 등에 따라 설계 수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의 부위별 뼈의 구조 및 아치의 형태에 따라 대응하도록 서로 다른 구조의 흡수패드를 배치하여 인체 무게하중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의 지골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고체 상태의 탄성력이 우수한 흡수패드를 배치하고 인체 발의 중족골과 족근골 및 종골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탄성력과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이 주입된 흡수패드들을 배치하여 발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변동에 따른 흡수 및 분산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탄성력과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이 주입된 복수개의 흡수패드들을 서로 연결하여 보행을 하거나 조깅을 할 때에 발 바닥에 부위별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변화에 대응하여 액상 젤의 유동에 의한 충격 흡수 및 분배를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을 구성하는 뼈들의 구조에 따라 지족 영역에는 고체 형태의 흡수패드를 사용하고 무게하중이 가해지는 힘이 크고 변화가 많은 중족골 영역과 족근골 및 종골 영역에는 유동성 액상 젤을 구비한 복수의 흡수패드들을 사용함으로써 인체 발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을 인체공학적으로 균등하게 분배하고 줄여줌으로써 발의 통증과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흡수패드 수단이 인체 발을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함께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100)에 배치된 제2 흡수패드부(180b)는 인체 발(300)의 내측 족근골 영역(F3)에 배치된다. 내측 족근골 영역(F3)은 세로 방향 즉, 내측 종 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 구조로 되어 있다.
보행이나 조깅 시 인체 발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은 경골(F6)을 통해 거골 영역(F4)으로 최초 가해진 후 후방으로는 종골(F5) 전방으로는 중족골 영역(F2, F3)과 지골 영역(F1)으로 각 50%씩 균등하게 분산 전달되면서 흡수된다. 내측 종 아치 구조는 인체 발의 내측 방향의 깊이가 더 깊은 돔 형태의 아치 구조로 되어 있어 무게하중을 지탱하지 못하면 다리뼈의 내회전이 일어나 무릎관절이 틀어지면서 골반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척추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흡수패드부(180b)는 내측(M) 방향의 가장자리가 가장 높고(두껍고) 외측(L)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는 낮아지는(얇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3 흡수패드부(180c)는 외측 족근골 및 중족골 영역(F2)과 대응되는데 인체의 발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종 아치(Lateral longitudinal arch)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종 아치 구조는 인체 발의 외측면을 따라 긴 형태의 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흡수패드부(180c)는 외측(L) 방향에서 내측(M)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을 갖는다.
또한, 제1 흡수패드부(180a)는 중족골 영역(F2, F3)과 대응되는데 인체의 발은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족골 아치(Matatarsal arch) 구조를 갖는다. 중족골 아치는 발의 중족골 중앙에서 위치에 따라 두 개 혹은 세 개의 뼈들이 아치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중족골의 정 중앙 영역이 가장 깊은 형태의 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흡수패드부(180a)는 중앙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양측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심장형, 위장형 및 신장형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흡수패드 수단(190)은 중족골 영역(F2, F3)과 지골(F1) 영역 사이와 대응되는데 인체 발은 지골들이 수평하게 배치된 지골 아치 구조를 갖는다. 지골 아치 구조는 거의 수평한 아치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흡수패드 수단(190)은 두께가 균일한 패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에 배치된 흡수패드 수단들이 인체의 무게하중에 따라 충격을 흡수하거나 분산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2와 함께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100)은 사람이 보행을 하거나 조깅을 할 때 인체 발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을 흡수 및 분산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인체의 무게하중이 보행 단계별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량(힘)이 달라지는 것에 대응하여 고체 형태의 흡수패드와 액상 젤 형태의 흡수패드들을 조합하여 인솔을 제작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100)에 배치되는 흡수패드들은 인체 발의 구조와 기능에 따라 무게하중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a) 사람이 보행을 할 때 1차적으로(발뒤꿈치 착지) 가장 먼저 무게하중이 가해지는 부분은 인체 발의 종골 영역(F5)이다. (b) 인체 발의 종골 영역(F5)을 통해 무게하중이 전달되면 본 고안의 인솔(100)에 배치된 제4 흡수패드부(180d)에 무게하중의 압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4 흡수패드부(180d) 내부 공간에 주입된 액상 젤(LG)은 전달되는 무게하중의 충격(압력)에 의해 제1 내지 제3 연결부(181a, 181b, 181c)를 통해 제1, 제2 및 제3 흡수패드부(180a, 180b, 180c)로 이동하게 되면서 체중의 무게하중을 흡수 분산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흡수패드부 내에 주입된 액상 젤이 무게하중을 전달받은 후 흡수패드부 간 연결부를 통해 다른 흡수패드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무게하중을 흡수하는 기능과 다른 흡수패드부로 분산하는 기능도 함께 한다.
그런 다음,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2차적으로 발바닥이 착지된다. (b) 발바닥이 착지되면 무게하중은 발바닥 전 영역을 통하여 하측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제1 흡수패드 수단(180)의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180a, 180b 180c, 180d)에 모두 전달된다. 특히, 보행 단계의 1차 단계에서 종골 영역에 강한 무게하중이 전달된 상태이기 때문에 발바닥 착지 단계에서는 제1 내지 제3 흡수패드부(180a, 180b, 180c) 영역에 주로 무게하중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인체 무게하중이 제1 흡수패드 수단(180)에 모두 전달되기 때문에 제1 흡수패드 수단(18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180a, 180b, 180c, 180d) 내부 공간에 주입된 액상 젤(LG)은 제1 흡수패드부(180a)에서 제4 흡수패드부(180d)로도 이동하고 제4 흡수패드부(180d)에서 제1 흡수패드부(180a)로도 이동하게 되면서 체중의 압력이 발바닥에 균등하게 전달되고 발목과 무릎관절을 보호함과 동시에 체형의 균형도 잡히게 된다.
그런 다음 도 9c의 보행 3단계에서는 무게하중이 지골 영역(F1)과 중족골 영역(F2, F3)에 집중되는 발가락 추력(Toe off) 단계로 진입한다(a). (b) 발가락 추력 단계에서는 지골 영역(F1)과 중족골 영역(F2, F3) 사이에 무게하중이 전달되기 때문에 제2 흡수패드 수단(190)과 제1 흡수패드부(180a), 제2 및 제3 흡수패드부(180b, 180c)의 일부에 힘이 가해진다.
이로 인하여 제1 내지 제3 흡수패드부(180a, 180b, 180c) 내부에 주입된 액상 젤(LG)은 전측 방향(F)에서 후측 방향(R)으로 이동하여 무게하중을 흡수 및 분산하고, 제2 흡수패드 수단(190)은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지골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을 경감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의 부위별 뼈의 구조와 아치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서로 다른 구조의 흡수패드를 배치하여 인체의 무게하중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의 지골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고체 상태의 탄성력이 우수한 흡수패드를 배치하고 인체 발의 족근골과 종골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탄성력과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이 주입된 흡수패드들을 배치하여 발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변동에 따른 흡수 및 분산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탄성력과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이 주입된 복수개의 흡수패드들을 서로 연결하여 보행을 하거나 조깅을 할 때에 발 바닥의 부위별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변화에 대응하여 액상 젤의 유동에 의한 충격 흡수 및 분배를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을 구성하는 뼈들의 구조와 아치의 형태에 따라 지족 영역에는 고체 형태의 흡수패드를 사용하고 무게하중이 가해지는 힘이 크고 변화가 많은 중족골 영역과 족근골 그리고 종골 영역에는 유동성 액상 젤을 구비한 복수의 흡수패드들을 사용함으로써 인체 발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을 줄이면서 발의 변형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의 흡수패드부들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에 배치되는 흡수패드부들에는 액상젤(LG)의 유동성에 저항력을 부가하기 위해 복수개의 제1 스페이서(SP1)와 제2 스페이서(SP2)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수패브부(PAD)의 내부 공간 중 상측면(US) 상에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스페이서(SP1, SP2)를 교대로 배치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SP1)의 길이는 제2 스페이서(SP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되 흡수패드부(PAD)의 내부 공간의 상면(US)과 하면(BS) 사이의 거리보다는 짧게 형성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스페이서(SP1, SP2)는 흡수패드(PAD)의 하면(BS) 상에 교대로 배치하거나 상명(US)과 하면(BS) 모두에 교대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제1 및 제2 스페이서(SP1, SP2)가 흡수패드(PAD)의 상면(US)과 하면(BS) 모두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면(US)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와 하면(US)에 배치되는 스페이서가 서로 닿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의 흡수패드부들에 제1 및 제2 스페이서들이 형성될 경우 액상 젤(LG)의 유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흡수패드(PAD) 내부 공간에 제1 및 제2 스페이서(SP1, SP2)를 배치할 경우 액상 젤(LG)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무게하중에 의해 빠르게 인접한 흡수패드 영역으로 진행하지 않고 제1 및 제2 스페이서(SP1, SP2)들에 의해 저항력을 받으며 이동하게 된다.
즉, 흡수패드(PAD)에 무게하중이 전달되면 액상 젤(LG)을 통해 전달되는 무게하중이 흡수패드(PAD) 내부 공간에 형성된 스페이서들(SP1, SP2)에 의해 저항을 받으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흡수패드(PAD)가 충분히 무게하중을 흡수하면서 인접한 흡수패드들로 분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흡수패드부들의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스페이서의 형성 개수를 다르게 하여 인체 무게하중을 흡수 및 분산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와 함께 도 1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인솔에 배치되는 흡수패드부들 내부에는 액상 젤(LG)이 주입되어 있고, 흡수패드부 내부 공간 영역에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SP1, SP2)가 배치된다.
도 14에서는 인체 발의 종골(뒤꿈치) 영역(F5)과 대응되는 흡수패드를 제1 흡수패드(PAD1), 인체 발의 족근골 영역(F2, F4)과 대응되는 흡수패드를 제2 흡수패드(PAD2)로 도시하였다.
도 9a 내지 도 9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행 시 가장 강한 무게하중은 종골 영역(F5)을 통해 전달된다. 따라서 제1 흡수패드(PAD1)에 가장 강한 힘이 가해지고 제2 흡수패드(PAD2)는 상대적으로 제1 흡수패드(PAD1)에 가해지는 힘보다는 약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인솔에 배치되는 흡수패드부 중 종골 영역(F5)과 대응되는 제4 흡수패드부(180d)에는 길이가 긴 제1 스페이서(SP1)를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무게하중이 작은 영역의 제1 내지 제3 흡수패드부(180a, 180b, 180c)에는 제1 스페이서(SP1)의 길이보다 짧은 제2 스페이서(SP2)를 배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이 하이브리드 인솔에서는 무게하중이 가장 큰 영역에서는 흡수패드부 내의 액상 젤(LG)이 제1 스페이서(SP1)에 의해 저항력을 크게 받아 충분히 큰 무게하중을 흡수 및 분산한 후 인접한 흡수패드부 영역으로 액상 젤(LG)을 이동시킨다.
반면, 상대적으로 무게하중이 적은 제1 내지 제3 흡수패드부(180a, 180b, 180c)에는 액상 젤(LG)이 보다 신속히 이동하여 흡수 및 분산될 수 있도록 길이가 짧은 제2 스페이서(SP2)를 배치한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종골 영역(F5)에서 족근골 영역(F2, F4)으로 갈수록 흡수패드부들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들의 길이를 순차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흡스패드부들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들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의 부위별 뼈의 구조와 아치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서로 다른 구조의 흡수패드를 배치하여 인체 무게하중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의 지골 영역(F1)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고체 상태의 탄성력이 우수한 흡수패드를 배치하고 인체 발의 중족골과 족근골 그리고 종골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탄성력과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이 주입된 흡수패드들을 배치하여 발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변동에 따른 흡수 및 분산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탄성력과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이 주입된 복수개의 흡수패드들을 서로 연결하여 보행을 하거나 조깅을 할 때에 발 바닥의 부위별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변화에 대응하여 액상 젤의 유동에 의한 충격 흡수 및 분배를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은, 인체 발을 구성하는 뼈들의 구조에 따라 지족 영역(F1)에는 고체 형태의 흡수패드를 사용하고 무게하중이 가해지는 힘이 크고 변화가 많은 중족골 영역과 족근골 영역 그리고 종골 영역에는 유동성 액상 젤을 구비한 복수의 흡수패드들을 사용함으로써 인체 발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을 줄이면서 발의 변형은 물론 무릎관절의 비틀림까지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고안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 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고안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고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고안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 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하이브리드 인솔
180: 제1 흡수패드 수단
180a: 제1 흡수패드부
180b: 제2 흡수패드부
180c: 제3 흡수패드부
180d: 제4 흡수패드부
190: 제2 흡수패드 수단
LG: 액상 젤

Claims (8)

  1. 인체 발바닥 형상과 대응되고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인솔 바디;
    인체 발의 중족골 영역과 족근골 영역 그리고 종골 영역과 대응되며 상기 인솔 바디에 배치되는 제1 흡수패드 수단; 및
    상기 인체 발의 중족골 영역과 지골 영역과 대응되며 상기 인솔 바디에 배치되는 제2 흡수패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패드 수단은,
    상기 인체 발의 중족골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흡수패드부;
    상기 중족골 영역과 종골 영역 사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및 제3 흡수패드부;
    상기 인체 발의 종골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4 흡수패드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들을 선택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는 각각 내부 공간에 인체의 무게하중을 흡수 및 분산하기 위한 유동성을 갖는 액상 젤이 채워져 있고, 상기 액상 젤은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를 통하여 인접한 흡수패드부들로 이동하며,
    상기 제2 흡수패드부는 상기 인솔 바디의 내측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제3 흡수패드부는 상기 인솔 바디의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인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수패드 수단은 탄성력을 갖는 타원형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인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의 내부 공간에 채워진 액상 젤은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인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에는 각각 액상 젤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인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의 내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1 스페이서와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2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인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흡수패드부의 내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복수의 스페이서들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은 제4 흡수패드부에서 제1 흡수패드부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인솔.
KR2020200000849U 2020-03-11 2020-03-11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 KR200492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49U KR200492802Y1 (ko) 2020-03-11 2020-03-11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49U KR200492802Y1 (ko) 2020-03-11 2020-03-11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802Y1 true KR200492802Y1 (ko) 2020-12-11

Family

ID=7378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849U KR200492802Y1 (ko) 2020-03-11 2020-03-11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80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483A (ko) * 1995-07-14 1999-04-15 소에렌 빈드리스 신발 안창
KR100675816B1 (ko) 2005-10-08 2007-01-30 이봉주 아치 보정용 기능성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483A (ko) * 1995-07-14 1999-04-15 소에렌 빈드리스 신발 안창
KR100675816B1 (ko) 2005-10-08 2007-01-30 이봉주 아치 보정용 기능성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0096B1 (ko) 다중의 유체함유부재를 갖는 발착용구
US4476858A (en) Shoe-foot interface
KR19980018221A (ko) 신발 충격흡수시스템
ES2573860T3 (es) Plantilla de calzado
JP6884793B2 (ja) ソール、特に靴用のソール
US20160174656A1 (en) Sport shoe
US9386821B2 (en) Sole
TW201410172A (zh) 籃球鞋墊及其製造方法
JP2020163083A (ja) 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体
EP3222161A1 (en) Improved heelless athletic shoe
US20140310981A1 (en) Sole construction for biomechanical stability and afferent feedback
WO2015112471A1 (en) Customizable component insole system
WO2011150166A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the human body from foot strike shock
Frey Footwear and stress fractures
JPWO2020136916A1 (ja) 靴底および靴
KR102385195B1 (ko)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 및 그 제조방법
US7140130B2 (en) Insole with a neuroma pad
WO2020013640A1 (ko) 족저근막염 통증완화 및 치료용 신발
US20190350273A1 (en) Sock with support assemblage
KR200492802Y1 (ko) 멀티 충격 흡수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솔
KR100940011B1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KR100498615B1 (ko) 족저근막염 안창
KR200382055Y1 (ko)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
EP3119229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otwear
KR102669068B1 (ko)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