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767Y1 - 스토커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스토커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2767Y1 KR200492767Y1 KR2020190001475U KR20190001475U KR200492767Y1 KR 200492767 Y1 KR200492767 Y1 KR 200492767Y1 KR 2020190001475 U KR2020190001475 U KR 2020190001475U KR 20190001475 U KR20190001475 U KR 20190001475U KR 200492767 Y1 KR200492767 Y1 KR 2004927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tallation structure
- frame assembly
- castable refractory
- stocker
- f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gr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101—Furnace arrangements with stepped or inclined g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토커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설치구조는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 및 소각로 내부 설비에 고정되어 상기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에셈블리와 이에 수용된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은 상기 낙차단 단차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구조는 메인터넌스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터넌스 키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된 함몰부에 탈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토커식 소각로용 소각로용 낙차단 설치구조에 따르면, 하부의 이동단 화격자 상부 표면과 최소한의 이격 공간을 제외하고는 낙차단의 단차부 대부분을 캐스타블 내화재로 구성함으로써 설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쉘프형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입하여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을 견고히 수용, 고정 및 지지함으로써 고온 및 고진동의 사용환경에서도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으로 이루어진 낙차단 전체의 내구성을 개선하여 운전 및 유지보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낙차단에 대한 내구성 개선을 통해, 일반 폐기물을 비롯해 클링커 발생이 많은 산업 폐기물 및 이를 위한 소각로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낙차단의 단차부 대부분을 임의 탈부착이 불가한 캐스타블 내화재로 구성시 낙차단 하부에서 손상된 화격자의 교체가 어려운 문제는,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함몰부를 형성하고 해당 함몰부에 탈부착 가능한 메인터넌스 키(maintenance key)를 적어도 하나 구비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토커식 소각로에서 각 소각단의 경계를 이루는 낙차단에 대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 또는 산업 쓰레기 등의 폐기물은 도 1의 스토커식 소각로(1)를 이용하여 소각 처리되고 있다. 스토커식 소각로(1)는 연소되는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토커를 소각실(70) 내에 구비하며, 이러한 스토커는 고정단(10F)과 이동단(10M)으로 구분되어 계단식으로 교대 배치되는 화격자(10) 열들로 구성되어 이동단(10M)이 그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고정단(10F) 사이에서 전후 왕복동하면서 폐기물을 계단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스토커식 소각로(1)는 대용량의 소각에 적합하고, 상부 호퍼에서 투입된 쓰레기는 스토커에 의해 연속적으로 서서히 아래로 이동하면서 스토커 하부에서의 열풍에 의한 대류열과 로내의 연소가스와 로벽에서의 복사열에 의해 건조 및 착화하여 소각된다.
한편 이러한 스토커식 소각로(1)에서, 전체 소각단은 순차적인 세부 소각공정에 따라 건조단(DS), 연소단(CS) 및 후연소단(PCS)으로 구획되어 설계되고, 각 소각단을 단위로 하여 스토커가 독립적으로 운전된다. 이 경우 각 소각단의 경계는 소위 낙차단(FS)을 이루며, 낙차단(FS)의 높이는 각 소각단에서 고정단 또는 이동단을 구성하는 화격자 높이보다 통상적으로 높게 설정되며, 낙차단(FS)의 바로 위 화격자(10) 열은 고정단(10F)으로, 낙차단(FS)의 바로 아래 화격자(10) 열은 이동단(10M)으로 각각 설정된다.
종래 스토커식 소각로에서 낙차단 설치구조 중 하나로, 도 2를 참조할 때 낙차단(FS)의 노출된 단차부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는 낙차단용 내열강 그레이트(20)를 이용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내열강 그레이트(20)를 이용한 낙차단 설치구조는 소각 부산물로서 클링커가 최소한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일반 폐기물용은 물론 클링커 발생이 많은 산업 폐기물용 소각로에도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고, 부분 교체가 유리하며 도 2에 도시된 환봉(22) 거치식 낙차단용 내열강 그레이트(20)의 경우 탈부착 및 유지보수도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내열강 그레이트(20)가 고가이어서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고 금속 재질이어서 부식이 용이하여 일반 캐스타블 내화재 대비 내구성 내지 수명이 떨어지고, 또한 자체 손상이나 또는 하부의 이동단(10M) 화격자(10) 열의 왕복동시 마찰 충격 등으로 인해 거치 환봉(22)으로부터 쉽게 탈락될 위험이 있다.
도 2의 낙차단 설치구조 대비 저렴한 비용의 낙차단 설치구조에 관한 예로서, 도 3의 일반 캐스타블 내화재를 이용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도 3의 낙차단 설치구조는 낙차단(FS)의 단차부 전체 높이 중 일부는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높이는 상기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4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스크래퍼(40)로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마모 손상된 이동단(10M) 화격자(10)의 교체를 위해, 상기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과 그 아래의 이동단(10M) 화격자(10) 열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상기 스크래퍼(40)는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과 그 아래의 이동단(10M) 화격자(10) 열 사이의 상기 공간을 차폐하여 이동단(10M) 화격자(10) 열의 왕복동 동작시 폐기물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도 3의 낙차단 설치구조에서는 낙차단(FS) 단차부의 상당 부분을 저가의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클링커 발생이 적은 일반 폐기물용 소각로에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낙차단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손상된 이동단(10M) 화격자(10) 열의 교체를 위해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과 그 아래의 이동단(10M) 화격자(10) 열 사이의 공간이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스크래퍼(40)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내열강 재질의 스크래퍼(40)로 인한 비용 상승의 문제는 상존한다. 또한 스크래퍼(40)는 내열강이지만 단순한 판상 구조체로서 그 자체로 내구성이 약하고, 비록 폐기물 이동 방향으로 경사져 설치되어 있더라도 고온 환경에 노출된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이 하방으로 자연 침하하는 한편 아래의 이동단(10M) 화격자(10)의 반복적인 전후 동적시 마모가 발생함에 따라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과 그 아래의 이동단(10M) 화격자(10) 열 사이에 끼어 탈락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함으로써 잦은 유지보수가 필요하고 그에 따라 비용과 함께 소각로 가동 중단에 따른 부가적인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이러한 스크래퍼(40) 탈락의 문제는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에 클링커 부착시 더욱 가속되기 때문에, 소각 부산물인 클링거 발생량이 많은 산업 폐기물용 소각로에는 적용이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구성이 개선되어 소각될 폐기물 및 그에 따른 소각로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 개선을 비롯해 재료비 절감을 통해 설치, 운전 및 유지보수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스토커식 소각로용 낙차단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자 등은, 상기 해결과제와 관련된 스토커식 소각로용 낙차단 설치구조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낙차단의 단차부 대부분을 캐스타블 내화재로 구성하여 설계하는 한편, 고온 및 고진동의 사용환경에서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을 견고히 수용,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입하여 낙차단의 내구성을 개선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함몰부를 형성하고 해당 함몰부에 탈부착 가능한 메인터넌스 키(maintenance key)를 적어도 하나 구비함으로써 낙차단 하부의 손상된 이동단 화격자의 교체작업을 가능케 할 수 있음을 지견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착안에 기초한 기구적 설계를 더욱 구체화함으로써 이루어졌으며, 상기 해결과제 및 착안에 기초한 본 고안의 요지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아래의 내용이다.
(1) 스토커식 소각로의 각 소각단의 경계를 이루는 낙차단에 대한 설치구조로서,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 및 소각로 내부 설비에 고정되어 상기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에셈블리와 이에 수용된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은 상기 낙차단 단차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2)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백 플레이트; 및 복수의 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월 플레이트 각각이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그 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그 후방단은 상기 백 플레이트에 고정됨으로써 프레임 어셈블리가 쉘프형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3)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4) 메인터넌스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터넌스 키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된 함몰부에 탈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5) 상기 메인터넌스 키와 함몰부 쌍은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의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6) 상기 메인터넌스 키는 상기 함몰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의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7) 상기 함몰부의 횡방향 폭은 낙차단 하단 직하부에 위치하는 단위 화격자의 폭과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의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본 고안에 따른 스토커식 소각로용 소각로용 낙차단 설치구조에 따르면, 하부의 이동단 화격자 상부 표면과 최소한의 이격 공간을 제외하고는 낙차단의 단차부 대부분을 캐스타블 내화재로 구성함으로써 설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쉘프형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입하여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을 견고히 수용, 고정 및 지지함으로써 고온 및 고진동의 사용환경에서도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으로 이루어진 낙차단 전체의 내구성을 개선하여 운전 및 유지보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낙차단에 대한 내구성 개선을 통해, 일반 폐기물을 비롯해 클링커 발생이 많은 산업 폐기물 및 이를 위한 소각로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낙차단의 단차부 대부분을 임의 탈부착이 불가한 캐스타블 내화재로 구성시 낙차단 하부에서 손상된 화격자의 교체가 어려운 문제는,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함몰부를 형성하고 해당 함몰부에 탈부착 가능한 메인터넌스 키(maintenance key)를 적어도 하나 구비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토커식 소각로의 개략 구조도.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도 4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트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키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도 4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트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키의 사시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고안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스토커식 소각로 각 부품 요소의 형상 내지 설치 방위와 관련해서는 폐기물(도면 미도시)이 화격자 열 계단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계단 아래쪽은 전방으로, 위쪽은 후방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은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40)의 사시도를,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키(50)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낙차단 설치구조는 스토커식 소각로에 적용되는 것을 예정한다. 스토커식 소각로에서,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 소각단은 순차적인 세부 소각공정에 따라 건조단(DS), 연소단(CS) 및 후연소단(PCS)으로 구획되어 설계되고, 각 소각단을 단위로 하여 스토커가 독립적으로 운전된다. 이러한 스토커는 고정단(10F)과 이동단(10M)으로 구분되어 계단식으로 교대 배치되는 화격자(10) 열들로 구성되어 이동단(10M)이 그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고정단(10F) 사이에서 전후 왕복동하면서 폐기물을 계단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낙차단(FS)의 전후방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낙차단(FS)의 바로 위 화격자(10) 열은 고정단(10F)으로, 전방으로 낙차단(FS)의 바로 아래 화격자(10) 열은 이동단(10M)으로 각각 설정된다.
상기 낙차단 설치구조는, 기본적으로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 및 내화재 블록(30)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40);를 포함하며, 프레임 어셈블리(40)는 소각로의 구성하는 내비 케이싱과 같은 내부 설비(도면 미도시)에 고정된다. 상기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은 내화성 골재에 결합재를 첨가 배합한 내화물을 경화시켜 형성되며, 프레임 어셈블리(40)가 내부 설비에 설치된 상태에서 내화재를 현장 타설 후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낙차단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도 2의 낙차단 대용 그레이트나 도 2의 스크래퍼와 같은 고가의 내열강 사용을 최대한 억제한 상태에서 상기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으로 낙차단의 단차부 높이 대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하는 한편, 낙차단 설치구조의 내구성 개선을 위해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을 소각 설비에 단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을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어셈블리(40)를 매개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 중 하나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40)와 이에 수용된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은 하부의 이동단(10M) 화격자(10) 상부 표면과 최소한의 이격 공간을 제외하고는 상기 낙차단 단차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이격 공간은 낙차단 하면과 이동단(10M) 화격자(10) 상부 표면 사이의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이물질의 유입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크기로 설계되며, 바람직하게는 10 ~ 20 mm의 높이를 갖는다.
상기 낙차단 설치구조의 내구성 향상 측면에서 상기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에 대한 수용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40)는 쉘프(shelf)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쉘프형 구조의 프레임 어셈블리(40)는 베이스 플레이트(42); 베이스 플레이트(42)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백 플레이트(44); 및 복수의 월 플레이트(46)를 포함하며, 복수의 월 플레이트(46)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그 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42)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고 그 후방단은 백 플레이트(44)에 고정된다. 쉘프형 프레임 어셈블리(40)는 백 플레이트(44)가 소각 설비에 용접, 볼트나 리벳 등의 별도 체결수단(도면 미도시)을 이용해 소각 설비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월 플레이트(46)는 프레임 어세블리 자체 강성을 보강하는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42) 상부의 가상 공간을 소정 공간 단위로 구획하고 타설 및 경화되는 내화재 블록(30)의 전체 중량을 해당 소정 공간 단위로 분산 수용함으로써 내화재 블록(30)의 유동을 억제하고 앵커(48)(후술함)에 대한 집중 하중을 경감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에 대한 수용성능과 프레임 어셈블리(40)와의 사이에서의 일체성이 더욱 견고하게 됨으로써, 낙차단 설치구조의 내구성은 더욱 증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40)는 상기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48)를 구비할 수 있고,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48)는 베이스 플레이트(42)의 바닥면에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앵커(48)는 영문 'Y'형이며 베이스 플레이트(42)에 용접되거나 또는 일체 주조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불구하고 앵크는 백 플레이트(44) 또는 월 플레이트(46)에 추가되거나 또는 대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쉘프형 프레임 어셈블리(40)의 도입은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에 대한 수용, 고정 및 지지력을 향상시켜 낙차단 설치구조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설치, 운전 및 유지보수에 관련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각될 폐기물 및 소각로의 종류에 커다란 제한을 받지 않고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업 폐기물의 경우 소각부산물인 클링커 발생이 많기 때문에, 소각 과정에서 발생된 다량의 클링커는 단차부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낙차단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적체되어 낙차단 전방벽 측에 부착될 가능성이 높고, 이러한 클링커 부착 가능성은 내열강과 같은 금속 재질보다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에서 더 높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와 같이 낙차단의 단차부 전체를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으로 구성하는 경우, 클링커가 낙차단 전방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하부의 이동단(10M) 화격자(10) 열의 전후동작을 간섭하고 이에 따라 낙차단에 인가되는 불균일한 충격이 증가될 수 있지만, 이에 불구하고 쉘프형 프레임 어셈블리(40)의 도입 및 앵커(48)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낙차단 설치구조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강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러한 외부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고 손상가능성은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한편 낙차단의 단차부 대부분을 프레임 어셈블리(40)를 매개로 캐스타블 내화재로 구성하는 경우 이러한 낙차단 설치구조는 유지 보수 목적으로 임의 해체될 수 없는 구조이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40)와 이에 수용된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은 하부의 이동단(10M) 화격자(10) 상부 표면과 최소한의 이격 공간만을 갖기 때문에, 낙차단 전방 하부에 배설되는 이동단(10M) 화격자(10)가 마모 등으로 손상되어 교체될 필요가 있더라도 그 교체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을 해소하여, 비용절감 및 내구성 개선을 통해 사용범위가 확장된 상기한 설치구조의 실용성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낙차단 설치구조는 메인터넌스 키(5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터넌스 키(50)는 상술한 프레임 어셈블리(40) 하부에 탈장착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 경우, 메인터넌스 키(50)가 장착된 상태에서 낙차단 하면과 이동단(10M) 화격자(10) 상면 사이의 최소한의 이격 공간이 훼손되지 않도록, 프레임 어셈블리(40)의 하부에는 상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함몰부(49)가 구비되고 함몰부(49) 내부에 메인터넌스 키(5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몰부(49)에 장착된 상태에서 메인터넌스 키(50)의 하면은 프레임 어셈블리(40)의 베이스 플레이트(42)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상기 함몰부(49)는 낙차단 하부에 위치하는 이동단(10M) 화격자(10)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메인터넌스 키(50)를 제거한 상태에서 이동단(10M) 화격자(10)을 반출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며, 이를 위해 이동단(10M) 화격자(10)의 반출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함몰부(49)의 횡방향 폭은 단위 화격자의 폭보다 크거나 적어도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소각로 가동시에는 상기 메인터넌스 키(50)는 함몰부(49)에 장착되어 함몰부(49)를 통해 폐기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메인터넌스 키(50)와 함몰부(49)의 단면 형상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터넌스 키(50)와 함몰부(49) 간 탈장착 방식으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간편한 탈장착 작업을 위해 메인터넌스 키(50)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함몰부(49)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메인터넌스 키(50)의 좌우 측면 상단에는 윙부(502)가 구비되며, 이러한 윙부(502)에 대응하여 함몰부(49)에도 홈(492)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터넌스 키(50)와 함몰부(49) 쌍은 반드시 하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소각로의 폭 규격이 커지면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소각로의 폭 규격이 상대적으로 큼에도 불구하고 메인터넌스 키(50)와 함몰부(49) 쌍이 하나만 제공되는 경우, 소각로의 폭방향으로 함몰부(49)로부터 멀리 떨어진 이동단(10M) 화격자(1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함몰부(49)를 통해 반출되어야 하는 정상적인 이동단(10M) 화격자(10)의 개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날 수 있지만, 메인터넌스 키(50)와 함몰부(49) 쌍이 소각로 폭 규격에 비례하여 복수로 설치되면 유지보수 작업시 정상적인 이동단(10M) 화격자(10)에 대한 불필요한 반출작업이 대폭 감소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토커식 소각로용 소각로용 낙차단 설치구조에 따르면, 하부의 이동단(10M) 화격자(10) 상부 표면과 최소한의 이격 공간을 제외하고는 낙차단의 단차부 대부분을 캐스타블 내화재로 구성함으로써 설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지프레임 어셈블리(40)를 도입하여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을 견고히 수용, 고정 및 지지함으로써 고온 및 고진동의 사용환경에서도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30)으로 이루어진 낙차단 전체의 내구성을 개선하여 운전 및 유지보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낙차단에 대한 내구성 개선을 통해, 일반 폐기물을 비롯해 클링커 발생이 많은 산업 폐기물 및 이를 위한 소각로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낙차단의 단차부 대부분을 임의 탈부착이 불가한 캐스타블 내화재로 구성시 낙차단 하부에서 손상된 화격자의 교체가 어려운 문제는,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함몰부(49)를 형성하고 해당 함몰부(49)에 탈부착 가능한 메인터넌스 키(50)(maintenance key)를 적어도 하나 구비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개시된 고안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DS: 건조단
CS: 연소단
PCS: 후연소단
FS: 낙차단
10F: 고정단
10M: 이동단
10: 화격자
20: 내열강 그레이트
22: 거치 환봉
30: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
40: 스크래퍼
40: 프레임 어셈블리
42: 베이스 플레이트
44: 백 플레이트
46: 월 플레이트
48: 앵커
49: 함몰부
492: 홈
50: 메인터넌스 키
502: 윙부
CS: 연소단
PCS: 후연소단
FS: 낙차단
10F: 고정단
10M: 이동단
10: 화격자
20: 내열강 그레이트
22: 거치 환봉
30: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
40: 스크래퍼
40: 프레임 어셈블리
42: 베이스 플레이트
44: 백 플레이트
46: 월 플레이트
48: 앵커
49: 함몰부
492: 홈
50: 메인터넌스 키
502: 윙부
Claims (7)
- 스토커식 소각로의 각 소각단의 경계를 이루는 낙차단에 대한 설치구조로서,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 소각로 내부 설비에 고정되어 상기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메인터넌스 키;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에셈블리와 이에 수용된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은 상기 낙차단 단차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메인터넌스 키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된 함몰부에 탈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백 플레이트; 및 복수의 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월 플레이트 각각이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그 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그 후방단은 상기 백 플레이트에 고정됨으로써 프레임 어셈블리가 쉘프형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캐스타블 내화재 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 키와 함몰부 쌍은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 키는 상기 함몰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횡방향 폭은 낙차단 하단 직하부에 위치하는 단위 화격자의 폭과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475U KR200492767Y1 (ko) | 2019-04-10 | 2019-04-10 | 스토커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475U KR200492767Y1 (ko) | 2019-04-10 | 2019-04-10 | 스토커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2294U KR20200002294U (ko) | 2020-10-20 |
KR200492767Y1 true KR200492767Y1 (ko) | 2020-12-07 |
Family
ID=73005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1475U KR200492767Y1 (ko) | 2019-04-10 | 2019-04-10 | 스토커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2767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8791B1 (ko) * | 2022-02-10 | 2022-06-15 | 주식회사 송림 | 소각로의 낙차단용 화격자 |
KR102498065B1 (ko) * | 2022-07-18 | 2023-02-14 | 조일금속공업(주) | 소각로의 낙차단용 화격자 |
KR102588030B1 (ko) * | 2023-03-13 | 2023-10-12 | 에스엠메탈(주) | 소각로용 낙차단 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61257Y2 (ja) * | 1993-04-02 | 1998-01-28 | 株式会社プランテック | ごみ焼却炉における火格子間段落部の耐火壁構造 |
-
2019
- 2019-04-10 KR KR2020190001475U patent/KR200492767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8791B1 (ko) * | 2022-02-10 | 2022-06-15 | 주식회사 송림 | 소각로의 낙차단용 화격자 |
KR102498065B1 (ko) * | 2022-07-18 | 2023-02-14 | 조일금속공업(주) | 소각로의 낙차단용 화격자 |
KR102588030B1 (ko) * | 2023-03-13 | 2023-10-12 | 에스엠메탈(주) | 소각로용 낙차단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2294U (ko) | 2020-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2767Y1 (ko) | 스토커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 |
KR200492925Y1 (ko) |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용 그레이트 및 그 설치구조 | |
US4676176A (en) | Furnace grate | |
US20060011114A1 (en) | Grate panel, as well as corresponding incineration grate and waste incineration plant | |
CN107110499B (zh) | 用于垃圾焚烧炉炉篦的金属陶瓷复合篦条 | |
JP6730814B2 (ja) | 炉床構成部品、火格子、及び炉床構成部品の製造方法 | |
JP5871541B2 (ja) | ストーカ式焼却炉の火格子の取り付け構造及びストーカ式焼却炉 | |
KR102377443B1 (ko) | 소각로의 낙차단용 화격자 | |
FI75418B (fi) | Lutande ugnsrost. | |
CA2743248A1 (en) | Modular grate block for a refuse incinerator | |
US20060000396A1 (en) | Grate panel, as well as corresponding incineration grate and waste incineration plant | |
JP6512605B2 (ja) | 耐火物被覆火格子 | |
JP4675858B2 (ja) | 廃棄物焼却炉 | |
RU2602709C2 (ru) | Состоящая из колосников решетка для сжигания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колосников в решетке и демонтажа из нее | |
JP6978155B2 (ja) | 火格子トラック分離要素を備える送り火格子 | |
PL72908Y1 (pl) | Rusztowina do ruchomych palenisk schodkowych | |
KR200429257Y1 (ko) | 소각로용 화격자 | |
JP2016085031A (ja) | ストーカ式焼却炉の取付け構造及びスクレーパ | |
KR100861030B1 (ko) | 화격자 수명을 연장하는 구조를 갖춘 수평식 배열의연소화격자 | |
KR20200002152U (ko) | 소각로용 푸셔 | |
KR100658400B1 (ko) | 소각로용 화격자구조 | |
KR101501369B1 (ko) | 소각로 내의 화격자 배열 구조 | |
KR102599299B1 (ko) | 소각로용 공냉식 화격자 | |
KR200427802Y1 (ko) | 소각로용 화격자 구조 | |
KR102597019B1 (ko) | 소각로용 공냉식 화격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