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152U - 소각로용 푸셔 - Google Patents

소각로용 푸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152U
KR20200002152U KR2020190001193U KR20190001193U KR20200002152U KR 20200002152 U KR20200002152 U KR 20200002152U KR 2020190001193 U KR2020190001193 U KR 2020190001193U KR 20190001193 U KR20190001193 U KR 20190001193U KR 20200002152 U KR20200002152 U KR 202000021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chute
head
incinerator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120Y1 (ko
Inventor
조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화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화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화메탈
Priority to KR2020190001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120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5/00Waste feed arrangements
    • F23G2205/10Waste feed arrangements using ram or pus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각로의 투입구 측에 설치되어 호퍼 등을 통해 낙하 유입된 쓰레기를 소각실 내부로 밀어 넣는데 사용되는 소각로용 푸셔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각로용 푸셔에 따르면, 내화블록의 수용지지체로서 슈트를 헤드의 일부로 일체 구성하여 내화블록 대신에 내열강 재질의 슈트를 취약한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내화블록에 의한 중량감 및 강성을 저비용으로 활용하면서도 푸셔 헤드에 요구되는 우수한 내열성, 강성, 인성 및 내마모성을 슈트로 보완하여 모두 만족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푸셔 헤드의 내구성이 개선되어 교체주기 및 제품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슈트는 내화블록의 현장 타설시 주형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를 복수의 유닛으로 분할제작하는 경우 협소한 푸셔 설치 공간 내로 반입하여 조립함으로써 손상된 헤드의 교체작업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각로용 푸셔{PUSHER FOR INCINERATOR}
본 고안은 소각로의 투입구 측에 설치되어 호퍼 등을 통해 낙하 유입된 쓰레기를 소각실 내부로 밀어 넣는데 사용되는 소각로용 푸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 또는 산업 쓰레기 등의 폐기물은 도 1의 스토커식 소각로(1)를 이용하여 소각 처리되고 있다. 스토커식 소각로(1)의 측면 구조도를 나타내는 도 1을 참조할 때, 연소되는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토커는 소각실(70)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화격자(10)들이 계단식으로 배열된 형태의 계단형 스토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계단형 스토커식 소각로(1)에 있어서, 화격자(10) 열은 고정단(10F)과 이동단(10M)으로 구분되어 계단식으로 교대 배치되며, 이동단(10M)이 그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고정단(10F) 사이에서 전후 왕복동하면서 폐기물을 계단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스토커식 소각로(1)에서 폐기물의 초기 투입과정과 관련하여, 폐기물은 상부 호퍼를 통해 공급된 후 하나 이상의 수평 슬라이딩 게이트(30)에 의해 적당량으로 조절되어 연소실을 차폐 및 격리하고 있는 수직 슬라이딩 게이트(40) 앞에서 투입 대기된다. 수직 슬라이딩 게이트(40)의 개방 후, 투입 준비된 폐기물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푸셔(50)를 이용해 소각실(70) 내로 순차적으로 밀어 넣어진다. 푸셔(50)는 상하 가이드레일(62) 사이에서 상하 롤러(516)를 매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후단으로 피딩 로드(64)를 매개로 피딩 실린더(66)에 연결된다. 피딩 실린더(66)의 신축 동작에 의해 푸셔(50)는 상하 가이드레일(62)에 의해 안내되어 전후로 슬라리딩하게 된다. 이러한 푸셔(50)는 소각실(70) 입구측의 고온에 노출되고 또한 거친 폐기물에 반복하여 노출되고 특히 푸셔(50)의 선단부의 손상은 푸셔(50)의 전체 수명을 결정하기 때문에, 고온 및 거친 쓰레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푸셔(50)의 선단부에 대해서는 우수한 내열성, 강성, 인성 및 내마모성이 요구된다.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푸셔(50)의 측면 구조도를 나타낸다. 푸셔(50)는 몸체(510)와 헤드(520)로 구성된다. 몸체(510)의 경우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헤드(520)는 고온 또는 거친 폐기물에 노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마모 또는 손상에 따라 주기적으로 교환이 요구된다. 몸체(510)는 경량화 및 제작비용을 고려하여 내부가 폼 형태의 내화재(514)로 충진된 강재질의 밀폐형 박스(512) 구조물이고, 헤드(520)는 고온 노출 및 거친 폐기불에 반복하여 노출되는 점을 고려하여 기본적으로 소정 중량을 갖는 내화블록(524)으로 구성되되 이러한 내화블록(524)은 앵커(526)가 구비된 단면 'ㄱ'형 강재 플레이트(522)에 고정 지지되어 후단에서 몸체(510)와 나사결합되어 조립된다. 헤드(520)를 구성하는 내화블록(524)은 내화성 골재에 결합재를 첨가 배합하여 구성한 캐스터블(Castable) 내화물이다.
한편 도 2와 같은 푸셔(50)의 경우, 헤드(520)는 마모 또는 손상시 부분 교체를 예정하여 몸체(510)와 다른 재질 및 구조로 분리 제작된 후 몸체(510)에 조립되고 있지만 헤드(520) 자체의 물성 및 그 조립과정에 아래의 문제를 수반하고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먼저 내화블록(524)이 단면 'ㄱ'형 강재 플레이트(522)에 단순 고정 지지되는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헤드(520)에 요구되는 강성, 인성 및 내마모성 측면에서 충분하지 않다. 즉 소각로(1) 바닥면에 직접 접촉되는 단면 'ㄱ'형 강재 플레이트(522)는 내마모성이 약하여 쉽게 소실되고, 인성 및 내충격성이 약한 내화블록(524)은 본체에 조립되는 배면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전부 노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온의 거친 외부 환경에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또한 헤드(520) 손상 부위는 그 바닥면에 집중되고 이탈된 내화블록(524) 잔해와 폐기물 등이 손상된 헤드(520) 바닥면으로 밑으로 끼어 들어감에 따라, 폐기물에 대한 푸싱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음은 물론 푸셔(50)의 변형 손상이 가속화되어 제품 수명이 더욱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소각로(1) 가동 과정에서 손상된 헤드(520)를 부분 교체하는 경우, 외부에서 제작된 헤드(520)를 소각실(70)의 작은 출입구를 통해 반입할 수 없기 때문에 단면 'ㄱ'형 플레이트(522)를 가공하여 본체에 조립하고 목재 주형을 이용해 내화블록(524)을 플레이트(522)에 타설하여 경화하는 작업을 푸셔(50)가 설치된 공간 내부에서 현장 실시해야 한다. 이러한 현장 작업에는 플레이트(522)를 가공하는 과정과 목재 주형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수반되기 때문에 헤드(520)의 교체 작업에 관련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구성이 개선되어 교체주기가 연장되고 교체작업이 용이한 소각로용 푸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자 등은 상기 해결과제와 관련된 소각로용 내화도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종래 푸셔에서 헤드를 구성하는 내화블록의 성형 및 설치시에만 사용되고 폐기되는 목재 주형 대신에 내화블록의 현장 타설시 이용되면서도 이와 동시에 내화블록의 수용지지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슈트를 헤드의 일부로 일체 구성하는 한편 이러한 슈트를 복수의 유닛으로 분할 제작하여 조립하는 방안에 착안하고, 이러한 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푸셔 헤드의 형상 및 구조와 관련된 설계를 더욱 구체화함으로써 본 고안에 도달하였다. 상기 해결과제 및 착안에 기초한 본 고안의 요지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아래의 내용이다.
(1) 후단에 전후 왕복동 수단이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전단에 결합되어 사용과정에서폐기물에 접촉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소각로용 푸셔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사발형 수용부를 구비한 금속재질의 슈트; 및 상기 사발형 수용부에 타설 경화된 내화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용 푸셔.
(2) 상기 사발형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화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소각로용 푸셔.
(3) 상기 슈트의 후단에는 제1 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슈트와 몸체는 상기 제1 체결공을 매개로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소각로용 푸셔.
(4) 상기 슈트는 병렬 배치되어 조립되는 복수의 슈트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소각로용 푸셔.
(5) 상기 슈트 유닛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제2 체결공이 구비되고, 복수의 슈트 유닛은 상기 제2 체결공을 매개로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의 소각로용 푸셔.
(6) 상기 슈트는 상기 사발형 수용부의 내부를 소정 공간 단위로 구획하는 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소각로용 푸셔.
(7) 상기 사발형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소각로용 푸셔.
(8) 상기 홀은 평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의 소각로용 푸셔.
(9) 상기 사발형 수용부는 개방된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해 수평 연장 형성된 슬라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소각로용 푸셔.
본 고안의 소각로용 푸셔에 따르면, 내화블록의 수용지지체로서 슈트를 헤드의 일부로 일체 구성하여 내화블록 대신에 내열강 재질의 슈트를 취약한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내화블록에 의한 중량감 및 강성을 저비용으로 활용하면서도 푸셔 헤드에 요구되는 우수한 내열성, 강성, 인성 및 내마모성을 슈트로 보완하여 모두 만족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푸셔 헤드의 내구성이 개선되어 교체주기 및 제품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슈트는 내화블록의 현장 타설시 주형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를 복수의 유닛으로 분할제작하는 경우 협소한 푸셔 설치 공간 내로 반입하여 조립함으로써 손상된 헤드의 교체작업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스토컷식 소각로의 측면 구조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각로용 푸셔의 사시도 및 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각로용 푸셔의 사시도 및 측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각로용 푸셔의 헤드를 구성하는 슈트의 유닛별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슈트 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슈트 유닛의 정면도 및 배면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고안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각로용 푸셔(80)(이하. '푸셔(80)'로 약칭함)의 사시도 및 측면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각로용 푸셔(80)의 헤드(820)를 구성하는 슈트(822)의 유닛별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슈트 유닛(822c, 822s)의 사시도와, 정면도 및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푸셔(80)는 몸체(810)와 헤드(820)로 구성된다. 몸체(810)의 경우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헤드(820)는 고온 또는 거친 폐기물에 노출되어 손상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교체를 예정한다.
상기 몸체(810)는 그 후단에 전후 왕복동 수단(도면 미도시)이 결합된다. 전후 왕복동 수단으로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피딩 로드(64)와 피딩 실린더(66)일 수 있다. 또한 몸체(810)의 재질, 형상 및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종래와 마찬가지로 경량화 및 제작비용을 고려하여 내부가 폼 형태의 내화재(814)로 충진된 강재질의 밀폐형 박스(812) 구조물일 수 있다. 몸체(810) 상부 및 하부 면에는 전후 왕복동 과정에서 외부 가이드레일(도면 미도시)에 안내되는 롤러(8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820)는 상기 몸체(810) 전단에 결합되며 사용과정에서 폐기물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슈트(822)와; 내화블록(8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슈트(822)는 금속재질, 바람직하게는 내열강을 주조하여 제작되며 사발형 수용부(8226)를 구비한다. 상기 내화블록(824)은 내화성 골재에 결합재를 첨가 배합한 캐스터블 내화물로 구성되며, 페이스트 상태의 내화블록(824)을 사발형 수용부(8226) 내부로 충진 및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슈트(822)와 일체화된다.
즉 상기 슈트(822)는 내화블록(824)의 현장 타설시 주형으로 이용되면서도 이와 동시에 내화블록(824)의 수용지지체로 사용되어 그 자체가 헤드(820)의 일부로 일체 구성된다. 내화블록(824)의 수용지지체로서 슈트(822)를 헤드(820)의 일부로 일체 구성함으로써, 취약한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헤드(820)의 전면, 하면 및 좌우측면을 내화블록(824) 대신에 내열강 재질의 슈트(822)로 대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화블록(824)에 의한 헤드(820) 중량감 및 강성을 저비용으로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헤드(820)에 요구되는 강성, 인성 및 내마모성에 요구조건을 슈트(822)를 이용해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사발형 수용부(8226)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화블록(824)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826)가 구비될 수 있다. 앵커(826)는 영문 'Y'형이며 사발형 수용부(8226) 바닥면에 용접되거나 또는 일체 주조되어 제공되어, 경화된 내화블록(824)을 슈트(822)에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상기 슈트(822)의 후단에는 제1 체결공(8227)이 구비되고, 슈트(822)와 몸체(810)는 제1 체결공(8227)을 매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제1 체결공(8227)은 몸체(810)와 슈트(822)의 폭 간 공차에 불구하고 소망하는 방위로 정렬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슈트(822)와 몸체(810)가 결합은 내화블록(824)를 슈트(822)의 사발형 수용부(8226) 내에 타설 및 경화 이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헤드(820)의 교체 작업은 푸셔(80) 전체를 소각로로부터 분해하여 외부로 반출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손상된 헤드(820)만을 떼어내 분해하여 외부로 반출한 후 새로운 헤드(820)를 푸셔(80) 설치 공간 내로 반입하여 교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헤드(820)의 반출 및 반입 작업은 그 폭이 헤드(820)보다 좁은 게이트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반출 및 반입 전에 헤드(820)의 크기를 게이트 크기에 맞게 분해 내지 조각 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번거롭거니와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비용을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헤드(820)의 교체작업과 관련된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슈트(82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슈트 유닛(822c, 822s)으로 분할 제작된 후 병렬 배치되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슈트(822)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공(8228)이 구비되고, 복수의 슈트 유닛(822c, 822s)은 제2 체결공(8228)을 매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운데 배치되는 슈트 유닛(822c, 822s)의 경우 제2 체결공(8228)이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지만, 외곽에 배치되는 슈트 유닛(822c, 822s)의 경우 제2 체결공(8228)이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공(8228)은 슈트 유닛(822c, 822s)의 전후방 길이 간 공차에 불구하고 소망하는 방위로 정렬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새로운 헤드(820)로 교체하는 작업 과정에서, 복수의 슈트 유닛(822c, 822s) 간 조립은 복수의 슈트 유닛(822c, 822s)을 설치 공간으로 반입한 후 이루어지며, 또한 내화블록(824)을 사발형 수?O부 내에 타설 및 경화 이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슈트(822)는 상기 사발형 수용부(8226)의 내부를 소정 공간 단위로 구획하는 리브(8222)를 구비할 수 있다. 리브(8222)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의 슈트(822)의 강성을 보강하고 이와 동시에 사발형 수용부(8226) 내에 타설 및 경화되는 내화블록(824)의 전체 중량을 소정 공간 단위로 분산 수용함으로써 내화블록(824)의 유동을 억제하고 앵커(826)에 대한 집중 하중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리브(8222)의 높이는 사발형 수용부(8226)의 전체 깊이 또는 내화블록(824)이 타설되는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금속재질의 슈트(822)와 내화블록(824)이 일체화된 구조의 헤드(820)가 고온의 열에 근접 노출되는경우, 상대적으로 열팽창률이 큰 금속재질의 슈트(822)가 앵커(826) 및 리브(8222) 등을 의해 고정된 작은 열팽창률의 내화블록(824)에 구속되기 때문에, 슈트(822)와 내화블록(824) 각각에는 압축응력과 신장응력의 열응력이 발생하여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 경우 슈트(822)는 그 바닥면이 볼록하게 아래로 돌출되는 형태로 손상되고, 내화블록(824)은 경질 취성 재료이기 때문에 크랙 및 균열이 발생하는 형태로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슈트(822)와 내화블록(824) 간 열팽창률 차이에 따른 열응력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상기 슈트(822)의 사발형 수용부(8226)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홀(82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8229)은 슈트(822)의 열팽창 변형량을 수렴시켜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열팽창률이 크 금속재질의 슈트(822)가 열팽창률이 작은 내화블록(824)에 구속되어 열팽창 변형을 하더라도 이러한 열팽창 변형량은 슈트(822)에 형성된 홀(8229)을 중심으로 등방성으로 수렴하여 효과적으로 완충될 수 있다. 이 경우, 슈트(822)가 뒤틀려져 영구적으로 소성변형되지 않도록 압축응력을 등방성으로 수렴 유도하기 위해서는, 상기 홀(8229)의 평면 형상은 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홀(8229)의 개수 및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수용부(8226)의 바닥면 또는 리브(8222)에 의해 구획된 단위 공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발형 수용부(8226)는 개방된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일체 연장되는 슬라브(8224)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슬라브(8224)는 슈트(822)의 전단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슬라브(8224)는 폐기물에 직접 노출되는 헤드(820)의 상부 전단측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슬라브(8224)는 사발형 수용부(8226) 내에 고정 수용되는 내화블록(824)이 비록 균열 등으로 손상되더라도 헤드(820)의 개방된 상부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홀(8229)의 형성에 불구하고 내화블록(824)이 장시간 열영력에 누적적으로 노출되어 균열되더라도 적어도 일부가 사발형 수용부(8226)의 개방부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됨으로써 이탈될 최소화될 수 있다. 이탈된 내화블록(824) 잔해는 푸셔(80)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시 간섭되어 푸셔(80)의 손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슬라브(8224)의 형성은 제품 수명 연장에도 기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소각로용 푸셔(80)에 따르면, 내화블록(824)의 수용지지체로서 슈트(822)를 헤드(820)의 일부로 일체 구성하여 내화블록(824) 대신에 내열강 재질의 슈트(822)를 취약한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내화블록(824)에 의한 중량감 및 강성을 저비용으로 활용하면서도 푸셔(80) 헤드(820)에 요구되는 우수한 내열성, 강성, 인성 및 내마모성을 슈트(822)로 보완하여 모두 만족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푸셔(80) 헤드(820)의 내구성이 개선되어 교체주기 및 제품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슈트(822)는 내화블록(824)의 현장 타설시 주형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를 복수의 유닛으로 분할제작하는 경우 협소한 푸셔(80) 설치 공간 내로 반입하여 조립함으로써 손상된 헤드(820)의 교체작업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몸체(18)와 슈트(822) 간 직렬 결합 또는 슈트 유닛(822s, 822c) 간 병렬 결합이 제1 체결공(8227) 또는 제2 체결공(8228)을 이용한 볼트 결합 방식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맞물림 등의 다른 체결방식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개시된 고안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80: 푸셔
810: 몸체
812: 밀폐형 박스 814: 내화재
816: 롤러
820: 헤드
822: 슈트
822s, 822c: 슈트 유닛
8222: 리브 8224: 슬라브
8226: 수용부 8227: 제1 체결공
8228: 제2 체결공 8229: 홀
824: 내화블록
826: 앵커

Claims (9)

  1. 후단에 전후 왕복동 수단이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전단에 결합되어 사용과정에서폐기물에 접촉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소각로용 푸셔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사발형 수용부를 구비한 금속재질의 슈트; 및 상기 사발형 수용부에 타설 경화된 내화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용 푸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발형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화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용 푸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의 후단에는 제1 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슈트와 몸체는 상기 제1 체결공을 매개로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용 푸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병렬 배치되어 조립되는 복수의 슈트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용 푸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유닛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제2 체결공이 구비되고, 복수의 슈트 유닛은 상기 제2 체결공을 매개로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용 푸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상기 사발형 수용부의 내부를 소정 공간 단위로 구획하는 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용 푸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발형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용 푸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평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용 푸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발형 수용부는 개방된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해 수평 연장 형성된 슬라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용 푸셔.
KR2020190001193U 2019-03-22 2019-03-22 소각로용 푸셔 KR200493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93U KR200493120Y1 (ko) 2019-03-22 2019-03-22 소각로용 푸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93U KR200493120Y1 (ko) 2019-03-22 2019-03-22 소각로용 푸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52U true KR20200002152U (ko) 2020-10-05
KR200493120Y1 KR200493120Y1 (ko) 2021-02-03

Family

ID=7280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193U KR200493120Y1 (ko) 2019-03-22 2019-03-22 소각로용 푸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1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4543A (zh) * 2021-04-25 2021-06-18 中冶华天南京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废弃棉纱头燃烧送料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232Y1 (ko) * 2005-07-06 2006-03-23 주식회사 진화메탈 열차단 게이트
KR101063516B1 (ko) * 2010-11-18 2011-09-07 이앤이매니지먼트(주) 경사푸셔식 폐기물 및 폐자원 고형연료 전용 연소 보일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232Y1 (ko) * 2005-07-06 2006-03-23 주식회사 진화메탈 열차단 게이트
KR101063516B1 (ko) * 2010-11-18 2011-09-07 이앤이매니지먼트(주) 경사푸셔식 폐기물 및 폐자원 고형연료 전용 연소 보일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4543A (zh) * 2021-04-25 2021-06-18 中冶华天南京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废弃棉纱头燃烧送料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120Y1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120Y1 (ko) 소각로용 푸셔
US20060011114A1 (en) Grate panel, as well as corresponding incineration grate and waste incineration plant
CN205746874U (zh) 一种炉箅炉条及包括该炉箅炉条的焚烧炉炉箅或冷却炉箅
KR200492925Y1 (ko)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용 그레이트 및 그 설치구조
KR20200002294U (ko) 스토커 소각로의 낙차단 설치구조
KR101935814B1 (ko) 사이드월 화격자 및 그 설치구조
CN102239101B (zh) 模块化重量元件及包括模块化重量元件的镇重块和配重
US20060000396A1 (en) Grate panel, as well as corresponding incineration grate and waste incineration plant
KR200493652Y1 (ko) 소각로용 사이드월 및 그 설치구조
KR101441119B1 (ko) 소각로 내벽 지지장치
UA125319C2 (uk) Зносостійкі перевантажувальні або розподільні лотки
KR101024062B1 (ko) 소각로용 호퍼 게이트
US3170775A (en) Clinker cooler and stationary grate plates therefor
KR101501369B1 (ko) 소각로 내의 화격자 배열 구조
CN112270141A (zh) 配筋u形活性粉末混凝土永久梁模板的抗弯承载力计算方法
KR100859588B1 (ko) 소각로의 내화벽돌 대체 라이너
KR101683748B1 (ko) 고정커버 조립체
KR102181873B1 (ko) 소각로용 화격자
KR101579973B1 (ko) 화격자
KR101928276B1 (ko) 부착 클링커 성장을 억제시키는 측면 수냉각 구조를 갖는 스토커 소각로
JP6217291B2 (ja) 支持高さの変更を伴う構造体の補修方法
KR101140859B1 (ko) 팔레트
KR101867544B1 (ko) 소각로용 사이드 화격자 및 그 배치구조
RU208878U1 (ru) Решетка шамотная
KR20120002085U (ko) 소각로용 내화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