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758Y1 -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758Y1
KR200492758Y1 KR2020180005033U KR20180005033U KR200492758Y1 KR 200492758 Y1 KR200492758 Y1 KR 200492758Y1 KR 2020180005033 U KR2020180005033 U KR 2020180005033U KR 20180005033 U KR20180005033 U KR 20180005033U KR 200492758 Y1 KR200492758 Y1 KR 200492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all
reading room
support wall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960U (ko
Inventor
김래영
Original Assignee
김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래영 filed Critical 김래영
Priority to KR2020180005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75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9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실의 책상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독서실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에서 확장되는 분리벽을 경계로 하여 다수의 개방형 제1 좌석과 다수의 룸형 제2 좌석이 서로 교차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어서, 한정된 실내공간에서 공간 활용효율이 높고 설치비용이 낮으며, 나아가 각 사용자들이 다른 사람들의 행동이나 시선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도록 각각 독립적인 사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Desk arrangement structure of reading room}
본 고안은 독서실의 책상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독서실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에서 확장되는 분리벽을 경계로 하여 다수의 후방 개방형 제1 좌석과 다수의 룸형 제2 좌석이 서로 교차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어서, 한정된 실내공간에서 공간 활용효율이 높고 설치비용이 낮으며, 나아가 각 사용자들이 다른 사람들의 행동이나 시선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도록 각각 독립적인 사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실이라 함은 수험생이나 취업 준비생들이 개인적으로 공부를 하거나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마련된 실내 공간으로서 도서관과 유사한 곳이지만, 독서실은 대부분이 개인사업자들이 운영하는 사설공간인데 비해, 도서관은 보통 학교나 지자체 등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공익시설이라는 점에서 서로 차이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독서실은 도서관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독서실 내부에는 각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수개의 책상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독서실용 책상은 각 사용자들이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시선으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고 자기 학습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일정한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특허등록 제10-1024600호(2011년 03월 17일) 및 제10- 1027077호(2011년 03월 29일) 등에는 사용자들이 같은 방향으로 향하여 착석하도록 병렬로 나란히 배치된 책상과 책상 사이에 측면판 또는 마감판을 설치하여 각 사용자들의 사용공간을 서로 분리시켜 주는 독서실용 책상이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병렬식 배치구조는 공간 활용도는 우수하지만 각 사용자의 좌석 후방이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시선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기 실용신안등록 제20-0472616호(2014년 05월 02일) 및 제20-0472615호(2014년 05월 02일) 등에는 각 사용자에게 사방이 막혀 있는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는 룸식 독서실 책상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룸식 독서실 책상은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학습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운영자 측면에서 볼 때 시설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10-0449327호(2004년 09월 08일)에는, 첨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여 십자형을 이루게 결합된 다수의 기본판(32,34)과, 상기 기본판(32,34)의 가장자리에서 각각 직교하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4개의 측판(36)을 구비하되, 상기 기본판(32,34)과 측판(36)에 의해 출입구가 형성된 4개의 사용자 공간 내에는 상기 기본판(32,34)에서 각 출입구를 향하여 책상판(38)이 돌출되어 있어 있는 독서실용 책상 유니트가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책상 유니트는 각 사용자가 독립적인 사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출입구가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서 다른 사용자들의 행동으로 인해 방해를 받지 않고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는 있지만, 4개의 책상이 결합된 형태가 하나의 유니트로 배치되기 때문에 독서실을 둘러싸는 내벽을 활용할 수가 없고 전체적인 공간 활용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특허등록 제10-1024600호(2011년 03월 17일) 특허등록 제10-1027077호(2011년 03월 29일) 실용신안등록 제20-0472616호(2014년 05월 02일) 실용신안등록 제20-0472615호(2014년 05월 02일) 특허등록 제10-0449327호(2004년 09월 08일)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독서실 내에서 모든 사용자들이 다른 사람들의 행동이나 시선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도록 각각 독립적인 사용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정해진 실내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독서실 책상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좌석과, 상기 지지벽에 인접하여 상기 제1 좌석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좌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석과 상기 제2 좌석은 하나의 지지벽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면서 상기 제1 좌석과 상기 제2 좌석 사이에는 각각 양쪽 공간을 분할하는 분리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좌석의 전방에는 상기 지지벽이 배치되고, 좌우측에는 각각 상기 분리벽이 배치되며, 후방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2 좌석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분리벽이 배치되고, 좌우측 중 일측에는 상기 지지벽이 배치되며, 나머지 일측에는 전방 분리벽의 단부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차단벽이 설치되고, 상기 차단벽과 후방 분리벽 사이에는 상기 제2 좌석의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는, 제1 좌석과 제2 좌석이 지지벽과 분리벽을 공유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제1 좌석과 제2 좌석이 서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고 독서실을 둘러싸는 내벽을 활용할 수 있어서 한정된 실내공간에서 많은 가능한 좌석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좌석과 제2 좌석이 모두 사방으로 독립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자가 타인의 행동이나 시선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자신의 공부에 전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자신의 취향에 따라서 후방 개방형 구조인 제1 좌석과 룸형 구조인 제2 좌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독서실용 책상 유니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의 요부 확대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편의상 각 사용자가 자신의 좌석에 앉아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수직, 전방, 후방, 좌측, 우측’ 등의 방향을 설정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독서실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벽(10)과, 상기 지지벽(1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좌석(20)과, 상기 지지벽(10)에 인접하여 상기 제1 좌석(2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좌석(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벽(10)은 독서실을 둘러싸는 내벽(10a)일 수도 있고, 독서실 내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가설벽(10b)일 수도 있다. 상기 내벽(10a)은 당연히 독서실 바닥에서 천정까지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 가설벽(10b)은 독서실 바닥에서 천정까지 설치될 수도 있고, 독서실 바닥에서 적당한 높이까지, 예컨대 사람 가슴 높이까지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좌석(20)과 제2 좌석(3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사용자가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독서를 할 수 있는 책상(20a,30a)과 의자(20b,30b)로 구성되며, 상기 책상(20a,30a)에는 추가적으로 통상적인 구조의 사물함(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좌석(20)에 배치되는 책상(20a) 및 의자(20b)와, 상기 제2 좌석(30)에 배치되는 책상(30a) 및 의자(30b)는 서로 같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상기 제1 좌석(20)과 상기 제2 좌석(30)은 하나의 지지벽(10)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좌석(20)과 상기 제2 좌석(30) 사이에는 각각 양쪽 공간을 분할하는 분리벽(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벽(40)은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벽(10)의 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벽(40)은 상기 가설벽(10b)과 마찬가지로 독서실 바닥에서 천정까지 설치될 수도 있고, 독서실 바닥에서 적당한 높이까지, 예컨대 사람 가슴 높이까지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제1 좌석(10)은, 사용자의 전방에 상기 지지벽(10)이 배치되고, 좌우측에는 각각 상기 분리벽(40)이 배치되며, 사용자의 후방은 개방되어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좌석(30)은, 사용자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분리벽(40)이 배치되고, 좌우측 중 일측에는 상기 지지벽(10)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좌석(30)에서 사용자의 나머지 일측, 즉 상기 지지벽(10)의 반대쪽에는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한 분리벽(40a)의 단부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차단벽(31)이 설치되고, 상기 차단벽(31)과 사용자 후방의 분리벽(40b) 사이에는 상기 제2 좌석(30)의 출입구(32)가 설치되어 있는 룸형 구조를 이룬다. 상기 출입구(32)는 개방형 일 수도 있고, 여닫이 또는 미닫이 방식의 출입문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커튼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벽(10)이 독서실을 둘러싸는 내벽(10a)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좌석(20)과 상기 제2 좌석(30)이 상기 내벽(10a)의 내면을 따라 한 줄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벽(10)이 독서실 내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가설벽(10b)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좌석(20)과 상기 제2 좌석(30)이 상기 가설벽(10b)의 양면을 따라 두 줄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좌석(20)과 제2 좌석(30)은 상기 가설벽(10b)을 경계로 하여 서로 교대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설벽(10b)을 경계로 하여 제1 좌석(20)의 맞은편에는 제2 좌석(30)을 배치하고, 제2 좌석(30)의 맞은편에는 제1 좌석(20)을 배치하는 것이 공간 효율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좌석(20) 및 제2 좌석(30)의 책상(20a,30a)은 가구 내장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좌석(20)의 책상(20a)은 상판의 세변이 상기 지지벽(10)과 양쪽 분리벽(40)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제2 좌석(30)의 책상(30a)은 상판의 세변이 상기 지지벽(10)과 차단벽(31) 및 전방 분리벽(40a)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할 경우, 상기 책상(20a,30a)은 하부구조, 즉 책상다리가 없어도 상판만으로 책상을 구성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는, 제1 좌석(20)과 제2 좌석(30)이 지지벽(10)과 분리벽(40)을 공유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제1 좌석(20)과 제2 좌석(30)이 서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한정된 실내공간에서 가능한 많은 좌석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좌석(20)과 제2 좌석(30)이 모두 사방으로 독립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자가 타인의 행동이나 시선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자신의 공부에 전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자신의 취향에 따라서 후방 개방형 구조인 제1 좌석(20)과 룸형 구조인 제2 좌석(30)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 지지벽 10a; 내벽
10b; 가설벽 20; 제1 좌석,
20a,30a; 책상 20b,30b; 의자
30; 제2 좌석 31; 차단벽
32; 출입구 40; 분리벽
40a; 전방 분리벽 40b; 후방 분리벽

Claims (4)

  1.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벽(10)과, 상기 지지벽(1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좌석(20)과, 상기 지지벽(10)에 인접하여 상기 제1 좌석(2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좌석(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석(20)과 상기 제2 좌석(30)은 하나의 지지벽(10)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면서 상기 제1 좌석(20)과 상기 제2 좌석(30) 사이에는 각각 양쪽 공간을 분할하는 분리벽(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좌석(20)의 전방에는 상기 지지벽(10)이 배치되고, 좌우측에는 각각 상기 분리벽(40)이 배치되며, 후방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2 좌석(30)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분리벽(40)이 배치되고, 좌우측 중 일측에는 상기 지지벽(10)이 배치되며, 나머지 일측에는 전방 분리벽(40a)의 단부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차단벽(31)이 설치되고,
    상기 차단벽(31)과 후방 분리벽(40b) 사이에는 상기 제2 좌석(30)의 출입구(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좌석(20)의 책상(20a)은 상판의 세변이 상기 지지벽(10) 및 양쪽 분리벽(40)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제2 좌석(30)의 책상(30a)은 상판의 세변이 상기 지지벽(10)과 차단벽(31) 및 전방 분리벽(40a)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10)은 독서실을 둘러싸는 내벽(10a)이고, 상기 제1 좌석(20)과 상기 제2 좌석(30)은 상기 내벽(10a)의 내면을 따라 한 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10)은 독서실 내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가설벽(10b)이고, 상기 제1 좌석(20)과 상기 제2 좌석(30)은 상기 가설벽(10b)의 양면을 따라 두 줄로 설치되며, 상기 가설벽(10b)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제1 좌석(20)과 상기 제2 좌석(30)이 서로 교대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
  4. 삭제
KR2020180005033U 2018-11-06 2018-11-06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 KR200492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033U KR200492758Y1 (ko) 2018-11-06 2018-11-06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033U KR200492758Y1 (ko) 2018-11-06 2018-11-06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60U KR20200000960U (ko) 2020-05-14
KR200492758Y1 true KR200492758Y1 (ko) 2020-12-04

Family

ID=7061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033U KR200492758Y1 (ko) 2018-11-06 2018-11-06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75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4135A (en) 1989-06-13 1991-09-03 Hon Industries Inc. Cluster work station system
KR100449327B1 (ko) * 2002-05-17 2004-09-30 강혜영 독서실용 책상 유니트
KR200472615Y1 (ko) * 2013-11-26 2014-05-09 김철호 룸식 독서실 책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746Y1 (ko) * 1987-11-09 1991-07-04 강세남 독서실용 책상
KR101024600B1 (ko) 2008-08-19 2011-03-31 주식회사 신일퍼니처 독서실용 책상
KR101027077B1 (ko) 2009-06-17 2011-04-05 김우진 독서대를 구비하는 독서실용 책상
KR101369461B1 (ko) * 2010-04-02 2014-03-06 이영규 독서실용 책상 유닛
KR200472616Y1 (ko) 2014-01-21 2014-05-09 김철호 룸식 독서실 책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4135A (en) 1989-06-13 1991-09-03 Hon Industries Inc. Cluster work station system
KR100449327B1 (ko) * 2002-05-17 2004-09-30 강혜영 독서실용 책상 유니트
KR200472615Y1 (ko) * 2013-11-26 2014-05-09 김철호 룸식 독서실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60U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4065B2 (ja) 個室ボックス
US20070175131A1 (en) Multi-use conferencing space, table arrangement and display configuration
US20070283631A1 (en) Workspace Dividing System
KR200492758Y1 (ko) 독서실의 교차형 책상 배치구조
KR20200001929U (ko) 스터디카페 책상
KR102442251B1 (ko) 학습 공간 방음 유지를 위한 출입문 및 벽의 시공 구조
JP6897644B2 (ja) 住宅の屋内構造
US9585472B2 (en) Adaptive furniture
KR101369461B1 (ko) 독서실용 책상 유닛
JP2014074296A (ja) 紙製の避難所用間仕切り
US1983559A (en) Booth
JP2005240555A (ja) 大部屋に形成した個室
JP2020147983A (ja) ブース
US20080148658A1 (en) Workspace dividing system
JP2009011641A (ja) 収納機能付き間仕切装置
JP2004232398A (ja) 間仕切り家具
JP7295789B2 (ja) オフィス
JP3232277U (ja) 飛沫拡散防止用パーティション
JP2022071217A (ja) ブース
JP3181947U (ja) 組立て式インナーハウス
JP7354696B2 (ja) 間仕切収納棚
JP2019148100A (ja) 建築物の室内構造
KR200490958Y1 (ko) 방음판이 구비된 독서실용 책상
JP7354695B2 (ja) 建築物
JP2016211148A (ja) 共用収納室付き居室を備える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