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633Y1 -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633Y1
KR200492633Y1 KR2020190003240U KR20190003240U KR200492633Y1 KR 200492633 Y1 KR200492633 Y1 KR 200492633Y1 KR 2020190003240 U KR2020190003240 U KR 2020190003240U KR 20190003240 U KR20190003240 U KR 20190003240U KR 200492633 Y1 KR200492633 Y1 KR 200492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safety
measurement
weare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유빈
Original Assignee
형유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유빈 filed Critical 형유빈
Priority to KR2020190003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6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6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4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by rais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에서 착용자의 발까지의 높이와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기초로 안전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에 관한 것으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 센서, 착용자의 전면 또는 측면 방향에 위치하는 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계산하는 계산부, 계산부에서 계산한 거리 측정 센서의 각도를 기초로 거리 측정 센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부재, 계산부에서 계산한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안전 상태를 확인하는 안전 상태 확인부 및 안전 상태 확인부의 확인 결과를 기초로 안전상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Safety glasses for the blind}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에서 착용자의 발까지의 높이와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기초로 안전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에 관한 것이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조 기구로 시각장애인 지팡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의 훈련이 필요하며, 장애물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내외적으로 전자 보행 장치에 관한 장치가 요구된다.
종래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1502호, "장애물 확인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선글라스"는 착용자의 앞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단순히 착용자의 정면에 있는 장애물만 감지할 수 있어 정면 이외의 착용자가 걷는 바닥의 장애물을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1502호
본 고안은 안경에서 착용자의 발까지의 높이와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기초로 안전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착용자의 현재 위치의 경사도 정보를 기초로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함으로써 안경 착용자가 보행하는 경사도에 상관없이 착용자에게 안전한 한전거리를 유지하여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착용자의 자세 정보를 기초로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함으로써 안경 착용자의 자세를 바꾸더라도 안경 착용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예상 측정 거리와 상기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간 거리의 정보 차이에 따라 안경 착용자에게 안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진 이후, 소정의 범위 이내로 좁혀진 경우, 상기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지나기 전까지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안경 착용자가 안전하지 못한 지점을 지날 때까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다른 시각장애인용 안전안경은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 센서, 착용자의 전면 또는 측면 방향에 위치하는 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 상기 높이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초로 상기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상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한 상기 거리 측정 센서의 각도를 기초로 상기 거리 측정 센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부재,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한 상기 예상 측정 거리와 상기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안전 상태를 확인하는 안전 상태 확인부 및 상기 안전 상태 확인부의 확인 결과를 기초로 안전상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GPS 신호를 기초로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위치정보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위치정보 인식부에서 인식한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현재 착용자의 진행 방향의 경사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경사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측정 각도 및 상기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력가속도를 이용하여 자세 정보를 확인하는 자세정보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확인된 자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측정 각도 및 상기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상태 확인부는 상기 예상 측정 거리와 상기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상태 확인부는 상기 예상 측정 거리와 상기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진 이후, 소정의 범위 이내로 좁혀진 경우, 상기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지나기 전까지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안경에서 착용자의 발까지의 높이와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기초로 안전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착용자의 현재 위치의 경사도 정보를 기초로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함으로써 안경 착용자가 보행하는 경사도에 상관없이 착용자에게 안전한 한전거리를 유지하여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착용자의 자세 정보를 기초로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함으로써 안경 착용자의 자세를 바꾸더라도 안경 착용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예상 측정 거리와 상기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간 거리의 정보 차이에 따라 안경 착용자에게 안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진 이후, 소정의 범위 이내로 좁혀진 경우, 상기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지나기 전까지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안경 착용자가 안전하지 못한 지점을 지날 때까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가 보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가 장애물이 있는 길을 보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가 움푹 패인길을 보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가 오르막 길을 보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가 내리막 길을 보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의하여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은 높이 감지 센서(110), 거리 측정 센서(120), 위치정보 인식부(130), 자세정보 센서(140), 계산부(150), 각도 조절 부재(160), 안전 상태 확인부(170), 사운드 출력부(180)로 구성될 수 있다.
높이 감지 센서(110)는 지표면으로부터 높이를 감지한다.
높이 감지 센서(110)는 안경의 측면 또는 앞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착용자의 눈 높이에서 발 높이까지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측정 센서(120)는 착용자의 전면 또는 측면 방향에 위치하는 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거리 측정 센서(120)는 안경의 측면 또는 앞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전면 또는 측면 방향에 위치한 사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정보 인식부(130)는 GPS 신호를 기초로 위치 정보를 인식한다.
위치 정보 인식부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신호를 기초로 안경 착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자세정보 센서(140)는 중력가속도를 이용하여 자세 정보를 확인한다.
자세정보 센서(140)는 안경 착용자가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중력가속도를 이용하여 안경 착용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계산부(150)는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초로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측정 센서(120)의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계산한다.
안전거리는 착용자가 보행할 때 안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거리일 수 있으며, 착용자의 발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정도 떨어져 있는 특정 지점 간의 정해진 거리일 수 있다. 계산부(150)는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와 착용자의 발을 기준으로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특정 지점과의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계산부(150)에서 계산할 수 있는 예상 측정 거리는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높이에서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간의 거리일 수 있다. 측정 각도는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높이와 착용자의 발을 잇는 선을 제1직선이라하며,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높이와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잇는 선을 제2직선이라 한다면, 제1직선과 제2직선간의 각도를 계산부(150)는 측정 각도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는 1.7m일 수 있으며, 안전거리는 3m일 수 있다. 계산부(150)는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인식하고,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는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높이와 착용자의 발을 잇는 선을 제1직선과,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높이와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잇는 선을 제2직선간의 각도라고 한다면 60°로 계산할 수 있으며, 거리 측정 센서(120)의 예상 측정거리를 3.4m로 계산할 수 있다.
계산부(150)는 위치정보 인식부(130)에서 인식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현재 착용자의 진행 방향의 경사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경사도 정보를 기초로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한다.
계산부(150)는 위치정보 인식부(130)에서 인식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현재 착용자가 보행하고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각도 정보인 경사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계산부(150)는 경사도 정보를 기초로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간의 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착용자는 오르막길을 보행할 수 있으며, 내리막길을 보행할 수 있다. 착용자가 경사가 없는 평지를 보행하다가 오르막길을 보행하게 되면 계산부(150)는 측정 각도를 평지에서 보행할 때보다 크게 계산할 수 있으며, 예상 측정 거리는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경사가 없는 평지를 보행하다가 내리막길을 보행하게 되면 계산부(150)는 측정 각도를 평지에서 보행할 때 보다 작게 계산할 수 있으며, 예상 측정 거리는 늘어날 수 있다.
계산부(150)는 확인된 자세 정보를 기초로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한다.
계산부(150)는 착용자의 자세 정보를 기초로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할 수 있으며, 착용자는 보행하면서 자세를 바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높이 감지 센서(110)는 지표면과의 높이가 보정될 수 있어,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기준으로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할 수 있다.
각도 조절 부재(160)는 계산부(150)에서 계산한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를 기초로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를 조절한다.
각도 조절 부재(160)는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각도 조절 부재(160)는 계산부(150)에서 계산한 거리 측정 센서(120)의 측정 각도에 따라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 조절 부재(160)는 계산부(150)에서 측정 각도를 보정하면 그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용자가 평지를 보행하는데 계산한 측정 각도는 45°라면, 각도 조절 부재(160)는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를 45°로 조절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오르막길을 오르게 되면 계산부(150)는 착용자의 진행 방향의 경사도 정보를 확인하여 측정 각도를 55°로 보정하였다면, 각도 조절부재는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를 55°로 조절할 수 있다.
안전 상태 확인부(170)는 계산부(150)에서 계산한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안전 상태를 확인한다.
안전 상태 확인부(170)는 계산부(150)에서 계산한 측정 각도와 예상 측정 거리가 일치하는지 여부 또는 소정의 범위 이내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착용자가 안전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안전 상태 확인부(170)는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한다.
안전 상태 확인부(170)는 계산부(150)에서 계산한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내인 경우 안전한 상태로 확인할 수 있으며,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계산부(150)에서 계산한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경우 착용자가 보행하는 거리에는 장애물 또는 움푹 패인 구덩이가 있어 측정한 거리 정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착용자가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안전 상태 확인부(170)는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진 이후, 소정의 범위 이내로 좁혀진 경우,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지나기 전까지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한다.
안전 상태 확인부(170)는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져서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한 경우, 안전하지 못한 상태를 벗어날 때까지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안전 상태 확인부(170)는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지면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하며, 착용자는 보행하던 길을 계속 보행하기 때문에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내로 좁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 착용자가 안전하지 못한 상태를 벗어났다고 할 수 없으며, 장애물 또는 움푹 패인 구덩이와 같은 안전하지 못한 상황과 가까워졌다고 확인할 수 있다.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이었다가 소정의 범위 이내로 좁혀진 경우 착용자가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지나가기 전까지 계속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하며,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지나간 후에 안전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180)는 안전 상태 확인부(170)의 확인 결과를 기초로 안전상태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사운드 출력부(180)는 안전 상태 확인부(170)에서 확인한 결과를 기초로 안전상태 알림 정보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180)는 안전 상태 확인부(170)에서 착용자가 안전한 상태라고 확인하면 안전한 상태인 것을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운드 출력부(180)는 안전 상태 확인부(170)에서 착용자가 안전하지 않은 상태로 확인하면 안전하지 않은 상태인 것을 알림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은 높이 감지 센서(110), 거리 측정 센서(120), 위치정보 인식부(130), 자세정보 센서(140), 계산부(150), 각도 조절 부재(160), 안전 상태 확인부(170), 사운드 출력부(180)로 구성수 있다.
거리 측정 센서(120)는 각도 조절 부재(160)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안경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180)는 착용자에게 안전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귀 가까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는 안경 내부 또는 외부에 소형으로 배치되어 착용자가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 타인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자 보행 장치라는 것을 알 지 못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가 보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계산부(150)는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초로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측정 센서(120)의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계산한다.
안전거리는 착용자가 보행할 때 안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거리일 수 있으며, 착용자의 발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정도 떨어져 있는 특정 지점 간의 정해진 거리일 수 있다. 계산부(150)는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와 착용자의 발을 기준으로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특정 지점과의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계산부(150)에서 계산할 수 있는 예상 측정 거리는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높이에서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간의 거리일 수 있다. 측정 각도는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높이와 착용자의 발을 잇는 선을 제1직선이라하며,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높이와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잇는 선을 제2직선이라 한다면, 제1직선과 제2직선간의 각도를 계산부(150)는 측정 각도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360)가 평지를 보행하는 경우에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320)는 1.7m일 수 있으며, 안전거리(310)는 3m일 수 있다. 계산부(150)는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350)을 인식하고,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330)는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높이와 착용자의 발을 잇는 선을 제1직선(320)과,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높이와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잇는 선을 제2직선(340)간의 각도라고 한다면 60°로 계산할 수 있으며, 거리 측정 센서(120)의 예상 측정거리(340)를 3.4m로 계산할 수 있다. 각도 조절 부재(160)는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를 60°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각도를 지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가 장애물이 있는 길을 보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계산부(150)는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초로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측정 센서(120)의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계산한다.
안전 상태 확인부(170)는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한다.
안전 상태 확인부(170)는 계산부(150)에서 계산한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내인 경우 안전한 상태로 확인할 수 있으며,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계산부(150)에서 계산한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경우 착용자가 보행하는 거리에는 장애물 또는 움푹 패인 구덩이가 있어 측정한 거리 정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착용자가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안전 상태 확인부(170)는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진 이후, 소정의 범위 이내로 좁혀진 경우,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지나기 전까지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한다.
예를 들면,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460)의 전방에 장애물(470)이 있는 평지를 보행하는 경우에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420)는 1.7m일 수 있으며, 안전거리(410)는 3m,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소정의 범위 차이는 0.2m 일 수 있다. 계산부(150)는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450)을 인식하고,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430)를 60°로 계산하였으며, 거리 측정 센서(120)의 예상 측정 거리는(480)는 3.4m로 계산하였다. 그러나,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440)는 3m일 수 있으며,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의 정보의 차이가 0.4m차이가 날 수 있다. 소정의 범위 차이가 0.2m이상이므로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착용자(460)는 착용자의 전방에 장애물(470) 또는 움푹 패인 구덩이 등이 있다고 인지하여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지할 수 있다. 착용자(460)는 전방에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한 상태에서 계속 보행을 하면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하는 지점이 장애물을 지나가는 지점이기 때문에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가 소정의 범위 이내로 좁혀질 것이다.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가 소정의 범위 이내로 좁혀진 이후 착용자(460)는 계속 보행할 것이며, 계속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유지한 상태로 장애물(470)이 있다고 인지하는 상태에서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450)을 지난 후 안전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가 움푹 패인길을 보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계산부(150)는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초로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측정 센서(120)의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계산한다.
안전 상태 확인부(170)는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한다.
안전 상태 확인부(170)는 계산부(150)에서 계산한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내인 경우 안전한 상태로 확인할 수 있으며,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계산부(150)에서 계산한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경우 착용자가 보행하는 거리에는 장애물 또는 움푹 패인 구덩이가 있어 측정한 거리 정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착용자가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안전 상태 확인부(170)는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진 이후, 소정의 범위 이내로 좁혀진 경우,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지나기 전까지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한다.
예를 들면,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560)의 전방에 움푹 패인 구덩이(570)가 있는 평지를 보행하는 경우에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520)는 1.7m일 수 있으며, 안전거리(510)는 3m,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소정의 범위 차이는 0.2m 일 수 있다. 계산부(150)는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550)을 인식하고,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530)를 60°로 계산하였으며, 거리 측정 센서(120)의 예상 측정 거리는(580)는 3.4m로 계산하였다. 그러나,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540)는 3.8m일 수 있으며,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의 정보의 차이가 0.4m차이가 날 수 있다. 소정의 범위 차이가 0.2m이상이므로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착용자(560)는 착용자의 전방에 장애물 또는 움푹 패인 구덩이(570) 등이 있다고 인지하여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지할 수 있다. 착용자(560)는 전방에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한 상태에서 계속 보행을 하면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하는 지점이 움푹 패인 구덩이를 지나가는 지점이기 때문에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가 소정의 범위 이내로 좁혀질 것이다. 예상 측정 거리와 거리 측정 센서(120)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가 소정의 범위 이내로 좁혀진 이후 착용자(560)는 계속 보행할 것이며, 계속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유지한 상태로 움푹 패인 구덩이 (570)이 있다고 인지하는 상태에서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550)을 지난 후 안전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가 오르막 길을 보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위치정보 인식부(130)는 GPS 신호를 기초로 위치 정보를 인식한다.
위치 정보 인식부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신호를 기초로 안경 착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계산부(150)는 위치정보 인식부(130)에서 인식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현재 착용자의 진행 방향의 경사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경사도 정보를 기초로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한다.
계산부(150)는 위치정보 인식부(130)에서 인식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현재 착용자가 보행하고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각도 정보인 경사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계산부(150)는 경사도 정보를 기초로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간의 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착용자는 오르막길을 보행할 수 있으며, 내리막길을 보행할 수 있다. 착용자가 경사가 없는 평지를 보행하다가 오르막길을 보행하게 되면 계산부(150)는 측정 각도를 평지에서 보행할 때보다 크게 계산할 수 있으며, 예상 측정 거리는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경사가 없는 평지를 보행하다가 내리막길을 보행하게 되면 계산부(150)는 측정 각도를 평지에서 보행할 때 보다 작게 계산할 수 있으며, 예상 측정 거리는 늘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660)가 오르막길을 오른다고 한다면, 위치정보 인식부(130)는 착용자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계산부(150)는 인식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현재 착용자 진행 방향의 경사도 정보(670)를 10°로 확인할 수 있다.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620)는 1.7m일 수 있으며, 안전거리(610)는 3m일 수 있다. 계산부(150)는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650)을 인식하고, 경사도 정보(670)를 기초로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630) 및 예상 측정 거리(640)를 보정할 수 있다. 경사도 정보(670)로 확인한 각도는 10°이며, 이를 기초로 경사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밑변의 길이(670a)를 안전거리(610)인 3m ⅹ cos 10° = 2.9m를 구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발 밑을 기준으로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650)까지의 높이(670b)는 안전거리(610)인 3m ⅹ sin 10° = 0.52m로 구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620)인 1.7m에서 0.52m를 뺀 나머지 길이는 1.18m일 수 있다. 이를 기초로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630)를 구하면 67.8°로 보정할 수 있으며, 예상 측정 거리(640)는 3.13m로 보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가 내리막 길을 보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위치정보 인식부(130)는 GPS 신호를 기초로 위치 정보를 인식한다.
위치 정보 인식부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신호를 기초로 안경 착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계산부(150)는 위치정보 인식부(130)에서 인식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현재 착용자의 진행 방향의 경사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경사도 정보를 기초로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한다.
계산부(150)는 위치정보 인식부(130)에서 인식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현재 착용자가 보행하고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각도 정보인 경사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계산부(150)는 경사도 정보를 기초로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간의 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착용자는 오르막길을 보행할 수 있으며, 내리막길을 보행할 수 있다. 착용자가 경사가 없는 평지를 보행하다가 오르막길을 보행하게 되면 계산부(150)는 측정 각도를 평지에서 보행할 때보다 크게 계산할 수 있으며, 예상 측정 거리는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경사가 없는 평지를 보행하다가 내리막길을 보행하게 되면 계산부(150)는 측정 각도를 평지에서 보행할 때 보다 작게 계산할 수 있으며, 예상 측정 거리는 늘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760)가 내리막길을 내려간다고 한다면, 위치정보 인식부(130)는 착용자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계산부(150)는 인식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현재 착용자 진행 방향의 경사도 정보(770)를 10°로 확인할 수 있다.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720)는 1.7m일 수 있으며, 안전거리(710)는 3m일 수 있다. 계산부(150)는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750)을 인식하고, 경사도 정보(770)를 기초로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730) 및 예상 측정 거리(740)를 보정할 수 있다. 경사도 정보(770)로 확인한 각도는 10°이며, 이를 기초로 경사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밑변의 길이(770a)를 안전거리(710)인 3m ⅹ cos 10° = 2.9m를 구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발 밑을 기준으로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750)까지의 높이(770b)는 안전거리(710)인 3m ⅹ sin 10° = 0.52m로 구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높이 감지 센서(110)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720)인 1.7m에서 0.52m를 더한 값의 길이는 2.22m일 수 있다. 이를 기초로 거리 측정 센서(120)의 각도(630)를 구하면 52.5°로 보정할 수 있으며, 예상 측정 거리(640)는 3.65m로 보정할 수 있다.
110: 높이 감지 센서 120: 거리 측정 센서
130: 위치정보 인식부 140: 자세정보 센서
150: 계산부 160: 각도 조절 부재
170: 안전 상태 확인부 180: 사운드 출력부

Claims (5)

  1.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 센서;
    착용자의 전면 또는 측면 방향에 위치하는 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
    상기 높이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초로 상기 착용자의 발에서부터 상기 지표면을 따라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 각도 및 예상 측정 거리를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한 상기 거리 측정 센서의 각도를 기초로 상기 거리 측정 센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부재;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한 상기 예상 측정 거리와 상기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안전 상태를 확인하는 안전 상태 확인부; 및
    상기 안전 상태 확인부의 확인 결과를 기초로 안전상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
    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GPS 신호를 기초로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위치정보 인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위치정보 인식부에서 인식한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현재 착용자의 진행 방향의 경사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경사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측정 각도 및 상기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중력가속도를 이용하여 자세 정보를 확인하는 자세정보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확인된 자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측정 각도 및 상기 예상 측정 거리를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상태 확인부는
    상기 예상 측정 거리와 상기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상태 확인부는
    상기 예상 측정 거리와 상기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벌어진 이후, 소정의 범위 이내로 좁혀진 경우,
    상기 소정의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지나기 전까지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
KR2020190003240U 2019-08-05 2019-08-05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 KR200492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40U KR200492633Y1 (ko) 2019-08-05 2019-08-05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40U KR200492633Y1 (ko) 2019-08-05 2019-08-05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633Y1 true KR200492633Y1 (ko) 2020-11-16

Family

ID=7357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240U KR200492633Y1 (ko) 2019-08-05 2019-08-05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6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721B1 (ko) 2020-12-30 2021-05-27 주식회사 강한손 시각장애인의 자립 생활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220074503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피씨티 저시력자의 주변환경에서의 단차를 감지하는 시각보조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8472A (ja) * 2009-01-09 2010-07-22 Akita Prefectural Univ 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装置及び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システム
KR101091437B1 (ko) * 2009-08-24 2011-12-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 보행 안내 시스템
KR20120005890A (ko) * 2010-07-09 2012-01-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용 보행 가이드 로봇
KR101463986B1 (ko) * 2013-07-26 2014-12-0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초음파 펄스 반향을 이용한 시각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1502A (ko) 2013-07-23 2015-02-02 정진호 장애물 확인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선글라스
KR20160028891A (ko) * 2014-09-04 2016-03-14 김경연 깊이 카메라와 방향 센서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장애물 인식 장치
KR101825889B1 (ko) * 2017-09-22 2018-02-05 김창환 스마트 벨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 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8472A (ja) * 2009-01-09 2010-07-22 Akita Prefectural Univ 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装置及び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システム
KR101091437B1 (ko) * 2009-08-24 2011-12-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 보행 안내 시스템
KR20120005890A (ko) * 2010-07-09 2012-01-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용 보행 가이드 로봇
KR20150011502A (ko) 2013-07-23 2015-02-02 정진호 장애물 확인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선글라스
KR101463986B1 (ko) * 2013-07-26 2014-12-0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초음파 펄스 반향을 이용한 시각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8891A (ko) * 2014-09-04 2016-03-14 김경연 깊이 카메라와 방향 센서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장애물 인식 장치
KR101825889B1 (ko) * 2017-09-22 2018-02-05 김창환 스마트 벨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 안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503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피씨티 저시력자의 주변환경에서의 단차를 감지하는 시각보조장치
KR102497465B1 (ko) 2020-11-27 2023-02-08 주식회사 피씨티 저시력자의 주변환경에서의 단차를 감지하는 시각보조장치
KR102256721B1 (ko) 2020-12-30 2021-05-27 주식회사 강한손 시각장애인의 자립 생활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633Y1 (ko) 시각장애인용 안전 안경
EP2957475A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control method
US6687576B2 (en) Arrangement for plausibilizing a rollover decision
JP6284644B2 (ja) 自動二輪車のための情報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84596B2 (ja) 脇見判定装置
CN108076624B (zh) 假体部件或外骨骼部件以及操作它们的方法
KR20150017096A (ko)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8627824A (zh) 具有相机图像和雷达数据融合的自动化车辆对象检测系统
CN105235911A (zh) 用于飞行器的着陆辅助方法和着陆辅助设备
KR20100127007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130078838A (ko) 스마트 캐디형 골프 카트
KR20180024153A (ko) 스마트 휠체어 안전 자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3802766A (zh) 车道线识别系统及方法
KR20190107376A (ko) 자동무인 운전 열차의 스마트 자동 제어 시스템 및 열차 운행 방법
KR20180104235A (ko)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11318950B2 (en) Calcul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1488132B1 (ko) 높낮이 측정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안내방법
KR101251776B1 (ko) 차량 센서의 인지영역 가변 조절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119802A1 (en) Aircraft pilot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US11560126B2 (en) Method for emergency response to a transportation vehicle tire pressure loss and transportation vehicle
KR20190104663A (ko) 드론을 이용한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US11300668B1 (en) Method for collective calibration of multiple vehicle safety system sensors
KR20130125644A (ko)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주행 경로 생성 가능한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및 주행 경로 생성 방법
TWI633030B (zh) Vehicle automatic lane follow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684167B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