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561Y1 - 네트형 캐리어 - Google Patents
네트형 캐리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2561Y1 KR200492561Y1 KR2020190000512U KR20190000512U KR200492561Y1 KR 200492561 Y1 KR200492561 Y1 KR 200492561Y1 KR 2020190000512 U KR2020190000512 U KR 2020190000512U KR 20190000512 U KR20190000512 U KR 20190000512U KR 200492561 Y1 KR200492561 Y1 KR 2004925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ck
- container
- net
- strip
- wine bott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77—Flexible luggage; Hand bags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65D29/04—Net-like containers made of plastics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063—Wrappers formed by one or more films or the like, e.g. ne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65—Integral 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5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 B65D71/508—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the elements being formed by one or more films or similar, e.g. ne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01—Flexible materials therefor
- A45C2003/002—Mesh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20—Carrying beverage vessels, e.g. bott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 A45C3/045—Shopping 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93—Handles or suspending means attached to the wrapp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648—Elements used to form the wrapper
- B65D2571/00691—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주방향으로 긴 복수의 절개선이 반경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평판 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와인 병과 같은 용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손잡이 부분을 들어 올리면 상기 절개선이 벌어지면서 네트형의 백(bag) 형태로 되면서 용기를 수납할 수 있으며, 와인 병과 같은 용기를 수납할 때 용기의 목 부분을 걸어서 지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리어를 테이블 또는 바닥에 내려 놓더라도 자동으로 펼쳐지지 않고 와인 병을 수납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네트형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네트형 캐리어는, 외력을 가했을 때 변형이 가능한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원주방향을 따라 긴 복수의 절개선이 반경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복수의 절개선이 벌어지면서 네트형 백(bag) 형태로 변형되어 용기를 수납하게 되는 평판 형태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 부분 양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스트립; 및, 상기 수납부가 오므려지면서 용기를 수납할 때 용기의 목 부분을 교차하면서 지지하는 한 쌍의 넥크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와인 병과 같은 용기를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네트형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주방향으로 긴 복수의 절개선이 반경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평판 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와인 병과 같은 용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손잡이 부분을 들어 올리면 상기 절개선이 벌어지면서 네트형의 백(bag) 형태로 되면서 용기를 수납할 수 있게 되는 네트형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 병에 담겨진 와인은 저가로 판매되는 저가용과 고가로 판매되는 고가용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저가용의 경우 가정에서 많이 음용하는 용도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고가용의 경우에는 가정에서의 음용보다는 주로 지인 등에 선물 용도로 판매되고 있다.
이 중, 선물 용도로 많이 판매되고 있는 고가용 와인이 담겨진 와인 병의 경우, 와인이 가격에 맞도록 화려한 포장박스에 담겨져 진열되거나 또는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종래 와인 병 포장박스는 일면이 개구되며 와인 병이 수납되는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박스와, 상기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진열 시에는 와인 병이 보이도록 박스를 분리한 상태에서 와인 병만을 진열을 하였고, 소비자가 와인을 구매하면 따로 보관하고 있던 박스를 찾아 박스에 와인 병을 넣고 개구부를 닫은 후 별도의 포장 끈으로 포장박스를 묶어서 소비자에게 판매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와인 병 포장박스는 직육면체의 함체 형태로 되어 포장박스 내에 와인 병을 수납하면, 와인 병이 보이지 않아 와인 병 자체가 주는 심미감을 느낄 수 없으며, 와인의 종류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기존의 와인 병 포장박스는 대부분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를 갖기 때문에 그 형태가 단조롭고 딱딱한 느낌이 있다.
이에 유연한 재질의 평판에 다수의 절개선 또는 구멍을 형성하여, 평판 형태로 있다가 그 위에 와인 병을 놓고 양쪽 손잡이 부분을 상측으로 들면 절개선 또는 구멍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오므려져 네트형의 가방 형태로 되는 네트형 캐리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네트형 캐리어를 와인 병을 수납하여 휴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테이블이나 바닥에 일시적으로 내려놓으면 다시 양쪽으로 펼쳐지면서 원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시 와인 병을 들고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시 네트형 캐리어의 양쪽 손잡이 부분을 잡고 들어 올려 가방 형태로 변형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의 절개선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네트형 백(net shaped bag) 형태로 되면서 와인 병과 같은 용기를 수납할 때 와인 병의 목 부분을 걸어서 지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리어를 테이블 또는 바닥에 내려 놓더라도 자동으로 펼쳐지지 않고 와인 병을 수납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네트형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와인 병과 같은 용기를 수납하여 이동할 때 용기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견고하고 안정적인 네트형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네트형 캐리어는, 외력을 가했을 때 변형이 가능한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원주방향을 따라 긴 복수의 절개선이 반경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복수의 절개선이 벌어지면서 네트형 백(bag) 형태로 변형되어 용기를 수납하게 되는 평판 형태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 부분 양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스트립; 및, 상기 수납부가 오므려지면서 용기를 수납할 때 용기의 목 부분을 교차하면서 지지하는 한 쌍의 넥크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넥크스트립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손잡이스트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네트형 캐리어는, 상기 넥크스트립과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어, 넥크스트립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작은 크기의 용기의 목 부분을 교차하면서 지지할 수 있는 보조 넥크스트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절개선 사이의 연결부의 폭은, 반경방향 안쪽에 배열된 절개선 사이의 연결부의 폭(D1)이 반경방향 중간 부분에 배열된 절개선 사이의 연결부의 폭(D2)보다 크고, 반경방향 바깥 쪽에 배열된 절개선 사이의 연결부의 폭(D3)이 반경방향 중간 부분에 배열된 절개선 사이의 연결부의 폭(D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의 가장 바깥쪽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절개선에 의해 형성되는 가장 바깥쪽 스트립의 폭(W1)은 그 안쪽의 스트립의 폭(W2)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본체부를 오므려서 네트형 백 형태로 만들어 와인 병과 같은 용기를 수납할 때, 손잡이스트립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넥크스트립 또는 보조 넥크스트립을 이용하여 와인 병의 목 부분을 걸어서 지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캐리어에 와인 병을 수납하고 이동하다가 테이블이나 바닥, 기타 구조물 위에 캐리어를 놓았을 때, 사용자가 손잡이스트립을 잡지 않아도 본체부가 펼쳐지지 않고 오므려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다시 이동할 때 캐리어를 다시 오므리는 조작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와인 병의 목 부분이 넥크스트립에 의해 지지되므로 캐리어를 갖고 이동할 때 와인 병의 흔들림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형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네트형 캐리어의 작동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네트형 캐리어의 작동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고안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네트형 캐리어를 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형 캐리어는, 평판 형태로 되어 있다가 용기(이 실시예에서 와인 병)를 수납할 수 있는 네트형의 백(bag)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가장자리 부분 양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스트립(20)과, 상기 본체부(10)가 오므려지면서 용기를 수납할 때 용기의 목 부분을 교차하면서 지지하는 한 쌍의 넥크스트립(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외력을 가했을 때 변형이 가능한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원주방향을 따라 긴 복수의 절개선(11)이 반경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평판 형태로 있다가 외력을 가할 때, 즉 양쪽 손잡이스트립(20)을 잡고 들어올렸을 때 상기 복수의 절개선(11)이 벌어지면서 네트형 백 형태를 이루어 와인 병(B)을 수납하게 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실리콘이나 실리콘러버, 고무 등 유연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외에도 와인 병(B)의 무게나 외력에 의해 쉽께 찢어지지 않는 코팅지 또는 종이, 부직포나 직포 등의 직물지, 섬유질 판재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테이블이나 바닥에 놓여져 펼쳐졌을 때 원형의 평판 형태로 되어 있다가 중심부에 와인 병(B)과 같은 수납할 물품을 놓고 양쪽 손잡이스트립(20)을 위로 들어올리면 오므려지면서 네트형 백 형태를 갖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10)는 펼쳐졌을 때 원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지만, 이외에도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가 테이블이나 바닥에 놓여져 펼쳐졌을 때 평판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와인 병(B)을 수납하여 이동하지 않을 때에는 캐리어를 음식용기를 받치는 받침대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중심부에는 원형의 받침부(13)가 형성되며, 이 받침부(13)에 와인 병(B)을 안착시킨다.
상기 본체부(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선(11)은 원주방향으로 긴 원호형의 슬릿(slit) 형태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1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절개선(11)을 하나의 절개선(11) 그룹이라 할 때, 복수의 절개선(11) 그룹이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각각의 절개선(11) 그룹의 절개선(11)들은 반경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절개선(11) 그룹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절개선(11)의 수는 모두 동일하게 6개씩이고, 어느 한 절개선(11) 그룹의 절개선(11)과 이 절개선(11) 그룹에 인접한 다른 절개선(11) 그룹의 절개선(11)은 동심상에서 동일한 위상차(이 실시예에서 60°)를 갖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가장 안쪽 절개선(11) 그룹은 6개의 절개선(11)이 원주방향을 따라 60°의 간격으로 배열되고, 그 바깥쪽 절개선(11) 그룹은 6개의 절개선(11)이 원주방향을 따라 60°의 간격으로 배열되되, 가장 안쪽 절개선(11) 그룹의 절개선(11)과 60°의 위상차로 엇갈리게 배열된다. 이러한 절개선(11)의 배열 구조에 의해 본 고안의 네트형 캐리어는 견고한 지지 강도를 갖게 된다.
또한 와인 병(B)의 하중이 집중되는 본체부(10)의 중심쪽, 즉 받침부(13) 쪽에서 더욱 견고한 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절개선(11) 사이의 연결부(12)의 폭은 본체부(10)의 반경방향 안쪽 부분에서 가장 크고, 본체부(10)의 반경방향 중간 부분에서 가장 작으며, 본체부(10)의 반경방향 바깥 부분에서 다시 커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체부(10)의 반경방향 안쪽에 위치한 절개선(11) 그룹의 절개선(11) 사이의 연결부(12) 폭(D1)이 반경방향 중간 부분에 위치한 절개선(11) 그룹의 절개선(11) 사이의 연결부(12) 폭(D2)보다 크고, 본체부(10)의 반경방향 바깥 쪽에 위치한 절개선(11) 그룹의 절개선(11) 사이의 연결부(12) 폭(D3)이 반경방향 중간 부분에 위치한 절개선(11) 그룹의 절개선(11) 사이의 연결부(12) 폭(D2)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각 절개선(11) 사이의 연결부(12) 폭의 크기는 D1 > D3 > D2의 크기 순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견고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의 가장 바깥쪽의 절개선(11) 그룹의 절개선(11)에 의해 형성되는 가장 바깥쪽 스트립의 폭(W1)은 그 안쪽의 절개선(11)에 의해 형성되는 스트립의 폭(W2)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스트립(2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거나 이동할 때 편리하도록 대략 'U'자형의 고리 형태로 되어, 양단이 상기 본체부(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넥크스트립(30)은 상기 본체부(10)의 가장자리와 상기 손잡이스트립(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본체부(10)가 오므려져 와인 병(B)을 수납할 때 수납된 와인 병(B)의 목 부분을 교차하면서 감아서 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네트형 캐리어를 가지고 이동하다가 테이블이나 바닥 등에 일시적으로 놓았을 때 본체부(10)가 자동으로 펼쳐지지 않고 와인 병(B)을 수납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와인 병(B)을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넥크스트립(30)을 와인 병(B)의 목 부분에서 풀어서 걸림 상태를 간단히 해제하면 된다.
크기가 작은 와인 병(B)과 같은 용기를 수납할 때 크기가 작은 와인 병(B)의 목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넥크스트립(30)과 상기 본체부(10)의 가장자리 사이에 보조 넥크스트립(4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넥크스트립(40)은 상기 넥크스트립(30)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스트립(20)이 연결되는 본체부(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보조 절개선(41)을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네트형 캐리어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부(10)가 펼쳐진 상태에서 본체부(10) 중앙의 받침부(13)에 와인 병(B)과 같이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을 놓고, 양쪽 손잡이스트립(20)을 손으로 잡고 일정한 힘을 가해 들어올리면,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부(10)의 절개선(11)이 벌어지면서 네트형의 백 형태로 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어느 한 넥크스트립(30)을 손으로 잡고 와인 병(B)의 목 부분 상단을 통해 넘겨서 반대편에 걸고, 다시 다른 한 넥크스트립(30)을 손으로 잡고 와인 병(B)의 목 부분 상단을 통해 넘겨서 반대편에 건다. 이렇게 하면 2개의 넥크스트립(30)이 와인 병(B)의 목 부분을 교차하면서 걸어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스트립(20)을 잡지 않아도 본체부(10)가 펼쳐지지 않고 오므려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작은 크기의 와인 병(B)을 수납할 경우에는 상기 넥크스트립(30) 대신 보조 넥크스트립(40)을 사용하여 와인 병(B)의 목 부분을 걸어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본체부(10)를 오므려서 네트형 백 형태로 만들어 와인 병과 같은 용기를 수납할 때, 손잡이스트립(20)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넥크스트립(30) 또는 보조 넥크스트립(40)을 이용하여 와인 병(B)의 목 부분을 걸어서 지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캐리어에 와인 병(B)을 수납하고 이동하다가 테이블이나 바닥, 기타 구조물 위에 캐리어를 놓았을 때, 사용자가 손잡이스트립(20)을 잡지 않아도 본체부(10)가 펼쳐지지 않고 오므려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재이동시 다시 캐리어를 오므리는 조작을 할 필요가 없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넥크스트립(30)과 보조 넥크스트립(40)의 하부면에는 와인 병(B)의 목 부분과 접촉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부직포와 같은 재질의 마찰패드 또는 돌기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B : 와인 병 10 : 본체부
11 : 절개선 12 : 연결부
13 : 받침부 20 : 손잡이스트립
30 : 넥크스트립 40 : 보조 넥크스트립
41 : 보조 절개선
11 : 절개선 12 : 연결부
13 : 받침부 20 : 손잡이스트립
30 : 넥크스트립 40 : 보조 넥크스트립
41 : 보조 절개선
Claims (5)
-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절개선이 반경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복수의 절개선이 벌어지면서 네트형 백(bag) 형태로 변형되어 용기를 수납하게 되는 평판 형태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 부분 양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스트립;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손잡이스트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가 오므려지면서 용기를 수납할 때 용기의 목 부분을 교차하면서 지지하는 한 쌍의 넥크스트립; 및,
상기 넥크스트립과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 사이에 넥크스트립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작은 크기의 용기의 목 부분을 교차하면서 지지할 수 있는 보조 넥크스트립;
을 포함하는 네트형 캐리어.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절개선 사이의 연결부의 폭은, 반경방향 안쪽에 배열된 절개선 사이의 연결부의 폭(D1)이 반경방향 중간 부분에 배열된 절개선 사이의 연결부의 폭(D2)보다 크고, 반경방향 바깥 쪽에 배열된 절개선 사이의 연결부의 폭(D3)이 반경방향 중간 부분에 배열된 절개선 사이의 연결부의 폭(D2)보다 크게 형성되는 네트형 캐리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가장 바깥쪽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절개선에 의해 형성되는 가장 바깥쪽 스트립의 폭(W1)은 그 안쪽의 스트립의 폭(W2)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네트형 캐리어.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512U KR200492561Y1 (ko) | 2019-02-01 | 2019-02-01 | 네트형 캐리어 |
US16/558,414 US20200247586A1 (en) | 2019-02-01 | 2019-09-03 | Net carrier |
JP2019003335U JP3224791U (ja) | 2019-02-01 | 2019-09-04 | ネット型キャリア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512U KR200492561Y1 (ko) | 2019-02-01 | 2019-02-01 | 네트형 캐리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799U KR20200001799U (ko) | 2020-08-11 |
KR200492561Y1 true KR200492561Y1 (ko) | 2020-11-04 |
Family
ID=6916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0512U KR200492561Y1 (ko) | 2019-02-01 | 2019-02-01 | 네트형 캐리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247586A1 (ko) |
JP (1) | JP3224791U (ko) |
KR (1) | KR200492561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5142B1 (ko) * | 2021-01-28 | 2023-01-06 | 임성묵 | 쇼핑백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89943A (ja) * | 2010-03-12 | 2011-09-29 | Morisei Ltd | ボトル包装体 |
Family Cites Families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3928A (en) * | 1889-05-28 | Collapsible hand bag or sack | ||
US2390423A (en) * | 1942-12-24 | 1945-12-04 | Fulton Bag | Bag closure |
US3067039A (en) * | 1959-09-28 | 1962-12-04 | Allied Plastics Co | Produce packaging means |
US3040966A (en) * | 1959-09-28 | 1962-06-26 | Allied Plastics Co | Article packaging sleeve |
US3109579A (en) * | 1961-02-14 | 1963-11-05 | Allied Plastics Co | Slit wrapper for use in packaging produce in baskets |
US3069067A (en) * | 1961-02-14 | 1962-12-18 | Allied Plastics Co | Produce wrapper with fastening slit |
US3245606A (en) * | 1963-11-13 | 1966-04-12 | Allied Plastics Co | Slit packaging bag |
CH511706A (de) * | 1968-03-26 | 1971-08-31 | Breveteam Sa | Geschlitztes nichttextiles Flächengebilde, bei dem eine oder beide Oberflächen mit einer Klebstoffschicht versehen sind und mindestens eine Oberfläche rutschhemmende Eigenschaften aufweist |
US3495764A (en) * | 1968-04-17 | 1970-02-17 | Allied Plastics Co | Slit bag for produce and the like |
US3550842A (en) * | 1969-01-27 | 1970-12-29 | Standun | Slit wrapper for produce |
US3781183A (en) * | 1969-06-27 | 1973-12-25 | Cellu Prod Co | Net-like thermoplastic material and products |
US3603369A (en) * | 1969-07-02 | 1971-09-07 | Standun | Produce wrapper |
US3762629A (en) * | 1971-07-27 | 1973-10-02 | Mario Manetti | Latticed produce wrapper |
US3756300A (en) * | 1971-09-20 | 1973-09-04 | G Nalle | Plastic mesh bag |
US4047550A (en) * | 1976-02-23 | 1977-09-13 | Standun, Inc. | Packaging wrapper |
USD248002S (en) * | 1976-04-28 | 1978-05-30 | Staub Dennis E | Suspendible support for potted plants or the like |
US4297154A (en) * | 1979-02-09 | 1981-10-27 | National Steel Corporation | Method of manufacturing expanded reinforcing sheet material |
US4503561A (en) * | 1983-08-12 | 1985-03-05 | Bruno Edward C | Bag for packaged produce |
USD297307S (en) * | 1985-09-16 | 1988-08-23 | Gary Garber | Storage bag |
GB2190651B (en) * | 1986-05-22 | 1989-12-06 | Intermas Sa | Net bag of extruded plastics material |
US4957791A (en) * | 1988-09-29 | 1990-09-18 | Richter Manufacturing Corporation | Packing sleeve |
US5050999A (en) * | 1990-07-26 | 1991-09-24 | Loon Iii James C Van | Open-mesh net bag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US5150970A (en) * | 1991-09-23 | 1992-09-29 | Albarelli Joseph M | Open mesh carrying bag and method of making |
US5667871A (en) * | 1992-03-16 | 1997-09-16 | Geopax Ltd. | Slit sheet packing material |
US5705252A (en) * | 1995-01-05 | 1998-01-06 | Cascade Designs, Inc. | Expanded foam product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
US5529228A (en) * | 1995-01-30 | 1996-06-25 | Biagi; Matthew | Mesh liquid container carrier |
KR19990026386U (ko) * | 1997-12-19 | 1999-07-15 | 정몽규 | 자동차 시트벨트의 장력리미트장치 |
USD473374S1 (en) * | 1998-10-01 | 2003-04-22 | Maxworld, Inc. | Tubular bag with variable gathers |
USD437410S1 (en) * | 1998-10-26 | 2001-02-06 | Paul L. Watson | Pouch for surgical drain tubes |
KR200179374Y1 (ko) | 1999-11-29 | 2000-04-15 | 신기은 | 휴대용 백 |
US6685274B1 (en) * | 2000-01-24 | 2004-02-03 | Multi-Reach, Inc. | Method of manufacturing one-piece mop swab |
KR200339216Y1 (ko) | 2003-10-15 | 2004-01-16 | 이종석 |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망태형 쇼핑백 |
PL2078682T3 (pl) * | 2008-01-10 | 2011-07-29 | Daumar Talleres | Torba siatkowa z tworzywa sztucznego |
KR200459516Y1 (ko) | 2009-04-08 | 2012-03-28 | 제이윌컴퍼니(주) | 다목적 와인캐리어 |
US8919689B2 (en) * | 2009-11-12 | 2014-12-30 | Kucharco Corporation | Apparatus to deploy and expand web material |
US20120160884A1 (en) * | 2010-12-27 | 2012-06-28 | Levine Steven E | Bottle carrying device |
-
2019
- 2019-02-01 KR KR2020190000512U patent/KR200492561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9-03 US US16/558,414 patent/US2020024758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9-09-04 JP JP2019003335U patent/JP3224791U/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89943A (ja) * | 2010-03-12 | 2011-09-29 | Morisei Ltd | ボトル包装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247586A1 (en) | 2020-08-06 |
KR20200001799U (ko) | 2020-08-11 |
JP3224791U (ja) | 2020-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33619A (en) | Light string carrier | |
US8087511B2 (en) | Cup carrier | |
US8844755B2 (en) | Nested pan and folded pan cover | |
WO2015183973A1 (en) | Bag system | |
US20010048054A1 (en) | Bag holder | |
KR200492561Y1 (ko) | 네트형 캐리어 | |
KR20180050870A (ko) |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 |
JP3211795U (ja) | 手提げ袋 | |
US20130270206A1 (en) | Bottle Caddy | |
US20060113202A1 (en) | Clothes hanger storage device | |
US6334536B1 (en) | Hanging ornament storage container | |
KR20190002315U (ko) | 상품포장용 상자 | |
EP2909094A1 (en) | Collapsible article and kit comprising the same | |
KR102110092B1 (ko) | 과일 포장 장치 | |
KR200480624Y1 (ko) | 휴대용 디바이스 패키징 박스 | |
JP5697824B2 (ja) | 容器取り出し用シート | |
CN210143999U (zh) | 一种能够稳定提起容器的购物袋 | |
JP2001247182A (ja) | 包装用緩衝体並びにこれを用いた包装体 | |
JP3214637U (ja) | ごみ箱とごみ袋保持具 | |
WO2013083711A1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rment hangers | |
KR200314053Y1 (ko) | 포장용 비닐봉지 걸이구 | |
KR200316292Y1 (ko) | 일회용컵의 적층 포장구조 | |
US20190352043A1 (en) |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ainer with a handle | |
KR200337449Y1 (ko) | 적층 일회용컵의 포장구조 | |
KR101657396B1 (ko) | 식판용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