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100Y1 - 합권과 분권이 가능한 책 - Google Patents

합권과 분권이 가능한 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100Y1
KR200492100Y1 KR2020190002279U KR20190002279U KR200492100Y1 KR 200492100 Y1 KR200492100 Y1 KR 200492100Y1 KR 2020190002279 U KR2020190002279 U KR 2020190002279U KR 20190002279 U KR20190002279 U KR 20190002279U KR 200492100 Y1 KR200492100 Y1 KR 200492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incision
booklet
cover
bac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555U (ko
Inventor
박헌구
Original Assignee
박헌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헌구 filed Critical 박헌구
Priority to KR2020190002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10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5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1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1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with at least two separate set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06Indexing means on book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8Ornamented cov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권된 낱권들 중에서 원하는 낱권을 용이하게 찾아서 용이하게 책갑에서 빼내기 위한 기능을 가진 책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책갑과 낱권들을 가진 책에 있어서,
낱권들 각각은 책갑이 끼워져서 책을 형성하게 되며;
책갑에는, 앞표지(1)와 뒤표지(2) 사이에 밀폐된 측면(3)이 있고, 바닥에는 밀폐된 하부면(4)이 있으며, 상부에는 밀폐된 상부면(5)이 연결되게 있으며, 측면(3)과 대면하는 쪽은 개방되어 있으며, 앞표지(1)와 뒤표지(2)의 개방된 부분의 각각에는 가장자리의 동일 위치에 제1 절개 부분이 존재하며, 상부면(5)에는 제1 절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앞표지(1)와 뒤표지(2)를 관통하는 제2 절개 부분이 존재하며;
낱권들 각각의 앞뒤 표지에는 상기 제1 절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낱권의 권 번호(a)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이용하면, 책갑의 절개 부분을 통해 낱권의 권 번호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읽으려는 낱권만을 용이하게 뽑아 읽을 수 있으므로 한 권으로 된 두꺼운 책을 휴대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합권과 분권이 가능한 책{Book capable of Combining and Separating of Volumes}
본 고안은 합권과 분권이 가능한 책에 관한 것이다.
모든 책들은 그 책의 제목, 저자명, 출판사 이름 등이 인쇄된 두꺼운 겉표지 속에 차례에 따라 본문이 인쇄된 종이로 함께 제본되어 있다.
300페이지 이상의 많은 페이지로 이루어져 두껍고 무거운 책들이 많다.
그래서, 독자들이 책을 읽을 때는 한 번에 책 전체를 독파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는 장소를 옮기거나 짬짬이 시간을 내서 읽는 것이 보통인데, 독자들이 이렇게 두껍고 무거운 책을 들고 다니면서 읽으려면 그 책의 부피와 무게 때문에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고, 이러한 불편함은 두꺼운 책일수록 가중되게 된다.
더구나 두꺼운 책일수록 책장을 펼쳐보면 그 지면이 약간 곡면을 이루는데, 독자가 그 곡면을 따라 시선을 옮겨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때로는 그 곡면이 평평해지도록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읽어야 하는 불편함도 있으며, 펼쳐진 책장은 항상 원상태대로 접혀지려는 경향이 있어 이것도 신경을 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책을 읽다가 잠시 쉬려고 할 때는 읽던 부분의 책장을 접어놓거나 책갈피 등을 일일이 꽂아 놓아야 하는 불편함도 있게 된다.
이러한 불편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한권의 책을 여러 권의 낱권들로 분리하여 제작하고 각각의 낱권을 도1과 같이 책갑(bookcase)에 넣는 책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책갑에 넣은 낱권들 중에서 원하는 낱권을 꺼내기 위해서는, 낱권들이 들어 있는 책갑의 개구부를 하방으로 기울여서 낱권들이 하중에 의해 책갑에서 나오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하방으로 기울여도 잘 나오지 않으면 흔들어 주어서 나오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므로, 책갑에서 모든 낱권들이 나와, 나온 모든 낱권들 중에서 원하는 낱권을 빼고 나머지들을 다시 밀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잘 안 나올 때에는 흔들어 주어야 하는 불편도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43869호(2003.06.02.일 공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분권된 낱권들 중에서 원하는 낱권을 용이하게 찾아서 용이하게 책갑에서 빼내기 위한 기능을 가진 책을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책갑과 낱권들을 가진 책에 있어서,
낱권들 각각은 책갑이 끼워져서 책을 형성하게 되며;
책갑에는, 앞표지(1)와 뒤표지(2) 사이에 밀폐된 측면(3)이 있고, 바닥에는 밀폐된 하부면(4)이 있으며, 상부에는 밀폐된 상부면(5)이 연결되게 있으며, 측면(3)과 대면하는 쪽은 개방되어 있으며, 앞표지(1)와 뒤표지(2)의 개방된 부분의 각각에는 가장자리의 동일 위치에 제1 절개 부분이 존재하며, 상부면(5)에는 제1 절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앞표지(1)와 뒤표지(2)를 관통하는 제2 절개 부분이 존재하며;
낱권들 각각의 앞뒤 표지에는 상기 제1 절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낱권의 권 번호(a)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이용하면, 책갑의 절개 부분을 통해 낱권의 권 번호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읽으려는 낱권만을 용이하게 뽑아 읽을 수 있으므로 한 권으로 된 두꺼운 책을 휴대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얇은 낱권으로 만들면 낱권을 펼쳤을 때 지면이 거의 평평하고 원상태대로 덮어지려는 경향도 없어져서 잠시 그대로 놓아두었다가 다시 읽으려 할 때 아무 지장을 받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라 완성된 책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책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책갑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낱권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갑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낱권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책갑의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사용되는 책갑의 사시도
이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책의 사시도이다. 도3에 나타난 책갑과 도4에 표시된 낱권들을 조합하여 도2에 나타난 책이 완성되게 된다.
도3에 나타난 책갑은 그 앞표지(1)와 뒤표지(2) 사이에 밀폐된 측면(3)이 있고 바닥에는 하부면(4)이 있으며 상부에는 상부면(5)이 연결되게 된다. 또한, 앞표지(1)와 뒤표지(2)의 상부 우측 모서리 부분에는 절개 부분(7, 7‘이 존재하고, 이 절개 부분(7, 7‘에 대응하는 상부면(5)도 절개되어 있다.
그리고,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낱권들의 전면 및 후면에는 절개부분(7, 7‘에 대응하는 부분에 낱권들의 권 번호가 표시된 부분(a)이 존재하여, 독자가 이 앞표지(1)의 절개부분(7)을 통해 보이는 낱권 권 번호 표시 부분(a)을 이용하여책갑 안에 꽂아 놓은 낱권들을 일일이 다 뽑지 않더라도 첫째 낱권의 권 번호를 용이하게 인식하게 되고, 뒤표지(2)의 절개부분(7’을 통해 마지막의 낱권의 권 번호를 용이하게 인식하게 된다. 또한 절개 부분(7, 7‘을 통해 낱권을 쉽게 뽑고 꽂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책갑의 앞표지(1)에는, 책의 제목, 저자명, 출판사 이름과 같은 책 관련 기본 정보와 함께, 낱권의 권 번호(a)와 책의 본문 차례에 따른 장(chapter) 번호(b), 그 장의 소제목(c), 그 장의 시작 페이지 번호(d) 등의 낱권들 관련 세부 정보를 인쇄해 놓으면, 독자들이 책을 구매할 때 책의 표지 앞장에 있는 책 제목과 저자명, 출판사 이름 등의 책 관련 기본 정보를 인지하게 되고 소제목(c)을 통해 책의 본문의 내용을 어느 정도 인지한 상태에서 책의 구매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물론 책갑에서 낱권들을 빼서 볼 수 있는 경우에는 낱권들의 본문 내용까지 살펴 보면서 구매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도2처럼 책갑의 앞표지(1)에 책 관련 기본 정보만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4는 책의 첫 번째 낱권의 전면(도4의 좌측 도면)과 후면(도4의 우측 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인데, 책의 본문을 차례에 따라 여러 편으로 나누어 만든 낱권은 그 순서에 따라 낱권의 권 번호(a)를 책갑의 절개부분(7, 7’에 맞추어 낱권의 표지 앞면과 뒷면 양쪽에 인쇄해 놓아서, 낱권들을 책갑에 어떤 방향으로 끼우더라도 책갑의 앞표지 절개부분(7)을 통해 첫째 낱권의 권 번호(a)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고, 책갑의 뒤표지 절개부분(7’을 통해서는 맨 뒤의 낱권 권 번호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낱권의 표지 앞면에는 권 번호(a)와 함께 책의 제목과 저자명, 출판사 이름 등의 책 관련 기본 정보 뿐만 아니라, 낱권 번호에 해당하는 차례 순번(b), 그 장의 소제목(c) 및 페이지(d)를 인쇄하여 각 낱권에 수록된 내용을 어느 정도 용이하게 알 수 있게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책갑의 다른 부분에 절개부분을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책갑은 그 앞표지(1)와 뒤표지(2)의 우측 중간 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절개부분(7, 7’을 설치한 것인데 이 절개부분의 용도는 도3과 같이, 독자가 용이하게 낱권의 권 번호를 인식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책갑 윗면(5)도 절개부분의 폭만큼 짧게 만든 절개 부분(11)을 설치하여 낱권을 쉽게 뽑거나 꽂을 수 있게 한다.
도6은 도5의 책갑에 들어가는 첫 번째 낱권의 권 번호(a)를 앞뒤 표지에 인쇄해 놓은 것을 나타낸다.
도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책갑을 나타낸다.
이 책갑은 그 앞표지(1)과 뒤표지(2) 사이에 측면(3)이 있고 바닥에는 하부면(4)이 연결되어 있고, 앞쪽에도 그 절반쯤이 막힌 앞면(6)이 있고, 앞면 위에서부터 윗면이 모두 터져서 개방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개방 부분은 책갑 안의 낱권을 위쪽으로 용이하게 뽑고 꽂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책갑의 절개부분(7, 7‘도 도3의 책갑과 같이 앞표지(1)와 뒤표지(2)의 상부 우측 모서리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 책갑에 끼워지는 낱권들은 도4의 낱권과 동일하다.
도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책갑을 나타내는데, 이 책갑은 도3의 책갑과 동일한 기능을 하면서, 책갑 앞표지(1)에 낱권의 권 번호(a)와 본문 차례 등의 정보를 모두 인쇄할 수 없는 경우, 즉 차례가 너무 길거나 저자의 프로필, 출판사 정보 등을 인쇄할 지면이 더 필요할 경우를 대비하여, 추가 표지(8)와 속지(9)를 추가하여 긴 차례나 다른 정보들을 인쇄 가능하게 한다. 물론 뒤표지(2)에도 또 다른 추가 표지와 속지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추가된 표지(8)와 속지(9)도 반드시 책갑 앞뒤 표지의 절개부분(7, 7’과 똑같은 위치에 똑같은 크기의 절개부분이 있어야 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두꺼운 책의 본문을 차례에 따라 여러 얇은 낱권으로 나누어 제본하여 본 고안처럼 절개부분이 있는 독특한 구조의 책갑 속에 함께 꽂아 놓으면, 이 절개 부분을 통해 낱권의 권 번호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읽으려는 낱권만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뽑아 읽을 수 있으므로, 한 권으로 된 두꺼운 책을 휴대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제일 앞의 낱권을 뽑아 읽은 다음에는 제일 뒤에 다시 꽂아 놓고 차례차례 다음 낱권을 뽑아 읽으면 보다 편리하게 된다.
또한, 짬짬이 책을 읽으려 할 때 책 전체를 휴대하지 않고 허용된 장소와 시간에 맞추어 읽으려는 부분의 낱권만을 뽑아 가져가면 되므로 편리하다.
그리고, 두꺼운 책을 펼쳐보면 본문의 지면이 약간 곡면을 이루며 원상태대로 덮어지려는 경향이 있는데, 얇은 낱권으로 만들면 낱권을 펼쳤을 때 지면이 거의 평평하고 원상태대로 덮어지려는 경향도 없어져 잠시 그대로 놓아두었다가 다시 읽으려 할 때 아무 지장을 받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두꺼운 책일수록 그 효과가 증대되는데, 예를 들면 학생들은 당일 수업이나 강의를 위해 모든 과목의 책을 지참해야 하는 경우에, 만일 본 고안에 따라 책이 만들어진다면 책을 모두 지참할 필요 없이 이미 배운 부분이나 다음에 배울 부분은 남겨놓고 그날 수업에 맞추어 해당 낱권만을 지참하면 되므로, 학생들이 매일 메고 다니는 책가방의 부피와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어 무거운 책가방 때문에 겪게 되는 고충을 해결해 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책갑과 낱권들을 가진 책에 있어서,
    낱권들 각각이 책갑에 끼워져서 책을 형성하게 되며;
    책갑에는, 앞표지(1)와 뒤표지(2) 사이에 밀폐된 측면(3)이 있고, 바닥에는 밀폐된 하부면(4)이 있으며, 상부에는 밀폐된 상부면(5)이 연결되게 있으며, 측면(3)과 대면하는 쪽은 개방되어 있으며, 앞표지(1)와 뒤표지(2)의 개방된 부분의 각각에는 가장자리의 동일 위치에 제1 절개 부분이 존재하며, 상부면(5)에는 제1 절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앞표지(1)와 뒤표지(2)를 관통하는 제2 절개 부분이 존재하며;
    낱권들 각각의 앞뒤 표지에는, 낱권의 제본 쪽과 제본 쪽의 반대 쪽의 상기 제1 절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 각각에 낱권의 권 번호(a)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갑과 낱권들을 가진 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 부분은 상기 가장자리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갑과 낱권들을 가진 책.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 부분은 상기 가장자리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갑과 낱권들을 가진 책.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표지(1) 또는 뒤표지(2)에 추가 표지(8)와 속지(9)가 설치되고, 추가 표지(8)와 속지(9)의 상기 제1 절개 부분과 제2 절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갑과 낱권들을 가진 책.
KR2020190002279U 2019-06-04 2019-06-04 합권과 분권이 가능한 책 KR200492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79U KR200492100Y1 (ko) 2019-06-04 2019-06-04 합권과 분권이 가능한 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79U KR200492100Y1 (ko) 2019-06-04 2019-06-04 합권과 분권이 가능한 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55U KR20190001555U (ko) 2019-06-24
KR200492100Y1 true KR200492100Y1 (ko) 2020-08-05

Family

ID=6700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79U KR200492100Y1 (ko) 2019-06-04 2019-06-04 합권과 분권이 가능한 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100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985U (ko) * 1994-01-18 1995-08-21 방광석 펜꽂이를 가진 책
KR100530617B1 (ko) 2003-05-09 2005-11-23 (주)기탄교육 낱권으로 분리되는 책 및 그 제본방법
KR20100065960A (ko) * 2008-12-09 2010-06-17 박창훈 책갈피 일체형 책 표지 제조방법
KR20140064123A (ko) * 2012-11-19 2014-05-28 박성준 책을 뺄 수 있는 책갈피
KR20150106588A (ko) * 2014-03-12 2015-09-22 김영고 명함이 구비된 서류 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55U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8498B2 (en) Indexing system package and display system
US5947279A (en) Storage system
US5909979A (en) One-piece machinable index divider with integral pocket
US5494366A (en) Organizer notebook
CA2541113C (en) Dual notebook
US6648374B2 (en) Presentation devices with indexed holders
KR200492100Y1 (ko) 합권과 분권이 가능한 책
US20020094226A1 (en) Indexing system package and display system
CN101479112A (zh) 书及其制造方法
KR100850291B1 (ko) 노트
JP3116936U (ja) クリアポケット
KR200432513Y1 (ko) 양방향 독서가 가능하도록 제본된 책
JP3118002U (ja) 偏平記録媒体収納用ブックカバー及び偏平記録媒体収納冊子
KR102410740B1 (ko) 포스트잇이 내장되는 책
CN213228077U (zh) 阅读位置记录器
JP6813220B1 (ja) 書類収納ファイル
KR200495098Y1 (ko) 문서 보관용 바인더
US20100078342A1 (en) Document Retention Device with Integral Pillow Box
KR102410741B1 (ko) 포스트잇이 내장되는 필기장
JP2021084430A (ja) 収納ポケット
US20110129290A1 (en) Tabbed Dividers for Use with Protective Sleeves
US20040042844A1 (en) Binder with indexing extension
CA2485895C (en) Indexing system package and display system
EP0212768A2 (en) Booklet
EP0755805A2 (en) Book or the like having a composit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