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068Y1 - 가림판과 소문대가 구비된 벌통 - Google Patents

가림판과 소문대가 구비된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068Y1
KR200492068Y1 KR2020170006464U KR20170006464U KR200492068Y1 KR 200492068 Y1 KR200492068 Y1 KR 200492068Y1 KR 2020170006464 U KR2020170006464 U KR 2020170006464U KR 20170006464 U KR20170006464 U KR 20170006464U KR 200492068 Y1 KR200492068 Y1 KR 200492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rumor
bees
fram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547U (ko
Inventor
최훈
Original Assignee
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2020170006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68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5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Abstract

본 고안은 가림판과 소문대가 구비된 벌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벌통의 이동이 편리하고, 벌통의 생육환경을 최적화하여 양봉시 벌틀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벌통에서 벌들의 출입이 제어되는 소문 프레임과 벌들의 출입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개폐 조절판과 숫벌퇴치구를 구비하여 벌들의 개체가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한 가림판과 소문대가 구비된 벌통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은 벌통의 이동이 편리하고, 벌들의 개체가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여 벌통에 대한 꿀벌들의 최적 생활조건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출입구에 독립적인 출구를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출입구의 형태를 가변적으로 변형하여 말벌의 침입을 방지하고 수벌이 벌통 외부로 효율적으로 이탈되게 출입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꿀벌들의 최적 생활조건을 유지하게 함과 아울러 꿀벌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꿀벌들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그 꿀벌들의 생명을 연장시켜 봉산물을 크게 증산시키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림판과 소문대가 구비된 벌통{Beehive structure with shading and small doors}
본 고안은 가림판과 소문대가 구비된 벌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벌통의 이동이 편리하고, 벌통의 생육환경을 최적화하여 양봉시 벌틀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벌통에서 벌들의 출입이 제어되는 소문 프레임과 벌들의 출입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개폐 조절판과 숫벌퇴치구를 구비하여 벌들의 개체가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한 가림판과 소문대가 구비된 벌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용 벌통은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몸체의 내외부로 벌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벌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집을 지어서 저장한 왕유, 벌꿀, 화분, 밀랍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벌통은 통상 덮개로 개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 몸체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하부에는 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출입구, 즉 소문이 형성되며, 이 출입구를 통해 벌들이 출입하며 주변의 식물로부터 꿀을 채집하여 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벌집, 즉 소비에 벌꿀 등을 저장하며 꿀을 생산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뚜렷한 사계절을 갖고 있어, 우리나라의 봉군의 상황은 계절의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즉, 밀원식물이 크게 번성하는 하절기에는 봉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봉군이 크게 형성되는 시기(이하 "유밀기"라고 한다)인 반면, 밀원식물이 퇴보하는 동절기(이하 "무밀기"라고 한다)에는 다음 해(年)를 위한 봉군만을 관리하였다. 따라서, 계절의 변화에 따른 봉군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유밀기시에 꿀벌들의 외역활동의 격감 등의 분봉열을 방지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였다.
또한, 벌들은 생리적 특성상, 빛, 계절, 날씨 또는 기온 등의 변화에 상당히 민감하고 추위에 매우 약하다. 특히, 동절기에는 벌들에 대해 보온과 체력소모를 최소화하여 사봉율을 줄이도록 벌통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였다.
이에, 종래에는 벌통의 출입구에 판재를 못으로 박아 설치하여 계절 등의 변화에 따른 봉군, 분봉열 또는 꿀벌들의 사봉율 등을 관리하였는데, 그러나 이는 출입구에 대한 그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75782호로 개시된 소상의 소문마개, 즉 벌통의 출입구인 소문에 소문마개를 소문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하여 소문을 조절하도록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26837호로 개시된 양봉용 입체소문은 벌통의 출입구에 출입부가 형성된 소문부재를 별도로 설치하고, 이 소문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출입부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설치하여, 이 조절부재가 삽입공을 따라 슬라이드되게 이동가능하며 소문부재의 출입부의 폭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벌통의 출입구를 조절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98517호로 개시된 벌통의 소문구조는 벌통의 소문에 대해 출입구를 구비한 고정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고, 이 고정 프레임의 후측으로 가변 프레임을 설치하되, 고정 프레임에 대해 가변적으로 이동되게 설치하여, 이 가변 프레임의 이동으로 의해 고정 프레임의 출입구를 조절하도록 한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시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75782호, 20-0226837호 및 20-0298517호의 소문구조는 벌통의 출입구를 조절하여 계절 등의 변화에 따른 봉군, 분봉열 또는 꿀벌들의 사봉율 등을 어느 정도 관리하고는 있으나, 단순 구조로 인해 벌통의 출입구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고, 결국 봉산물을 증산시키는 데에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06126호(2015년 03월 26일 등록)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5154호(2007년 01월 03일 등록)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9543호(2006년 06월 15일 등록)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7776호(2014년 05월 28일 등록)
본 고안자는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좀 더 개선된 벌통 구조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벌통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벌통의 생육환경을 최적화하여 양봉시 벌틀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가림판과 이동망, 숫벌퇴치구 등을 구비하여 벌들의 개체가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여 벌통에 대한 꿀벌들의 최적 생활조건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유밀기시 꿀벌들의 외역활동의 격감 등의 분봉열을 방지하게 함과 아울러, 벌통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여 벌꿀 등의 봉산물을 증산시키게 하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벌통의 이동이 편리하고, 벌들의 개체가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여 벌통에 대한 꿀벌들의 최적 생활조건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유밀기시 꿀벌들의 외역활동의 격감 등의 분봉열을 방지하게 함과 아울러, 월동기에도 벌통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여 벌꿀 등의 봉산물을 증산시키게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양봉용 벌통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은 벌통의 이동이 편리하고, 벌들의 개체가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여 벌통에 대한 꿀벌들의 최적 생활조건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출입구에 독립적인 출구를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출입구의 형태를 가변적으로 변형하여 말벌의 침입을 방지하고 수벌이 벌통 외부로 효율적으로 이탈되게 출입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꿀벌들의 최적 생활조건을 유지하게 함과 아울러 꿀벌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꿀벌들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그 꿀벌들의 생명을 연장시켜 봉산물을 크게 증산시키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각 형상의 틀의 설명도이다.
도 4 및 5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가림판의 설명도이다.
도 6 및 7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이동망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저면 사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화분채취구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소문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소문 프레임과 개폐 조절판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벌 퇴치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일면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의 양봉용 벌통으로서
소비가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사각통 형상의 덮개(101),
상기 본체(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101)의 내측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사각형상의 틀(102),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 상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플랜지(103),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하방에 형성된 다리(170),
상기 틀(102)의 내측면에 소비가 걸쳐지도록 양쪽에 형성된 단턱(104),
상기 플랜지(103)의 하측에 구비되어 햇빛을 차단하거나 또는 빗물이 상기 출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판(110),
본체(100)의 전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고, 복수의 벌 출입구가 하측에 형성되는 소문 프레임(150); 및
상기 소문 프레임(150)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슬라이드 결합되어 벌의 출입을 조절하는 소문용 개폐 조절판(15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문 프레임이 구비된 양봉용 벌통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는 벌이 드나들도록 형성된 출입구 부분을 전방, 반대쪽을 후방이라는 기준으로 설정하고, 이를 방향에 대한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정면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각 형상의 틀의 설명도이고, 도 4 및 5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가림판의 설명도이며, 도 6 및 7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이동망의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저면 사시 설명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화분채취구의 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의 소문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소문 프레임과 개폐 조절판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벌 퇴치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은 그 외형 구조는 통상의 사각 형상의 양봉용 벌통의 형상을 가지며, 가급적 (받침) 다리(170)가 구비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벌통은 기본적으로 소비가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사각통 형상의 덮개(101), 상기 본체(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101)의 내측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사각형상의 틀(102),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 상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플랜지(103),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하방에 형성된 다리(170), 상기 틀(102)의 내측면에 소비가 걸쳐지도록 양쪽에 형성된 단턱(1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틀(102)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체(100)를 지지하기 용이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101)의 내측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틀(102)의 내측면에 소비가 걸쳐지도록 양쪽에 형성된 단턱(104)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1"자형 빗금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종래의 다이아몬드 형상이나 네모 형에 비하여 소비가 탄력성 있게 걸쳐질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가림판(110)은 상기 플랜지(103)의 바로 하측에 구비되어 햇빛을 차단하거나 또는 빗물이 상기 출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햇빛이 강할 때는 서늘한 환경을 제공하여 벌이 건강하게 하고, 채분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가림판(110)은 본체(100)의 플랜지(103)의 바로 하측에 구비된 가림판 체결구(111)에 형성된 홈에 끼워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별법으로 가림판(110)의 상부에는 본체(100)에 형성된 플랜지(103)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자석(112)이 부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가림판(110)에 부착된 자석(112)과 본체(100)에 형성된 플랜지(103)의 하부에 부착 고정된 다른 하나의 자석(112)은 자력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는데, 여기서, 가림판(110)은 금속 재질로 구성된 철판 등을 이용하여 본체(100)에 고정된 자석(112)에 직접 고정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자석(112)은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형태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자력이 강한 이방성 고무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석(112)은 가림판(110)이 본체(100)에 쉽고 편리하게 탈부착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자석(112)은 본체(100)에 형성된 플랜지(103)의 하부 고정되는 자석(112)과, 가림판(110)의 상부에 고정된 다른 하나의 자석(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 및 가림판(110)에 고정되는 자석(112)은 볼트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석(112)은 본체(100)에 형성된 플랜지(103)의 하부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랜지(103)의 상부 또는 본체(100)의 외벽에 부착시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망(120)과 후면 이동망(130)은 벌들이 생육하는 상태에서 벌통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것들로서, 벌통의 이동시에는 벌통 내부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통기가 필요하다.
이동망(120)은 본체(100)에 구비된 이동망 고정 체결구(121)에 의해 고정시키는데, 이동망(120)의 끝부분이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이동망 고정 체결구(121)를 회전시켜 체결한다.
한편, 후면 이동망(130)은 평상시에는 후면 이동망 커버(131)를 닫은 상태로 사용하고, 벌통의 이동시에는 후면 이동망 커버(131)을 분리하여 본체(100)의 저면에 구비된 이동망 커버 고정구(132)에 보관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망 커버(131)의 관리가 편리하고 유실 염려가 없다.
화분 채취구(140)는 화분 채취구 고정구(141)에 탈착시켜 필요시 분리하거나 부착하여 사용한다. 화분 채취구 고정구(141)는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화분 채취구의 형상을 고려하여 "ㄴ" 자 형으로서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소문 프레임(150)은 본체(100)의 전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고, 복수의 벌 출입구가 하측에 형성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벌통의 소문 프레임(150)이 본체(10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서 격리판을 설치할 경우 벌통(100)의 내부 공간은 2개의 내부 공간으로 구획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소문 프레임(150)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문용 개폐 조절판(151)은 상기 소문 프레임(150)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슬라이드 결합되어 벌의 출입을 조절한다.
상기 소문 프레임(150)은 본체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데, 소문 개폐조절판(151, 152)이 좌우 양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본체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한다.
소문용 개폐 조절판(151, 152)은 본체(100)와 소문 프레임(15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슬라이드 결합되어 벌의 출입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판은 꿀벌이나 일벌들만 통과하거나, 외부의 말벌 등이 출입을 방지하거나, 숫벌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여 벌들의 생육환경을 최적으로 하는 한편, 월동기에는 입구를 최소로 개폐함으로서 온도가 유지되게 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폐 조절판(151, 152)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단부는 손잡이가 구비된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문 프레임(150)에는 숫벌 퇴치구(160)가 더 구비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숫벌 퇴치구(160)는 숫벌이 통과하는 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통(161)이 내부에 형성되고, 케이스(162)의 일측에 소문 프레임(150)에 형성된 벌 출입구에 삽입되는 결합부(163)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벌통의 소문 프레임 구조는 이와 같은 구조로 본체(100)의 출입구(153)에 삽입 설치되어 봉산물의 증산 및 꿀벌들의 사양을 위해 출입구(153)를 개폐시킴과 아울러 그 개폐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벌통의 소문 프레임 구조는 계절, 날씨, 기온 등의 변화에 따라 본체(100)의 내외부를 연락하는 출입구(153)를 개폐 조절판(151, 152)으로 조절하게 하여 봉군, 분봉열 또는 꿀벌들의 사봉율 등을 관리하게 한다. 예컨대, 본 고안의 벌통의 소문 프레임구조는 유밀기시 꿀벌들이 상기 소문 프레임 내의 출입구를 출입하도록 조절판으로 조절하여 봉군을 관리하게 되며, 또한 유밀기가 끝나는 시점에서 꿀벌들의 출입을 제한하여 봉군열을 예방하게 한다. 한편, 무밀기시 벌통본체(100)의 내부로 냉기 등의 유입을 방지하여 벌통에 대한 꿀벌들의 최적 생활조건을 유지하게 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소문 프레임과 개폐 조절판의 다양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도로서, (a)의 경우에는 숫벌 제거용 소문 프레임의 형태로서, 개폐 조절판(151, 152)에 높이를 제한하도록 슬라이드를 구성하고, 수벌 퇴치구(160)을 장착하여 숫벌을 적기에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꿀벌의 생산량을 늘일 수 있고, (b)의 경우에는 봄 벌관리에 적합하도록 슬라이드 폭을 조절하되 좌,우 2측으로 개방되게 형성하며, (c)의 경우에는 화분채취가 가능하도록 소문의 출입구를 조절할 수 있으며, (d)의 경우에는 가을철 말벌을 방지하고 월동 때 쥐 피해방지를 위하여 출구를 최소한 형태로 개폐 조절판의 슬라이드 형상을 좁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꿀벌들은 추위에 상당히 약하기 때문에, 꿀벌들은 약한 냉기에도 쉽게 동사하게 되며, 또한 꿀벌들은 빛에 상당히 민감하기 때문에, 벌통의 내부에 빛이 조금이라도 스며들게 되면, 꿀벌들의 움직임은 활발해지고 때로는 벌통 밖으로 나오려고 하는 등의 체력 소모가 증가되어 꿀벌들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출구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본체
101: 덮개
102: 틀
103: 플랜지
104: 단턱
110: 가림판
111: 가림판 체결구
112: 자석
120: 이동망
121: 이동망 고정 체결구
130: 후면 이동망
131: 후면 이동망 커버
140: 화분채취구
150: 소문 프레임
160: 숫벌 퇴치구

Claims (4)

  1. 육면체 형상의 양봉용 벌통으로서
    소비가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사각통 형상의 덮개(101),
    상기 본체(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101)의 내측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사각형상의 틀(102),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 상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플랜지(103),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하방에 형성된 다리(170),
    상기 틀(102)의 내측면 양쪽에 소비가 걸쳐지도록 복수 개의 "1"자형 빗금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단턱(104),
    상기 플랜지(103)의 하측에 구비되어 햇빛을 차단하거나 또는 빗물이 출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판(110),
    본체(100)의 전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고, 복수의 벌 출입구가 하측에 형성되는 소문 프레임(150); 및
    상기 소문 프레임(150)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슬라이드 결합되어 벌의 출입을 양측으로 조절하는 소문용 개폐 조절판(151,152);으로 이루어지되,
    벌통의 이동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망(120)과 후면 이동망(130)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화분 채취구(140)를 탈부착할 수 있는 화분 채취구 고정구(141)가 형성되고,
    상기 소문 프레임(150)에 결합되는 숫벌 퇴치구(16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숫벌 퇴치구(160)는 숫벌이 통과하는 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통(161)이 내부에 관통 형성된 케이스(162)와, 상기 케이스(162)의 일측에 소문 프레임(150)에 형성된 벌 출입구에 삽입되는 결합부(163)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림판(110)의 상부에는 본체(100)에 형성된 플랜지(103)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자석(112)이 부착 고정되고,
    상기 후면 이동망(130)은 평상시에는 후면 이동망 커버(131)를 닫은 상태로 사용하고, 벌통의 이동시에는 후면 이동망 커버(131)을 분리하여 본체(100)의 저면에 구비된 이동망 커버 고정구(132)에 보관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망 커버(131)의 관리가 편리하고 유실 염려가 없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벌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6464U 2017-12-14 2017-12-14 가림판과 소문대가 구비된 벌통 KR200492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64U KR200492068Y1 (ko) 2017-12-14 2017-12-14 가림판과 소문대가 구비된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64U KR200492068Y1 (ko) 2017-12-14 2017-12-14 가림판과 소문대가 구비된 벌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47U KR20190001547U (ko) 2019-06-24
KR200492068Y1 true KR200492068Y1 (ko) 2020-07-30

Family

ID=6700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464U KR200492068Y1 (ko) 2017-12-14 2017-12-14 가림판과 소문대가 구비된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6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946B1 (ko) * 2017-02-20 2017-09-18 김광진 출입구와 환기창을 용이하게 전환 가능한 벌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776Y1 (ko) 2004-04-29 2004-07-30 윤지훈 벌통용 소문구조
KR200419543Y1 (ko) 2006-02-15 2006-06-21 유한회사 벌과사람들 벌통의 출입구 구조
KR200435154Y1 (ko) 2006-09-28 2007-01-09 김장춘 벌통용 소문
KR101506126B1 (ko) 2015-02-03 2015-03-26 윤효권 벌통용 소문
KR200486718Y1 (ko) * 2015-11-23 2018-06-25 최황규 벌통용 소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946B1 (ko) * 2017-02-20 2017-09-18 김광진 출입구와 환기창을 용이하게 전환 가능한 벌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47U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181B1 (ko) 출입구의 개폐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벌통
US4135265A (en) Bee hive
US10869464B2 (en) Cathedral hive
KR101785371B1 (ko)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KR20190038703A (ko) 벌통용 단열 패널
US11425893B2 (en) Beehive system, kit and method
KR101203167B1 (ko) 응애 방제와 분봉 및 도봉 억제 기능을 갖는 벌통
CN105475176A (zh) 一种可控蜂群进出的安全蜂箱
KR20110007869A (ko) 벌통 출입구 구조
MX2012008469A (es) Cajon de anidamiento para abejorros.
KR200492068Y1 (ko) 가림판과 소문대가 구비된 벌통
KR102031501B1 (ko) 다기능 양봉용 벌통
KR102338322B1 (ko) 벌통
KR200357776Y1 (ko) 벌통용 소문구조
KR200374037Y1 (ko) 1군 2왕벌용 벌통
KR200489356Y1 (ko)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
KR200435154Y1 (ko) 벌통용 소문
KR101348172B1 (ko) 벌통
KR200491066Y1 (ko) 벌통의 소문구조
KR20110015488A (ko) 이중바닥 벌통
KR200495848Y1 (ko)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KR200298517Y1 (ko) 벌통의 소문 구조
US11540494B2 (en) Beehive excluder including stacked rows of openings and cantilevered extension clips
KR200226837Y1 (ko) 양봉용 입체소문
KR102290518B1 (ko) 벌통 소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