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750Y1 -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750Y1
KR200491750Y1 KR2020190000713U KR20190000713U KR200491750Y1 KR 200491750 Y1 KR200491750 Y1 KR 200491750Y1 KR 2020190000713 U KR2020190000713 U KR 2020190000713U KR 20190000713 U KR20190000713 U KR 20190000713U KR 200491750 Y1 KR200491750 Y1 KR 200491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ear cover
storage case
smartphone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현
Original Assignee
손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성현 filed Critical 손성현
Priority to KR2020190000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7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갑형 보호 케이스에 사출물로 된 수납 케이스의 양측이 축으로 고정되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판 형상의 후면 덮개와, 상기 후면 덮개에 연결된 전면덮개로 구성된 케이스 본체; 상기 후면덮개 또는 전면덮개를 관통하여 구비된 회전공간; 상기 회전공간에서 상측과 하측, 또는 좌측과 우측부위가 상기 후면덮개 또는 전면덮개에 축지되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회전하며, 스마트폰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Smartphone protection case}
본 고안은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갑형 보호 케이스에 사출물로 된 수납 케이스의 양측이 축으로 고정되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 사용되는 휴대폰은 터치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종래의 플립형폰과 폴더형폰과는 달리 전면 개방부 없이 터치로 작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근래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으며, 하나의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20-0486397에서는
판 형상의 후면 덮개와, 상기 후면 덮개에 연결되고, 수납부가 구비된 전면 덮개로 구성된 케이스 본체;
상기 후면덮개 또는 전면덮개에 구비된 자석;
스마트폰을 수납하며, 후면에는 상기 자석과 대응된 위치에 자석 또는 금속판이 부착된 수납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후면덮개에 구비된 자석은 후면덮개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자력이 작용하도록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자석이 삽입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자석의 양측면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앙면자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덮개에 구비된 자석은 전면덮개의 외측면에 자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스마트폰이 수납된 수납 케이스를 지갑형 케이스의 본체의 전면덮개 또는 후면덮개의 외측에 자석에 의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스마트폰이나 케이스 본체를 쉽게 분실하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부착된 수납 케이스를 일일이 사용자가 떼어내어 전면덮개 또는 후면덮개의 외측에 부착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또한 스마트폰이 수납된 수납 케이스를 자칫 손에서 떨어뜨리는 경우에 스마트폰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전면덮개 또는 후면덮개에서 스마트폰을 수납한 수납 케이스의 양측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축지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가 보호 케이스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수납되도록 하거나 또는 보호 케이스의 외측방향으로 회전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판 형상의 후면 덮개와, 상기 후면 덮개에 연결된 전면 덮개로 구성된 케이스 본체;
상기 후면덮개 또는 전면덮개를 관통하여 구비된 회전공간;
상기 회전공간에서 상측과 하측, 또는 좌측과 우측부위가 상기 후면덮개 또는 전면덮개에 축지되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회전하며, 스마트폰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전면덮개 또는 후면덮개에 스마트폰을 수납한 수납 케이스가 상하 또는 좌우가 축지되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굳이 수납 케이스를 보호 케이스로부터 이탈시키지 않아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호 케이스의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 케이스를 보호 케이스로부터 단순히 회전에 의해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되어 수납 케이스의 이탈에 의한 스마트폰의 분실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납 케이스를 일일이 보호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커지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후면덮개에서 수납 케이스가 내측방향으로 또는 외측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도.
도3은 후면덮개와 수납 케이스의 단면 결합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술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르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보인 도로서, 케이스 본체(100)는 평평한 판 형태로 된 후면덮개(120)가 구비되고, 그 일측부에는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된 평평한 판 형태의 전면덮개(110)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후면덮개(120)와 전면덮개(110)는 가죽, 인조가죽, 천 등의 연질의 원단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측에 하드지 또는 플라스틱 판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구성된 형태이고, 연결부(130)는 연질의 재질로만 구성되어 전면덮개(110)가 후면덮개(120)의 전면부로 회전하여 덮이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전면덮개(110)의 내측면에는 수납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카드, 명함, 지폐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후면덮개(120)에는 수납 케이스(150)가 장착될만한 크기를 갖는 회전공간(12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회전공간(121)은 후면덮개(120)의 내측과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수납 케이스(150)의 형태와 같이 사각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회전공간(121)의 상측과 하측의 가운데 부위에는 홈(122,123)이 각각 형성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홈(122,123)이 후면덮개(120)에 형성되기 위하여 도 3에서와 같이 회전공간(121)의 내측둘레를 따라서 경질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된 사각 링 형태의 프레임(140)이 고정되고, 그 프레임(140)에 홈(122,123)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40)이 회전공간(121)에 고정되기 위하여 프레임(140)의 외측방향 둘레로는 돌출된 고정돌기(141)가 형성되고, 이 고정돌기(141)가 후면덮개(12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서 밖음질 또는 접착재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프레임(140)이 후면덮개(120)의 회전공간(121)에 고정되는 것이다.
수납 케이스(150)는 스마트폰(160)의 후면부를 덮는 케이스 즉 하드 케이스 또는 유연한 재질의 케이스(일명 젤리 케이스)의 형태로서, 스마트폰(160)을 수납하게 된다.
또한, 수납 케이스(150)의 상측과 하측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홈(122,123)에 삽입되어 축지되기 위한 돌기(152,15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공간(121)에 스마트폰(160)을 수납한 수납 케이스(150)가 삽입되어 홈(122,123)에 돌기(152,153)가 각각 끼워져 축지되며, 도2에서와 같이 수납 케이스(150)는 회전공간(121)에서 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납 케이스(150)를 케이스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단순히 회전시킴으로써 스마트폰(160)의 디스플레이부를 케이스 본체(100)의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외측을 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홈(122,123)은 프레임(140)의 상측과 하측이 아닌 좌측과 우측의 중앙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돌기(152,153)도 이와 대응되도록 수납 케이스(15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케이스(150)는 회전공간(121)에서 종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회전공간(121)은 후면덮개(120)에 형성되지 않고 전면덮개(110)에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후면덮개(120)는 경질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에 의해 사각의 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연결부(130)에 의해 전면덮개(110)에 연결되며, 상측과 하측 또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홈(122,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프레임(140) 없이도 후면덮개(120) 그 자체가 프레임의 역할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전면덮개(110)도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홈(122,123)과 돌기(152,153) 대신에 그 위치에서 자석이 구비되어 자석으로 축지되는 구조를 더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4에서와 같이 홈(122,123)의 위치에는 'N' 극성을 갖는 자석을 설치하고, 돌기(152,153)의 위치에는 'S' 극성을 갖는 자석을 구비하여 그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회전공간(121)에서 수납 케이스(15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지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 홈(122,123)의 위치에 자석이 설치되고, 돌기(152,153)의 위치에는 금속판이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축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110 : 전면덮개
120 : 후면덮개
121 : 회전공간
122,123 : 홈
140 : 프레임
141 : 고정돌기
150 : 수납 케이스
152,153 : 돌기
160 : 스마트폰

Claims (5)

  1. 판 형상의 후면 덮개와, 상기 후면 덮개에 연결된 전면 덮개로 구성된 케이스 본체;
    상기 후면덮개를 관통하여 형성된 회전공간;
    상기 회전공간에서 상측과 하측부위가 상기 후면덮개에 축지되어 횡방향으로 회전하며, 스마트폰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공간에는 상측과 하측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 케이스의 상측과 하측에는 금속판이 구비되어 상기 수납 케이스의 금속판이 상기 회전공간의 자석이 서로 부착되어 축회전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0713U 2019-02-19 2019-02-19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0491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13U KR200491750Y1 (ko) 2019-02-19 2019-02-19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13U KR200491750Y1 (ko) 2019-02-19 2019-02-19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750Y1 true KR200491750Y1 (ko) 2020-05-28

Family

ID=7086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713U KR200491750Y1 (ko) 2019-02-19 2019-02-19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75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212A (ko) * 2001-09-14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성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471605B1 (ko) * 2014-07-01 2014-12-11 (주)지우이노베이션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KR200486397Y1 (ko) * 2017-01-18 2018-05-11 손성현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212A (ko) * 2001-09-14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성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471605B1 (ko) * 2014-07-01 2014-12-11 (주)지우이노베이션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KR200486397Y1 (ko) * 2017-01-18 2018-05-11 손성현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4134B2 (en) Electronic device assembly
US8731219B2 (en) Sound reflector and electronic device with speaker, including sound reflector
KR200468374Y1 (ko)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20170180838A1 (en)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wireless speaker and protective cover system
KR200491750Y1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0486397Y1 (ko)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CN201637921U (zh) 一种手机摄像镜头附加镜
KR20110086296A (ko) 휴대폰 케이스
KR101636668B1 (ko)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510586B1 (ko) 스마트폰의 보호커버용 클립
JP6612471B2 (ja) 連結構造
KR102123876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50003818U (ko) 휴대폰 케이스
KR101338880B1 (ko)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68398Y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102216253B1 (ko) 휴대폰 케이스
CN102135657B (zh) 分段式对焦镜头模组
KR200473421Y1 (ko) 미러 부착형 휴대폰 케이스
KR101373747B1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KR200471119Y1 (ko) 휴대폰 케이스
CN210405395U (zh) 一种手机壳
JP2018026664A (ja) 携帯情報端末用ケース
CN112565488A (zh) 可折叠电子设备
KR200470735Y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JP3201150U (ja) 携帯型情報端末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