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296A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296A
KR20110086296A KR1020100005953A KR20100005953A KR20110086296A KR 20110086296 A KR20110086296 A KR 20110086296A KR 1020100005953 A KR1020100005953 A KR 1020100005953A KR 20100005953 A KR20100005953 A KR 20100005953A KR 20110086296 A KR20110086296 A KR 20110086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ver
binding
case
phon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순미
Original Assignee
조순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순미 filed Critical 조순미
Priority to KR102010000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6296A/ko
Publication of KR20110086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2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 A45C13/123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of press-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휴대폰을 휴대폰 케이스에 보관할 때 휴대폰 케이스 또는 결속수단으로 인해 휴대폰의 표면을 상하지 않도록 하고, 휴대폰과 휴대폰 케이스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결속수단에 의해서 휴대폰과 휴대폰 케이스 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휴대폰의 상면 및 배면을 각각 커버하도록 마련된 상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와, 상기 각 커버(110)(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와, 상기 배면커버(120)의 내측 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결속버튼(121)으로 이루어진 커버체(100); 상기 커버체(100)와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휴대폰(200)의 배면에 부착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결속버튼(121)과 대응하여 결속되는 제2결속버튼(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며, 상기 결속버튼은 벨크로(Velcro; 상표명) 테이프로 대체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 타입의 휴대폰을 고정 및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와 휴대폰의 마찰로 인한 휴대폰 외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무선 통신수단 단말기로서 일반통화나 영상통화를 비롯하여 사진 촬영 및 전송, 무선 인터넷 접속, 문자 전송 및 수신 등 그 기능과 활용성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사용자 편의 위주의 휴대폰이 상용화되면서 스크린 터치로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바 타입의 휴대폰이 대중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은 고가로 판매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가 출시되고 있으며, 일 예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20-0444463호는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하여 제안하였다(도 1 참조).
도 1은 선행기술문헌의 일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50)의 표시화면(52)이 설치된 전면부에 결합되는 전면덮개(10)와, 상기 휴대폰(50)의 배면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배면덮개(20)와, 상기 전면덮개(10)와 배면덮개(20) 각각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호 힌지 결합되는 힌지홈부(12) 및 힌지축부(22)와, 상기 배면덮개(20)의 하단부와 상단부에서 전면덮개(10)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휴대폰(50)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8, 32)과, 상기 배면덮개(20) 상단부의 이탈방지턱(32)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요부(34)와, 상기 전면덮개(1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요부(34)에 후크 체결되는 걸림돌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휴대폰(50)이 배면덮개(20), 더욱 상세히는 이탈방지턱(28, 32) 사이에 억지끼움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휴대폰(50)과 케이스 사이에 발생하는 끼움 혹은 이탈시의 마찰에 의해 휴대폰 외면에 잔기스나 흠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케이스와 분리 및 결합을 반복하면 휴대폰 외면에서 마찰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큰 흠집이 발생하여 휴대폰의 미관을 해치고 그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는 휴대폰 모델이나 기종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를 제조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즉 하나의 휴대폰 기종에는 한 종류의 케이스밖에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휴대폰 기종에 따라 케이스를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해야만 하는데, 이 경우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그마큼 많은 종류의 케이스를 제조해야 하므로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444463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을 휴대폰 케이스에 보관할 때 휴대폰 케이스 또는 결속수단으로 인해 휴대폰의 표면을 상하지 않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휴대폰과 휴대폰 케이스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한 종류의 케이스로 여러가지 모델의 휴대폰을 결속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속수단에 의해 휴대폰과 케이스를 상호 결속시켰을 경우에 휴대폰과 휴대폰 케이스 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폰의 상면 및 배면을 각각 커버하도록 마련된 상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와, 상기 각 커버(110)(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와, 상기 배면커버(120)의 내측 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결속버튼(121)으로 이루어진 커버체(100); 상기 커버체(100)와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휴대폰(200)의 배면에 부착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결속버튼(121)과 대응하여 결속되는 제2결속버튼(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결속버튼(121)(210) 중 어느 일측에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돌기 및 홈이 상호 억지끼움 형태로 고정되거나 자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결속버튼(121)(210)의 결속시 상기 휴대폰 배면이 배면커버(120)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결속버튼(121)이 제2결속버튼(210)의 두께만큼 배면커버(120) 내측으로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폰의 상면 및 배면을 각각 커버하도록 마련된 상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와, 상기 각 커버(110)(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와, 상기 배면커버(120)의 내측 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커버체(100); 상기 커버체(100)와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휴대폰(200)의 배면에 부착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벨크로 테이프와 대응하여 부착되는 제2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벨크로 테이프의 부착시 상기 휴대폰 배면이 배면커버(120)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벨크로 테이프가 제2벨크로 테이프의 두께만큼 배면커버(120) 내측으로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커버 내면과 휴대폰 배면에 각각 설치된 제1결속버튼 혹은 제1벨크로 테이프 등의 결속수단으로 상호 탈부착되는 구조이므로 휴대폰과 휴대폰케이스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게 되어 휴대폰 표면에 마찰에 의한 기스나 흠집이 발생하지 않고 휴대폰 표면을 구입 당시의 상태로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가치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1결속버튼과 제2결속버튼이 각각 돌기와 홈으로 결속되는 경우 위치 정렬과 탈부착이 용이하며, 한가지 종류의 케이스에 대해 여러가지 종류의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 낭비를 방지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게다가 제1결속버튼 혹은 제1벨크로 테이프가 케이스의 배면커버 내에 매립된 경우 제2결속버튼 혹은 제2벨크로 테이프가 배면커버 내부로 내입, 결속되어 휴대폰 배면과 배면커버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구조와 그 케이스에 휴대폰을 고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구조와 그 케이스에 휴대폰을 고정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폰의 고정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 2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예시된 도면의 구조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를 보인 일 실시 형태일 뿐 본 고안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구조와 그 케이스에 휴대폰을 고정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폰의 고정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200)의 상면(201)과 배면(202)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커버체(100)와, 휴대폰의 배면(202)에 부착 가능한 제2결속버튼(210)으로 대별된다.
상기 휴대폰 커버체(100)는, 휴대폰 상면(201)을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상면커버(110)와, 배면(202)을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배면커버(120) 및 상기 상면커버(110)와 배면커버(120)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상호 연결, 고정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체(100)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한 것일 수 있고, 또는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는 등 재질에는 제한이 없고, 또한 그 형상은 휴대폰의 형상과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합성수지재인 경우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부(130)는 힌지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상면커버(110)와 배면커버(120)가 상호 포개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한다.
이때 상기 배면커버(120)의 내면에는 제1결속버튼(121)이 설치되며, 상기 제1결속버튼(121)은 상기 휴대폰 배면(202)에 구비된 제2결속버튼(210)과 상호 결속된다.
상기 제2결속버튼(210)은 양면접착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에 의해서 휴대폰(200)에 부착되며, 이 경우 휴대폰의 종류와 기종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제2결속버튼(210)을 휴대폰에서 분리, 제거할 수 있어 유리하다.
상기 제1결속버튼(121)과 제2결속버튼(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소에 설치될 수 있고, 휴대폰(200)와 커버체(1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3개소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물론 1개소에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각 결속버튼(121)(210)은 적어도 하나가 부착될 수 있다.
커버체(100)와 휴대폰(200)의 고정시 위치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속버튼(121)에는 홈(122)이 형성되고 제2결속버튼(210)에는 상기 홈(122)에 수용되는 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돌기와 홈은 그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제2결속버튼(210)에 홈이 형성되고 제1결속버튼(121)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는 바, 따라서 상기 각 결속버튼(121)(210)의 어느 일측에는 돌기가 타측에는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돌기와 홈이 형성된 경우, 상기 각 돌기와 홈은 후크(hook) 체결방식과 같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호 탈부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으며, 이러한 후크 억지끼움 방식의 버튼은 공지의 것이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 결속버튼(121)(210)은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결속버튼(121)(210) 중 어느 하나는 자성체이고 어느 하나는 금속일 수 있고, 모두 자성체일 수도 있다. 상기 각 결속버튼(121)(210)이 자력으로 부착되는 경우 상기 돌기(211)와 홈(122)을 설치하지 않고 평면 형태의 결속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자력 탈부착 방식으로 하여 각 결속버튼(121)(210)에 각각 홈(122)과 돌기(211)가 형성된 경우에는 이들 돌기와 홈은 휴대폰(200)을 커버체(100)에 고정할 때 고정 위치를 정확하게 유도하는 위치 유도 수단으로 사용된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로서, 휴대폰(200)이 커버체(100)에 고정되기 전과 후의 각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배면커버(120)에 설치된 제1결속버튼(121)은 배면커버(120) 내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깊이는 제2결속버튼(210)의 두께만큼으로 한다.
즉, 제2결속버튼(210)은 휴대폰(200)의 배면(20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되어 있고, 이때 제1결속버튼(121)이 배면커버(12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으면 제1, 제2결속버튼이 상호 결속되었을 때, 각 결속버튼의 두께만큼 휴대폰(200)과 배면커버(120) 사이에 공간(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결속버튼(121)이 제2결속버튼(210)의 두께만큼 배면커버(120) 내측으로 매립하여 설치하면, 도 4의 아래 그림과 같이 각 결속버튼(121)(210)이 결속되었을 때 휴대폰(200)과 배면커버(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밀착되므로 그만큼 두께를 줄일 수 있고,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커버체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과 같이 제1결속버튼과 제2결속버튼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 바 형태의 모든 휴대폰을 결속할 수 있게 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케이스 커버체 내에 여러가지 종류의 휴대폰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이며,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결속버튼과 제2결속버튼은 각각 벨크로(Velcro; 상표명) 테이프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체(100)에 수 형태의 제1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고 휴대폰 배면(202)에는 암 형태의 제2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는 경우 암수 벨크로 테이프가 상호 부착되는 구조를 통해서 휴대폰(200)을 커버체(100)에 고정,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암수 벨크로 테이프의 각 위치와 수량은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벨크로 테이프의 부착시 상기 휴대폰 배면이 배면커버(120)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벨크로 테이프가 제2벨크로 테이프의 두께만큼 배면커버(120) 내측으로 매립되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 및 제2결속버튼의 예시를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커버체
110: 상면커버 120: 배면커버
121: 제1결속버튼 122: 홈
130: 연결부
200: 휴대폰
201: 상면 202: 배면
210: 제2결속버튼 211: 돌기

Claims (6)

  1. 휴대폰의 상면 및 배면을 각각 커버하도록 마련된 상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와, 상기 각 커버(110)(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와, 상기 배면커버(120)의 내측 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결속버튼(121)으로 이루어진 커버체(100);
    상기 커버체(100)와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휴대폰(200)의 배면에 부착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결속버튼(121)과 대응하여 결속되는 제2결속버튼(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결속버튼(121)(210) 중 어느 일측에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돌기 및 홈이 상호 자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결속버튼(121)(210) 중 어느 일측에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돌기 및 홈이 상호 억지끼움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결속버튼(121)(210)의 결속시 상기 휴대폰 배면이 배면커버(120)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결속버튼(121)이 제2결속버튼(210)의 두께만큼 배면커버(120) 내측으로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5. 휴대폰의 상면 및 배면을 각각 커버하도록 마련된 상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와, 상기 각 커버(110)(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와, 상기 배면커버(120)의 내측 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커버체(100);
    상기 커버체(100)와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휴대폰(200)의 배면에 부착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벨크로 테이프와 대응하여 부착되는 제2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벨크로 테이프의 부착시 상기 휴대폰 배면이 배면커버(120)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벨크로 테이프가 제2벨크로 테이프의 두께만큼 배면커버(120) 내측으로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KR1020100005953A 2010-01-22 2010-01-22 휴대폰 케이스 KR20110086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53A KR20110086296A (ko) 2010-01-22 2010-01-22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53A KR20110086296A (ko) 2010-01-22 2010-01-22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96A true KR20110086296A (ko) 2011-07-28

Family

ID=4492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953A KR20110086296A (ko) 2010-01-22 2010-01-22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629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95B1 (ko) * 2012-12-27 2013-04-23 플러스엑스 주식회사 자력을 통해 탈부착 가능한 휴대폰 지갑형 케이스
KR20160007004A (ko) * 2014-07-10 2016-01-20 김진우 스마트폰용 케이스
WO2016017830A1 (ko) * 2014-07-29 2016-02-04 (주)대한특수금속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WO2017099280A1 (ko) * 2015-12-11 2017-06-15 주식회사 다윈 휴대형 접착 거치대
KR20170073924A (ko) * 2015-12-21 2017-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806755B2 (en) 2014-06-11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220105442A (ko) * 2021-01-20 2022-07-27 박문성 아이폰 전용 카드지갑 부착용 패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95B1 (ko) * 2012-12-27 2013-04-23 플러스엑스 주식회사 자력을 통해 탈부착 가능한 휴대폰 지갑형 케이스
US9806755B2 (en) 2014-06-11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60007004A (ko) * 2014-07-10 2016-01-20 김진우 스마트폰용 케이스
WO2016017830A1 (ko) * 2014-07-29 2016-02-04 (주)대한특수금속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WO2017099280A1 (ko) * 2015-12-11 2017-06-15 주식회사 다윈 휴대형 접착 거치대
KR20170073924A (ko) * 2015-12-21 2017-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203728B2 (en) 2015-12-21 201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upling structure
KR20220105442A (ko) * 2021-01-20 2022-07-27 박문성 아이폰 전용 카드지갑 부착용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6296A (ko) 휴대폰 케이스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EP2953329B1 (en) Mobile phone flip leather case and smartphone
KR100988204B1 (ko) 바 형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JP5099624B2 (ja) バッテリー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US9577697B2 (en) Protective case with stylus access feature
US20150133203A1 (en) Cover-leafing leather casing of cellular phone and smart phone using the same
US795093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overing lid for covering insert hole
KR20110045972A (ko) 휴대용통신기기 보호케이스
KR200478820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62821Y1 (ko) 캐릭터 형상의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KR101769579B1 (ko) 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137244B1 (ko) 휴대폰 케이스
US20150303967A1 (en) Housing-protect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80095971A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130071929A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61030Y1 (ko)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CN212305420U (zh) 电子产品保护壳
CN101562954B (zh) 具有遮蔽插孔结构的电子装置
KR200464932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30054665A (ko)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73933Y1 (ko) 케이스커버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용기기 보호케이스
TWI435502B (zh) 網路線連接套組
KR20150012975A (ko) 장식용 보강부재를 갖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