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31Y1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31Y1
KR200491631Y1 KR2020180003920U KR20180003920U KR200491631Y1 KR 200491631 Y1 KR200491631 Y1 KR 200491631Y1 KR 2020180003920 U KR2020180003920 U KR 2020180003920U KR 20180003920 U KR20180003920 U KR 20180003920U KR 200491631 Y1 KR200491631 Y1 KR 200491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impeller
blade
shaf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498U (ko
Inventor
하우식
Original Assignee
(주) 청우지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청우지엔티 filed Critical (주) 청우지엔티
Priority to KR2020180003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31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레이드의 회전시에도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임펠러를 가진 송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모터; 상기 모터의 축의 전방부위에 장착된 임펠러; 링 형태로 되어 상기 모터의 축을 내측으로 수용하고, 상기 모터와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바에 의해 이격되어 고정되며, 그 이격된 공간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고정판; 원통으로 되어 상기 임펠러를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고정판이 일측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버너의 공기유입구와 접속되는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임펠러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상기 모터의 축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결합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동일한 형태의 평판으로 되어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짐과 아울러 상기 모터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각 블레이드는 그 후측부위가 파여진 홈부를 형성하되, 그 홈부는 상기 결합부와 맞닿는 부위부터 일정 폭을 가지면서 블레이드의 후단까지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후단을 향해 외향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송풍기{Blower}
본 고안은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너에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를 연소시키는 버너에 연소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송풍기를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송풍기를 버너의 공기유입구와 연결시켜 압력을 가진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통상의 송풍기는 임펠러를 구비하고,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연소실 내부로 공기를 투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임펠러의 일 예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관통공(13)이 형성된 바닥판(15)과, 바닥판(15)의 가장자리를 따라 축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블레이드(25) 및 다수의 블레이드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림(35)을 구비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임펠러(10)는 구동용 모터와 결합되어 구동용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연소공기를 연소실로 투입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임펠러(10)가 회전하면서 연소공기를 투입할 때 그 블레이트(25)의 첨단부위 즉 블레이드(25)의 회전하는 방향의 외측 모서리 부위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됨으로써 연소공기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게 됨은 물론 블레이드를 자주 청소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즉, 블레이드(25)가 회전하면서 그 외측 모서리 부위가 공기와의 지속적인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고, 그 정전기에 의해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블레이드(25)에 부착되어 원할한 연소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송풍기를 중지시켜야 하고, 송풍기의 중지에 의해 버너의 가동도 중지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등록 제10-2010-0022290호
(송풍용 임펠러)
따라서, 본 고안은 블레이드의 회전시에도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임펠러를 가진 송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송풍기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의 전방부위에 장착된 임펠러;
링 형태로 되어 상기 모터의 축을 내측으로 수용하고, 상기 모터와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바에 의해 이격되어 고정되며, 그 이격된 공간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고정판;
원통으로 되어 상기 임펠러를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고정판이 일측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버너의 공기유입구와 접속되는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임펠러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상기 모터의 축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결합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동일한 형태의 평판으로 되어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짐과 아울러 상기 모터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각 블레이드는 그 후측부위가 파여진 홈부를 형성하되, 그 홈부는 상기 결합부와 맞닿는 부위부터 일정 폭을 가지면서 블레이드의 후단까지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후단을 향해 외향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임펠러의 회전시에 블레이드와 공기가 면접촉하고, 또한 홈부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제한됨으로써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게 되어 원할한 연소공기의 공급은 물론 블레이드를 자주 청소하여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버너 또한 송풍기 청소에 따른 가동 중지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도 있다.
도1은 종래의 송풍기 임펠러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송풍기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된 임펠러의 구조를 보인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송풍기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된 임펠러의 구조를 보인 도이다.
본 고안은 송풍기는 모터(100);
상기 모터의 축(110)의 전방부위에 장착된 임펠러(200);
링 형태로 되어 상기 모터의 축(110)을 내측으로 수용하고, 상기 모터(100)와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바(130)에 의해 이격되어 고정되며, 그 이격된 공간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고정판(120);
원통으로 되어 상기 임펠러(200)를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고정판(120)이 일측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버너의 공기유입구와 접속되는 커버(140);로 구성되며,
상기 임펠러(200)는 복수의 블레이드(210)가 상기 모터의 축(110)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결합부(22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210)는 동일한 형태의 평판으로 되어 상기 결합부(220)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짐과 아울러 상기 모터 축(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각 블레이드(210)는 그 후측부위가 파여진 홈부(211)를 형성하되, 그 홈부(211)는 상기 결합부(220)와 맞닿는 부위부터 일정 폭을 가지면서 블레이드(210)의 후단까지 형성되고,
상기 홈부(211)는 상기 결합부(220)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211-1)와, 상기 수직부(211-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210)의 후단을 향해 외향 경사진 경사부(211-2)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100)는 임펠러(200)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축(110)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임펠러(200)가 장착된다.
고정판(120)은 커버(140)의 후단을 덮는 것으로서, 링 형태로 형성되어 가운데 부분에 흡기공(121)을 형성하며, 그 후방에는 둘레를 따라서 복수의 지지바(130)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고정되고, 그 지지바(130)는 다시 상기 모터(100)에 고정됨으로써 고정판(120)과 모터(100) 사이는 고정바(130)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20)의 흡기공(121)에는 모터의 축(110)이 삽입되어 전방으로 길게 노출되며, 그 고정판(120)의 전방으로 노출된 축(110)상에는 임펠러(20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흡기공(121)은 축(11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임펠러(200) 부위는 원통체로 된 커버(140)의 내측으로 수용되고, 그 커버(140)의 후단부위에는 플랜지 형태의 결합부(141)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판(120)의 외측 둘레부위가 상기 결합부(141)에 볼트로 결합된다.
또한, 커버(140)의 전방부위는 버너의 공기유입구와 접속된다.
따라서, 모터(100)의 구동에 의해 임펠러(200)가 회전하면 모터(100)와 고정판(120) 사이의 공간과 흡기공(12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공기는 커버(140)의 전방부위를 통해 버너의 공기유입구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적용된 임펠러(200)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블레이드(210)가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면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임펠러(200)는 모터의 축(110)에 끼워지도록 삽입되어 장착되는 결합부(22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복수의 블레이드(21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각 블레이드(210)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되고, 그 일측이 상기 결합부(220)에 수직으로 세워진다.
또한, 그 평판의 블레이드(210)는 모터 축(11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즉, 축(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결합부(22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의 블레이드(210)가 등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블레이드(210)는 그 후측부위가 파여진 홈부(211)를 형성되는데, 상기 홈부(211)는 상기 결합부(220)와 근접하는 부위부터 일정 폭(W)을 가지고 파여지며, 아울러 길이 방향으로는 블레이드(210)의 후단까지 완전히 개방되도록 파여져 형성된다.
상기 홈부(211)는 상기 결합부(220)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211-1)와, 상기 수직부(211-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210)의 후단을 향해 외향 경사진 경사부(211-2)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임펠러(200)가 회전하게 되면, 흡기공(121)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블레이드(210)의 면으로 접촉하면서 전방으로 배출되어 정전기의 발생이 최소화 되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가 최소화된다.
즉, 공기의 흐름이 빠르지는 않지만, 블레이드(210)의 면으로 외부공기가 접촉되어 정전기의 발생은 최소화되는 것이다.
아울러, 임펠러(200)가 회전할 때 수직부(211-1)와 경사부(211-2)로 이루어진 홈부(211)에 공기가 돔 형태로 에어 포켓이 형성되고, 가장 마찰이 작은 결합부(200)의 주변을 통해 에어 포켓에 모여진 공기가 전방으로 회오리 형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많은 양의 공기를 버너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블레이드(210)의 바깥쪽 부위로는 면접촉에 의해 정전기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면서 적절히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블레이드(210)의 안쪽부위로는 정전기와는 상관없이 비교적 많은 양의 공기를 버너로 공급하게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100 : 모터 110 : 축
120 : 고정판 121 : 흡기공
130 : 지지바 140 : 커버
141 : 결합부
200 : 임펠러 210 : 블레이드
211 : 홈부 211-1 : 수직부
211-2 : 경사부

Claims (1)

  1. 모터;
    상기 모터의 축의 전방부위에 장착된 임펠러;
    링 형태로 되어 상기 모터의 축을 내측으로 수용하고, 상기 모터와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바에 의해 이격되어 고정되며, 그 이격된 공간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고정판;
    원통으로 되어 상기 임펠러를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고정판이 일측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버너의 공기유입구와 접속되는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임펠러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상기 모터의 축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결합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되어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짐과 아울러 상기 모터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각 블레이드는 그 후측부위가 파여진 홈부를 형성하되, 그 홈부는 상기 결합부와 맞닿는 부위부터 일정 폭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블레이드의 후단까지 완전히 개방되도록 파여져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후단을 향해 외향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되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블레이드의 면으로 접촉하면서 전방으로 배출됨으로써 정전기 발생의 최소화에 의해 이물질의 부착을 최소화하고, 상기 임펠러가 회전할 때 상기 수직부와 경사부로 이루어진 홈부에서 돔 형태의 에어포켓이 형성되어 그 에어포켓에 모여진 공기가 회오리 형태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KR2020180003920U 2018-08-23 2018-08-23 송풍기 KR200491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20U KR200491631Y1 (ko) 2018-08-23 2018-08-23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20U KR200491631Y1 (ko) 2018-08-23 2018-08-23 송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98U KR20200000498U (ko) 2020-03-05
KR200491631Y1 true KR200491631Y1 (ko) 2020-05-14

Family

ID=6976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920U KR200491631Y1 (ko) 2018-08-23 2018-08-23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3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4033A (ja) * 2002-10-25 2004-05-20 Matsushita Ecology Systems Co Ltd ダクトファン
KR101788728B1 (ko) * 2009-10-26 2017-10-20 스팔 오토모티브 에스.알.엘. 축류형 환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4033A (ja) * 2002-10-25 2004-05-20 Matsushita Ecology Systems Co Ltd ダクトファン
KR101788728B1 (ko) * 2009-10-26 2017-10-20 스팔 오토모티브 에스.알.엘. 축류형 환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98U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43799B2 (en) Alternating paddle mechanism for pool cleaner
ES2527522T3 (es) Método y aparato de retención de placa antisalpicaduras
KR200491631Y1 (ko) 송풍기
SE1250192A1 (sv) Filterhus och luftfilterenhet för en förbränningsmotor
CN112902349B (zh) 定向气流装置和具有其的空气净化器
JP3949741B2 (ja) 遠心ポンプ
JP2019505328A (ja) 掃除機のノズル
US2823656A (en) Air filter
SE536418C2 (sv) Luftfilterarrangemang och anslutningskanal
KR101670076B1 (ko) 펌프효율을 향상시킨 펌프
KR100972202B1 (ko) 해수 펌프
KR101694847B1 (ko) 스프르트 펌프
CN101731999B (zh) 滚刷式吸尘器地刷
JP2015198891A (ja) 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ES2193442T3 (es) Unidad separadora para aspiradores de baño liquido.
KR101703932B1 (ko) 환풍기
AU2012358413A2 (en) Fully jacketed screw centrifuge
JP6900410B2 (ja) 立軸ポンプ
KR102036270B1 (ko) 마모 방지형 비금속 체인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US9874196B2 (en) Double paddle mechanism for pool cleaner
KR100307018B1 (ko) 브러쉬형 집진장치
US866007A (en) Disk-bearing.
KR102349155B1 (ko) 버너 장치
CN220507234U (zh) 风路切换机构、空气净化装置及空调器
JP202010595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