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588Y1 - 패류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패류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588Y1
KR200491588Y1 KR2020180000395U KR20180000395U KR200491588Y1 KR 200491588 Y1 KR200491588 Y1 KR 200491588Y1 KR 2020180000395 U KR2020180000395 U KR 2020180000395U KR 20180000395 U KR20180000395 U KR 20180000395U KR 200491588 Y1 KR200491588 Y1 KR 200491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shellfish
tray
storage space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964U (ko
Inventor
윤찬석
한진수
우인봉
김동후
한승우
Original Assignee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한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한승우 filed Critical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Priority to KR2020180000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588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9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5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Abstract

본 고안은 패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으로 냉기가 유입 및 순환되도록 하여 패류의 품질이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그 구조가 개선된 패류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패류가 내부에 포장된 후 냉장매대에 적층되어 진열되는 패류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상기 패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 저면에는 상기 바닥 저면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다수개가 형성되고, 다수 개의 상기 트레이가 적층될 때,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와 상기 바닥 저면 사이에는 냉기가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로 유입되게 냉기유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냉기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냉기가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급되는 패류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패류용 트레이{TRAY FOR SHELLFISH}
본 고안은 패류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으로 냉기가 유입 및 순환되도록 하여 패류의 품질이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그 구조가 개선된 패류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락과 같은 패류(貝類, 또는 조개류)는 대기 중에 방치하게 되면 쉽게 폐사하거나 부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바지락의 신선도를 최대한 유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 포장용기(또는 포장봉지)에 일정량의 바닷물을 채우고 여기에 생 바지락을 넣어서 보관 및 유통되고 있다.
한편, 마트(mart)용 바지락 포장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0)에 바지락을 포장한 후에, 포장된 트레이(10) 다수 개를 마트의 냉장 매대에 적층하여 진열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포장된 다수 개의 트레이(10)가 적층되어 진열됨에 따라 냉기가 트레이(10)의 측면에만 머물러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10) 내부에는 냉기가 미치지 못하고, 특히, 트레이(10)의 중앙에 수납되어 있는 바지락에는 냉기가 전혀 전달되지 못해 바지락의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한편, 후술하는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등록디자인 제30-0487963호(2008년 04월 14일, 등록)의 어패류 수납용 상자와, 등록디자인 제30-0611317호(2011년 08월 29일, 등록)의 어패류 수납용 상자가 있다.
상기한 선행문헌들의 어패류 수납용 상자는, 어패류를 수납하여 냉동 보관 및 이송할 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상단의 에지(edge)에도 통기공을 형성하여 냉동효율을 높이고, 상자에 어패류 수납시에는 상단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어패류의 손상방지와 이송시 편의성 등을 배가시켰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문헌들의 어패류 수납용 상자는, 바지락 등의 패류의 특성상 상기 통기공을 통해 상자 내부 중앙까지 냉기의 전달이 어렵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통기공을 통해 누수가 생겨 패류를 건조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선행문헌들의 어패류 수납용 상자는 바지락 등의 패류 트레이 용도로는 사용이 쉽지 않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트의 냉장매대 진열시 트레이 내부( 패류 수납공간) 전체로 냉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패류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한 패류용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패류용 트레이는,
패류가 내부에 포장된 후 냉장매대에 적층되어 진열되는 패류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상기 패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 저면에는 상기 바닥 저면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다수개가 형성되고,
다수 개의 상기 트레이가 적층될 때,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와 상기 바닥 저면 사이에는 냉기가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로 유입되게 냉기유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냉기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냉기가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바닥 저면에는 상기 냉기유입공간을 통해 유입된 냉기가 상기 바닥 저면 전체면으로 퍼지면서 순환되도록 냉기순환유로가 일정 간격마다 다수 개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냉기순환유로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측면에 형성되되, 길이가 짧은 측면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지락 같은 패류가 수납되는 트레이의 바닥 저면으로 냉기가 유입, 체류 및 배출 등의 순환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트레이의 바닥 저면에 냉기순환유로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트레이의 수납공간 전체에 냉기가 순환될 수 있어, 바지락 같은 패류의 변질을 억제하여 오랫동안 패류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패류용 트레이 다수 개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패류용 트레이의 상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트레이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정면 단면도.
도 5는 도 5의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패류용 트레이 다수 개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패류용 트레이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트레이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정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5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패류용 트레이 다수 개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도면을 보다 단순한 형태로 도시하기 위해 두께를 표시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패류용 트레이(100)는, 바지락 같은 패류가 내부에 포장된 후, 냉장매대에 적층되어 진열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패류용 트레이(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상기 패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10)이 형성되며, 이 수납공간(110)의 바닥 저면(102) 사방 가장자리에는 바닥 저면(102)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01)가 다수개가 형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패류용 트레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길이가 긴 측면(140)과,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측면(150)이 대향되며 형성되고, 다수 개의 상기 지지돌기(101)도 사방 모서리 일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상기 트레이(100)가 적층될 때, 적층된 하부의 트레이(100)의 상기 수납공간(110)의 상부와 적층된 상부의 트레이(100)의 바닥 저면(102) 사이에는 냉기가 하부에 적층된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0)의 상부로 유입되게 냉기유입공간(또는 냉기유입틈새)(200)이 형성되어, 이 냉기유입공간(200)으로 유입된 냉기가 하부에 적층된 트레이(100)의 수납공간(110)으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다수 개의 상기 트레이(100)의 적층은, 지지돌기(101)가 트레이(100)의 상부에 지지되면서 적층된 후, 상기 냉기유입공간(200)이 형성되면 트레이(100)의 상부 어디에 적층되어도 상관없다.
즉, 상기 지지돌기(101)가 트레이(100) 상부의 테두리(120)나, 이 테두리(120) 안쪽에 형성된 지지턱(130)에 지지되어도 상기 냉기유입공간(200)만 형성이 되면 관계없다.
그리고 상기 바닥 저면(102)에는 냉기유입공간(200)을 통해 유입된 냉기가 바닥 저면(102) 전체면으로 퍼지면서 순환되도록 냉기순환유로(161,162)가 일정 간격마다 다수 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냉기순환유로(161,162)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측면(140)에 형성되되, 길이가 짧은 측면(150)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기순환유로(161,162)의 깊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140,150)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가면서(도 4의 화살표 방향) 점점 깊게 형성되어 중앙에서 최대(Hmax)가 되게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라운드(R)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긴 측면(140)에 형성된 다수 개의 냉기순환유로(161,162) 중 측면 바깥의 냉기순환유로(161)의 깊이가 최소(Hmin)가 되고, 측면 중앙의 냉기순환유로(162)의 깊이가 최대(Hmax)가 되도록 측면 바깥의 냉기순환유로(161)에서부터 측면 중앙의 냉기순환유로(162)로 가면서 깊이가 점점 깊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냉기순환유로(161,162)에 의해, 트레이(100)의 바닥 저면(102)은 돔(dome) 형태의 홈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패류용 트레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패류용 트레이(100)는, 바닥 저면(102)으로 냉기가 유입되도록 냉기유입공간(200)이 형성되고, 바닥 저면(102)으로 유입된 냉기가 다시 트레이(100)의 바닥 저면(102)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냉기순환유로(161,16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냉기순환유로(161,162)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측면(140)에 형성되어 짧은 쪽의 측면(150)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고, 측면(140,150)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더 깊게 형성되되 라운드(R) 형태로 형성되어, 냉기순환유로(161,162)가 전체적으로 돔(dome)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100) 바닥 저면(102)으로 유입된 냉기가 냉기순환유로(161,162)에서 체류되고 순환되되, 쉽게 트레이(100)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였다.
이렇게 냉기순환유로(161,162)에 체류된 냉기는 바지락 같은 패류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공간(110)으로 자연스럽게 퍼지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10)으로 유입된 냉기는 다시 냉기유입공간(200)을 통해 빠져 나가게 된다.
즉, 냉기의 유입, 수납공간(110)으로의 퍼짐, 및 냉기의 배출 등의 순환이 원활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냉기의 순환이 적절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가 트레이(100)의 상부 및 하부, 그리고 측면 모두에 순환되므로, 수납공간(110) 어디에서도 온도 편차가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100)에 수납된 모든 패류에 냉기의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바지락 같은 패류가 오랫동안 신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오랫동안 패류의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00)의 지지돌기(101)는 바닥 저면(102)까지의 높이를 1.8~2.2mm로 하고, 냉기순환유로(161,162)의 최대 깊이는 지지돌기(101)의 저면에서부터 5.3~5.7mm로 하였으며, 측면 중앙의 냉기순환유로(162)를 제외한 냉기순환유로(161)의 폭은 4.6~5.0mm로 하였다.
이렇게 상기 지지돌기(101)의 높이를 1.8~2.2mm로 한 이유는, 트레이(100)를 최대한 많은 수량을 적층할 수 있고, 냉기가 유입되는데 지장이 없는 높이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냉기순환유로(161,162)의 최대 깊이는 지지돌기(101)의 저면에서부터 5.3~5.7mm로 한 이유는, 냉기의 유입, 체류 및 배출 등의 순환이 가장 적절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측면 중앙의 냉기순환유로(162)를 제외한 냉기순환유로(161)의 폭을 4.6~5.0mm로 한 이유는, 바닥 저면(102)의 표면적을 넓게 형성하면서도 냉기의 순환이 가장 적절하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준비한 본 고안의 트레이(100)와 도 1의 종래의 트레이(10)에 패류인 바지락을 수납하였다.
수납 조건은, 패류인 바지락을 4℃로 냉장하되, 3일간 보관 후, 지질 산패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가는 바지락 가식부위(살) 부분을 분리하여 분쇄기(blender)로 마쇄하여 5g을 취하였다.
이에 증류수 15ml를 가한 후, 균질기로 균질화하여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상층액 1ml를 20mM 2-thiobarbituric acid(TBA)/20% trichloroacetic acid(TCA) 2ml에 첨가한 후, 볼텍스 믹서(vortex mixer)를 이용하여 혼합시킨 후에 100℃ 수조에서 15분간 가열하며 반응시킨 후 실온에서 10분 동안 방치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그리고 반응액을 0.45㎛ 주사거르개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31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Type 본 고안의 트레이 종래의 트레이
TBA value 2.06±0.02 2.18±0.04
변화율(%) 9.33±0.84 15.28±2.00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트레이(100)에서 pH 변화율이 61% 정도의 적은 변화율을 나타냄에 따라 적은 산패도 변화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과 같이, 트레이(100)의 바닥 저면(102)에 냉기순환유로(161,162)를 만들어 줄 경우, 제품의 산패 등 변질을 억제하여 패류인 바지락의 품질을 오랫동안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00. 트레이
101. 지지돌기
102. 바닥 저면
110. 수납공간
120. 테두리
130. 지지턱
140,150. 측면
161,162. 냉기순환유로
200. 냉기유입공간

Claims (5)

  1. 패류가 내부에 포장된 후 냉장매대에 적층되어 진열되는 패류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상기 패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 저면에는 상기 바닥 저면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다수개가 형성되고,
    다수 개의 상기 트레이가 적층될 때, 적층된 하부의 상기 트레이의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와 적층된 상부의 상기 트레이의 상기 바닥 저면 사이에는 냉기가 하부에 적층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로 유입되게 냉기유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냉기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냉기가 하부에 적층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급되고,
    또한, 상기 바닥 저면에는 상기 냉기유입공간을 통해 유입된 냉기가 상기 바닥 저면 전체면으로 퍼지면서 순환되도록 냉기순환유로가 일정 간격마다 다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용 트레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순환유로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측면에 형성되되, 길이가 짧은 측면과 나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용 트레이.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0395U 2018-01-25 2018-01-25 패류용 트레이 KR200491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395U KR200491588Y1 (ko) 2018-01-25 2018-01-25 패류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395U KR200491588Y1 (ko) 2018-01-25 2018-01-25 패류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64U KR20190001964U (ko) 2019-08-02
KR200491588Y1 true KR200491588Y1 (ko) 2020-05-04

Family

ID=6758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395U KR200491588Y1 (ko) 2018-01-25 2018-01-25 패류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588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747B1 (ko) * 2009-09-29 2011-12-08 이복규 식품보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64U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7445C (en) Insulated storage/transport container for perishables
US9513067B2 (en) Convection based temperature assured packaging system
JPH05193675A (ja) 食品を入れた受容器の冷凍又は温輸送用断熱包装
KR200443141Y1 (ko) 보냉용 포장박스
KR100797019B1 (ko) 아이스박스
KR200491588Y1 (ko) 패류용 트레이
WO2015081456A1 (es) Contenedor para el embalaje y transporte de productos hortofrutícolas
CA2624773C (en) Transport container with improved ventilation properties for flowers
KR102087306B1 (ko) 계란포장용기
US20060027586A1 (en) Freezer storage container with ventilation openings
KR200474962Y1 (ko) 식재료를 보관하는 냉장고용 다용도 정리함
KR20200045119A (ko) 아이스박스
CN206395087U (zh) 一种农产品包装存储装置
ES2913001T3 (es) Sistema de embalaje con temperatura asegurada basado en la convección
JPS6236774Y2 (ko)
KR200496997Y1 (ko) 신선식품용 포장상자
KR20120070636A (ko) 굴비 급속냉동용 채반
KR200488612Y1 (ko) 식품 수납용 종이 박스
KR102278888B1 (ko) 기밀성이 유지되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도시락
KR200311785Y1 (ko) 어패류용 포장용기
KR20110048314A (ko) 발포폴리스티렌 포장상자
CN214139783U (zh) 适用于软体果蔬的物流保鲜内包装货架
JPS5846048Y2 (ja) 食料品冷凍用容器
US20160236847A1 (en) Container With Ventilation Chamber
AU20212003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apour heat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