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477Y1 -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477Y1
KR200491477Y1 KR2020190001342U KR20190001342U KR200491477Y1 KR 200491477 Y1 KR200491477 Y1 KR 200491477Y1 KR 2020190001342 U KR2020190001342 U KR 2020190001342U KR 20190001342 U KR20190001342 U KR 20190001342U KR 200491477 Y1 KR200491477 Y1 KR 200491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power shaft
bearing
handle
ru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균
Original Assignee
김종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균 filed Critical 김종균
Priority to KR2020190001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6Rudder-position indic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B63B271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2Steering wheels; Posts for steer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선교 내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수평으로 관통하여 마련되는 동력축과, 상기 동력축 일단에 마련되는 핸들과,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동력축 사이에 대칭으로 마련되어 상기 동력축을 회전 및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일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동력축에 부착되어 상기 베어링을 고정하는 스냅링과, 상기 동력축 타단에 연결되어 마련되는 제 1풀리와, 상기 동력축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 1풀리 측면에서 상기 제 1풀리를 고정하는 너트와, 상기 제 1풀리 하방이 마련되며, 상기 제 1풀리보다 직경이 큰 제 2풀리와, 상기 제 2풀리 양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 2풀리를 고정하는 브라켓과, 상기 제 1풀리와 상기 제 2풀리를 연결하는 벨트와, 상기 제 2풀리가 일측으로 연장된 축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 2풀리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와,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핸들의 회전 각도를 출력하는 계기판과, 신호가 인가되면 타를 회전시키는 타구동부와, 상기 계기판과 상기 타구동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Electronic Helm Handle Assembly}
본 고안은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의 회전 무게를 조정할 수 있는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타는 선미에 연결되어 물속으로 연장되어 있거나 용골의 뒤편에 연결되어 있다. 물의 저항을 받아 배를 한쪽으로 돌리거나 뱃머리를 다른 쪽으로 돌릴 때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배가 진행하는 방향인 침로를 조정하기 위해 타를 조정할 수 있으며, 조타륜과 같은 조타기를 통해서 선미의 타를 움직이며 타의 각도를 변환시켜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선박 조종 성능에 매우 중요하므로 선박에서 조타기에 의한 타의 회전은 좌우현으로 35°까지만 돌아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SOLAS 협약에서는 조타기의 동작 속도를 최대 흘수 및 최대 항해 전진 속도력에서 한쪽 현 타각 35°에서 반대현 타각 30°까지 회전시키는데 28초 이내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조타륜의 핸들은 기능이 고정되어 있어 고객의 변경 요구 사항에 대하여 반영이 어려운 구조였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9517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들의 회전 무게를 조정할 수 있고, 전타 회전수를 조정이 용이한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선교 내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수평으로 관통하여 마련되는 동력축과, 상기 동력축 일단에 마련되는 핸들과,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동력축 사이에 대칭으로 마련되어 상기 동력축을 회전 및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일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동력축에 부착되어 상기 베어링을 고정하는 스냅링과, 상기 동력축 타단에 연결되어 마련되는 제 1풀리와, 상기 동력축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 1풀리 측면에서 상기 제 1풀리를 고정하는 너트와, 상기 제 1풀리 하방이 마련되며, 상기 제 1풀리보다 직경이 큰 제 2풀리와, 상기 제 2풀리 양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 2풀리를 고정하는 브라켓과, 상기 제 1풀리와 상기 제 2풀리를 연결하는 벨트와, 상기 제 2풀리가 일측으로 연장된 축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 2풀리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와,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핸들의 회전 각도를 출력하는 계기판과, 신호가 인가되면 타를 회전시키는 타구동부와, 상기 계기판과 상기 타구동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어링과 상기 스냅링 사이에 마련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과 상기 센서부를 연결하고, 상기 센서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 2풀리가 일측으로 연장된 축에 수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에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의 각도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타센서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계기판에서 타의 회전 각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전자 헬름 핸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풀리 비를 다르게 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타시 회전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베어링의 내륜 간격을 조절하여 핸들의 회전무게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가 장착된 선박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에서 일부를 절단한 도면(A-A).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에서 일부를 절단한 도면.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인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는 선교(C) 내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에 수평으로 관통하여 마련되는 동력축(200)과, 상기 동력축(200) 일단에 마련되는 핸들(300)과,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동력축(200) 사이에 대칭으로 마련되어 상기 동력축(200)을 회전 및 지지하는 베어링(400)과, 상기 베어링(400) 일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동력축(200)에 부착되어 상기 베어링(400)을 고정하는 스냅링(410)과, 상기 동력축(200) 타단에 연결되어 마련되는 제 1풀리(500)와, 상기 동력축(200)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 1풀리(500) 측면에서 상기 제 1풀리(500)를 고정하는 너트(510)와, 상기 제 1풀리(500) 하방이 마련되며, 상기 제 1풀리(500)보다 직경이 큰 제 2풀리(520)와, 상기 제 2풀리(520) 양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 2풀리(520)를 고정하는 브라켓(530)과, 상기 제 1풀리(500)와 상기 제 2풀리(520)를 연결하는 벨트(540)와, 상기 제 2풀리(520)가 일측으로 연장된 축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 2풀리(520)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600)와,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핸들(300)의 회전 각도를 출력하는 계기판(700)과, 신호가 인가되면 타(R)를 회전시키는 타구동부(800)와, 상기 계기판(700)과 상기 타구동부(800)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9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고안인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에는 몸체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에 마련된 선교(C)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는 내부에는 하기에서 설명될 동력축(200)이 마련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0)에 수평으로 관통하여 동력축(200)이 마련된다. 상기 동력축(200)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축(200) 일단에는 핸들(300)이 마련된다. 상기 핸들(300)을 회전시켜 상기 핸들(300)과 연결된 상기 동력축(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모양으로 중앙부분에는 구멍이 나 있고 살대가 바깥쪽을 지지하고 있는 형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동력축(200) 사이에는 베어링(400)이 마련된다. 상기 베어링(400)은 두 개가 대칭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축(200)을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400)은 테이퍼 롤러 베이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400)의 일측면에 스냅링(410)이 마련된다. 상기 동력축(200)이 상기 스냅링(410) 중앙을 관통하고, 상기 스냅링(410)은 상기 동력축(200)에 마련된 홈에 끼워 고정할 수 있으며,상기 스냅링(410)은 상기 베어링(4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베어링(400)과 상기 스냅링(410) 사이에는 와셔(42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와셔(420)는 상기 베어링(400)의 내륜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와셔(420)의 설치 개수에 따라 상기 베어링(400)의 내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와셔(420)의 설치 개수를 증가시켜 상기 베어링(400)의 내륜 간격을 좁게 하면 상기 동력축(200)과 상기 베어링(400)의 간격이 좁아져 상기 핸들(300)을 회전시킬 때 큰 힘을 필요로 하며, 상기 와셔(420)의 설치 개수를 감소시켜 상기 베어링(400)의 내륜 간격을 넓게 하면 상기 동력축(200)과 상기 베어링(400)의 간격이 넓어져 상기 핸들(300)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셔(420)의 조립량에 따라서 상기 핸들(300)의 회전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420)는 웨이브 와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동력축(200) 타단에는 제 1풀리(5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풀리(500)는 상기 동력축(200)과 동일한 중심축으로 마련된다. 상기 핸들(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동력축(200)이 회전하고, 상기 제 1풀리(500)는 상기 동력축(200)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제 1풀리(500)는 원통형으로 외면 중앙에 홈이 마련되어 벨트, 로프 등이 감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풀리(500) 외면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동력축(200) 타단에는 너트(510)가 마련된다. 상기 너트(510)는 상기 제 1풀리(500)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풀리(5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제 1풀리(500) 하방에 제 2풀리(52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풀리(520)는 상기 제 1풀리(500)보다 직경이 더 크고, 원통형으로 외면 중앙에 홈이 마련되어 벨트, 로프 등이 감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풀리(520) 외면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풀리(520) 양 끝단에 브라켓(530)이 마련된다. 상기 브라켓(530)은 상기 제 2풀리(520)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 1풀리(500)와 상기 제 2풀리(520)를 연결하는 벨트(540)가 마련된다. 상기 벨트(540)와 상기 제 1풀리(500) 및 상기 제 2풀리(520)가 접촉하는 면에는 상기 제 1풀리(500)와 상기 제 2풀리(520)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 1풀리(500)에서 상기 제 2풀리(520)로 회전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2풀리(520) 일측으로 연장된 축 끝단에 센서부(600)가 마련된다.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제 2풀리(520)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핸들(300)에서 상기 동력축(200), 상기 제 1풀리(500) 및 상기 제 2풀리(520)로 전달된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풀리(500)와 상기 제 2풀리(520)의 사이즈에 따라서 상기 핸들(300)의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1풀리(500)/상기 제 2풀리(520)의 값이 작은 경우 상기 핸들(300)의 전타 회전수가 크고, 상기 제 1풀리(500)/상기 제 2풀리(520)의 값이 큰 경우 상기 핸들(300)의 전타 회전수가 작다.
상기 브라켓(530)과 상기 센서부(600) 사이에 고정부(61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530)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센서부(600)의 회전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 2풀리(520)가 일측으로 연장된 축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핀(620)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180도 간격으로 두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풀리(520)가 회전하면 상기 고정핀(620)은 상기 고정부(610)에 걸리며, 이때 상기 핸들(300)의 회전 각도가 타(R)의 최대 회전각도이다. 상기 고정핀(620)은 상기 고정부(610)에 걸려 상기 제 2풀리(520)를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센서부(600)가 스트로크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센서부(600)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핸들(300)의 회전 각도를 출력하는 계기판(700)이 마련된다. 상기 계기판(700)은 선교(C)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600)의 신호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각도를 표시하며, 니들의 회동을 값을 지시하는 니들식 또는 숫자 표시창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선박(S)의 뒤쪽에 마련되는 상기 타(R)를 회전시키는 타구동부(800)가 마련된다. 상기 타구동부(800)는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타(R)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구동부(800)는 상기 센서부(600)의 신호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각도로 상기 타(R)를 회전시킨다.
상기 타구동부(800)에는 타센서부(810)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600)의 신호를 수신하여 회전하는 상기 타(R)의 각도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타센서부(810)는 일반적으로 각도 검출기로 사용되는 리졸버, 포텐셔미터, 자이로센서 등을 사용하여 상기 타(R)의 각도를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계기판(700)과 상기 타구동부(800)의 구동을 조절하는 제어부(900)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센서부(600)의 신호를 상기 계기판(700)과 상기 타구동부(800)로 전달하며, 상기 타각도부의 신호를 계기판(700)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센서부(600)에서 감지한 상기 제 2풀리(520)의 각도를 상기 제 1풀리(500)와 상기 제 2풀리(520)의 풀리비에 따라 상기 핸들(300)의 회전 각도로 변환하여 상기 계기판(700) 및 상기 타구동부(80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계기판(700)은 상기 제어부(900)에 의해 상기 핸들(300)과 상기 타(R)의 회전 각도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핸들(300)을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300)과 연결된 동력축(200), 제 1풀리(500)가 회전하고 상기 제 1풀리(500)와 상기 벨트(540)로 연결된 상기 제 2풀리(520)도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600)가 상기 제 2풀리(52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제 1풀리(500)와 상기 제 2풀리(520)의 풀리비에 따라 상기 핸들(300)의 회전각도로 변환하여 이를 상기 계기판(700)과 상기 타구동부(800)로 전달한다.
상기 계기판(700)을 통해서 상기 핸들(300)의 회전 각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타구동부(800)에서 상기 핸들(300)의 회전 각도만큼 상기 타(R)를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선박(S)을 운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R)에는 타센서부(810)가 더 마련되어 상기 타(R)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타(R)의 회전 각도를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계기판(700)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계기판(700)은 상기 핸들(300)과 상기 타(R)의 회전 각도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몸체부
200 : 동력축
300 : 핸들
400 : 베어링
410 : 스냅링
420 : 와셔
500 : 제 1풀리
510 : 너트
520 : 제 2풀리
530 : 브라켓
540 : 벨트
600 : 센서부
610 : 고정부
620 : 고정핀
700 : 계기판
800 : 타구동부
810 : 타센서부
900 : 제어부

Claims (4)

  1. 선교 내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수평으로 관통하여 마련되는 동력축;
    상기 동력축 일단에 마련되는 핸들;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동력축 사이에 대칭으로 마련되어 상기 동력축을 회전 및 지지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 일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동력축에 부착되어 상기 베어링을 고정하는 스냅링;
    상기 동력축 타단에 연결되어 마련되는 제 1풀리;
    상기 동력축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 1풀리 측면에서 상기 제 1풀리를 고정하는 너트;
    상기 제 1풀리 하방이 마련되며, 상기 제 1풀리보다 직경이 큰 제 2풀리;
    상기 제 2풀리 양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 2풀리를 고정하는 브라켓;
    상기 제 1풀리와 상기 제 2풀리를 연결하는 벨트;
    상기 제 2풀리가 일측으로 연장된 축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 2풀리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핸들의 회전 각도를 출력하는 계기판;
    신호가 인가되면 타를 회전시키는 타구동부;
    상기 계기판과 상기 타구동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과 상기 스냅링 사이에 마련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센서부를 연결하고, 상기 센서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 2풀리가 일측으로 연장된 축에 수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에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타의 각도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타센서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계기판에서 타의 회전 각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
KR2020190001342U 2019-04-02 2019-04-02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 KR200491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42U KR200491477Y1 (ko) 2019-04-02 2019-04-02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42U KR200491477Y1 (ko) 2019-04-02 2019-04-02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77Y1 true KR200491477Y1 (ko) 2020-04-13

Family

ID=7022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342U KR200491477Y1 (ko) 2019-04-02 2019-04-02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7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170Y1 (ko) * 2000-08-21 2001-01-15 주식회사신동공업 선박용 조타반
KR100429068B1 (ko) * 2001-05-12 2004-04-28 삼영이엔씨 (주) 선박용 자동조타 및 자동제어 장치
KR200449517Y1 (ko) 2008-01-23 2010-07-15 김영중 선박의 조향장치용 헬름
JP2011105222A (ja) * 2009-11-19 2011-06-02 Honda Motor Co Ltd 船外機の操舵装置
KR20140009762A (ko) * 2012-07-13 2014-0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조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170Y1 (ko) * 2000-08-21 2001-01-15 주식회사신동공업 선박용 조타반
KR100429068B1 (ko) * 2001-05-12 2004-04-28 삼영이엔씨 (주) 선박용 자동조타 및 자동제어 장치
KR200449517Y1 (ko) 2008-01-23 2010-07-15 김영중 선박의 조향장치용 헬름
JP2011105222A (ja) * 2009-11-19 2011-06-02 Honda Motor Co Ltd 船外機の操舵装置
KR20140009762A (ko) * 2012-07-13 2014-0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조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4003A (en) Controllable pitch propeller for propulsor and hydroturbine
US9494130B2 (en) Yaw control-by-rudder type tidal stream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yaw control method of the same
NO20061745L (no) Azipull
KR200491477Y1 (ko) 전자 헬름 핸들 어셈블리
US5931110A (en) Vessel direction control system for small-scale vessel
US8340846B2 (en) Boat propelling system
KR101606242B1 (ko) 선박용 추진장치
US3983831A (en) Boat steering device utilizing hydrodynamic servo
JP2013100027A (ja) 操舵装置
US20220194538A1 (en) Electric steering system for ship propuls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205440827U (zh) 一种船舶舷外机与辅助舵联动转向系统
KR20080061126A (ko) 선박용 러더
US3990385A (en) Self-steering mechanism
US1866482A (en) Marine propelling and steering mechanism
US20170015398A1 (en) Asymmetric propulsion and maneuvering system
KR20150133385A (ko) 모형선박용 계측장치
US3059496A (en) Steering shaft mounted speedometer
KR20160027557A (ko) 추진 시스템
US5447111A (en) Rotor type energy saving apparatus mounted on the bow
US3936228A (en) Boat Propeller
NO20130740A1 (no) Momentmåling på propelleraksling
JPH07165189A (ja) 自動船位保持装置
KR20180076925A (ko) 스러스터 장착형 러더
KR20190097575A (ko)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KR102631018B1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관성 안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