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457Y1 -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457Y1
KR200491457Y1 KR2020180002066U KR20180002066U KR200491457Y1 KR 200491457 Y1 KR200491457 Y1 KR 200491457Y1 KR 2020180002066 U KR2020180002066 U KR 2020180002066U KR 20180002066 U KR20180002066 U KR 20180002066U KR 200491457 Y1 KR200491457 Y1 KR 200491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xing
filters
h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880U (ko
Inventor
손장웅
김건회
박준석
송복섭
Original Assignee
(주)동양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공조 filed Critical (주)동양공조
Priority to KR2020180002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5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필터프레임(100)에 수납되는 복수의 필터(2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는 인접하는 한 쌍의 필터(200)의 전방단부에 밀착하여 가압하는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의 상부에서 연장되며, 일정 길이의 몸체(21), 일단의 헤드(22) 및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 수납부(60)를 갖는 손잡이부(20), 일단부에 배치되어 필터프레임(100)의 수직부재(110a, 110b)의 전방에 구비된 홈부(120)에 체결되는 제1 고정너트(40), 필터고정부(11, 12)와 필터 프레임(100)의 홈부(120) 사이의 체결바(30)에서 이동가능한 제2 고정너트(50) 및 타단부에 형성된 머리부(31)를 포함하며, 손잡이부(20)에 형성된 수납부(60) 내를 관통하며 손잡이부(20)의 상단부로 노출되지 않는 체결바(30), 및 손잡이부(20)에 형성된 수납부(60) 내에 수납되며, 체결바(30)의 머리부(31)에 의해 압축되며,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가 한 쌍의 필터(200)를 고정시키는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압축코일스프링(7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FILTER FIXTURE FOR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용 필터를 장착하기 위한 필터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필터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기기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작업장이나 대형 건물 또는 지하철역과 같은 공간은 환기, 온도, 습도 등의 실내환경 관리를 위하여 대부분 대형 공조기를 설치하여 가동하고 있다. 이러한 대형 공조기는 흡입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필터를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다수개의 필터는 일반적으로 필터 장착용 프레임에 삽입하여 고정하는데, 삽입된 필터가 작동중에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거나, 밀착 고정되지 않는 등으로 인하여 필터와 프레임 사이에 틈새가 생기면 필터의 성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필터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필터는 오염 정도를 점검하여 청소를 하거나 교환을 하게 되는데, 종래 일반적인 필터는 그 점검이나 청소가 용이하지 못하였고, 일부의 훼손이나 파손에도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정장치는 필터를 프레임에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쉽게 탈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4701호에서는 필터를 필터프레임(1)에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볼트는 체결수단(2)의 일단에 형성된 볼트 머리부가 홈부에 끼워지는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체결수단(2)의 타단에는 고정플레이트(3)를 결합시킨 후 너트(4)에 의해 고정하는 방식으로 필터들(5)을 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볼트너트 체결방식으로 필터를 고정시키는 방식은 공기조화장치 내의 좁은 공간 안에서 필터를 프레임에 탈착시킬 때마다 일일이 수작업으로 너트를 풀거나 조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손잡이 등으로 필터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일본 공개특허 제2009-002169호에서는 압축력 조정 장치를 통하여 후크부에 걸어 돌려진 선재를 감으면서, 흡기 필터가 탈락하지 않도록 미리 정한 설정값에 가까워지도록 선재의 텐션을 조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는 후크부가 미리 구비되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선재가 한번에 하나씩의 필터를 고정하게 되며, 이러한 선재가 한번에 두 개씩의 필터를 고정한다 하더라도, 두 개의 필터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므로 복수개의 필터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나사고정방식에 의하지 않고도 다수개의 필터를 필터와 프레임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탈착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체결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필터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너트를 돌려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필터 고정장치를 당겨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필터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체결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임에 수납되는 복수의 필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는 인접하는 한 쌍의 필터의 전방단부에 밀착하여 가압하는 두 개의 필터고정부, 두 개의 필터고정부의 상부에서 연장되며, 일정 길이의 몸체, 일단의 헤드 및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 수납부를 갖는 손잡이부, 일단부에 배치되어 필터프레임의 수직부재의 전방에 구비된 홈부에 체결되는 제1 고정너트, 필터고정부와 필터 프레임의 홈부 사이의 체결바에서 이동가능한 제2 고정너트 및 타단부에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며, 손잡이부에 형성된 수납부 내를 관통하며 손잡이부의 상단부로 노출되지 않는 체결바, 및 손잡이부에 형성된 수납부 내에 수납되며, 체결바의 머리부에 의해 압축되며, 두 개의 필터고정부가 한 쌍의 필터를 고정시키는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는 손잡이부의 헤드는 양쪽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고, 두 개의 필터고정부 사이의 거리는 필터프레임의 홈부의 두께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는 제2 고정너트는 필터고정부의 중앙 저면에 밀착되어 필터고정부의 초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는 손잡이부 및 필터고정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나사고정방식에 의하지 않고도 다수개의 필터를 필터와 프레임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너트를 돌려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필터 고정장치를 당겨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필터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압축코일스프링이 노출되지 않은 구성을 통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혼입되어 압축코일스프링의 작동 불량이 유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가 개방형으로 되어 있어 작업자가 장갑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쉽게 손잡이부를 파지할 수 있다.
한편, 필터고정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두께의 필터들을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압축코일스프링의 초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에 의하여 필터를 수납시키는 필터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서 복수개의 필터가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로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서 복수개의 필터를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로 도 1의 필터프레임에 고정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가 필터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를 돌려 필터프레임의 수직부재에 올려놓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가 필터프레임의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를 도 7의 상태로 돌리기 위하여 손잡이를 잡아당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복수개의 필터를 도 4의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로 고정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복수개의 필터를 도 4의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로 고정시키기 위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출원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10에는 필터프레임(100)에 수납되는 복수의 필터(2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는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 손잡이부(20), 체결바(30), 압축코일스프링(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는 인접하는 한 쌍의 필터(200)의 전방단부에 밀착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는 필터프레임(100)의 홈부(120)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는 필터프레임(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후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의 헤드(22)를 당겨 필터고정구를 필터프레임(1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한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고정구를 대략 90도 정도 회전시켜 필터프레임(100)의 수직부재(110a, 110b)에 올리게 된다. 이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필터(200)를 필터프레임(100) 내에 수납시킨 후, 필터고정구를 다시 초기상태로 회전시켜 필터들(200)에 가압시켜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필터들(200)을 필터프레임(100)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는 서로 연결되어 두 개의 단부를 갖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단부가 각각의 필터(200)와 밀착되는 방식으로 한 쌍의 필터(200)를 필터프레임(100)에 수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 사이의 거리는 손잡이부(20)의 몸체(21)의 두께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터고정부(11, 12)의 모서리는 각지지 않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필터고정부(11, 12)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터들(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 사이의 거리는 필터프레임(100)의 홈부(120)의 두께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프레임(100)의 수직부재(110a, 110b)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필터(200)가 배치되므로, 이러한 한 쌍의 필터(200)를 필터프레임(100)에 밀착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 사이의 거리가 수직부재(110a, 110b)의 전방에 구비된 홈부(120)의 두께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는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의 상부에서 연장되며, 일정 길이의 몸체(21), 일단의 헤드(22) 및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 수납부(60)를 가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필터(200)의 설치자는 손잡이부(20)의 헤드(22) 부분을 당겨 수납부(60) 내에 수납되는 압축코일스프링(70)을 수축시킨 후에, 손잡이부(20)의 헤드(22) 부분을 잡는 힘을 풀어주어 압축코일스프링(70)을 이완시키는 방식으로 필터프레임(100)으로부터의 손잡이부(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의 하부에 연결된 필터고정부(11, 12)의 양 단부가 인접하는 한 쌍의 필터(200)를 프레임(100)에 밀착하여 필터들(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압축코일스프링(70)의 수축, 이완에 따라 필터고정부(11, 12)의 위치가 변할 수 있으므로, 필터고정부(11, 12)는 다양한 두께의 필터를 필터프레임(100)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필터설치자는 볼트너트 체결방식과 같이 필터를 프레임에 탈착시킬 때마다 공기조화장치 내의 좁은 공간 안에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너트를 풀거나 조이지 않고도, 다수개의 필터(200)를 필터와 프레임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필터프레임(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의 일정 길이의 몸체(21)는 필터고정부(11, 12)의 중앙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손잡이부(20)의 일단의 헤드(22)에 이르기까지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필터 설치자는 손잡이부(20)의 일단의 헤드(22)에 검지와 중지 손가락을 감는 방식으로 손잡이부(20)를 당기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부(20)의 일단의 헤드(22)에 연결된 몸체(21)의 두께는 일반적인 사람의 검지 및 중지 손가락을 폈을 때의 간격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부(20)의 몸체(21)의 두께는 헤드(22)의 길이방향의 길이 및 필터고정부(11, 12)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0)의 헤드(22)는 양쪽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플랜지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플랜지부(23)의 각 단부 사이의 간격은 손잡이부(20)의 몸체(21)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며, 대략 필터고정부(11, 12) 사이의 간격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간편하게 손잡이부(20)의 헤드(22)의 양쪽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플랜지부(23)를 더 포함함으로써, 플랜지부(23)가 필터고정부(11, 12) 또는 손잡이부(20)의 몸체(21)에 형성되는 경우보다 필터 설치자가 좁은 공간의 다수의 필터들(300)과 상당 거리를 유지하며, 간편하게 손잡이부(20)의 헤드(22)를 잡아당길 수 있다.
나아가, 두 개의 플랜지부(23)는 전체로서 일정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 단부는 각지지 않게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형태는 두 개의 플랜지부(23)가 각각 둥근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손을 고정시키는 방식에 비하여 제작공정이 간편하며, 간단히 필터설치자가 손가락의 두께와 관계없이 두 개의 손가락을 끼우지 않고 손잡이부(20)의 두 개의 플랜지부(23)에 간단하게 걸치는 방식으로 손잡이부(20)의 헤드(22)를 잡아당길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0) 두 개의 플랜지부(23)를 통하여 개방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업자가 장갑 등의 안전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쉽게 손잡이부(20)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부(20)의 수납부(60)는 손잡이부(2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납부(60)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형으로 이루어진 수납부(60) 단면의 직경은 손잡이부(20)의 몸체(21)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부(60)는 손잡이부(20)의 몸체(21) 내부를 따라 헤드(22)의 중앙 상면 및 필터고정부(11, 12)의 중앙 하면을 관통하여 개구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구된 수납부(60)의 형상을 통해, 수납부(60)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진 체결바(30)를 수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체결바(30)가 손잡이부(20)의 수납부(60)의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필터설치자가 체결바(30)와 부딪히지 않고도 안전하게 필터들(200)을 필터프레임(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바(30)는 일단부에 배치되어 필터프레임(100)의 수직부재(110a, 110b)의 전방에 구비된 홈부(120)에 체결되는 제1 고정너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너트(40)는 필터프레임(100)의 홈부(120)의 공간에 들어가도록 하는 위치의 체결바(30)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홈부(120)에 수납되어 홈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필터들(200)의 고정이 필요한 적절한 위치의 홈부(120)에 제1 고정너트(40)를 위치시키고, 체결바(30)의 타단부에 형성된 머리부(31)의 나사홈을 나사홈의 형상에 맞는 단부면을 가진 드라이버 등으로 조임으로써, 제1 고정너트(40)를 정해진 위치의 홈부(12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고정너트가 홈부(120) 내에 고정됨으로써,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가 일정한 위치에서 필터들(200)을 안정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바(30)의 일단부를 필터프레임(100)의 홈부(120)에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고정너트(40)의 반대편으로 홈부(120)의 단부에 밀착되는 로크너트(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너트(40)와 로크너트(41)는 홈부(120)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결바(30)의 일단부는 위치 변동 없이 홈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로크너트(41)가 포함되지 않고 로크너트(41) 또는 제2 고정너트(50) 중 하나의 너트만 포함되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체결바(30)는 필터고정부(11, 12)와 필터프레임(100)의 홈부(120) 사이의 체결바(30)에서 이동가능한 제2 고정너트(50) 및 타단부에 형성된 머리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너트(50)는 필터고정부(11, 12)의 중앙 저면에 밀착되어 필터고정부(11, 12)의 초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은 체결바(30)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31)가 손잡이부(20)의 헤드(22)을 지나 수납부(60)의 개구된 영역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제2 고정너트(50)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두께의 필터들(200)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필터들(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압축코일스프링(70)의 초기 상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고정너트(50)는 필터고정부(11, 12)의 위치를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두개의 너트가 한 세트로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너트(40) 및 제2 고정너트(50)는 체결바(30)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돌리면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고정너트(4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위치의 홈부(120)에 제1 고정너트(4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2 고정너트(5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압축코일스프링(70)의 초기 상태의 길이를 조절하여 압축코일스프링(70)을 수축시킬 때에 손잡이부(20)를 당기는 힘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두께의 필터들(200)을 필터프레임(100)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체결바(30)는 손잡이부(20)에 형성된 수납부(60) 내를 관통하며 손잡이부(20)의 헤드(22)를 지나 바깥쪽으로 노출되지 않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체결바(30)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31)는 항상 수납부(6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바(30)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31)가 손잡이부(20)의 헤드(22)를 지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공기조화장치의 좁은 공간 안에서 필터설치자가 체결바(30)의 머리부(31)에 부딪히지 않고도 필터들(200)을 필터프레임(100)에 수납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체결바(30)가 손잡이부(2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체결바(30)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20) 및 상기 필터고정부(11, 1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를 쉽게, 적은 비용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터설치자가 금속 재질에 부딪혀 다치는 것을 미리 방지해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압축코일스프링(70)은 손잡이부(20)에 형성된 수납부(60) 내에 수납되며, 체결바(30)의 머리부(31)에 의해 압축되며,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가 한 쌍의 필터들(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압축코일스프링(70)은 체결바(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필터고정부(11, 12)의 중앙 상면으로부터 체결바(30)의 머리부(31)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체결바(30)를 둘러싸며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에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체결바(30)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31)가 손잡이부(20)의 헤드(22)를 지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체결바(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압축코일스프링(70)도 손잡이부(20)의 헤드를 지나 바깥쪽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압축코일스프링(70)은 손잡이부(20) 내부에 밀폐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압축코일스프링(7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압축코일스프링(70)의 작동 불량이 유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코일스프링(70)은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가 제2 고정너트(5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필터설치자가 손잡이부(20)의 두 개의 플랜지부(23)를 당김으로써 수축되어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를 필터프레임(100)의 반대편으로 멀어지게 한다. 이때, 압축코일스프링(70)은 수축되어 필터들(2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압축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를 대략 90도로 돌림으로써, 손잡이부(20)의 필터고정부(11, 12)를 필터프레임(100)의 수직부재(110a, 110b)에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필터들(200)을 필터프레임(100)에 삽입 장착시키고, 다시 손잡이부(20)를 당겨 대략 90도로 돌리며 이완시킴으로써, 손잡이부(20)의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가 인접하는 한 쌍의 필터(200)의 전방단부에 밀착하여 압축력에 의하여 필터들(200)을 가압하여 필터프레임(100)에 밀착하여 수납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필터들(200)을 장착하는 동안 필터 고정구를 필터프레임(100)의 수직부재(110a, 110b)에 올려놓을 수 있으므로, 필터 고정구를 필터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필터들(200)을 용이하게 필터프레임(100)에 장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필터 고정구는 도 1과 같은 형태의 필터프레임(100)에 필터들(200)을 수납시킬 수 있다. 필터를 수납시키는 방법은 상기 서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와 같은 형태로 복수개의 필터들(200)이 도 8과 같은 형태의 필터프레임(100)에 수납될 수 있다. 도 3은 이렇게 고정된 필터들(200)을 필터고정구로 수납시킨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용 필터고정구를 이용하여, 간단 신속하게 필터 교체, 장착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필터 고정구를 도 1과 같은 형태의 종래의 필터프레임(100)에도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경 및/또는 변경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에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12: 필터고정부 20: 손잡이부
21: 몸체 22: 헤드
23: 플랜지부 30: 체결바
31: 머리부 40: 제1 고정너트
50: 제2 고정너트 60: 수납부
70: 압축코일스프링 100: 필터프레임
120: 홈부 200: 필터

Claims (4)

  1. 필터프레임(100)에 수납되는 복수의 필터(2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필터(200)의 전방단부에 밀착하여 가압하는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
    상기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의 상부에서 연장되며, 일정 길이의 몸체(21), 일단의 헤드(22) 및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 수납부(60)를 갖는 손잡이부(20);
    일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프레임(100)의 수직부재(110a, 110b)의 전방에 구비된 홈부(120)에 체결되는 제1 고정너트(40), 상기 필터고정부(11, 12)와 필터 프레임(100)의 홈부(120) 사이의 체결바(30)에서 이동가능한 제2 고정너트(50) 및 타단부에 형성된 머리부(31)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20)에 형성된 수납부(60) 내를 관통하며 상기 손잡이부(20)의 상단부로 노출되지 않는 체결바(30); 및
    상기 손잡이부(20)에 형성된 수납부(60) 내에 수납되며, 상기 체결바(30)의 머리부(31)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가 한 쌍의 필터(200)를 고정시키는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압축코일스프링(70)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0)의 헤드(22)는 양쪽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플랜지부(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필터고정부(11, 12)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필터프레임(100)의 홈부(120)의 두께보다 길게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너트(50)는 상기 필터고정부(11, 12)의 중앙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필터고정부(11, 12)의 초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0) 및 상기 필터고정부(11, 1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
KR2020180002066U 2018-05-11 2018-05-11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 KR200491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66U KR200491457Y1 (ko) 2018-05-11 2018-05-11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66U KR200491457Y1 (ko) 2018-05-11 2018-05-11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80U KR20190002880U (ko) 2019-11-20
KR200491457Y1 true KR200491457Y1 (ko) 2020-04-09

Family

ID=6869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066U KR200491457Y1 (ko) 2018-05-11 2018-05-11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5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222A (ja) 2002-10-18 2004-05-13 Yamatoyo Sangyo Kk 空調用エアーフィルター
KR200352680Y1 (ko) 2004-03-26 2004-06-05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공조용 필터 고정구
JP2009233491A (ja) 2008-03-26 2009-10-15 Kubota Corp 空調用フィルタ装置
KR100941005B1 (ko) 2009-10-19 2010-02-05 씨엔지디에스주식회사 헤파필터박스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222A (ja) 2002-10-18 2004-05-13 Yamatoyo Sangyo Kk 空調用エアーフィルター
KR200352680Y1 (ko) 2004-03-26 2004-06-05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공조용 필터 고정구
JP2009233491A (ja) 2008-03-26 2009-10-15 Kubota Corp 空調用フィルタ装置
KR100941005B1 (ko) 2009-10-19 2010-02-05 씨엔지디에스주식회사 헤파필터박스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80U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1860B (zh) 空氣過濾器外殼、使用空氣過濾器外殼及將面板類型空氣過濾器安裝在空氣過濾器外殼中之方法
US8905693B2 (en) Hardware retention clip
US20120028483A1 (en) Spring terminal element and terminal block
WO2006087641A2 (de) Vorrichtung zur prasentation von brillen
JP5200190B2 (ja) 脱落防止具
KR200491457Y1 (ko) 공기조화기용 필터 고정구
JP2013513488A5 (ko)
US11014505B2 (en) Attachment device, supporting accessory and roof tent including such a device
KR102542223B1 (ko) 압축 쐐기의 개별 정지부
US20030080011A1 (en) Spool case for bonding wire, and method of handling spool using same
US7418756B1 (en) Fastener thread cleaning apparatus
KR100626978B1 (ko) 조명등용 체결구
JP4478937B2 (ja) チェーンクランプ装置
KR101063988B1 (ko) 대형 공조기 필터 고정장치
JP4484620B2 (ja) キャスター付き機器の固定具
CN105873387A (zh) 一种快速拆装板件紧固装置
US8016529B2 (en) Spring captive loaded fastener retainer
KR200454502Y1 (ko) 위치 고정용 볼트 및 볼트 고정 구조
US10895370B2 (en) Hands-free support bolt and method
US3029870A (en) Mounting means for fans and the like
KR200486186Y1 (ko)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
PT860617E (pt) Parafuso com cabeca de martelo para fixar tectos
CN211384239U (zh) 一种制冷设备的空气滤网装置
US20180023601A1 (en) Post Clamp
JP3778502B2 (ja) 床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