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50Y1 - A brushing arrangement for animals - Google Patents

A brushing arrangement for anim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350Y1
KR200491350Y1 KR2020150004413U KR20150004413U KR200491350Y1 KR 200491350 Y1 KR200491350 Y1 KR 200491350Y1 KR 2020150004413 U KR2020150004413 U KR 2020150004413U KR 20150004413 U KR20150004413 U KR 20150004413U KR 200491350 Y1 KR200491350 Y1 KR 200491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ing device
support arm
arm
fastening unit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4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0134U (en
Inventor
니콜라스 틸렛
Original Assignee
드라발 홀딩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라발 홀딩 에이비 filed Critical 드라발 홀딩 에이비
Priority to KR2020150004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350Y1/en
Publication of KR20170000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3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5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고안은 동물을 위한 솔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솔질 장치는 지지 구조물(2)에 부착되는 체결 유닛(3), 장착 위치에서 체결 유닛(3)에 연결되는 지지 아암(4), 및 지지 아암(4)에 의해서 지지되는 회전가능 솔(6)을 포함한다. 지지 아암(4)이 상이한 높이들의 복수의 상이한 장착 위치들에서 체결 유닛(3)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design relates to a brushing device for animals. The brushing device comprises a fastening unit 3 attached to the support structure 2, a support arm 4 connected to the fastening unit 3 in the mounting position, and a rotatable brush 6 supported by the support arm 4 It includes. The support arm 4 can be releas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unit 3 at a plurality of different mounting positions of different heights.

Description

동물용 솔질 장치{A BRUSHING ARRANGEMENT FOR ANIMALS}Animal brushing device {A BRUSHING ARRANGEMENT FOR ANIMALS}

본 고안은 동물용 솔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솔질 장치는 지지 구조물에 부착되는 체결 유닛, 장착 위치에서 체결 유닛에 연결되는 지지 아암, 및 지지 아암에 의해서 지지되는 회전가능 솔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shing device for animals, the brushing device includes a fastening unit attached to a support structure, a support arm connected to the fastening unit in a mounting position, and a rotatable brush supported by the support arm.

공지된 동물용 솔질 장치가 지지 구조물에 장착되고 전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회전 솔을 구비한다. 솔은, 솔이 회전될 때 동물의 털 및 피부와 상호작용하는 강모(bristle)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회전 솔에 의해서 동물을 솔질하고, 긁고, 및/또는 털을 다듬는다. Known animal brushing devices are equipped with a rotating brush mounted on a support structure and driven by an electric motor. The brush has bristle that interacts with the animal's hair and skin when the brush is rotated. Accordingly, the animal is brushed, scratched, and / or trimmed with a rotating brush.

WO 2013/176596는, 지지부(part), 솔, 및 회전 축 주위로 솔을 회전시키도록 배열된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동물 솔 장치를 보여준다. 동물 솔질 장치는 솔과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된 회전 센서를 포함한다. 솔은 또한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고, 회전 센서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에 의해서 유발되는 회전 운동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WO 2013/176596 shows an animal brush device comprising a part, a brush, and an electric motor arranged to rotate the brush around an axis of rotation. The animal brushing device includes a rotation sensor arranged to interact with the brush. The sole can also be rotated by an externally applied force, and the rotation sensor is configured to sense rotational motion caused by an externally applied force.

그러나, 송아지(calve)는 성장하고, 무리(herd) 중의 송아지의 평균 체고(withers height)는 계속적으로 증가된다. 염소 및 송아지는 일반적으로 깔개(bedding materials)로서 짚을 이용하여 사육되고 새로운 짚의 부가는 바닥 높이를 높인다. 솔이 동물의 체고와 관련하여 부정확한 높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동물이 효과적인 방식으로 솔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However, the calf grows, and the average height of the calf in the herd continues to increase. Goats and calves are usually bred using straw as bedding materials and the addition of new straw increases the floor height. If the brush is placed at an incorrect height relative to the animal's height, the animal will not be able to use the brush in an effective manner.

본 고안의 목적은, 솔을 위한 지지 아암 및 신뢰가능하고 단순한 방식으로 상이한 높이들에서 솔을 배치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을 가지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솔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ushing device comprising a support arm for the sole and a fastening unit having a design that allows the placement of the sole at different heights in a reliable and simple manner.

이러한 목적은, 지지 아암이 상이한 높이들의 복수의 상이한 장착 위치들에서 체결 유닛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두에서 규정된 솔질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체결 유닛은 바람직하게 상이한 높이들에 배열된 복수의 일차적인 연결부를 포함하고, 지지 아암은, 선택된 일차적인 연결부의 높이에 의존하는 높이에서 지지 아암에 의해서 솔이 지지되도록, 일차적인 연결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결합되게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적인 연결부를 포함한다. 초기에, 조작자는 동물을 위한 공간 내의 적절한 높이에서 벽 또는 기둥과 같은 지지 구조물 상에 체결 유닛을 부착한다. 그 후에, 조작자는, 체결 유닛의 일차적인 연결부들 중 어떠한 일차적인 연결부가 지지 아암의 이차적인 연결부 의해서 결합되게 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조작자는 적절한 일차적인 연결부를 선택하기 위한 공식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공식은, 공간 내에 수용된 동물의 체고의 함수로서 적절한 일차적인 연결부를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어린 동물이 공간 내에 수용되는 경우에, 동물이 성장할 때, 지지 아암의 이차적인 연결부를 점진적으로 더 높이 위치된 체결 유닛의 일차적인 연결부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솔을 점진적으로 더 높은 높이에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다. 더 작은 동물의 군이 공간 내에 수용되는 경우에, 지지 아암의 이차적인 연결부를 점진적으로 더 낮게 위치된 체결 유닛의 일차적인 연결부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솔을 더 낮은 높이에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다. This object is achieved by the brushing device defined at the out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arm can be releas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unit at a plurality of different mounting positions of different heights. The fastening unit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primary connections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the support arm being selected from one of the primary connections such that the sol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arm at a height dependent on the height of the selected primary connection. And at least one secondary connection that is moved to be coupled. Initially, the operator attaches the fastening unit on a supporting structure, such as a wall or column, at an appropriate height within the space for the animal. Thereafter, the operator selects which of the primary connections of the fastening unit, which primary connection is to be engaged by the secondary connection of the support arm. The operator will be able to use the formula to select the appropriate primary connection. Such a formula could define a suitable primary connection as a function of the animal's body height accommodated in the space. When the young animal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when the animal grows, by connecting the secondary connection of the support arm progressively higher to the primary connection of the fastening unit positioned, the brush is facilitated to the progressively higher height. Can be arranged. When a smaller group of animals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the sole can be easily arranged at a lower height by connecting the secondary connection of the support arm to the primary connection of the fastening unit positioned gradually lower. .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체결 유닛은 연결 홀의 수직 행(row)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일차적인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 아암 및 솔의 위치가 수직 축을 따라서 조정될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astening unit comprises at least one primary connection in the form of a vertical row of connection holes. 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support arms and soles will be adjusted along the vertical axis.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지지 아암은, 연결 홀 중 하나와의 결합으로 이동되는 돌출 연결 부재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이차적인 연결부를 포함한다. 돌출 부재가 고리-형상일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돌출 부재가 체결 유닛의 연결 홀의 하부 연부 부분을 잡을(grip)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 아암의 돌출 연결 부재가 체결 유닛의 연결 홀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결합을 벗어나 변위되지 않을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upport arm comprises at least one secondary connection in the form of a protruding connection member which is moved in engagement with one of the connection holes. The protruding member may be ring-shaped,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can grip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connecting hole of the fastening unit. In this case, the protruding connecting member of the supporting arm will not be unintentionally displaced out of engagement from the connecting hole of the fastening unit.

지지 아암은 적어도 한 쌍의 돌출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지지 아암이 장착된 상태에 있을 때, 하나의 돌출 연결 부재가 다른 돌출 연결 부재 위에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이는, 지지 아암과 체결 유닛 사이의 보다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한다. The support arm may include at least a pair of protruding connection members, and when the support arm is mounted, one protruding connection member is arranged at a distance over the other protruding connection member. This ensures a more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support arm and the fastening unit.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지지 아암이 적어도 한 쌍의 돌출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지지 아암이 장착된 상태에 있을 때, 하나의 돌출 연결 부재가 다른 돌출 연결 부재로부터 수평방향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이는, 지지 아암과 체결 유닛 사이의 안정적인 연결을 추가로 보장한다.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support arm may include at least one pair of protruding connection members, and when the support arm is mounted, the one protruding connection member increases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other protruding connection member. Left and arranged. This further ensures a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support arm and the fastening unit.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솔 장치는, 장착 위치에서 체결 유닛과 관련하여 지지 아암을 록킹(lock)하도록 구성된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동물이 솔 및 지지 아암으로 비교적 큰 힘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록킹 메커니즘은, 지지 아암에 비교적 큰 외부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지지 아암과 체결 유닛 사이의 연결의 분리를 방지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ole device comprises a locking mechanism configured to lock the support arm in relation to the fastening unit in the mounting position. The animal will be able to exert a relatively large force with the sole and support arm. Such a locking mechanism prevents separ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pport arm and the fastening unit, even when a relatively larg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arm.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체결 유닛이 세장형 브래킷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브래킷이 비교적 단순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서로 해제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부 및 후방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브래킷이 비교적 단순한 방식으로 벽 또는 기둥 형태의 지지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조작자는, 솔을 사용하게 될 동물의 체고와 관련된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공식에 의한 적절한 높이에 브래킷을 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astening unit may be an elongated bracket. Such a bracket may have a relatively simple design. It may include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that are releas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bracket may be attached to the support structure in the form of a wall or column in a relatively simple manner. The operator will be able to attach the bracket to an appropriate height by a formula that includes parameters related to the height of the animal that will be using the brush.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솔질 장치는 회전가능 솔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기 모터로의 전기 에너지가, 체결 유닛 내의 세장형 홈을 통해서 연장하는 케이블을 통해서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솔이 높이가 케이블 분리 없이 조정될 수 있다. 솔질 장치가 오프(off) 위치 및 온 위치에서 셋팅될 수 있는 전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오프 위치에서는 전기 에너지가 전기 모터로 공급되지 않고, 온 위치에서는, 외부 힘이 회전가능 솔에 작용할 때, 전기 에너지가 전기 모터로 공급된다. 그러한 전기 스위치에 의해서 솔질 장치가 용이하게 활성화 및 비활성화된다. 전기 스위치가 체결 유닛 내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rushing device includes an electric motor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able brush. Preferably, electrical energy to the electric motor is supplied through a cable extending through the elongated groove in the fastening unit. In this way, the sole height can be adjusted without cable disconnection. The brushing device may include an electrical switch that can be set in the off position and the on position, in which no electrical energy is supplied to the electric motor, and in the on positio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otatable brush. When working, electrical energy is supplied to the electric motor. The brushing device is easily activated and deactivated by such an electrical switch. The electrical switch may be arranged in the fastening unit.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솔질 장치는, 외부 힘이 회전가능 솔에 작용할 때를 감지하는 센서, 및 외부 힘이 회전가능 솔로 작용할 때,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전기 모터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그러한 솔은, 외부 힘을 받을 때에만, 회전한다. 그에 따라, 솔이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에, 전기 에너지가 절감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rushing device comprises a sensor configured to sense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rotatable brush, and a control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sensor and activate the electric motor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rotatable brush. Includes units. Such a brush rotates only when subjected to external force. Thus, during periods when the brush is not used, electrical energy is saved.

바람직하게, 제어 유닛이 지지 아암의 내부에 배열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제어 유닛이 지지 아암의부에 의해서 보호된다. 또한, 전기 케이블이 지지 아암의 내측 공간을 통해서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의해서, 전기 케이블이 동물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Preferably, the control unit is arranged inside the support arm. In this position, the control unit is protected by the support arm. In addition, the electrical cable may extend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arm. Thereby, the electric cable is protected from animal damage.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지지 아암은, 지지 아암의 측부 부분(side portion)을 형성하는 제1 아암부, 지지 아암의 대향하는 측부 부분을 형성하는 제2 아암부, 지지 아암의 상부 부분을 형성하는 상부, 및 지지 아암의 하부 부분을 형성하는 하부를 포함한다. 아암부들이 서로에 대해서 해제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아암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아암부가 판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upport arm forms a first arm portion forming a side portion of the support arm, a second arm portion forming an opposite side portion of the support arm,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arm It includes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arm. The arm portions may be releas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arm portion may be in a plate shape so as to form an interior space in the arm portion mounted state.

이제, 예로서 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서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솔질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솔질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솔질 장치의 지지 아암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Now, by means of the preferred embodiment disclosed by way of example an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nven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1 shows a bru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esign.
2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brushing device.
3 shows the support arm of the brushing device in more detail.

도 1은 염소 또는 송아지와 같은 동물(1)에 의해서 이용될 수 있는 솔질 장치를 도시한다. 솔질 장치는, 벽, 기둥, 또는 비임 등과 같은 지지 구조물(2)에 부착되는 브래킷(3) 형태의 체결 유닛을 포함한다. 솔질 장치는 브래킷(3)에 연결되는 지지 아암(4)을 포함한다. 지지 아암(4)은,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 연장선을 가지는 제1 직선형 부분, 제2의 곡선형 부분, 및 장착된 상태에서 수직 연장선을 가지는 제3의 짧은 직선형 부분을 포함한다. 지지 아암(4)은 브래킷(3)에 연결되는 제1 단부를 포함한다. 지지 아암(4)은, 힌지 장치(5)를 통해서 원통-형상의 솔(6)의 상부 단부(6a)에 연결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한다. 힌지 장치(5)는, 지지 아암(4)과 관련하여 피봇 축(5a, 5b)을 중심으로 하는 솔(6)의 피봇 운동을 허용하는 2개의 직교하는 피봇 축(5a, 5b)을 포함한다. 솔(6)은 솔(6)에 외부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 수직 하방으로 매달린다. 이러한 위치에서, 솔의 하부 단부(6b)가 원통-형상의 솔(6)의 상부 단부(6a) 아래로 수직으로 위치된다. 전기 스위치(7)가 브래킷(3) 내에 배열된다. 전기 스위치(7)는, 오프 위치 및 온 위치에서 셋팅될 수 있는 회전 손잡이 또는 버튼을 포함한다. 1 shows a brushing device that can be used by animals 1 such as goats or calves. The brushing device comprises a fastening unit in the form of a bracket 3 attached to a supporting structure 2 such as a wall, column, beam or the like. The brushing device comprises a support arm 4 connected to the bracket 3. The support arm 4 includes a first straight portion having a horizontal extension line in the mounted state, a second curved portion, and a third short straight portion having a vertical extension line in the mounted state. The support arm 4 includes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bracket 3. The support arm 4 comprises a second end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6a of the cylindrical-shaped sole 6 via a hinge device 5. The hinge device 5 comprises two orthogonal pivot axes 5a, 5b that allow pivotal movement of the sole 6 about the pivot axes 5a, 5b in relation to the support arm 4. . The sole 6 hangs vertically downward when no external force acts on the sole 6. In this position, the lower end 6b of the brush is positioned vertically below the upper end 6a of the cylindrical-shaped brush 6. The electrical switch 7 is arranged in the bracket 3. The electrical switch 7 comprises a rotary knob or button that can be set in the off position and on position.

도 2는 솔질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브래킷(3)은, 브래킷(3)의 전방 부분을 형성하는 전방부(3a) 및 2개의 측부 부분의부를 포함한다. 브래킷(3)은, 브래킷(3)의 후방 부분을 형성하는 후방부(3b) 및 2개의 측부 부분의 상보적인 부분들을 포함한다. 전방부(3a) 및 후방부(3b)가,부(3a, 3b)의 측부 부분 내에 배열된 나사에 의해서, 서로 해제가능하게 연결된다. 브래킷(3)의 전방 부분은 전기 스위치(7)를 위한 개구부(3c)를 포함한다. 전기 스위치(7)가 지지 부재(8)에 의해서 브래킷(3)의 내측 공간 내에 부착된다. 전기 스위치(7)는 전기 케이블의 장착을 위한 케이블 그랜드(gland)(9)를 포함한다. 전방 부분(3a)은,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된, 연결 홀(3d)의 제1 행 및 연결 홀(3e)의 제2 행을 더 포함한다. 행(3d, 3e)은 장착된 상태에서 수직 연장선을 가진다. 연결 홀(3d, 3e)이 세장형이다. 전방 부분(3a)은 또한, 연결 홀(3d, 3e)의 2개의 평행 행들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에 위치된 세장형 홈(3f)을 포함한다. 2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brushing device. The bracket 3 includes a front portion 3a and two side portion portions that form the front portion of the bracket 3. The bracket 3 includes a rear portion 3b forming a rear portion of the bracket 3 and complementary portions of two side portions. The front portion 3a and the rear portion 3b are releas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screws arranged in the side portions of the portions 3a and 3b. The front part of the bracket 3 includes an opening 3c for the electrical switch 7. The electric switch 7 is attach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racket 3 by the support member 8. The electrical switch 7 comprises a cable gland 9 for mounting electrical cables. The front portion 3a further includes a first row of the connecting holes 3d and a second row of the connecting holes 3e,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Rows 3d and 3e have vertical extension lines when mounted. The connecting holes 3d and 3e are elongated. The front portion 3a also includes a centrally located elongated groove 3f, which is located between two parallel rows of the connecting holes 3d, 3e.

지지 아암(4)은, 지지 아암(4)의 대향하는 측부 부분을 형성하는, 제1 아암부(4a) 및 제2 아암부(4b)를 포함한다. 각각의 아암부(4a, 4b)가, 제1 단부에서, 상부 고리-형상의 돌출 연결 부재(4f) 및 하부 돌출 연결 부재(4g)를 포함한다. 제1 아암부(4a)의 돌출 연결 부재(4f, 4g)는, 브래킷(3)의 제1 행(3d) 내의 2개의 인접한 연결 홀과의 결합으로 이동된다. 제2 아암부(4b)의 돌출 연결 부재(4f, 4g)는, 브래킷(3)의 제2 행(3e) 내의 2개의 인접한 연결 홀 내로 삽입된다. 지지 아암(4)은, 지지 아암(4)의 상부 부분을 형성하는 상부(4c) 및 지지 아암의 하부 부분을 형성하는 하부(4d)를 포함한다. 지지 아암(4)은 또한 지지 아암(4)의 제1 단부에 배열되는 단부 판(4e)을 포함한다. 제1 아암부(4a), 제2 아암부(4b), 상부 아암부(4c), 하부 아암부(4d) 및 단부 판(4e)이, 예를 들어 나사와 같은, 적절한 체결 수단에 의해서 서로 해제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supporting arm 4 includes a first arm portion 4a and a second arm portion 4b, which form opposing side portions of the supporting arm 4. Each arm portion 4a, 4b includes, at the first end, an upper ring-shaped protruding connecting member 4f and a lower protruding connecting member 4g. The protruding connecting members 4f and 4g of the first arm portion 4a are moved in combination with two adjacent connecting holes in the first row 3d of the bracket 3. The protruding connecting members 4f and 4g of the second arm portion 4b are inserted into two adjacent connecting holes in the second row 3e of the bracket 3. The supporting arm 4 includes an upper portion 4c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arm 4 and a lower portion 4d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arm. The support arm 4 also includes an end plate 4e arranged at the first end of the support arm 4. The first arm portion 4a, the second arm portion 4b, the upper arm portion 4c, the lower arm portion 4d and the end plate 4e are joined to each other by suitable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s, for example. It is releasably connected.

솔질 장치는, 브래킷(3) 상의 장착 위치에서 지지 아암(4)을 록킹하도록 구성된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록킹 메커니즘은 브래킷(3)의 내측 표면 내에 배열된 록 너트(10), 그리고 지지 아암(4)의 내측 공간 내에 배열되는 볼트 및 와셔 록 너트(11)를 포함한다. 지지 아암(4)의 하부(4d)가, 록킹 메커니즘의 볼트 및 와셔 록 너트(11)에 대한 접근로를 제공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커버 판(13)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활주 가능하게 배열되고, 개방 위치에서 커버 판이 상기 개구부를 노출시키고, 폐쇄 위치에서 커버 판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다. 제어 유닛(14)이 지지 아암(4)의 내측 공간 내에 배열된다. 2개의 직교하는 피봇 축(5a, 5b)을 포함하는 힌지 장치(5)가 지지 아암(4)의 제2 단부에 배열된다. 또한, 지지 아암(4)의 제2 단부가 케이블 보호부(16)를 둘러싼다. The brushing device comprises a locking mechanism configured to lock the support arm 4 at the mounting position on the bracket 3. The locking mechanism comprises a lock nut 10 arrang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3 and a bolt and washer lock nut 11 arrang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arm 4. The lower portion 4d of the support arm 4 includes an opening that provides access to the bolt and washer lock nut 11 of the locking mechanism. The cover plate 13 is slidably arranged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in the open position the cover plate exposes the opening, and in the closed position the cover plate closes the opening. The control unit 14 is arrang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arm 4. A hinge device 5 comprising two orthogonal pivot axes 5a, 5b is arranged at the second end of the support arm 4. In addition, the second end of the support arm 4 surrounds the cable protection 16.

솔(6)의 상부 단부(6a)가 상단 판(18)을 포함하고, 그러한 상단 판은 솔의 상단 강모를 동물이 씹는 것에 대해서 보호하도록 그 크기가 결정된다. 상단 판(18)은 U-프로파일(17)을 통해서 힌지 장치(5)에 연결된다. 솔(6)은, 솔(6)의 상부 단부(6a)와 하부 단부(6b) 사이에서 연장하는 관통 홀을 포함한다. 전기 튜브 모터(19)가 관통 홀 내에 장착된다. 센서(20)는, 솔(6)이 외부 힘을 받을 때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센서(20)는, 외부 힘에 의해서 유발되는 힌지 메커니즘(5) 내의 솔(6)의 회전 운동 및/또는 솔(3)의 피봇 운동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전기 모터(19) 및 센서(20)가 튜브 모터 보호부(21) 내에 장착된다. 물림 커플링(claw coupling)(22)이 전기 모터(19)와 튜브 모터 보호부(21) 사이에 배열되고 회전을 튜브 모터 보호부(21)로 전달하고, 튜브 모터 보호부는 상단 판(18)을 통해서 회전을 솔(6)로 전달한다. The upper end 6a of the brush 6 includes a top plate 18, which is sized to protect the top bristles of the brush against animal chewing. The top plate 18 is connected to the hinge device 5 via a U-profile 17. The brush 6 includes a through hole extending between the upper end 6a and the lower end 6b of the brush 6. The electric tube motor 19 is mounted in the through hole. The sensor 20 is configured to detect when the sole 6 is subjected to external force. The sensor 20 may detect rotational motion of the sole 6 and / or pivotal motion of the sole 3 in the hinge mechanism 5 caused by external forces. The electric motor 19 and the sensor 20 are mounted in the tube motor protection part 21. A claw coupling 22 is arranged between the electric motor 19 and the tube motor protector 21 and transmits rotation to the tube motor protector 21, the tube motor protector being the upper plate 18 The rotation is transmitted to the brush 6 through.

도 3은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 아암(4)의 도면을 도시한다. 제1 케이블(23)은, 세장형 홈(3f)을 통한, 수동 스위치(7)로부터 제어 유닛(14)까지의 연장선을 가진다. 제1 케이블은 전기 스위치(7)로부터 제어 유닛(14)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제2 케이블(24)은 제어 유닛(14)으로부터 전기 모터(19)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제2 케이블(24)은 또한 솔(6)로 작용하는 외부 힘의 존재와 관련한 신호를 센서(20)로부터 제어 유닛(14)으로 전도한다. 3 shows a view of the support arm 4 in the mounted state. The first cable 23 has an extension line from the manual switch 7 to the control unit 14 through the elongated groove 3f. The first cable supplies electrical energy from the electrical switch 7 to the control unit 14. The second cable 24 supplies electrical energy from the control unit 14 to the electric motor 19. The second cable 24 also conducts a signal relating to the presence of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brush 6 from the sensor 20 to the control unit 14.

솔 장치가 바람직하게 염소 또는 송아지를 위한 공간 내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장착 공정은, 초기에, 브래킷(3)을 공간 내의 적절한 지지 구조물 상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브래킷(3)의 후방부(3b)가, 볼트에 의해서 정지된 벽 형태의 정지된 지지 구조물 상에 또는 U-클램프에 의해서 정지된 기둥 상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브래킷(3)의 가장 낮은부가 바람직하게 공식 Y=X+C에 상응하는 공간 내의 바닥 위의 높이(Y)에 장착되고, 여기에서 X는 염소/송아지의 평균 체고(X)이고, C는 동물(1)의 목의 길이를 기초로 선택되는 상수이고, 754 mm의 길이를 가지는 브래킷(3)에 대해서 예를 들어 355 mm일 수 있을 것이다. The brush device may preferably be mounted in a space for goats or calves. The mounting process initially involves attaching the bracket 3 onto a suitable support structure in the space. The rear portion 3b of the bracket 3 may be mounted on a stationary support structure in the form of a wall stopped by a bolt or on a post suspended by a U-clamp. The lowest part of the bracket 3 is preferably mounted at a height Y above the floor in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formula Y = X + C, where X is the average body height of the goat / calf (X) and C is the animal It is a constant selected based on the length of the neck of (1), and may be, for example, 355 mm for the bracket 3 having a length of 754 mm.

그 후에, 브래킷의 전방부(3a)가 브래킷의 후방부(3b)에 연결된다. 다음 단계는 지지 아암(4)을 바닥 위의 적절한 높이에서 브래킷(3)에 연결하는 것이다. 솔(6)의 제2 단부(6b)가 바람직하게, 공식 H=X-C에 따라서, 수직 하방으로 매달릴 때 바닥 위의 높이(H)에 장착되고, 여기에서 X는 가장 큰 염소/송아지의 체고이고, C는 예를 들어 205 mm일 수 있는 상수이다. 솔(6)의 제2 단부(6b)가 상기 공식에 따라서 바닥 위로 높이(H)에 위치되도록, 브래킷(3)의 연결 홀(3d, 3e)이 선택된다. Thereafter, the front portion 3a of the bracket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3b of the bracket. The next step is to connect the support arm 4 to the bracket 3 at an appropriate height above the floor. The second end 6b of the sole 6 is preferably mounted at a height H above the floor when hanging down vertically, according to the formula H = XC, where X is the largest chlorine / calf height , C is a constant which can be for example 205 mm. The connecting holes 3d, 3e of the bracket 3 are selected so that the second end 6b of the sole 6 is positioned at a height H above the floor according to the above formula.

지지 아암(4)을 브래킷(3)에 연결하기 위해서, 지지 아암(4)의 제1 직선형 부분이 제1 단부의 곡선형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위치로 지지 아암(4)이 이동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부 고리-형상 연결 부재(4f)를 행(3d, 3e) 내의 선택된 연결 홀 내로 도입할 수 있다. 그 후에, 제1 직선형 부분이 수평 연장선을 획득하게 되는 위치로 지지 아암(4)이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 운동 중에, 하부 연결 부재(4g)가, 상부 연결 부재에 의해서 결합된 연결 홀 아래에 위치된 각각의 행(3d, 3e) 내의 연결 홀과 결합되도록 이동된다. 이제, 지지 아암(4)이 브래킷(3)과 관련하여 안정적 장착 위치에 있게 된다. 그 후에, 록킹 메커니즘(10, 11)을 이용하여 지지 아암(4)을 이러한 위치에서 록킹한다. 볼트 및 와셔 록 너트(11)가 단부 판(4e) 내의 관통 홀 및 세장형 홈(3f)을 통해서 록 너트(10)로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커버 판(13)이 폐쇄 위치로 이동되고, 그러한 폐쇄 위치에서 커버 판은 록킹 메커니즘의 볼트 및 와셔 록 너트(11)에 대한 개구부를 커버한다. 이제, 솔질 장치가 사용 준비된다. To connect the support arm 4 to the bracket 3, the support arm 4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straight portion of the support arm 4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curved portion of the first end. In this position, the upper ring-shaped connecting member 4f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lected connecting hole in the rows 3d, 3e. Thereafter, the support arm 4 is rotated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straight portion acquires a horizontal extension line. During this rotational movement, the lower connecting member 4g is moved to engage with the connecting hole in each row 3d, 3e located below the connecting hole joined by the upper connecting member. Now, the support arm 4 is in a stable moun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racket 3. Thereafter, the supporting arms 4 are locked in this position using locking mechanisms 10 and 11. The bolt and washer lock nut 11 is connected to the lock nut 10 through a through hole in the end plate 4e and an elongated groove 3f. Finally, the cover plate 13 is moved to the closed position, where the cover plate covers the openings for the bolts and washer lock nuts 11 of the locking mechanism. The brushing device is now ready for use.

전기 스위치(7)가 오프 위치에 있을 때, 전기 에너지가 제어 유닛(14)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솔(6)은 수직 하방으로 매달리고, 동물(1)이 솔(6)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전기 스위치(7)가 온 위치에 있을 때, 전기 에너지가 제어 유닛(14)으로 공급된다. 이제 동물(1)이 솔(6)을 이용할 수 있다. 솔이 외부 힘을 받지 않는 한, 솔은 회전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수직 하방으로 매달린다. 솔질 장치에 의한 솔질을 원하는 동물(1)이 솔(6)을 밀 때, 센서(20)는 솔이 외부 회전력을 받았다는 것을 감지한다. 제어 유닛(14)은 센서(20)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러한 제어 유닛은 전기 에너지를 전기 모터(19)로 공급하고, 그에 따라 전기 모터는 회전 운동을 솔(6)로 제공한다. When the electrical switch 7 is in the off position, electrical energy is not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4. The sole 6 hangs vertically downward, and it is impossible for the animal 1 to activate the sole 6. When the electrical switch 7 is in the on position, electrical energy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4. The animal 1 can now use the brush 6. As long as the brush is not subject to external forces, the brush is suspended vertically in a non-rotating state. When the animal 1 wanting to brush by the brushing device pushes the brush 6, the sensor 20 detects that the brush has received an external rotational force. The control unit 14 receives this information from the sensor 20, and such control unit supplies electrical energy to the electric motor 19, whereby the electric motor provides rotational motion to the sole 6.

송아지가 성장하고 그에 따라 송아지의 높이가 계속적으로 높아진다. 만약 솔이 송아지의 체고와 관련하여 부정확한 높이에 배치된다면, 송아지는 효과적인 방식으로 솔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그에 따라, 솔(6)의 높이(H)를 규칙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지 아암(4)의 높이(H)를 조정하고자 할 때, 조작자는 커버 판(13)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러한 개방 위치에서 지지 아암(4) 내의 록킹 메커니즘에 대한 개구부가 노출된다. 조작자는 록킹 메커니즘의 록 너트(10)로부터 볼트 및 와셔 록 너트(11)를 해제시킨다. 이제, 지지 아암(4)이 브래킷(3)에 더 이상 록킹되지 않는다. 조작자는 지지 아암(4)의 외측 단부를 위쪽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하부 연결 부재(4g)가 연결 홀(3d, 3e)의 결합의 외부로 변위된다. 그 후에, 조작자는 상부 연결 부재(4f)를 연결 홀(3d, 3e)로부터 결합을 벗어나도록 변위시킨다. 이제, 지지 아암(4)이 브래킷(3)으로부터 분리된다. The calf grows and the calf height continues to rise accordingly. If the sole is placed at an incorrect height relative to the calf's height, the calf will be unable to use the sole in an effective manner.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regularly adjust the height H of the sole 6. When trying to adjust the height H of the support arm 4, the operator moves the cover plate 13 to the open position, in which the opening to the locking mechanism in the support arm 4 is exposed. The operator releases the bolt and washer lock nut 11 from the lock nut 10 of the locking mechanism. Now, the support arm 4 is no longer locked to the bracket 3. The operator rotates the outer end of the supporting arm 4 upward, so that the lower connecting member 4g is displaced out of the engagement of the connecting holes 3d, 3e. Thereafter, the operator displaces the upper connecting member 4f out of engagement from the connecting holes 3d, 3e. Now, the support arm 4 is separated from the bracket 3.

조작자는, 상부 연결 부재(4f)를 위한 적합한 높이에 위치된, 결합하고자 하는 새로운 연결 홀(3d, 3e)을 선택한다. 조작자는 상부 연결 부재(4f)를 선택된 연결 홀(3d, 3e)과의 결합으로 이동시키고, 여기에서 하부 연결 부분(4g)이 아래에 위치된 연결 홀(3d, 3e)과의 결합으로 이동된다. 그 이후에, 조작자는, 록킹 메커니즘(10, 11)을 이용하여, 지지 아암(4)을 새로운 장착 위치에서 록킹한다. 조작자는 커버 판(13)을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제, 솔질 장치가 사용 준비된다. 결과적으로, 송아지가 성장할 때, 지지 아암(4)의 높이를, 그에 따라 솔(6)의 높이를 조정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The operator selects the new connection holes 3d, 3e to be joined, which are located at a suitable height for the upper connection member 4f. The operator moves the upper connecting member 4f in engagement with the selected connecting holes 3d, 3e, where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g is moved in engagement with the connecting holes 3d, 3e located below. . After that, the operator locks the support arm 4 at the new mounting position using the locking mechanisms 10 and 11. The operator moves the cover plate 13 to the closed position. The brushing device is now ready for use. As a result, when the calf grows, it is very eas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arm 4 and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sole 6.

고안은 설명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The desig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changed freely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15)

동물용 솔질 장치로서, 솔질 장치가 지지 구조물(2)에 부착되는 체결 유닛(3), 장착 위치에서 체결 유닛(3)에 연결되는 지지 아암(4), 및 지지 아암(4)에 의해서 지지되는 회전가능 솔(6)을 포함하는 솔질 장치에 있어서,
지지 아암(4)이 상이한 높이들의 복수의 상이한 장착 위치들에서 체결 유닛(3)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체결 유닛(3)은 상이한 높이들에 배열된 복수의 일차적인 연결부를 포함하고, 지지 아암(4)은, 선택된 일차적인 연결부(3d, 3e)의 높이에 의존하는 높이에서 지지 아암(4)에 의해서 솔(6)이 지지되도록, 일차적인 연결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결합되게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적인 연결부(4f, 4g)를 포함하여, 일차적인 연결부(3d, 3e)와 이차적인 연결부(4f, 4g)의 결합 해제 및 결합만으로 솔(6)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체결 유닛(3)이 연결 홀의 수직 행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일차적인 연결부를 포함하고,
지지 아암(4)이, 연결 홀 중 하나와의 결합으로 이동되는 돌출 연결 부재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이차적인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질 장치.
As an animal brushing device, the brushing device is supported by a fastening unit (3) attached to the support structure (2), a support arm (4) connected to the fastening unit (3) in the mounting position, and a support arm (4) In the brushing device comprising a rotatable brush (6),
The support arm 4 can be releas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unit 3 at a plurality of different mounting positions of different heights,
The fastening unit 3 comprises a plurality of primary connections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and the support arms 4 are attached to the support arms 4 at a height dependent on the height of the selected primary connections 3d, 3e. The primary connecting portion 3d, 3e and the secondary connecting portion 4f,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ary connecting portion 4f, 4g, which is moved to be engaged with a selected one of the primary connecting portions so that the sole 6 is supported by the The height of the sole 6 can be adjusted only by uncoupling and coupling of 4g),
The fastening unit 3 comprises at least one primary connection in the form of a vertical row of connection holes,
Br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arm (4) comprises at least one secondary connection in the form of a protruding connection member which is moved in engagement with one of the connection hol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돌출 연결 부재가 고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Br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ng connecting member is ring-shaped.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지지 아암(4)이 적어도 한 쌍의 돌출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지지 아암(4)이 장착된 상태에 있을 때, 하나의 돌출 연결 부재가 다른 돌출 연결 부재 위에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5,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upporting arm 4 includes at least one pair of protruding connecting members and the supporting arm 4 is mounted, one protruding connecting member is arranged at a distance over the other protruding connecting members. Brushing device.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지지 아암(4)이 적어도 한 쌍의 돌출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지지 아암(4)이 장착된 상태에 있을 때, 하나의 돌출 연결 부재가 다른 돌출 연결 부재로부터 수평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5,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upporting arm 4 includes at least one pair of protruding connecting members and the supporting arm 4 is mounted, one protruding connecting member is arranged at a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other protruding connecting members. Brushing device made.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장착 위치에서 지지 아암(4) 및 체결 유닛(3)을 록킹하도록 구성된 록킹 메커니즘(10, 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5,
Br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mechanism (10, 11) configured to lock the support arm (4) and the fastening unit (3) in the mounting position.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체결 유닛이 세장형 브래킷(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5,
Br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unit is an elongated bracket (3).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솔질 장치가 회전가능 솔(6)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5,
Br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ic motor (19)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able brush (6).
제10항에 있어서,
전기 모터(19)로의 전기 에너지가, 체결 유닛(3) 내의 세장형 홈(3f)을 통해서 연장하는 케이블(23)을 통해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 br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al energy to the electric motor (19) is supplied through a cable (23) extending through the elongated groove (3f) in the fastening unit (3).
제10항에 있어서,
"오프" 위치 및 "온" 위치에서 셋팅될 수 있는 전기 스위치(7)를 포함하고, 오프 위치에서는 전기 에너지가 전기 모터로 공급되지 않고, 온 위치에서는, 외부 힘이 회전가능 솔(6)에 작용할 때, 전기 에너지가 전기 모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It includes an electric switch 7 that can be set in the "off" position and the "on" position, in which the electric energy is not supplied to the electric motor in the off position, and in the on positio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otatable brush 6 A br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cting, electrical energy is supplied to the electric motor.
제10항에 있어서,
외부 힘이 회전가능 솔에 작용할 때를 감지하는 센서(20), 및 외부 힘이 회전가능 솔(6)로 작용할 때, 센서(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전기 모터(19)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 sensor 20 that senses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rotatable brush, and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rotatable brush 6,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sensor 20 and activates the electric motor 19. Br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14 configured.
제13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14)이 지지 아암(6)의 내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Br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14) is arranged inside the support arm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지지 아암(4)이, 지지 아암(4)의 측부 부분을 형성하는 제1 아암부(4a), 지지 아암(4)의 대향하는 측부 부분을 형성하는 제2 아암부(4b), 지지 아암(4)의 상부 부분을 형성하는 제3 상부(4c), 및 지지 아암(4)의 하부 부분을 형성하는 제4 하부(4d)를 포함하고, 아암부(4a-4d)가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지지 아암(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5,
The support arm 4 is the 1st arm part 4a which forms the side part of the support arm 4, the 2nd arm part 4b which forms the opposing side part of the support arm 4, the support arm ( And a third upper portion 4c forming the upper portion of 4) and a fourth lower portion 4d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arm 4, wherein the arm portions 4a-4d have an inner space. Br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n arm (4).
KR2020150004413U 2015-07-01 2015-07-01 A brushing arrangement for animals KR20049135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13U KR200491350Y1 (en) 2015-07-01 2015-07-01 A brushing arrangement for anim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13U KR200491350Y1 (en) 2015-07-01 2015-07-01 A brushing arrangement for anim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34U KR20170000134U (en) 2017-01-11
KR200491350Y1 true KR200491350Y1 (en) 2020-03-25

Family

ID=5779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413U KR200491350Y1 (en) 2015-07-01 2015-07-01 A brushing arrangement for anim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50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6280B (en) * 2017-05-02 2023-05-30 温州大学 Full-automatic washing device
KR101981311B1 (en) * 2018-12-04 2019-05-22 문제완 Brush device for animal husband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30Y1 (en) * 2006-04-27 2006-08-29 이종대 Self-adjusting brusing system for use with animals
KR101225700B1 (en) * 2012-07-18 2013-01-23 최대식 Scratch for catt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30Y1 (en) * 2006-04-27 2006-08-29 이종대 Self-adjusting brusing system for use with animals
KR101225700B1 (en) * 2012-07-18 2013-01-23 최대식 Scratch for ca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34U (en)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9837U (en) Brushing equipment for animals
EP1665927B1 (en) Equipment for brushing cattle
KR200491350Y1 (en) A brushing arrangement for animals
AU2010226921B2 (en) Milker unit detacher for rotary milking parlor
US20070051323A1 (en) Stackable pet shelter
JP6953397B2 (en) Rotatable brush for animals
DE102018131634B4 (en) Device for brushing animals
US20010017480A1 (en) Cable guide structure
CN205161485U (en) A grooming device for animal
GB2032751A (en) Cattle stall
JP6950960B2 (en) Feeding equipment
RU162757U1 (en) ANIMAL BRUSHING DEVICE
EP2408293B1 (en) Head trunk brush device
BR202015015934Y1 (en) a brushing device for animals
KR200402521Y1 (en) A Pile Equipment
ITUB201549807U1 (en) BRUSHING DEVICE FOR ANIMALS
DK201500092U3 (en) Brush arrangement for animals
PL69519Y1 (en) Construction for brushing animals
KR20030043889A (en) Open and close apparatus of necklace frame for a cowhouse
ES1142112U (en) Arrangement of brushing for animal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CN204907446U (en) Box unit of milking
US20130153360A1 (en) Emergency stop device for a rotary platform of a milking parlour
AT14875U1 (en) Arrangement for brushing for animals
WO2004049789A2 (en) Versatile dog house
WO2002096194A1 (en) Bite arrangement for pi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