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37Y1 -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종이 재질의 입체 마스크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종이 재질의 입체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37Y1
KR200491237Y1 KR2020180003129U KR20180003129U KR200491237Y1 KR 200491237 Y1 KR200491237 Y1 KR 200491237Y1 KR 2020180003129 U KR2020180003129 U KR 2020180003129U KR 20180003129 U KR20180003129 U KR 20180003129U KR 200491237 Y1 KR200491237 Y1 KR 200491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dimensional mask
body portion
us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123U (ko
Inventor
김용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팩토리
Priority to KR2020180003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37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7/00Masks or dominoes for concealing identity, e.g. for theatric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종이 재질의 입체 마스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는 물체의 형상이 표현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체결구와, 체결구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는 미리 형성된 종이 재질의 재료판을 절곡선을 따라 접어서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구는 본체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결합면의 일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수용홈은 체결구가 형성된 결합면과 대응하는 결합면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구는 체결구가 형성된 결합면으로부터 체결구의 삽입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하는 연장부와 이러한 연장부로부터 체결구의 삽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접철부를 포함하고, 체결구의 연장부와 수직접철부 사이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수직접철부를 연장부에 대해 접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종이 재질의 입체 마스크{Paper solid mask mounted on user's head}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종이 재질의 입체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형성된 종이 재질의 재료판을 절곡선을 따라 절곡해 조립하며 서로 맞닿아 조립되는 결합면에는 체결구와 수용홈이 형성되어 접착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입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면(또는 마스크)은 사용자의 얼굴이나 머리를 가려 변장을 하거나 얼굴을 방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품으로, 유희나 공연 등의 목적으로 많이 이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범위가 한층 확대되면서 어린아이들의 생일파티나 할로윈 축제 등과 같은 각종 파티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면 제품은 사용자의 얼굴을 부분적으로 가리는 형태와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 머리 전체를 가리는 형태가 있다. 이 중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 이용하는 가면의 경우에는 외면에 좋아하는 동물이나 캐릭터 등의 입체 형상을 보다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더욱 큰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 이용하는 입체형 마스크 제품은 통상적으로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보관 등에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이 재질로 입체 마스크를 형성해 사용시 조립하여 이용하도록 제품을 형성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종이로 형성되는 조립 제품은 체결 부위를 접착제 등으로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접착제 등을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제품을 이용할 수 없게 되고, 접착제가 건조되어 굳는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품을 바로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제품은 시간이 지나면서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접착부위가 떨어지거나 제품이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입체 마스크 제품은 보통 하나의 고정된 사이즈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제품을 원활하게 이용할 수 없거나 착용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두상의 크기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종이로 제조된 입체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종이 재질의 입체 마스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는 물체의 형상이 표현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체결구와, 체결구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는 미리 형성된 종이 재질의 재료판을 절곡선을 따라 접어서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구는 본체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결합면의 일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수용홈은 체결구가 형성된 결합면과 대응하는 결합면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구는 체결구가 형성된 결합면으로부터 체결구의 삽입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하는 연장부와 이러한 연장부로부터 체결구의 삽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접철부를 포함하고, 체결구의 연장부와 수직접철부 사이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수직접철부를 연장부에 대해 접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홈은 슬릿 형상의 관통구멍으로 형성되며, 수용홈의 폭은 체결구의 연장부의 폭보다는 크고 접철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장부와 수직접철부의 폭을 합친 크기 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구의 연장부는 체결구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이동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고정시키는 장착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는 미리 형성된 종이 재질의 재료판을 절곡선을 따라 접어서 조립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부의 상호 결합되는 결합면의 일측에는 체결구가 구비되고 체결구가 형성된 결합면과 대응하는 결합면에는 수용홈이 구비되어 체결구를 수용홈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리세스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에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의 높이조절부는 장착부의 외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높이를 표시한 눈금부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요가 따라 장착부를 절취해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는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사각형 단면 구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부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에는 입체 마스크를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할 때 사용자의 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턱에 감아 입체 마스크가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는 상호 결합되는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 중 어느 한쪽에는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가 구비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이러한 체결구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는 공룡 형상의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입체 마스크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는 미리 형성된 종이 재질의 재료판을 절곡부를 따라 접곡한 다음 서로 맞닿아 조립되는 결합면을 체결구와 수용홈으로 구성된 체결구조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입체 마스크를 용이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한 이후에는 간단하게 제품을 분해해 공간 제약 없이 제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는 체결구조를 형성하는 체결구가 체결구의 삽입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와 연장부로부터 체결구의 삽입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접철부로 구성되어 있어, 수직접철부를 연장부 측으로 접은 상태로 체결구를 수용홈 내로 삽입해 체결구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체결구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펼쳐진 수직접철부가 수용홈에 걸림결합되어 조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는 본체부 내에 장착부를 구비해 사용자의 머리에 입체 마스크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장착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를 구비해 두상의 크기에 무관하게 아동부터 어른까지 다양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의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의 분해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의 장착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의 제1 본체부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재료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의 제2 본체부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재료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의 장착부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재료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를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장착구조의 장착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이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는 종이 재질로 형성된 재료판을 절곡해 체결구를 수용홈에 삽입해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접착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입체 형상의 마스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100)는 캐릭터 등의 물체의 형상이 표현된 본체부(200;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공룡의 머리 형상이 입체적으로 구현되어 있음), 본체부(200) 내부에 위치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장착부(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200)는 하나의 일체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부재를 결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공룡 형상의 입체 마스크를 구현하기 위해 제1 본체부(210)와 제2 본체부(220)를 결합해 본체부(200)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미리 형성된 종이 재질의 재료판을 절취선을 따라 절취한 다음 재료판에 형성된 절곡선을 따라 절곡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절곡부는 통상의 종이 조립 모형과 같이 재료판의 일측면에 두께가 좁아지는 홈을 형성해 용이한 절곡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형성된 종이 재질의 재료판[제1 재료판(212)]을 절취선[제1 절취선(214)]을 따라 절취한 다음 절곡선[제1 절곡선(216)]을 따라 접어서 제1 본체부(210)를 형성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형성된 종이 재질의 재료판[제2 재료판(222)]을 절취선[제2 절취선(224)]을 따라 절취한 다음 절곡선[제2 절곡선(226)]을 따라 접어서 제2 본체부(220)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본체부(210)와 제2 본체부(22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해 최종 본체부(200)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200)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접어서 본체부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개구부(235)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같은 입체 마스크는 내부에서 공기가 원활히 순환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체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답답함을 느끼기 쉽고, 마스크 내부의 상승된 온도로 불쾌감을 느끼기 쉽다. 이에 반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100)와 같이 본체부(200)에 접철 가능한 접이부(230)를 형성해 두게 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접이부(230)를 접어서 본체부(200)에 개구부(235)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의 유동을 유도해 보다 편안하고 쾌적하게 입체 마스크(1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200)에는 사용자가 입체 마스크(100)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귀가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2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구멍(240)으로 인해 사용자는 입체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외부의 소리를 잘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입체 마스크(100)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다음으로, 장착부(400)는 본체부(200) 내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가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형성된 종이 재질의 재료판[제3 재료판(410)]을 절취선[제3 절취선(420)]을 따라 절취한 다음 절곡선[제3 절곡선(430)]을 따라 접어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400)의 중심부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리세스(4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440)는 원형으로 재료판을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착부(400)를 입체 마스크(100)의 본체부(200) 내부에 구비하게 되면, 사용자의 머리가 장착부(400)의 리세스(440)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입체 마스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부(200) 내부에 장착부(400)가 구비되게 되면, 사용자의 머리와 본체부(200)의 상부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부(200)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이 유도되어 입체 마스크를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400)에는 입체 마스크의 장착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450)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400)에 구비되는 높이 조절부(45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400)의 일측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눈금선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부(400)에 높이 조절부(450)를 형성하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두상의 크기에 맞게 장착부(4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예컨대, 두상이 작은 아동들은 높이 조절부를 그대로 이용하고, 두상이 큰 어른들은 높이 조절부를 부분적으로 절취해 이용함] 입체 마스크(100)의 장착 높이를 쉽게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입체 마스크(100)가 하나의 사이즈로 제조되더라도 두상의 크기에 무관하게 다양한 사용자가 입체 마스크(100)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 지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400)는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장착부(400)를 직사각형 단면 구조의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장착부(400)가 본체부(200) 내에서 임의로 회전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착부(400)의 상부는 장착부가 삽입되는 본체부의 상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제1 본체부(210)의 형상에 대응해 장착부(400)의 상부가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 하부는 수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체 마스크(100)에는 입체 마스크(100)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끈(500)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끈(5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 또는 장착부(400)에 형성된 고정홈(460)에 삽입되어 입체 마스크(100)를 사용자의 머리에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고정끈(500)은 일측에 조임장치(510)를 구비해 조임장치(510)를 통해 체결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가 자신의 두상의 크기에 맞게 고정끈(500)의 체결길이를 조절해 안정적으로 입체 마스크를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100)는 종이 재질의 재료판을 절곡해 조립하는 본체부(200) 및 장착부(400)에 체결구조를 구비해 접착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제품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체결구조는 상호 조립되는 일측 결합면에 구비되는 체결구(300)와 타측 결합면에 구비되는 수용홈(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구(300)는 상호 조립되는 일측 결합면으로부터 체결구의 삽입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하는 연장부(310)와 이러한 연장부(310)로부터 체결구의 삽입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접철부(320)로 구성되며, 연장부(310)와 수직접철부(320)와 연장부 사이에는 절곡선이 형성되어 수직접철부(320)를 연장부(310)와 중첩되게 연장부(310) 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330)은 조립시 체결구(300)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체결구(3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체결구(300)의 폭은 연장부(310) 보다는 넓고 연장부(310)와 수직접철부(320)를 합친 폭[체결구(310)의 수직접철부(320)가 연장부(310) 측으로 접철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장부(310)와 수직접철부(320)의 폭을 합친 크기] 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를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체결구조의 체결방식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는 체결구(300)의 수직접철부(320)를 연장부(310) 측으로 접어서 누른 상태로 체결구(300)를 대응 수용홈(330) 내로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다[도 7의 (a) 및 (b) 참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는 체결구(300)의 연장부(310)와 수직접철부(320) 사이에 형성된 절곡부를 따라 수직접철부(320)를 연장부(310) 측으로 접을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체결구(300)가 삽입되는 수용홈(330)이 연장부(310)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구(300)를 수용홈(330) 내로 간섭 없이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장부(310)는 체결구(300)가 수용홈(330) 내로 보다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구의 삽입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한편, 이와 같은 방식으로 체결구(300)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수직접철부(320)를 원래의 위치로 펼치거나 수직접철부(320)를 파지하고 있던 손을 떼어 수직접철부(320)가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수직접철부(320)가 수용홈(330)에 걸림결합되어 조립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입체 마스크의 조립이 가능해지고, 사용자는 입체 마스크를 이용한 이후에 조립된 상태를 분해하여 쉽게 제품을 보관하였다가 다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용홈(330)이 형성되는 결합면에는 필요에 따라 체결구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체결유지부(3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유지부(340)는 체결구(300)가 수용홈(330)에 삽입될 때에는 수용홈(330)이 형성된 부분이 체결구(300)가 형성된 결합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접혀지고, 체결구(300)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원래의 위치로 다시 펼쳐져 체결구(300)와 삽입홈(330) 사이의 체결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도 7의 (b) 및 (c) 참조].
전술한 체결구조는 제1 본체부, 제2 본체부, 장착부 등 종이로 형성된 재료판을 접어서 형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호 조립되는 결합면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 내의 조립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조립 부위[예컨대,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의 조립 부위]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마스크는 서로 조립되는 체결구(300)와 수용홈(330)의 근방에 조립 표시부(350)를 더 구비해도 좋다. 조립 표시부(350)는 예컨대 조립 순서에 따라 서로 대응하는 체결구(300)와 수용홈(330) 부위에 동일한 숫자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립 표시부(350)가 구비되면, 사용자는 조립 표시부를 통해 조립 순서와 대응되는 조립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입체 마스크가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쉽게 제품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에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입체 마스크
200: 본체부
210: 제1 조립부
220: 제2 조립부
230: 접이부
235: 개구부
240: 관통구멍
300: 체결구
310: 연장부
320: 수직접철부
330: 수용홈
340: 체결유지부
400: 장착부

Claims (14)

  1.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종이 재질의 입체 마스크이며,
    물체의 형상이 표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수용홈과,
    상기 본체부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고정시키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미리 형성된 종이 재질의 재료판을 절곡선을 따라 접어서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본체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결합면의 일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체결구가 형성된 결합면과 대응하는 결합면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체결구가 형성된 결합면으로부터 체결구의 삽입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체결구의 삽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접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의 연장부와 수직접철부 사이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수직접철부를 연장부에 대해 접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미리 형성된 종이 재질의 재료판을 절곡선을 따라 접어서 조립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의 상호 결합되는 결합면의 일측에는 체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가 형성된 결합면과 대응하는 결합면에는 수용홈이 구비되어, 체결구를 수용홈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되는,
    입체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슬릿 형상의 관통구멍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폭은 상기 체결구의 연장부의 폭보다는 크고 접철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장부와 수직접철부의 폭을 합친 크기 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입체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연장부는 체결구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이동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체 마스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리세스가 구비되는,
    입체 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입체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높이조절부는 상기 장착부의 외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높이를 표시한 눈금부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요가 따라 장착부를 절취해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체 마스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사각형 단면 구조의 형태로 형성되는,
    입체 마스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부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이부가 구비되는,
    입체 마스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입체 마스크를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할 때 사용자의 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입체 마스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턱에 감아 입체 마스크가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끈을 더 포함하는,
    입체 마스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호 결합되는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 중 어느 한쪽에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가 구비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이러한 체결구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구비되는,
    입체 마스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공룡 형상의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체 마스크.
KR2020180003129U 2018-07-06 2018-07-06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종이 재질의 입체 마스크 KR200491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29U KR200491237Y1 (ko) 2018-07-06 2018-07-06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종이 재질의 입체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29U KR200491237Y1 (ko) 2018-07-06 2018-07-06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종이 재질의 입체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23U KR20200000123U (ko) 2020-01-15
KR200491237Y1 true KR200491237Y1 (ko) 2020-03-06

Family

ID=6915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129U KR200491237Y1 (ko) 2018-07-06 2018-07-06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종이 재질의 입체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3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7153A (en) 1974-03-01 1975-11-04 Felipe Holschneider Unitary foldable laminar blank for the manufacture of containers useful as toy football helmets
JP5091197B2 (ja) * 2009-07-16 2012-12-05 恒利 品田 簡易組み立て帽子
WO2014016537A2 (en) * 2012-06-21 2014-01-30 Lomas Steven Frederick Mask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310U (ko) * 2009-03-13 2010-09-27 김송아 절취선을 부착한 팝콘 상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7153A (en) 1974-03-01 1975-11-04 Felipe Holschneider Unitary foldable laminar blank for the manufacture of containers useful as toy football helmets
JP5091197B2 (ja) * 2009-07-16 2012-12-05 恒利 品田 簡易組み立て帽子
WO2014016537A2 (en) * 2012-06-21 2014-01-30 Lomas Steven Frederick Mas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23U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52600S1 (en) Headphones
USD895813S1 (en) Therapeutic elastic sports tape
USD875713S1 (en) Wireless earphone
USD935688S1 (en) Hairdryer diffuser head
USD942613S1 (en) Mask assembly
USD956909S1 (en) Golf training disk
USRE45475E1 (en) Frame assembly mountable to an object
USD971886S1 (en) Headphone
USD955131S1 (en) Portable chair
USD929038S1 (en) Hairdryer diffuser head
KR20040000482A (ko) 귀마개 및 귀마개 프레임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USD474287S1 (en) Partition trim
USD956955S1 (en) Face mask
KR200491237Y1 (ko)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종이 재질의 입체 마스크
USD576272S1 (en) Nasal mask
JP2005058582A (ja) クッション材
JP2022144931A (ja) マスクフレームおよびマスク
USD481213S1 (en) Seat frame
USD952253S1 (en) Universal hair diffuser
USD497917S1 (en) Compressor shroud
USD944497S1 (en) Turban
USD481215S1 (en) Seat frame
JP3181161U (ja) 組み立て式簡易ヘルメット
USD1005262S1 (en) Portable loudspeaker
USD999855S1 (en) Portable basketball backboard and rim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