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18Y1 -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18Y1
KR200491218Y1 KR2020180003805U KR20180003805U KR200491218Y1 KR 200491218 Y1 KR200491218 Y1 KR 200491218Y1 KR 2020180003805 U KR2020180003805 U KR 2020180003805U KR 20180003805 U KR20180003805 U KR 20180003805U KR 200491218 Y1 KR200491218 Y1 KR 200491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rail
hole
coupled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441U (ko
Inventor
노창석
Original Assignee
노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창석 filed Critical 노창석
Priority to KR2020180003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1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4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14Housing or casing lateral walls containing guiding grooves or special mounting facil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5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or casings not concerning the mounting or assembly of the different internal part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전면으로 개방되도록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가 구비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에 있어서,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간격이 형성된 상태로 결합되며, 다수의 위치 조절홀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설치패널과, 상기 설치패널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체결나사가 전면을 통해 상기 위치 조절홀에 결합되도록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전면에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변프레임과, 상기 가변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며,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홈이 이동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용 차단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돌기에 고정시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양측을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CASE STRUCTURE OF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패널에 위치 조절홀을 형성시켜 가변프레임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적용함과 아울러, 고정유닛의 위치 조절을 통해 배선용 차단기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배선용 차단기의 위치와 개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배선용 차단기의 형태에 따라 가변프레임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 할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에 사용되는 배선용 차단기(누전 차단기 등)는 전기 누전이나 합선 발생시 부주의에 의한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누전이나 단락사고 발생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는, 전류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값을 초과하여 일정시간 지속하는 경우, 내장된 전자회로의 판단에 의해 동작되어 전원을 차단하는 구동 방식을 갖는다.
그리고, 배선용 차단기는 수분이나 이물질(먼지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오작동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다.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 케이스는, 가로등의 지주 등에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공간의 체결 위치에 결합되는 배선용 차단기 및,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덮개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는 배선용 차단기의 설치 위치가 고정적이므로 배선용 차단기의 개수 및 사이즈 등을 변경시 결합 구조를 변경해야만 했고, 유지 보수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 적용시 체결부재를 모두 분리시킨 후에 배선용 차단기들을 개별적으로 분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는 수분이나 이물질(먼지 등)이 케이블 삽입구 또는 덮개와 하우징의 결합면 사이를 통해 누전차단기 설치공간으로 유입되어 누전차단기의 오동작 및 안전사고(감전사고 등)가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82486호(2005년 04월 13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가로등용 단자함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패널에 위치 조절홀을 형성시켜 가변프레임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적용함과 아울러, 고정유닛의 위치 조절을 통해 배선용 차단기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배선용 차단기의 위치와 개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배선용 차단기의 형태에 따라 가변프레임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 할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원 케이블 삽입구와 램프 케이블 삽입구에 패킹을 각각 삽입시킨 후, 전원 케이블 삽입구와 램프 케이블 삽입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켜 패킹을 압축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써, 수분이나 이물질(먼지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배선용 차단기의 오작동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는, 내부에 전면으로 개방되도록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가 구비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에 있어서,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간격이 형성된 상태로 결합되며, 다수의 위치 조절홀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설치패널과, 상기 설치패널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체결나사가 전면을 통해 상기 위치 조절홀에 결합되도록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전면에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변프레임과, 상기 가변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며,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홈이 이동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용 차단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돌기에 고정시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양측을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변프레임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후 상기 가변프레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레일 및, 상기 제1레일과 반대되는 상기 가변프레임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후 상기 가변프레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은 전면이 상기 가이드홈의 후면에 밀착되고, 절곡된 끝단은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 벽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후방측 양단이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에는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과 동일 선상에 한 쌍의 관통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전면에 안착되고, 후방측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가압구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며,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편이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측면에 걸림 위치되는 지지부재 및, 전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이동부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고, 후단의 머리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 걸림 위치되며, 정 역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가압구가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의 후방측 양단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후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절곡된 끝단을 외부에서 감싸는 한 쌍의 파지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패널의 후면에는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패널의 일측에는 상단에 체결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는 상단에 추가적인 배선용 차단기가 안착되며, 체결나사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배선용 차단기를 통해 상기 체결홀에 관통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설치공간에 연통되도록 전원 케이블 삽입구와 램프 케이블 삽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의 내부에 삽입되며, 전원 케이블이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에 접속되도록 케이블 통과홀이 형성되는 제1패킹과,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대응 결합되어 상기 제1패킹을 내부에 압축된 상태로 고정시키며, 전원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마감캡과, 일단이 상기 램프 케이블 삽입구의 내부에 삽입되며, 램프 케이블이 한 쌍으로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에 접속되도록 한 쌍의 케이블 통과홀이 형성되는 제2패킹 및, 상기 램프 케이블 삽입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대응 결합되어 상기 제2패킹을 내부에 압축된 상태로 고정시키며, 상기 램프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제2마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일측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과 힌지 결합되어 수평하게 회동 개폐되며, 타측단에는 상기 걸림턱과 잠금 또는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일단이 상기 덮개의 일측단에 힌지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 방향측 일면에는 잠금 위치로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걸림턱의 후면에 걸림 위치되도록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단은 상기 잠금부재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 위치시키는 경우, 돌출된 끝단이 상기 걸림턱의 후면을 향해 경사지게 밀착되며, 상기 돌출된 끝단에는 상기 잠금부재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의 라운드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패킹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에 삽입되는 전단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의 전단에 밀착되는 제1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제2패킹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램프 케이블 삽입구에 삽입되는 전단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램프 케이블 삽입구의 전단에 밀착되는 제2단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패킹의 상기 케이블 통과홀은 상기 제1마감캡을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에 결합시키는 경우, 수축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의 외면을 가압하며, 상기 제2패킹의 상기 케이블 통과홀은 상기 제2마감캡을 상기 램프 케이블 삽입구에 결합시키는 경우, 수축되어 상기 램프 케이블의 외면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위치와 개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배선용 차단기의 형태에 따라 가변프레임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 할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가변프레임을 이용해 배선용 차단기와 설치패널을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킴으로써, 배선용 차단기와 설치패널의 사이에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 적용시 설치패널만을 분리시키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수분이나 이물질(먼지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배선용 차단기의 오작동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원 케이블과 램프 케이블의 직경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대응되는 패킹으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패킹만을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는 하우징(100)과, 덮개(200)와, 설치패널(300)과, 가변프레임(400)과, 배선용 차단기(500) 및, 고정유닛(6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수직하게 설치된 가로등의 지주(1)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0)은 지주(1)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하우징(100)의 설치 상태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후술 될 배선용 차단기(500)를 설치하기 위한 일정 넓이의 설치공간(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사각 박스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하우징(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걸고리(150)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걸고리(150)에는 지주(1) 등에 걸어놓을 수 있도록 설치홀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140)이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40)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하 방향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0)을 지주(1)의 측면에 수직하게 설치하는 경우, 설치공간(110)은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덮개(200)는, 일측이 하우징(100)의 전면에 회동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200)의 후면 테두리 부위에는 하우징(100)의 전단과 대응 밀착되는 씰링부재(2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씰링부재(230)는, 수지류,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해 덮개(200)의 테두리 부위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씰링부재(230)는, 덮개(200)와 하우징(100)의 접촉면 사이에 위치되므로, 설치공간(110)으로 수분(비, 이슬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덮개(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위치된 일측단이 하우징(100)의 일측단과 힌지(210) 결합된 상태로 수평하게 회동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200)의 반대되는 타측단에는 전술한 걸림턱(140)과 잠금 또는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부재(2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잠금부재(220)는, 덮개(200)의 일측단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잠금부재(220)의 개폐 동작에 의해 덮개(2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재(220)는 전술한 걸림턱(140)과 대응되도록 덮개(200)의 상하 방향에 각각 결합시킬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잠금부재(220)는 일단이 덮개(200)의 일측단에 힌지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잠금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부재(220)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 위치시키는 경우, 하우징(10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 위치된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220)의 잠금 방향측 일면에는 전술한 걸림턱(140)의 후면에 걸림 위치되도록 돌출단(221)이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부재(220)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 위치시키는 경우, 돌출단(221)의 끝단은 걸림턱(140)의 후면을 전방으로 미는 상태로 접촉된다.
이때, 상기 돌출단(221)의 끝단과 걸림턱(140)은 일정 탄성력에 의해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덮개(200)가 설치공간(110)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상기 돌출단(221)의 돌출된 끝단에는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의 라운드면(221a)이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면(221a)은, 잠금부재(22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걸림턱(140)의 후면으로 걸림 없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140)의 후면에도 상기 잠금부재(220)의 라운드면(221a)과 대응되는 라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덮개(200)는 설치공간(110)을 넓게 확보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전방을 향이 일정 폭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덮개(200)는 수지계열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배선용 차단기(50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투명한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설치패널(300)은, 체결나사(A)에 의해 설치공간(110)의 바닥면에 간격(G)이 형성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설치패널(300)의 가장자리가 설치공간(110)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치패널(300)은 직사각형 형태로 도시 하였으나, 상기 설치패널(30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설치공간(11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설치패널(300)의 가장자리가 돌기의 돌출된 끝단에 지지된 상태로 체결나사(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패널(300)에는 도 7에서처럼 후술 될 체결나사(A)를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위치 조절홀(310)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위치 조절홀(310)은, 상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위치 조절홀(310)은 사각, 원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설치패널(300)의 후면에는 설치공간(11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320)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설치패널(300)의 전면에는 후술 될 배선용 차단기(500)를 일정 높이로 안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돌기(330)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돌기(330)에 안착된 배선용 차단기(500)는 설치패널(300)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설치패널(300)은,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10)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시 배선용 차단기나 기타 부품들만을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설치패널(300)의 일측에는 상단에 체결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돌기(33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330)는, 상단에 추가적인 배선용 차단기가 안착되며, 체결나사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배선용 차단기를 통해 상기 체결홀에 관통 결합
가변프레임(400)은, 설치패널(300)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프레임(400)은 금속(알루미늄 등) 소재를 이용해 일정 길이로 제작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프레임(400)에는 체결나사(A)를 결합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410)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410)은 가변프레임(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시킬 수 있다.
체결나사(A)는, 일단이 체결홀(410)을 관통하여 위치 조절홀(31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체결나사(A)의 머리부가 가변프레임(400)의 전면에 걸림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프레임(400)의 폭 방향 양단에는 후술 될 배선용 차단기(50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가이드돌기(420)가 형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돌기(420)는 가변프레임(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제1레일(421) 및, 제2레일(42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421)은, 가변프레임(400)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후, 절곡된 끝단이 가변프레임(40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제1레일(421)은 전면이 후술 될 가이드홈(510)의 후면에 밀착되고, 절곡된 끝단은 가이드홈(510)의 일측 벽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제2레일(422)은, 제1레일(421)과 반대되는 가변프레임(400)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후, 절곡된 끝단이 가변프레임(40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제2레일(422)은 전면이 가이드홈(510)의 후면에 밀착되고, 절곡된 끝단은 제1레일(421)과 반대되는 가이드홈(510)의 일측 벽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후술 될 배선용 차단기를 지지하므로, 배선용 차단기(500)가 설치패널(30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된다.
배선용 차단기(500)는, 가변프레임(400)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선용 차단기(500)의 후면에는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홈(510)이 이동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510)은,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의 절곡된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500)의 후면에는 가이드홈(510)을 기준으로 일측에 록킹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배선용 차단기(500)는,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배선용 차단기(500)의 양측은 후술 될 고정유닛(600)에 의해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록킹장치는,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을 가이드홈(510)에 결합시키는 경우,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 중 어느 하나의 절곡된 끝단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록킹장치의 가압력에 의해 배선용 차단기(500)가 가변프레임(400)에 고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장치의 가압력을 해지시킨 상태에서 배선용 차단기(5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500)의 일측에는 램프 케이블(30)들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배선용 차단기(500)의 일측에는 전원 케이블(20)들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하우징(100)의 하면에는 외부에서 전원 케이블(20)의 일단을 설치공간(110)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 및, 램프 케이블(30)의 일단을 설치공간(110)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는, 하우징(100)의 하면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의 외주에는 외측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는 일체로 성형되는데,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는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해 하우징(100)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의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를 통해 전원 케이블(20)의 일단을 삽입시켜, 설치공간(110) 내에 위치된 배선용 차단기의 플러스(+) 단자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반대되는 타측의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를 통해 램프 케이블(30)의 일단을 삽입시켜, 배선용 차단기의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시킬 수 있다.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는, 하우징(100)의 하면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의 외주에도 외측 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는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는 일체로 성형되는데, 상기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는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해 하우징(100)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를 통해 2개의 램프 케이블(30)를 삽입시키는데, 이때 램프 케이블(30)들의 일단을 설치공간(110) 내에 위치된 배선용 차단기(500)의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에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고정유닛(600)은, 가이드돌기(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유닛(600)은 가이드돌기(420)에 고정시 배선용 차단기(500)의 양측을 고정적으로 지지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유닛(600)은 도 6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610)와, 지지부재(620) 및, 조절나사(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610)는, 양단이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의 전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부재(610)는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610)의 후방측 양단이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부재(610)는 금속 소재 등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610)의 양측에는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과 동일 선상에 한 쌍의 관통홀(611)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610)의 후방측 양단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후, 상기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의 절곡된 끝단을 외부에서 감싸는 한 쌍의 파지구(612)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파지구(612)들의 마주보는 일단은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의 절곡된 끝단과 대응되는 홈이 이동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아울러, 이동부재(610)에는 후술 될 조절나사(B)의 일단을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지지부재(620)는, 이동부재(610)를 고정 및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620)는 이동부재(610)의 전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620)의 후방측 양단에는 한 쌍의 가압구(6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압구(621)들은 관통홀(611)들을 통해 각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가압구(621)들은 후술 될 조절나사(B)의 위치 조절을 통해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의 전면을 가압하거나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620)의 전면에는 지지편(622)이 돌출되는데, 상기 지지편(622)은 가변프레임(400)의 전면에 결합된 배선용 차단기(500)의 측면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620)에는 후술 될 조절나사(B)의 일단을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620)의 체결홀은 이동부재(610)의 체결홀과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조절나사(B)는,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지지부재(620)와 이동부재(61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절나사(B)는 정역 방향 회전을 통해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절나사(B)의 일단을 지지부재(620)의 체결홀을 통해 이동부재(610)의 체결홀로 관통 결합되고, 이때 상기 조절나사(B)의 머리부는 지지부재(620)의 전방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별도의 공구를 이용해 상기 조절나사(B)를 고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지지부재(620)와 이동부재(610)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가압구(621)의 끝단이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의 전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밀착되고, 파지구(612)가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의 절곡된 끝단을 후방에서 가압하는 상태로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구(621)와 파지구(612)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부재(610)와 지지부재(620)가 가변프레임(40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620)의 지지편(622)이 배선용 차단기(500)의 측면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고정유닛(600)은,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에 다수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고정유닛(600)들이 배선용 차단기(500)의 양측을 고정적으로 지지한다.
반면, 별도의 공구를 이용해 상기 조절나사(B)를 고정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지지부재(620)와 이동부재(610)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이완)된다.
이때, 가압구(621)의 끝단이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의 전면을 가압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되고, 파지구(612)가 제1레일(421)과 제2레일(422)의 절곡된 끝단을 후방에서 가압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구(621)와 파지구(612)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고정유닛(600)을 가변프레임(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배선용 차단기(500)의 설치 위치를 조정한 후, 고정유닛(600)의 지지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선용 차단기(500)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의 내부에는 전원 케이블(20)이 배선용 차단기(500)의 단자에 접속되도록 케이블 통과홀(711)이 형성되는 제1패킹(71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패킹(710)은, 외부의 수분(비, 이슬 등)이 전원 케이블 삽입구를 통해 설치공간(11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제1패킹(710)은 일단이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의 내부에 삽입되며,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패킹(710)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패킹(710)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일정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패킹(710)은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에 삽입되는 전단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패킹(710)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는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의 전단에 밀착되는 제1단턱(7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패킹(710)의 내부에는 전원 케이블(20)이 통과되도록 케이블 통과홀(711)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패킹(710)의 케이블 통과홀(711)은 전원 케이블(2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1패킹(710)은 전원 케이블(20)과 대응되는 종류로 교체가 가능하다.
즉, 상기 제1패킹(710)의 케이블 통과홀(711)을 다양한 직경으로 교체할 수 있어, 전원 케이블(20)의 직경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신속히 대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패킹(710)의 전단을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에 삽입시킨 후, 전원 케이블(20)의 일단을 케이블 통과홀(711)을 통해 설치공간(110)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의 외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대응 결합되어 제1패킹(710)을 내부에 압축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제1마감캡(72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마감캡(720)에는 전원 케이블(20)이 통과되도록 관통홀(7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마감캡(720)은,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대응 결합되어, 제1패킹(710)을 내부에 압축된 상태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마감캡(720)에는 전원 케이블(20)의 일단이 통과되어 배선용 차단기(500)의 단자에 접속되도록 관통홀(721)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캡(720)의 내주에는 전술한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의 외측 나사산과 대응 결합되도록 내측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의 내부에는 램프 케이블(30)이 한 쌍으로 배선용 차단기(500)의 단자에 접속되도록 한 쌍의 케이블 통과홀(731)이 형성되는 제2패킹(7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패킹(730)은, 제1패킹(71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부의 수분(비, 이슬 등)이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를 통해 설치공간(11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제2패킹(730)은 일단이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의 내부에 삽입되며, 반대되는 타단이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의 외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2패킹(730)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패킹(730)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일정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패킹(730)은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에 삽입되는 전단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패킹(730)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는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의 전단에 밀착되는 제2단턱(7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패킹(730)의 내부에는 전원 케이블(20)이 통과되도록 케이블 통과홀(731)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패킹(730)의 케이블 통과홀(731)은 램프 케이블(3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2패킹(730)은 램프 케이블(30)과 대응되는 종류로 교체가 가능하다.
즉, 상기 제2패킹(730)의 케이블 통과홀(731)을 다양한 직경으로 교체할 수 있어, 램프 케이블(30)의 직경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신속히 대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패킹(730)의 전단을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에 삽입시킨 후, 램프 케이블(30)의 일단을 케이블 통과홀(731)을 통해 설치공간(110)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아울러,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의 외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대응 결합되어 제2패킹(730)을 내부에 압축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제2마감캡(74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마감캡(740)에는 램프 케이블(30)이 통과되도록 관통홀(741)이 형성된다.
상기 제2마감캡(740)들은,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대응 결합되어, 제2패킹(730)을 내부에 압축된 상태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캡(740)에는 램프 케이블(30)의 일단이 통과되어 배선용 차단기(500)의 단자에 접속되도록 관통홀(7410)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캡(740)의 내주에는 전술한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의 외측 나사산과 대응 결합되도록 내측 나사산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패킹(710)의 케이블 통과홀(711)은 제1마감캡(720)을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에 결합시키는 경우, 수축되어 전원 케이블(20)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2패킹(730)의 케이블 통과홀(731)은 제2마감캡(740)을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에 결합시키는 경우, 수축되어 램프 케이블(30)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1패킹(710)의 케이블 통과홀(711)이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고, 제2패킹(7300)의 케이블 통과홀(731)이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제1패킹(710)의 외경은 외부로 확장되어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의 내경과 긴밀하게 밀착되고, 제2패킹(730)의 외경은 외부로 확장되어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의 내경과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즉,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와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의 내면 및 제1패킹(710)과 제2패킹(730)의 외면 사이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제1패킹(710)과 제2패킹(730)의 내면 및 전원 케이블(20)과 램프 케이블(30)의 외면 사이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는, 가로등에 설치시 하우징(100)의 후면을 가로등 지주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전원 케이블(20)을 제1마감캡(720)의 관통홀(721)과 제1패킹(710)의 케이블 통과홀(711)과 전원 케이블 삽입구(120)를 통해 설치공간(110)으로 삽입시킨다.
이와 함께, 램프 케이블(30)을 제2마감캡(740)의 관통홀(741)과 제2패킹(730)의 케이블 통과홀(731)과 램프 케이블 삽입구(130)를 통해 설치공간(110)으로 삽입시킨다.
이후, 전원 케이블(120)의 일단을 배선용 차단기(500)의 일측에 위치된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에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 케이블(130)의 일단을 배선용 차단기(599)의 일측에 위치된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에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덮개(200)를 폐쇄 위치로 회동시킨 후, 잠금부재(220)를 잠금 위치로 회전시켜 덮개(200)를 폐쇄된 상태로 고정시킨다.
상기한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에 대한 설치 순서는 일 예를 설명한 것으로, 상기한 설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위치와 개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배선용 차단기(500)의 형태에 따라 가변프레임(400)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 할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가변프레임(400)을 이용해 배선용 차단기(500)와 설치패널(300)을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킴으로써, 배선용 차단기(500)와 설치패널(300)의 사이에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500) 적용시 설치패널(300)만을 분리시키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은 수분이나 이물질(먼지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배선용 차단기(500)의 오작동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원 케이블(20)과 램프 케이블(30)의 직경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대응되는 패킹으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패킹만을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에 적용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지주 20: 전원 케이블
30: 램프 케이블 100: 하우징
110: 설치공간 120: 전원 케이블 삽입구
130: 램프 케이블 삽입구 140: 걸림턱
150: 걸고리 200: 덮개
210: 힌지 220: 잠금부재
221: 돌출단 221a: 라운드면
230: 씰링부재 300: 설치패널
310: 위치 조절홀 320: 지지돌기
330: 안착돌기 400: 가변프레임
410: 체결홀 420: 가이드돌기
421: 제1레일 422: 제2레일
500: 배선용 차단기 510: 가이드홈
600: 고정유닛 610: 이동부재
611: 관통홀 612: 파지구
620: 지지부재 621: 가압구
622: 지지편 710: 제1패킹
711: 케이블 통과홀 712: 제1단턱
720: 제1마감캡 721: 관통홀
730: 제2패킹 731: 케이블 통과홀
732: 제2단턱 740: 제2마감캡
741: 관통홀 A: 체결나사
B: 조절나사 G: 간격

Claims (12)

  1. 내부에 전면으로 개방되도록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가 구비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에 있어서,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간격이 형성된 상태로 결합되며, 다수의 위치 조절홀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설치패널과, 상기 설치패널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체결나사가 전면을 통해 상기 위치 조절홀에 결합되도록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전면에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변프레임과, 상기 가변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며,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홈이 이동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용 차단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돌기에 고정시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양측을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변프레임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후 상기 가변프레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레일 및, 상기 제1레일과 반대되는 상기 가변프레임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후 상기 가변프레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은 전면이 상기 가이드홈의 후면에 밀착되고, 절곡된 끝단은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 벽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유닛은, 후방측 양단이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에는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과 동일 선상에 한 쌍의 관통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전면에 안착되고, 후방측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가압구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며,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편이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측면에 걸림 위치되는 지지부재 및, 전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이동부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고, 후단의 머리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 걸림 위치되며, 정 역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가압구가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후방측 양단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후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절곡된 끝단을 외부에서 감싸는 한 쌍의 파지구가 더 형성되며,
    상기 조절나사를 고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압구들의 끝단이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전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밀착되며, 상기 파지구가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절곡된 끝단을 후방에서 가압하는 상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패널의 후면에는,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패널의 일측에는,
    상단에 체결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는,
    상단에 추가적인 배선용 차단기가 안착되며, 체결나사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배선용 차단기를 통해 상기 체결홀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설치공간에 연통되도록 전원 케이블 삽입구와 램프 케이블 삽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의 내부에 삽입되며, 전원 케이블이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에 접속되도록 케이블 통과홀이 형성되는 제1패킹과,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대응 결합되어 상기 제1패킹을 내부에 압축된 상태로 고정시키며, 전원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마감캡과, 일단이 상기 램프 케이블 삽입구의 내부에 삽입되며, 램프 케이블이 한 쌍으로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에 접속되도록 한 쌍의 케이블 통과홀이 형성되는 제2패킹 및, 상기 램프 케이블 삽입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대응 결합되어 상기 제2패킹을 내부에 압축된 상태로 고정시키며, 상기 램프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제2마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일측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과 힌지 결합되어 수평하게 회동 개폐되며, 타측단에는 상기 걸림턱과 잠금 또는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일단이 상기 덮개의 일측단에 힌지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 방향측 일면에는,
    잠금 위치로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걸림턱의 후면에 걸림 위치되도록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은,
    상기 잠금부재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 위치시키는 경우, 돌출된 끝단이 상기 걸림턱의 후면을 향해 경사지게 밀착되며,
    상기 돌출된 끝단에는,
    상기 잠금부재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의 라운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패킹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에 삽입되는 전단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의 전단에 밀착되는 제1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제2패킹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램프 케이블 삽입구에 삽입되는 전단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램프 케이블 삽입구의 전단에 밀착되는 제2단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패킹의 상기 케이블 통과홀은,
    상기 제1마감캡을 상기 전원 케이블 삽입구에 결합시키는 경우, 수축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의 외면을 가압하며,
    상기 제2패킹의 상기 케이블 통과홀은,
    상기 제2마감캡을 상기 램프 케이블 삽입구에 결합시키는 경우, 수축되어 상기 램프 케이블의 외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KR2020180003805U 2018-08-16 2018-08-16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KR200491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805U KR200491218Y1 (ko) 2018-08-16 2018-08-16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805U KR200491218Y1 (ko) 2018-08-16 2018-08-16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41U KR20200000441U (ko) 2020-02-26
KR200491218Y1 true KR200491218Y1 (ko) 2020-03-05

Family

ID=6963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805U KR200491218Y1 (ko) 2018-08-16 2018-08-16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159B1 (ko) * 2021-05-07 2021-10-19 구일구 스마트 다분기 접속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19Y1 (ko) * 2002-01-21 2002-04-25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조립식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
JP3622605B2 (ja) * 1999-11-19 2005-02-23 松下電工株式会社 住宅用分電盤
KR200443353Y1 (ko) * 2007-06-08 2009-02-10 주식회사 대륙 분전반용 누전차단기 설치패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937U (ko) * 2016-12-20 2018-06-28 노창석 방수 기능을 구비한 누전차단기 케이스
KR20180090598A (ko) * 2017-02-03 2018-08-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2605B2 (ja) * 1999-11-19 2005-02-23 松下電工株式会社 住宅用分電盤
KR200273519Y1 (ko) * 2002-01-21 2002-04-25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조립식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
KR200443353Y1 (ko) * 2007-06-08 2009-02-10 주식회사 대륙 분전반용 누전차단기 설치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41U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4430A2 (en) Screen device
KR20180001937U (ko) 방수 기능을 구비한 누전차단기 케이스
KR200491218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KR101341886B1 (ko) 자동차 조립라인용 전원반
KR101731909B1 (ko) 조명장치
US10923851B2 (en) Outdoor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ver
DK2634344T3 (en) DRIVE TO A WINDOW OF A WINDOW OR SIMILAR AND PROCEDURE FOR INSTALLING A FINISHING END OF THE DRIVE
EP3818301B1 (en) Stand and lighting device
KR102349148B1 (ko) 와이어 덕트 고정 장치
EP3951492A1 (en) Universal mounting case for video cameras
DE10053153C1 (de) Trennbarer Kabelübergang
US10749322B2 (en) Shrouded in-use cover for a junction box
JP6403501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CA1161912A (en) Cable bushing with a movable filler portion
DE19622877C2 (de) Systemleuchte
KR20140127129A (ko) 롯드바 지지대
KR102260879B1 (ko)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HUE030571T2 (en) Mounting box for mounting in a wall
CN212783927U (zh) 一种网络面板
US8182121B2 (en) Cover with attachment portion and flexible body
KR101838934B1 (ko) 방습 조명기구
JP2016213077A (ja) 分離型のled照明器具の接続構造
RU2805338C2 (ru) Штепсельная розетка с заземляющим контактом
JP7013324B2 (ja) 配線器具覆い具、及び配線器具覆い部材の設置構造
CN214069724U (zh) 接线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