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934Y1 -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 - Google Patents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934Y1
KR200490934Y1 KR2020180000100U KR20180000100U KR200490934Y1 KR 200490934 Y1 KR200490934 Y1 KR 200490934Y1 KR 2020180000100 U KR2020180000100 U KR 2020180000100U KR 20180000100 U KR20180000100 U KR 20180000100U KR 200490934 Y1 KR200490934 Y1 KR 200490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leeve
bowling ball
grip
cutter
cut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814U (ko
Inventor
김성한
Original Assignee
(주)엠케이트레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케이트레이딩 filed Critical (주)엠케이트레이딩
Priority to KR2020180000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34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8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5/00Apparatu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3Rack-and-pin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Knive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터 보디를 이용하여, 이 커터 보디에 장착한 날이 볼링공 밖으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의 돌출 부분을 볼링공 형상과 같거나 유사하게 깎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간단하면서도 쉽게 스위치 그립을 장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이면서도 안전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커터 보디를 전체적으로 "Y"자 형상으로 제작하여 세로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이 대칭되게 제작하므로, 볼링공에 돌출하게 장착한 아웃터 슬리브를 안전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깎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아웃터 슬리브를 깎으려고 커터 보디에 장착한 날이 볼링공의 구 형상과 같은 곡률로 제작하므로, 아웃터 슬리브의 가장자리 부분이 볼링 레인 면과의 밀착 불량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OUTER SLEEVE CUTTER FOR SWITCH GRIP OF BOWLING BALLS}
본 고안은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립 홀에 끼워서 볼링공 밖으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의 돌출 부분을 회전 방식으로 동작하는 커터로 깎아낼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볼링공의 곡률과 같은 형태로 아웃터 슬리브의 돌출 부분을 쉽고 편리하게 깎을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볼링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링은 미리 정한 거리의 레인의 한쪽에 10개의 핀을 삼각형 형태로 배치하고, 레인의 다른 한쪽에서 손으로 볼을 굴려서 많은 핀을 쓰러뜨리는 경기를 말한다. 이처럼, 핀을 쓰러뜨리려면 손으로 볼링공을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굴릴 수 있도록,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손가락을 끼울 수 있게 스위치 그립(또는 인서트 그립)을 갖춘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실용 제20-2009-0007286호
인서트그립이 구비된 볼링공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파지되는 측으로 인서트공을 형성하고, 인서트공의 외측으로 볼링공의 중앙을 나타내는 볼링공기준점을 나타낸 볼링공과, 상기 볼링공의 인서트공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상으로 내주연의 일측으로 단면이 평면형태의 파지면을 형성하고, 파지면의 외측 중앙으로 중앙을 표시하는 그립중앙점을 형성한 인서트그립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실용 제0475483호
볼링공용 인서트 그립에 관한 것으로, 볼링공의 그립삽입용 홀에 삽입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인서트 그립에 있어서; 상기 볼링공의 그립삽입용 홀에 삽입되고, 내부에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상기 볼링공의 그립삽입용 홀에 압입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압입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에 따르면 인서트 그립의 외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압입 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인서트 그립을 볼링공의 그립삽입용 홀에 압입 고정함으로써 인서트 그립의 삽입 및 배출이 용이하고, 삽입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압입 돌기중 어느 하나의 압입 돌기를 파지면의 중앙부에 형성하여 볼링공 중심점과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삽입함으로써 파지면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작 비용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702613호
볼링공에 각 사용자의 손가락을 원하는 위치의 각도로 세팅시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탈식으로 인한 다른 볼링공에서도 정확한 위치의 각도로 세팅할 수 있도록 밑면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볼링공의 파지구멍으로 삽입 고정되는 아웃 그립; 상기 아웃 그립의 내부로 삽입되어 밑면에 상기 고정부로 회전 방식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착 고정부와, 손가락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이너 그립; 및 상기 이너 그립의 내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부착 고정되는 연질의 파지 그립;을 포함하는 볼링공용 손가락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착탈식 인서트 그립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볼링공을 원하는 구질은 물론 정확한 방향으로 굴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짐은 물론 착탈식으로 인한 다른 보유하고 있는 볼링공에도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도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스위치 그립(또는 인서트 그립)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볼링공에 장착한다. 이때, 스위치 그립은 볼링공(B)에 직접 삽입하여 고정 장착하는 아웃터 슬리브(O)와 이 아웃터 슬리브(O)에 고정하여 사용하며 볼링공 이용자의 손가락에 맞게 이루어진 이너 슬리브(I)로 이루어진다.
우선, [도 1(a)]와 같이, 드릴 등을 이용하여 볼링공(B)에 그립 홀(H)을 형성한다. 그립 홀(H)은 아웃터 슬리브(O)의 길이보다 짧은 깊이로 형성하고, 이처럼 형성한 그립 홀(H)에는, [도 1(b)]와 같이, 아웃터 슬리브(O)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아웃터 슬리브(O)는 그립 홀(H) 내부에 접착제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볼링공(B)에서 빠지지 않게 장착하고, 특히 한쪽 끝이 그립 홀(H) 바깥으로 돌출하게 장착한다.
한편, [도 2(a)]와 같이, 아웃터 슬리브(O)에는 인너 슬리브(I)를 끼워서 고정하거나 빼낼 수 있게 장착하게 되는 데, 특히 [도 2(b)]와 같이 볼링공(B) 밖으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O)의 끝은 커터 등으로 깎아내어 볼링공(B)이 완전 구 형태로 구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스위치 그립(또는 인서트 그립), 특히 볼링공 밖으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의 돌출 부분을 커터 등으로 깎는 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작업자가 커터를 손으로 잡고서 깎아야 하므로, 작업자의 숙련 정도에 따라 아웃터 슬리브의 깎아낸 끝 부분의 정밀도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볼링공이 구를 때 원하는 방향으로 구르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한 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2) 또한, 커터로 일정 길이의 아웃터 슬리브를 깎아내야 하므로, 깎는 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3) 특히, 아웃터 슬리브의 끝단은 볼링공의 구 형상과 같이 소정의 곡률로 깎아야 하는 데, 아웃터 슬리브 끝단이 볼링공보다 튀어나오거나 너무 깎아버리면 볼링공이 구르는 궤적이 달라진다.
(4) 그리고, 작업자가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를 깎는데 집중하지 않고 작업하면, 커터 등으로 작업자의 손 등을 다치게 하거나, 볼링공이나 스위치 그립을 파손하게 할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09-0007286호 (공개일 : 2009.07.20) 한국등록실용 제0475483호 (등록일 : 2014.11.27) 한국등록특허 제1702613호 (등록일 : 2017.01.26)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회전하는 커터 보디를 이용하여, 이 커터 보디에 장착한 날이 볼링공 밖으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의 돌출 부분을 볼링공 형상과 같거나 유사하게 깎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간단하면서도 쉽게 스위치 그립을 장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이면서도 안전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커터 보디를 전체적으로 "Y"자 형상으로 제작하여 세로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이 대칭되게 제작하므로, 볼링공에 돌출하게 장착한 아웃터 슬리브를 안전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깎을 수 있게 한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아웃터 슬리브를 깎으려고 커터 보디에 장착한 날이 볼링공의 구 형상과 같은 곡률로 제작하므로, 아웃터 슬리브의 가장자리 부분이 볼링 레인 면과의 밀착 불량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해결할 수 있게 한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는, 볼링공(B)에 뚫은 그립 홀(H)에 끼워 볼링공(B) 위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O)를 깎는 커터에서, 전체적으로 "Y"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터 보디(100)를 포함하되;, 상기 커터 보디(100)에는, 서로 마주하는 양쪽에 각각 날(110)을 교환할 수 있게 장착하여 커터 보디(100)를 회전함에 따라 아웃터 슬리브(O)를 깎아낼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커터 보디(100)는, 날(110)을 장착하지 않은 부분을 기준으로 날(110)을 장착한 양쪽을 대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110)은, 볼링공(B)의 표면 곡률과 같은 곡률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날(110)은,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가장자리에는 아웃터 슬리브(O)를 깎아낼 수 있도록 날 면을 형성하고, 상기 커터 보디(100)에 각 날 면을 돌리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커터 보디를 회전시킴에 따라 볼링공 밖으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를 쉽고 편리하게 깎아낼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쉽게 작업할 수 있다.
(2) 이에, 작업 효율을 높이면서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3) 특히, 실질적으로 아웃터 슬리브를 깎는 날이 볼링공의 곡률과 같거나 유사한 형태로 제작하므로, 깎은 아웃터 슬리브의 가장자리 부분이 볼링공과 일체로 이루어지게 하여 볼링공이 안정적으로 구를 수 있게 한다.
(4) 또한, 상기 커터 보디는 대칭 형태로 제작하고, 그 끝에 날을 장착하므로, 아웃터 슬리브의 가장자리를 안정적으로 깎을 수 있게 하여 쉽고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5) 마지막으로, 커터 보디를 회전과 깊이 조절을 할 수 있는 드리링 머신과 같은 기구에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정해진 높이만큼 한쪽으로 움직이면서 회전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도 쉽게 아웃터 슬리브의 돌출 부분을 깎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볼링공에 아웃터 슬리브를 삽입 장착하고, 볼링공 밖으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의 가장자리를 잘라내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웃터 슬리브 커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웃터 슬리브 커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날 부분이 볼링공과 맞닿는 부분을 보여주기 위해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아웃터 슬리브 커터로 볼링공 밖으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를 깎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아웃터 슬리브 커터로 볼링공 밖으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를 깎은 볼링공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고안에 따른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는,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전체적으로 "Y"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터 보디(100)를 포함하고, 서로 마주하는 양쪽에는 각각 날(110)을 장착한 것이다.
특히, 상기 커터 보디(100)는 날(110)을 장착한 양쪽을 대칭으로 형성하여 커터 보디(100)를 회전함에 따라 안전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아웃터 슬리브(O)를 깎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날(110)은 볼링공(B)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제작함으로써, 깎은 아웃터 슬리브(O)의 가장자리가 볼링공(B)과 일체로 이루어지게 하여 볼링공(B)이 볼링 레일과의 긴밀하게 밀착하여 구를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터 보디(100)는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회전할 수 있는 기구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길이만큼 안전하면서도 쉽게 깎아낼 수 있게 하여 초보자도 쉽게 작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B"는 통상의 볼링공을, "H"은 볼링공에 스위치 그립을 장착하기 위해 형성한 그립 홀을, "O"는 스위치 그립을 구성하며 그립 홀(H)에 장착하는 아웃터 슬리브를, "I"는 아웃터 슬리브에 끼우거나 뺄 수 있게 장착하여 사용하며 볼링공 이용자의 손가락에 따라 교환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이너 슬리브를 각각 나타낸다.
커터 보디(100)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전체적으로 "Y"자 형태로 제작한다. 이때, "Y"자 형상에서 세로 부분은 회전 중심이 되는 축 기능을 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부에는 각각 날(110)을 장착한다.
특히, 상기 커터 보디(100)는, [도 4]와 같이, 축 기능을 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날(110)을 장착한 양쪽이 서로 대칭이 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터 보디(100)를 회전시키면 날(110) 부분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볼링공(B) 밖으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O)의 가장자리를 안정적으로 깎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커터 보디(100)는 이처럼 회전하게 장착할 때 회전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터 보디(100)는 드릴링 머신과 같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볼링공(B)의 중심을 향해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날(110)이 볼링공(B)의 표면과 접하는 지점보다 더는 움직이지 않게 구성함으로써, 초보자도 안전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아웃터 슬리브(O)를 깎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모터 등을 이용하여 커터 보디(100)가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고, 동시에 모터와 커터 보디(100)를 스프링이나 랙-피니언 기구 등을 이용하여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날(110)은, [도 5]와 같이, 아웃터 슬리브(O)를 깎는 부분이 볼링공(B)의 표면 곡률과 같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날(110)이 볼링공(B) 밖으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O)의 가장자리를 깎았을 때, 깎은 아웃터 슬리브(O)의 가장자리가 볼링공(B)과 일체가 되게 하여 볼링공(B)의 볼링 레인을 구를 때 원하는 대로 구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날(110)은, [도 3]과 같이,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하고, 각 가장자리에는 아웃터 슬리브(O)를 깎아낼 수 있도록 날 면을 형성하며, 상기 날(110)은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사를 조금 이완한 상태에서 날(110)을 회전함에 따라 이웃한 다른 날 면을 이용하여 아웃터 슬리브(O)를 깎을 수 있게 할 수 있기 위함이다. 도면에서는, 날(110)을 사각 단면 형태로 제작하여 네 개의 날 면을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6]과 같이, 그립 홀(H)에 아웃터 슬리브(O)와 이너 슬리브(I)를 차례로 끼운 상태에서, 그립 홀(H)의 중심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커터 보디(100)를 장착하여 이 그립 홀(H)의 중심을 따라 움직이면 볼링공(B) 밖으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O)의 돌출 부분을 깎아내게 된다. 이처럼 깎아낸 아웃터 슬리브(O)는, [도 7]과 같이, 볼링공(B)과 같은 곡률로 깎이게 되어 아웃터 슬리브(O)의 가장자리가 볼링 레인에 걸리거나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구를 수 있게 한다.
100 : 커터 보디
110 : 날

Claims (5)

  1. 볼링공(B)에 뚫은 그립 홀(H)에 끼워 볼링공(B) 위로 돌출한 아웃터 슬리브(O)를 깎는 커터에서,
    전체적으로 "Y"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터 보디(100)를 포함하되,
    상기 커터 보디(100)에는,
    서로 마주하는 양쪽에 각각 날(110)을 교환할 수 있게 장착하여 커터 보디(100)를 회전함에 따라 아웃터 슬리브(O)를 깎아낼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
  2. 제1 항에서,
    상기 커터 보디(100)는,
    날(110)을 장착하지 않은 부분을 기준으로 날(110)을 장착한 양쪽을 대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
  3. 제1 항에서,
    상기 날(110)은,
    볼링공(B)의 표면 곡률과 같은 곡률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
  4. 제1 항에서
    상기 날(110)은,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가장자리에는 아웃터 슬리브(O)를 깎아낼 수 있도록 날 면을 형성하고,
    상기 커터 보디(100)에 각 날 면을 돌리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
  5. 삭제
KR2020180000100U 2018-01-08 2018-01-08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 KR200490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00U KR200490934Y1 (ko) 2018-01-08 2018-01-08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00U KR200490934Y1 (ko) 2018-01-08 2018-01-08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14U KR20190001814U (ko) 2019-07-17
KR200490934Y1 true KR200490934Y1 (ko) 2020-01-23

Family

ID=6743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100U KR200490934Y1 (ko) 2018-01-08 2018-01-08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1634B (zh) * 2021-02-06 2022-10-25 深圳市慧珑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板裁切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83B1 (ko) 2002-05-02 2005-03-10 차동식 십이교놀이 세트
KR100854081B1 (ko) * 2006-07-26 2008-08-25 한국야금 주식회사 선삭 및 밀링 가공이 가능한 절삭 인서트
KR20090007286U (ko) 2008-01-15 2009-07-20 구연욱 인서트그립이 구비된 볼링공
KR20120021377A (ko) * 2010-07-29 2012-03-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반용 공구대
EP3141325B1 (en) * 2014-05-08 2021-04-14 Daishowa Seiki Kabushiki Kaisha Boring tool
KR101702613B1 (ko) 2015-09-16 2017-02-06 김성민 볼링공용 손가락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착탈식 인서트 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14U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5014T3 (es) Plaquita de corte intercambiable así como utilización de una plaquita de corte intercambiable en una broca maciza
US4345899A (en) Dental twist drill
US6607533B2 (en) Miniature cutter shaft configuration
KR200490934Y1 (ko) 볼링공의 스위치 그립용 아웃터 슬리브 커터
US2017030734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rcuate blades for a broadhead
EP1755749B1 (en) Golf flagstick ferrule and method of use
JP5877789B2 (ja) ドリル
RU2019102160A (ru) Корпус инструмента с поддерживающей поверхностью для головки, имеющей центральную выемку, оснащенную упруго смещаемыми опорными участками
JP4175548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ボールシート
JP2014113251A (ja) ゴルフクラブ及びその特性調節方法
JP2007533468A (ja) 調整可能なバリ取り工具
KR200483050Y1 (ko) 당구 큐의 팁 가공기구
CN113558791A (zh) 外科手术用钻式切削工具
WO2007000983A1 (ja) ダーツチップ,ダーツシャフト,ダーツ
US11890155B2 (en) Dental file
US20030195051A1 (en) Adjustable grip bowling ball kit
US3028773A (en) Drill
JP6719761B2 (ja) パター
ES2244784T3 (es) Hoja de sierra circular con ranuras de extension que se extienden radialmente hacia dentro.
CN108746793A (zh) 人体膝关节胫骨板加工用精铣刀
US6843621B2 (en) Reamer
JP3139612U (ja) 面取り機能付きドリル
JP2006104029A (ja) ガラス切断用カッターホイール
JPS6231507Y2 (ko)
CN113195066A (zh) 用于球杆的端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