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916Y1 - 게이징폴 커버조립체 - Google Patents

게이징폴 커버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916Y1
KR200490916Y1 KR2020190001667U KR20190001667U KR200490916Y1 KR 200490916 Y1 KR200490916 Y1 KR 200490916Y1 KR 2020190001667 U KR2020190001667 U KR 2020190001667U KR 20190001667 U KR20190001667 U KR 20190001667U KR 200490916 Y1 KR200490916 Y1 KR 200490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ging
pole
cover
blocking cover
vapo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빈
Original Assignee
전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빈 filed Critical 전영빈
Priority to KR2020190001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8Mean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scape of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게이징폴 커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석유저장탱크에 저장된 석유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외주면에 높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111)이 형성된 게이징폴(110)과; 상기 석유저장탱크 상부의 지지판(180)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게이징폴(11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게이징폴(110)의 외부를 감싸 안내하는 가이드관(120)과; 상기 게이징폴(110)의 외면을 감싸 상기 석유저장탱크 내부의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와; 상기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를 상기 게이징폴(110)에 고정시키는 내부커버고정밴드(150)와; 상기 내부커버고정밴드(150)와 상기 가이드관(120)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게이징폴(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와 상기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천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는 상기 게이징폴(110) 외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관(120)까지 점차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는 경사스커트관(141)과; 상기 경사스커트관(141)의 하부에 직경이 일정하게 일정 길이 형성되는 가이드관수용관(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게이징폴 커버조립체{GAUGEING POLE COVER ASSEMBLY}
본 고안은 게이징폴 커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게이징폴을 통해 외부로 유증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깔끔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는 게이징폴 커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게이징폴은 석유저장탱크의 상부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석유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외부에서 석유저장탱크에 저장된 석유의 수위를 알 수 있게 하는 기구이다.
석유저장탱크의 상부에 지지프레임이 고정되고, 게이징폴은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부로 일정 길이 노출되게 구비된다.
그런데, 게이징폴이 지지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때, 게이징폴의 외부를 통해 유증기가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유증기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의 일종이다. 유증기는 원유와 같은 화석연료로부터 생성된다. 유증기는 끓는점이 낮아 쉽게 증발하는 유기화합물로 생성 원인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성분을 포함한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독성을 갖거나 악취를 낼 수 있으며 가연성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대기 중에 배출되면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게이징폴을 통해 석유저장탱크의 유증기가 대기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게이징폴 커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석유저장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게이징폴 커버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게이징폴 커버조립체는, 상기 석유저장탱크에 저장된 석유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외주면에 높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111)이 형성된 게이징폴(110)과; 상기 석유저장탱크 상부의 지지판(180)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게이징폴(11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게이징폴(110)의 외부를 감싸 안내하는 가이드관(120)과; 상기 게이징폴(110)의 외면을 감싸 상기 석유저장탱크 내부의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와; 상기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를 상기 게이징폴(110)에 고정시키는 내부커버고정밴드(150)와; 상기 내부커버고정밴드(150)와 상기 가이드관(120)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게이징폴(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와 상기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천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는 상기 게이징폴(110) 외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관(120)까지 점차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는 경사스커트관(141)과; 상기 경사스커트관(141)의 하부에 직경이 일정하게 일정 길이 형성되는 가이드관수용관(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와 상기 게이징폴(110)의 결합영역에 절곡되게 구비되어 상기 결합영역을 외부에 은폐시키고, 상기 결합영역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커버(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커버(160)와 상기 게이징폴(110)이 닿는 영역에는 씰링재(170)가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 도포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게이징폴 커버조립체는 게이징폴의 외면을 감싸도록 내부유증기차단커버가 구비되어 유증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게이징폴 커버조립체는 내부유증기차단커버와 내부커버고정밴드 및 가이드관을 감싸도록 외부유증기차단커버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유증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2차로 차단될 수 있고, 깔끔하지 않은 내부유증기차단커버와 내부커버고정밴드를 은폐할 수 있다.
또한, 외부유증기차단커버와 게이징폴 사이에는 보호커버가 구비되어,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게이징폴 커버조립체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게이징폴 커버조립체의 외부유증기차단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게이징폴 커버조립체의 측면과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게이징폴 커버조립체의 외부유증기차단커버와 보호커버의 결합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게이징폴 커버조립체(100)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게이징폴 커버조립체(100)의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를 제거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게이징폴 커버조립체(100)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게이징폴 커버조립체(100)는 게이징폴(110)과, 게이징폴(11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관(120)과, 게이징폴(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와,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게이징폴(11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와,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를 게이징폴(110)에 고정시키는 내부커버고정밴드(150)와,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와 게이징폴(110)의 결합영역에 구비되는 보호커버(160)를 포함한다.
게이징폴(110)은 석유저장탱크(미도시)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게이징폴(110)은 석유저장탱크(미도시) 내부에 부유하는 상태로 구비되며, 석유저장탱크(미도시)의 수위가 높아지면 이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석유저장탱크(미도시)의 외부에는 지지프레임(A)이 구비되고, 지지프레임(A)에 지지판(180)이 고정결합된다. 게이징폴(110)은 지지판(180)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 때, 지지판(180)에는 가이드관(120)이 고정결합된다. 가이드관(120)은 게이징폴(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가이드관(120)이 수직하게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관(120)과 게이징폴(110)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존재한다. 이격공간을 통해 게이징폴(110)이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는 게이징폴(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게이징폴(110)을 따라 유증기가 상승되어 가이드관(120)과 게이징폴(11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천형태로 형성된다.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는 게이징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을 모두 감싸게 덮어 씌워진다.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의 상단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커버고정밴드(150)에 의해 게이징폴(110)에 고정된다.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는 한겹 또는 복수겹으로 구비되어 고무풍선과 같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게이징폴(110) 외벽을 따라 이동되는 유증기가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내부커버고정밴드(150)는 게이징폴(110)의 단면구성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내부커버고정밴드(150)는 힌지를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게 구비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징폴(110)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의 상단 외부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밴드체결부재(151)를 조여 게이징폴(110)에 내부커버고정밴드(15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 때, 밴드체결부재(151)에 의해 내부커버고정밴드(150)를 견고하게 고정할수록 내부커버고정밴드(150) 내부에 수용된 유증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커버고정밴드(150)가 게이징폴(110)에 결합되면, 외부로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의 상단과 내부커버고정밴드(150) 및 밴드체결부재(151)가 드러나게 된다. 이에 의해 게이징폴(110) 주변이 정리가 되지 않고 깔끔하지 않게 된다.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는 내부커버고정밴드(150)를 내부에 수용하여 깔끔한 외관을 갖도록 하고, 더불어 빗물이 게이징폴(110)과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는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와 같이 폴리우레탄 재질의 천으로 형성된다.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은 게이징폴(110)에서 내부커버고정밴드(150)의 상단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하단은 가이드관(120)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는 형상이 가변가능한 천 형태로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희망하는 형상으로 가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커버고정밴드(150)의 상부로부터 가이드관(120)까지를 덮을 수 있게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스커트관(141)과, 경사스커트관(141)의 상단부터 게이징폴(110)까지를 연결하는 게이징폴결합단(142)과, 경사스커트관(141)의 하부에 일정 직경으로 구비된 가이드관수용관(143)과, 가이드관수용관(143)의 하단으로부터 가이드관(120)까지 내측으로 접혀진 내측접힘단(145)과,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의 외부에 결합되어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의 형상을 조절하는 체결부재(147)를 포함한다.
경사스커트관(141)은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기 점차 직경기 커지게 형성되어 단면이 경사면을 이르게 형성된다. 경사스커트관(141) 하단의 최대직경(W)은 가이드관(120)의 외경(d) 보다 크게 형성되어 가이드관(120)이 내부에 수용되게 구비된다.
경사스커트관(141)의 경사진 형상은 가이드관(120)을 내부에 수용하는 목적 외에 빗물이 경사면을 타로 하부로 흘러내리게 하기 위함이다.
게이징폴결합단(142)은 경사스커트관(141)의 상단에서 게이징폴(110)의 외면까지 연장형성된다. 게이징폴결합단(142)은 내부커버고정밴드(150)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경사스커트관(141)과 연결된다.
가이드관수용관(143)은 경사스커트관(141)의 하단과 동일한 직경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어 내부에 가이드관(120)을 수용한다. 이 때, 게이징폴(110)은 상하로 승강하게 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관수용관(143) 내부에 가이드관(120)이 모두 수용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만 수용될 수도 있다.
내측접힘단(145)은 가이드관수용관(143)의 하단에서 가이드관(120)의 외벽면에 닿을 수 있게 수평방향으로 접혀진다. 내측접힘단(145)이 접혀지게 됨에 따라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의 내부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의해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를 뚫고 외부로 누설되는 유증기가 있는 경우,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에 의해 형성된 밀폐공간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체결부재(14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의 외부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가 경사스커트관(141), 게이징폴결합단(142), 가이드관수용관(143), 내측접힘단(145)을 형성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손으로 형상을 잡으면서 테두리영역을 따라 체결부재(147)를 체결하여 형상을 조절하게 된다.
보호커버(160)는 게이징폴결합단(142)과 게이징폴(110)이 결합되는 결합영역(B)에 구비되어 결합영역(B)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보호커버(160)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며,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보호커버(160)는 게이징폴(110)의 외면으로부터 수평하게 게이징폴(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평고리(161)와, 수평고리(161)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고리(163)를 포함한다. 수평고리(161)와 수직고리(163)는 게이징폴결합단(142)과 경사스커트관(141)의 상부를 덮어 결합영역(B)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 때, 보호커버(160)와 게이징폴(110)이 접촉되는 영역에는 씰링재(170)가 구비된다. 씰링재(170)는 실리콘을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씰링재(170)가 도포됨에 따라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게이징폴 커버조립체(100)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석유저장탱크(미도시)의 내부에 수직하게 게이징폴(110)이 설치된다. 게이징폴(110)은 지지프레임(A)에 고정된 가이드관(120)의 내부에 관통삽입되게 설치된다.
게이징폴(110)의 외벽면에는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가 결합된다.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는 하부는 자유단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은 내부커버고정밴드(150)에 의해 게이징폴(110)에 고정된다.
내부커버고정밴드(150)가 결합된 게이징폴(110)의 외부에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가 설치된다.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는 게이징폴결합단(142)의 직경이 게이징폴(110)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내부커버고정밴드(150)의 상부측에 끼움결합된다.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의 경사스커트관(141)은 가이드관(120)의 외경(d) 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부오 가이드관(120)이 수용된다.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는 작업자가 체결부재(147)를 이용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관(120)의 외부를 모두 감싸게 형상이 조절된다. 이에 의해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가 밀폐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게이징폴 커버조립체(100)의 설치가 완료되고, 게이징폴(110)은 석유저장탱크(미도시) 내부의 수위에 따라 가이드관(120)의 안내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이 때, 게이징폴(110)의 표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눈금(111)이 형성되어 작업자에게 현재 내부의 수위를 알려주게 된다.
게이징폴(110)이 상하로 이동될 때, 유증기가 게이징폴(110)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에 의해 막혀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 내부에 수용된다.
경우에 따라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유증기가 누설되면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 갇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즉, 본원 고안에 따른 게이징폴 커버조립체는 내부와 외부에 걸쳐 이중으로 유증기의 외부 누설을 차단할 수 있어, 유증기 누설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의 상부에는 보호커버(160)가 구비되고, 보호커버(160)와 게이징폴(110)의 결합영역에는 씰링재(170)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빗물이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와 게이징폴(110)의 결합영역(B)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빗물은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의 경사스커트관(141)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게이징폴 커버조립체는 게이징폴의 외면을 감싸도록 내부유증기차단커버가 구비되어 유증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게이징폴 커버조립체는 내부유증기차단커버와 내부커버고정밴드 및 가이드관을 감싸도록 외부유증기차단커버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유증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2차로 차단될 수 있고, 깔끔하지 않은 내부유증기차단커버와 내부커버고정밴드를 은폐할 수 있다.
또한, 외부유증기차단커버와 게이징폴 사이에는 보호커버가 구비되어,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게이징폴 커버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게이징폴 커버조립체 110 : 게이징폴
111 : 눈금 120 : 가이드관
130 : 내부유증기차단커버 140 : 외부유증기차단커버
141 : 경사스커트관 142 : 게이징폴결합단
143 : 가이드관수용관 145 : 내측접힘단
147 : 체결부재 150 : 내부커버고정밴드
151 : 밴드체결부재 160 : 보호커버
161 : 수평고리 163 : 수직고리
170 : 씰링재 180 : 지지판
190 : 지지프레임
B : 결합영역

Claims (3)

  1. 석유저장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게이징폴 커버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석유저장탱크에 저장된 석유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외주면에 높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111)이 형성된 게이징폴(110)과;
    상기 석유저장탱크 상부의 지지판(180)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게이징폴(11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게이징폴(110)의 외부를 감싸 안내하는 가이드관(120)과;
    상기 게이징폴(110)의 외면을 감싸 상기 석유저장탱크 내부의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와;
    상기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를 상기 게이징폴(110)에 고정시키는 내부커버고정밴드(150)와;
    상기 내부커버고정밴드(150)와 상기 가이드관(120)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게이징폴(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유증기차단커버(130)와 상기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천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는 상기 게이징폴(110) 외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관(120)까지 점차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는 경사스커트관(141)과;
    상기 경사스커트관(141)의 하부에 직경이 일정하게 일정 길이 형성되는 가이드관수용관(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징폴 커버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유증기차단커버(140)와 상기 게이징폴(110)의 결합영역에 절곡되게 구비되어 상기 결합영역을 외부에 은폐시키고, 상기 결합영역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커버(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징폴 커버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60)와 상기 게이징폴(110)이 닿는 영역에는 씰링재(170)가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징폴 커버조립체.

KR2020190001667U 2019-04-22 2019-04-22 게이징폴 커버조립체 KR200490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667U KR200490916Y1 (ko) 2019-04-22 2019-04-22 게이징폴 커버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667U KR200490916Y1 (ko) 2019-04-22 2019-04-22 게이징폴 커버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916Y1 true KR200490916Y1 (ko) 2020-01-21

Family

ID=6922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667U KR200490916Y1 (ko) 2019-04-22 2019-04-22 게이징폴 커버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1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4724U (ja) * 1992-05-29 1993-12-24 豊興工業株式会社 エアブリーザ付液面計
KR20040033668A (ko) * 2002-10-15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저버탱크의 캡 조립체
KR200382613Y1 (ko) * 2005-02-11 2005-04-22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유류 저장탱크용 유류 측정 및 채취 장치
JP2009210558A (ja) * 2008-02-06 2009-09-17 Nagano Keiki Co Ltd 残量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4724U (ja) * 1992-05-29 1993-12-24 豊興工業株式会社 エアブリーザ付液面計
KR20040033668A (ko) * 2002-10-15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저버탱크의 캡 조립체
KR200382613Y1 (ko) * 2005-02-11 2005-04-22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유류 저장탱크용 유류 측정 및 채취 장치
JP2009210558A (ja) * 2008-02-06 2009-09-17 Nagano Keiki Co Ltd 残量検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91135A1 (en) Floating roof support legs with vapor seals
US4655361A (en) Containment tank
US4243151A (en) Floating roof penetrations with reduced vapor space seal
US8668105B2 (en) Buoyant plug for emergency drain in floating roof tank
CN204297427U (zh) 用于储罐的浮顶和储罐装置
US4108000A (en) Gauge glass protector
US10138052B2 (en) Floating roof tank having support structures for protecting the peripheral seal
KR200490916Y1 (ko) 게이징폴 커버조립체
US4116357A (en) Tank with water-sealable vent
US5190089A (en) Protective collapsible bag assembly for appliance items
KR200484804Y1 (ko) 제수밸브 보호통
CN107152075B (zh) 用于城市路面排水的防臭、防溢地漏
CN203428312U (zh) 一种防止雷达液位计导波管开孔泄漏的环保装置
CA2855448C (en) Floating roof tank having support structures for protecting the peripheral seal
US2735574A (en) williams
US2931534A (en) Automatic emergency drain mechanisms for floating roofs
US4034887A (en) Storage tank
US5305905A (en) Vapor tight floating roof support leg for liquid storage tank
KR102040839B1 (ko) 플로팅 루프형 유류저장탱크
US5343890A (en) Sump protector
KR102556058B1 (ko) 빗물받이 악취차단 장치
KR100532696B1 (ko) 액체백을 이용한 유체 차단장치
KR101016329B1 (ko)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
RU2211791C2 (ru) Резервуар с понтоном для хранения легкоиспаряющихся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KR20190127632A (ko) 유류 저장용 탱크의 플로팅 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