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806Y1 - 현관 의자 - Google Patents
현관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0806Y1 KR200490806Y1 KR2020180001838U KR20180001838U KR200490806Y1 KR 200490806 Y1 KR200490806 Y1 KR 200490806Y1 KR 2020180001838 U KR2020180001838 U KR 2020180001838U KR 20180001838 U KR20180001838 U KR 20180001838U KR 200490806 Y1 KR200490806 Y1 KR 2004908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s
- coupled
- pair
- supports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6—Wall stools ; Stools hingedly mounted against the w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후단이 벽체 수납공간의 좌우 방향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방으로 회동시 상단에 결합된 착석 패널이 수평하게 펼쳐지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단이 상기 프레임들의 전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들과 함께 전방으로 회동 위치시 하단이 바닥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들의 하부에서 양단이 상기 벽체 수납공간의 좌우 방향과 상기 지지대들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링크와, 상기 프레임들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들과 지지대들이 회동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축이 측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로터리 댐퍼 및, 상단이 상기 구동축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제1링크들과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로 회동시 상기 로터리 댐퍼들의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저항을 상기 제1링크들로 전달하는 한 쌍의 제2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현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출 및 수납시 로터리 댐퍼의 회전 저항을 발생시켜 적정 속도로 회동시킴으로써, 인출 및 수납시 충격에 의한 소음이나 장치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고, 인출 과정에서의 부주의로 인해 사용자의 인체에 큰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관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과 같은 여러 건축물의 현관에는 신발을 벗거나 신을 수 있는 일정 넓이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신발을 여러 층으로 수납할 수 있는 신발장 등이 구비된다.
이때, 끈이 없는 신발의 경우 서있는 자세에서도 신거나 벗는 동작을 큰 무리 없이 할 수 있으나, 끈이 있는 운동화나 부츠 등은 서있는 상태에서 신거나 벗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려 앉은 자세로 신발을 신거나 벗어야 했다.
이처럼,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려 앉은 상태로 신발을 신거나 벗는 동작은 매우 번거로우며, 관절 질환을 가진 사용자나 노약자 등은 허리를 굽히거나 앉은 상태에서 신발을 신거나 벗기가 어려우므로 현관에 쪼그려 앉거나 별도의 의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현관의 벽체에 절첩 가능한 의자 등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신발을 신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현관용 의자는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상 좋지 않고, 절첩은 가능하지만 일정 부피를 가지고 현관이 좁은 경우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다.
또한, 종래의 현관용 의자는 회동 방식으로 펼쳐지거나 절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의자의 회동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 과도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였다.
즉, 종래의 현관용 의자는 의자를 펼치거나 절첩시키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충격에 의해 의자가 파손될 염려가 있었고, 회동 가능한 연결 부위에 사용자의 인체(손 등)가 끼는 등 안전사고의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등록실용 제20-0333979호(2003년 11월 1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시 벽체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회동 위치시켜 의자로 사용하고, 비사용시 벽체 수납공간 내에 수납시킴으로써, 신발을 신거나 벗는 과정에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보관 및 공간 활용의 용이성을 갖는 현관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방으로 수평하게 인출하거나 벽체 수납공간으로 수납시 로터리 댐퍼의 회전 저항을 발생시켜, 인출 및 수납시 부드럽게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인출 및 수납시 충격에 의한 소음이나 장치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고, 인출 과정에서의 부주의로 인해 사용자의 인체에 큰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관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는, 후단이 벽체 수납공간의 좌우 방향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방으로 회동시 상단에 결합된 착석 패널이 수평하게 펼쳐지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단이 상기 프레임들의 전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들과 함께 전방으로 회동 위치시 하단이 바닥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들의 하부에서 양단이 상기 벽체 수납공간의 좌우 방향과 상기 지지대들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링크와, 상기 프레임들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들과 지지대들이 회동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축이 측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로터리 댐퍼 및, 상단이 상기 구동축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제1링크들과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로 회동시 상기 로터리 댐퍼들의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저항을 상기 제1링크들로 전달하는 한 쌍의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들과 상기 지지대들은 후방으로 회동 위치시 상기 벽체 수납공간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프레임들을 전방으로 회동 위치시 하단이 상단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프레임들을 후방으로 회동 위치시 수직하게 회동되어 상기 벽체 수납공간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들의 전면에는 전면 패널이 더 결합되며,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프레임들과 상기 지지대들이 후방으로 회동 위치시 상기 벽체 수납공간의 전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의 상단은 상기 프레임들과 상기 지지대들이 전방으로 회동 위치시 상기 프레임들의 상단보다 더 높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체 수납공간의 좌우 방향에는 한 쌍의 브라켓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들과 상기 제1링크들의 후단은 상기 브라켓들의 전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들의 하단에는 높이조절볼트가 더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볼트는 상단의 나사 결합부가 상기 지지대들의 하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하단에 결합된 받침부재가 수평 회전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들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하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들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제1절곡부들의 사이 공간에 교차 삽입되도록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부들의 전단과 상기 제2절곡부들의 상단에는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기 위한 힌지축이 수평하게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제1절곡부들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도록 끼임 방지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임 방지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제2절곡부들이 대응 삽입되도록 한 쌍의 삽입홈이 오목하게 더 형성되며, 상기 끼임 방지부재의 후방측 상면에는 상기 프레임들의 하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전후로 회동되도록 볼록한 곡선면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전방으로 인출하여 의자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벽체 수납공간 내에 수납시켜 부피를 축소시킴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어 신발을 신거나 벗는 과정에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보관 및 공간 활용의 용이성을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전방으로 수평하게 인출하거나 벽체 수납공간으로 수납시 로터리 댐퍼의 회전 저항을 발생시켜, 인출 및 수납시 부드럽게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인출 및 수납시 충격에 의한 소음이나 장치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고, 인출 과정에서의 부주의로 인해 사용자의 인체에 큰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프레임과 지지대의 연결 부위에 끼임 방지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프레임과 지지대의 연결 부위에 틈이 형성되지 않아 사용자의 인체(손 등)가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의 좌석 패널과 전면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의 좌석 패널과 전면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의 좌석 패널과 전면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부터 전방으로 펼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부터 전방으로 펼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 절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 절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 절첩을 완료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의 좌석 패널과 전면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의 좌석 패널과 전면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의 좌석 패널과 전면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부터 전방으로 펼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부터 전방으로 펼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 절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 절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 절첩을 완료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의 좌석 패널과 전면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의 좌석 패널과 전면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의 좌석 패널과 전면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부터 전방으로 펼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부터 전방으로 펼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 절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 절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수납장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으로 절첩을 완료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는 한 쌍의 프레임(100)과, 한 쌍의 지지대(200)와, 한 쌍의 제1링크(300)와, 한 쌍의 로터리 댐퍼(400) 및, 한 쌍의 제2링크(5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은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0)들의 후단은 현관 수납장(신발장 등, 10)에 형성된 벽체 수납공간(20)의 좌우 방향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0)들은 전방으로 수평하게 회동 위치시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100)들은 일정 강성을 갖도록 금속 소재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들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하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1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절곡부(110)들은, 프레임(100)들이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일정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들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도록 일정 넓이의 착석 패널(101)이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00)들의 상단에는 착석 패널(101)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석 패널(101)은, 합판, 목재 등의 소재를 이용해 사각 패널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프레임(100)들의 상단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석 패널(101)은, 프레임(100)들을 벽체 수납공간(20)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도록 수평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100)들은, 전방으로 회동시 벽체 수납공간(20)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펼쳐지고, 벽체 수납공간(20)으로 회동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수납된다.
한 쌍의 지지대(200)는, 상단이 프레임(100)들의 전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00)들과 함께 전방으로 회동 위치시 하단이 바닥면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00)들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200)들은 일정 강성을 갖도록 금속 소재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0)들은 프레임(100)들을 전방으로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도 2와 5에서처럼 하단이 상단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펼쳐진다.
즉, 프레임(100)들을 전방으로 수평하게 펼치는 경우, 상기 지지대(200)들이 경사지게 펼쳐지므로, 지지대들(200)이 후방으로 회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프레임(100)들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00)들의 전면에는, 전면 패널(201)이 더 결합되는데, 상기 전면 패널(201)은 합판, 목재 등의 소재를 이용해 사각 패널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00)들의 전면에는 전면 패널(201)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재를 이용해 지지대(200)들의 전면에 전면 패널(20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1)은, 프레임(100)들을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후방으로 상향 이동되면서 벽체 수납공간(20)의 개방된 전면에 수직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전면 패널(201)의 상단은, 프레임(100)들과 지지대(200)들이 전방으로 회동 위치시 프레임(100)들의 상단보다 더 높게 위치되며, 이때 수평하게 펼쳐진 프레임(100)들의 전단은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지지대(200)들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제1절곡부(110)들의 사이 공간에 교차 삽입되도록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21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절곡부(210)들은, 지지대(200)들이 상하로 펼쳐진 상태에서 일정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절곡부(110)들의 전단과 제2절곡부(210)들의 상단에는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기 위한 힌지축(A)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절곡부(210)들의 상단이 제1절곡부(110)들의 사이에 삽입되고, 제2절곡부(210)들의 상단과 제1절곡부(110)들의 전단이 힌지축(A)에 의해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힌지축(A)에는 도 3에서처럼 제1절곡부(110)들의 사이 공간에 는 회동 조작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끼지 않도록 끼임 방지부재(7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끼임 방지부재(700)는, 제1절곡부(110)들의 사이 공간과 동일한 좌우 폭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데, 상기 끼임 방지부재(700)의 전면에는 제2절곡부(210)들이 대응 삽입되도록 한 쌍의 삽입홈(710)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지지대(200)들의 후면이 상기 끼임 방지부재(700)의 전면과 동일한 각도로 밀착되므로, 제2절곡부(210)들의 사이 공간에 끼임 방지부재(700)의 전면 부위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지지대(200)와 끼임 방지부재(700)는 함께 전후로 회동될 수 있고, 상기 끼임 방지부재(700)가 제1절곡부(110)들과 제2절곡부(210)들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므로, 제1절곡부(110)들과 제2절곡부(210)들의 사이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끼임 방지부재(700)의 후방측 상면에는 프레임(100)들의 하면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로 일정 곡률을 갖는 곡선면(720)이 더 형성된다.
상기 곡선면(720)은, 프레임(100)의 회동 반경으로 일정 곡률을 형성하므로, 프레임(100)을 전후로 회동시키는 경우, 끼임 방지부재(700)의 상면이 프레임(10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지지대(200)들의 하단에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볼트(220)가 더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높이조절볼트(220)의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지지대(200)들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볼트(220)는, 상단의 나사 결합부(221)가 지지대(200)들의 하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하단에 결합된 받침부재(222)가 수평 회전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바닥면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지지대(200)들은, 도 6과 7에서처럼 프레임(100)들을 전방으로 회동시 전방으로 하향 이동되면서 하단이 바닥면(1)에 안착된다.
반면, 상기 지지대(200)들은 프레임(100)들을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도 8과 9에서처럼 후방으로 상향 이동되면서 벽체 수납공간(20) 내에 세워진 상태로 수납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200)들의 전면에 결합된 전면 패널(201)이 벽체 수납공간(20)의 개방된 전면을 차단하며, 도 10에서처럼 상기 전면 패널(201)의 전면이 수납장(10)의 전면과 동일한 수직 벽면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링크(300)는, 프레임(100)들의 하부에 이격 에서 양단이 벽체 수납공간(20)의 좌우 방향과 지지대(200)들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300)들은 프레임(100)들을 전방으로 회동시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프레임(100)의 하부에 수평하게 이격 위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링크(300)들의 전단은 제2절곡부(210)의 측면에 밀착되고,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이 제1링크(300)들의 전단과 제2절곡부(210)를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링크(300)들은, 프레임(100)들을 전방으로 회동시 전방으로 수평하게 펼쳐지는데, 상기 제1링크(300)의 전단에 연결된 지지대(200)들이 경사지게 펼쳐진다.
반면, 상기 제1링크(300)들은 프레임(100)들을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후방으로 상향 이동되면서 벽체 수납공간(20) 내에 세워진 상태로 수납되며, 이때 상기 제1링크(300)들이 프레임(100)들의 전방에 위치된다.
한편, 벽체 수납공간(20)의 좌우 방향에는 한 쌍의 브라켓(600)이 각각 결합되는데, 상기 브라켓(600)들은 체결부재(B)에 의해 벽체 수납공간(20)의 좌우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600)의 전단은 수평하게 절곡되어 일정 넓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브라켓(600)의 전면에 프레임(100)과 제1링크(300)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600)의 전면에는 프레임(100)의 후단을 연결시키기 위한 상부 연결부(6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연결부(610)의 하부에는 제1링크(300)의 후단을 연결시키기 위한 하부 연결부(62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연결부(610)는, 프레임(100)의 후단을 좌우 방향에서 파지하는 형태로 결합되고,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이 상부 연결부(610)의 전단과 프레임(100)의 후단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연결부(620)는, 제1링크(3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밀착되고,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이 제1링크(300)의 하부 연결부(620)의 전단과 제1링크(300)의 후단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로터리 댐퍼(400)는, 도 3과 4에서처럼 프레임(100)들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00)들과 지지대(200)들이 회동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축(410)이 측방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로터리 댐퍼(400)들은 프레임(100)들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로터리 댐퍼(400)들의 구동축(410)이 프레임(100)들을 관통하여 후술 될 제2링크(500)의 상단에 결합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로터리 댐퍼(400)들의 축 방향 일면이 프레임(100)들의 제1절곡부(110)에 수평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터리 댐퍼(400)들의 구동축(410)이 제1절곡부(110)를 관통하여 후술 될 제2링크(500)의 상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로터리 댐퍼(400)는 도 3에서처럼 고정부재(420)에 의해 제1절곡부(110)의 일측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20)는, 로터리 댐퍼(400)의 외부를 수평하게 감싸고, 양단이 제1절곡부(110)의 일측면과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로터리 댐퍼(400)들은, 프레임(100)들을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후술 될 제2링크(500)로 회전 저항을 전달하여 프레임(100)과 지지대(200) 및 제1링크(300)를 부드럽게 회동시킨다.
한 쌍의 제2링크(500)는, 상단이 로터리 댐퍼(400)의 구동축(4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제1링크(300)들과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링크(500)들의 상단은 도 4에서처럼 프레임(100)의 하부에서 로터리 댐퍼(400)의 구동축(41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500)들의 하단은 제1링크(300)들의 일측면과 밀착되고,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이 제2링크(500)들의 하단과 제1링크(300)를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2링크(500)들은, 전후로 회동시 로터리 댐퍼(400)들의 구동축(41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저항을 제1링크(300)들로 전달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전방으로 인출하여 의자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벽체 수납공간(20) 내에 수납시켜 부피를 축소시킴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어 신발을 신거나 벗는 과정에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보관 및 공간 활용의 용이성을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전방으로 수평하게 인출하거나 벽체 수납공간(20)으로 수납시 로터리 댐퍼(400)의 회전 저항을 발생시켜, 인출 및 수납시 부드럽게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인출 및 수납시 충격에 의한 소음이나 장치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고, 인출 과정에서의 부주의로 인해 사용자의 인체에 큰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프레임(100)과 지지대(200)의 연결 부위에 끼임 방지부재(700)를 결합시킴으로써, 프레임(100)과 지지대(200)의 연결 부위에 틈이 형성되지 않아 사용자의 인체(손 등)가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현관 의자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바닥면 10: 수납장
20: 벽체 수납공간 100: 프레임
101: 착석 패널 110: 제1절곡부
200: 지지대 201: 전면 패널
210: 제2절곡부 220: 높이조절볼트
221: 나사 결합부 222: 받침부재
300: 제1링크 400: 로터리 댐퍼
410: 구동축 420: 고정부재
500: 제2링크 600: 브라켓
610: 상부 연결부 620: 하부 연결부
700: 끼임 방지부재 710: 삽입홈
720: 곡선면 A: 힌지축
B: 체결부재
20: 벽체 수납공간 100: 프레임
101: 착석 패널 110: 제1절곡부
200: 지지대 201: 전면 패널
210: 제2절곡부 220: 높이조절볼트
221: 나사 결합부 222: 받침부재
300: 제1링크 400: 로터리 댐퍼
410: 구동축 420: 고정부재
500: 제2링크 600: 브라켓
610: 상부 연결부 620: 하부 연결부
700: 끼임 방지부재 710: 삽입홈
720: 곡선면 A: 힌지축
B: 체결부재
Claims (11)
- 후단이 벽체 수납공간의 좌우 방향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방으로 회동시 상단에 결합된 착석 패널이 수평하게 펼쳐지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단이 상기 프레임들의 전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들과 함께 전방으로 회동 위치시 하단이 바닥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들의 하부에서 양단이 상기 벽체 수납공간의 좌우 방향과 상기 지지대들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링크와, 상기 프레임들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들과 지지대들이 회동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축이 측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로터리 댐퍼 및, 상단이 상기 구동축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제1링크들과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로 회동시 상기 로터리 댐퍼들의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저항을 상기 제1링크들로 전달하는 한 쌍의 제2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들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하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들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제1절곡부들의 사이 공간에 교차 삽입되도록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부들의 전단과 상기 제2절곡부들의 상단에는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기 위한 힌지축이 수평하게 관통되며,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제1절곡부들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도록 끼임 방지부재가 더 결합되고, 상기 끼임 방지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제2절곡부들이 대응 삽입되도록 한 쌍의 삽입홈이 오목하게 더 형성되며, 상기 끼임 방지부재의 후방측 상면에는 상기 프레임들의 하면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로 일정 곡률을 갖는 곡선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의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들과 상기 지지대들은,
후방으로 회동 위치시 상기 벽체 수납공간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의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프레임들을 전방으로 회동 위치시 하단이 상단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의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프레임들을 후방으로 회동 위치시 수직하게 회동되어 상기 벽체 수납공간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의자.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들의 전면에는,
전면 패널이 더 결합되며,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프레임들과 상기 지지대들이 후방으로 회동 위치시 상기 벽체 수납공간의 전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의자.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의 상단은,
상기 프레임들과 상기 지지대들이 전방으로 회동 위치시 상기 프레임들의 상단보다 더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의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 수납공간의 좌우 방향에는,
한 쌍의 브라켓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들과 상기 제1링크들의 후단은,
상기 브라켓들의 전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의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들의 하단에는,
높이조절볼트가 더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볼트는,
상단의 나사 결합부가 상기 지지대들의 하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하단에 결합된 받침부재가 수평 회전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의자.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838U KR200490806Y1 (ko) | 2018-04-26 | 2018-04-26 | 현관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838U KR200490806Y1 (ko) | 2018-04-26 | 2018-04-26 | 현관 의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757U KR20190002757U (ko) | 2019-11-05 |
KR200490806Y1 true KR200490806Y1 (ko) | 2020-01-07 |
Family
ID=6853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1838U KR200490806Y1 (ko) | 2018-04-26 | 2018-04-26 | 현관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0806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78591A (ja) * | 1999-12-27 | 2001-07-03 | Shimodaira:Kk | 壁備付け用折畳み椅子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22249B2 (ja) * | 1998-03-30 | 2003-06-30 | コクヨ株式会社 | 家 具 |
-
2018
- 2018-04-26 KR KR2020180001838U patent/KR20049080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78591A (ja) * | 1999-12-27 | 2001-07-03 | Shimodaira:Kk | 壁備付け用折畳み椅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757U (ko) | 2019-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41000B2 (ja) | 椅子の構造及び椅子 | |
US6896322B1 (en) | Folding chair | |
US20070235966A1 (en) | Stroller with Removable Arm Bar | |
JP2016105787A (ja) | 椅子 | |
EP2185032A1 (en) | Mobile support for notebooks, portable computers and the like | |
US20160206096A1 (en) | Swing chair | |
KR200490806Y1 (ko) | 현관 의자 | |
US2951531A (en) | Home shampoo chair | |
CN108209318A (zh) | 儿童游戏床的上折叠装置 | |
US20150115671A1 (en) | Swing Chair | |
US2362746A (en) | Chair | |
CN201761398U (zh) | 一种座椅靠背的侧夹装置 | |
JP4551388B2 (ja) | 自立型アイロン台 | |
KR20170019694A (ko) | 접이식 목욕의자 | |
CN213550722U (zh) | 一种可左右折叠的椅子 | |
JP3739041B2 (ja) | 手摺装置 | |
JP4013227B2 (ja) | 収納式スライドチェアとその開閉方法 | |
JP5061058B2 (ja) | 便座装置 | |
JP2000041780A (ja) | 壁備付け用折畳み椅子 | |
KR102205600B1 (ko) | 다목적 가구 | |
JP3620295B2 (ja) | 収納装置 | |
JP3062919U (ja) | ソファの機能を兼備する電動折畳みベッド | |
CN216220828U (zh) | 一种可调节仰靠角度的沙滩椅 | |
CN107136722A (zh) | 把手及具有该把手的箱包 | |
CN207125546U (zh) | 一种沙发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