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712Y1 - 분절형 지팡이 - Google Patents

분절형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712Y1
KR200490712Y1 KR2020180002495U KR20180002495U KR200490712Y1 KR 200490712 Y1 KR200490712 Y1 KR 200490712Y1 KR 2020180002495 U KR2020180002495 U KR 2020180002495U KR 20180002495 U KR20180002495 U KR 20180002495U KR 200490712 Y1 KR200490712 Y1 KR 200490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egment
handle portion
segment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096U (ko
Inventor
심지훈
Original Assignee
심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지훈 filed Critical 심지훈
Priority to KR2020180002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71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3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7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절형 지팡이(100)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분절들을 포함하고, 이들 분절들은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선단끼리 암수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고, 연결와이어(50)를 분절들(10, 30A-30C)을 관통시켜 한쪽 선단은 최하단 분절(40)의 내측에 고정하고, 다른 쪽 선단은 최상단의 분절(10)의 내측에 고정하여 복수의 분절들이 전부 결합된 경우 서로 밀착시켜 분리되지 않게 된 것이다. 분리된 분절들을 한데 묶어서 고정하는 고정끈(13)은 사용하지 않을 때, 손잡이부의 외피(12)에 형성된 홈(12a)에 감아서 보관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분절형 지팡이{Multi-segment Climbing Stick}
본 고안은 분절형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분절들이 동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지팡이로 사용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각 분절들로 분리하여 접은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된 다단 분절형 등산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등산 또는 보행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팡이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길이조절가능하고, 사용시 펼쳐서 펼친 상태로 고정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여러개의 분절로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분절형 지팡이로서는 아래 특허문헌들에 여러 종류의 것들이 알려져 있다. 각 분절들을 안테나식으로 연장하거나 반대로 축소하는 방식의 지팡이가 있다. 이러한 안테나식 지팡이는 가장 상측의 분절안으로 나머지 분절들을 안테나식으로 밀어 넣은 상태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고정하여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반대로 완전한 길이로 전개하여 사용하는 경우, 분절과 분절의 연결부위를 전개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력이 약해서 사용중 하측 분절편이 상측 분절편 안으로 밀려 들어가 길이가 처음 셋팅한 길이에서 점차 짧아지므로 사용중에 사용자가 줄어든 부분을 다시 뽑아서 고정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안테나식 지팡이가 가진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와이어 연결식' 분절형 지팡이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와어이 연결식 분절형 지팡이는 전체 길이로 전개하여 사용할 때, 지면과의 충격을 흡수완충하는 기구가 지팡이의 상단측에 구비되어 있어 충격을 충분히 흡수완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특허문헌1의 지팡이는 분절들을 전부 연결한 상태에서 길이를 사용자의 신장 조건에 맞추어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특허문헌1의 지팡이는 상단측에 충격흡수완충기구가 삽입설치되어 있으므로 길이 미세조정기구를 설치할 공간이 없었다.
또한, 종래의 특허문헌1에 개시된 지팡이는 분절들을 분리하여 휴대할 때, 분리된 분절들을 한데 묶는 장치가 없어 손으로 분리된 분절들을 별도의 고무줄이나 끈으로 사용자가 묶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KR 20-0475502 Y1
본 고안은 종래 분절형 지팡이가 가진 상기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분절로 분리되어 있던 상태에서 완전한 길이의 지팡이로 전개하는 작동이 간편하고, 전개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사용할 때,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완충할 수 있고, 전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장과 같은 사용조건에 맞추어 미세하게 길이조절할 수 있으며, 분리된 복수의 분절을 묶어서 휴대할 수 있으며, 분절을 묶을 때 사용하던 고정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 돌출하지 않게 손잡이에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 분절형 지팡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분절들을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선단끼리 암수 끼워맞춤식으로 연결하고, 연결와이어를 중간 분절들을 관통시켜 한쪽 선단은 최하단의 분절의 내측에 고정하고, 다른 쪽 선단은 최상단의 분절의 내측에 고정하여 복수의 분절들이 전부 결합된 경우 서로 밀착시켜 분리되지 않게 된 분절형 지팡이에 있어서,
상기 분절들은 지팡이의 상단의 손잡이부, 지팡이의 하단에 구비된 최하단 분절, 손잡이부와 최하단 분절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분절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관, 손잡이관의 하단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길이 미세조정관과, 상기 길이 미세조정관을 손잡이관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중간 분절중 길이 미세조정관에 끼워지는 제1중간 분절은 상기 길이 미세조정관에서 최대로 전개되었을 때 측벽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여 상측 중간 분절이 상기 길이 미세조정관 안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하는 플런저 스토퍼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외측면에 덮여진 외피와, 상기 외피의 일측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둘레를 따라 안착하여 결합되는 고정끈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최하단 분절은 지팡이를 사용할 때 지면에서 지팡이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완충하는 충격 완충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 완충기구는 일단이 최하단 분절의 관체 하단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하단관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내측관, 내측관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완충스프링, 상기 하단관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받침편, 일단은 상기 받침편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내측관 안으로 삽입되어 상단면이 상기 완충스프링을 지지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과 내측관을 동시에 가로질러 관통하여 작동봉을 내측관에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는 결합핀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길이 미세조정관을 손잡이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구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 외측에 결합된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의 내측에 결합된 콜릿부재와, 상기 미세조정관을 회전시킬 때 상기 콜릿부재의 슬릿 내부로 진입하여 콜릿부재의 외측면을 손잡이부의 내측벽면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쐐기와, 상기 링부재의 외측면을 눌러서 링부재를 콜릿부재에 압착고정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분절형 지팡이는, 분절로 분리되어 있던 상태에서 분절들을 당겨 내리기만 하면 완전한 길이의 지팡이로 신속하게 전개되므로 전개작동이 간편하다.
전개된 상태로 이중의 고정구로써 고정하므로, 고정력이 강화되고, 충격흡수완충장치가 최하단의 분절에 내장되어 있어 충격감쇠효과가 크며, 최상단 분절(손잡이부)에 고정구를 설치할 수 있어, 부품 배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에 길이 미세조정관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건(신장)에 맞추어 길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분절형 지팡이에서는, 분리된 복수의 분절을 손잡이에 구비된 고정끈으로 손잡이에 감아 묶어서 휴대할 수 있으며, 분절을 묶을 때 사용하던 고정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 돌출하지 않게 손잡이의 홈에 감아서 보관하므로 외관이 깔금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절형 지팡이의 전체 길이로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절형 지팡이의 길이방향 결합단면도이다.
도 3는 도 2의 'A'부의 확대도로서, 길이미세조정관의 고정구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절형 지팡이의 각 분절들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B'부의 확대도로서, 충격 완충기구가 충격흡수 작동 전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B'부의 확대도로서, 충격 완충기구가 충격흡수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분절형 지팡이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절형 지팡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선단끼리 결합하는 다수의 분절들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지팡이(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분절들은, 최상단의 손잡이부(10), 손잡이부(10)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결합하는 길이 미세조정관(20), 상기 길이 미세조정관(20)의 하단에 상단이 결합하는 제1중간 분절(30A)과, 상기 제1중간 분절(30A)에 결합하는 제2중간 분절(30B)과, 상기 제2중간 분절(30B)의 하단에 결합하는 최하단 분절(30C)과, 최하단 분절(30C)의 하단에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하단관(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관(40)의 하단에는 미끄럼방지 캡(45)이나 뾰족한 침(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분절(30A, 30B, 30C)은 상단이 인접하는 다른 분절의 하단 내부에 슬라이드 삽입가능하도록 외경이 축소된 결합부(31A, 31B, 31C)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분절(10, 30A, 30B, 30C)들은 일렬로 결합되었을 때(도 2에 도시된 상태) 내부를 관통하는 하나의 연결와이어(50)의 장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분절(10, 30A, 30B, 30C)들을 결합된 상태로 고정한다. 연결와이어(50)는 중간 분절(30A, 30B, 30C)들을 관통하여 일단이 손잡이부(10)의 손잡이관(11) 내측에 설치된 고정구에 고정되고, 타단은 최하단 분절(31C)에 고정된다.
연결와이어(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절(10, 30A, 30B, 30C)들이 일렬로 전부 결합되었을 때, 분절들의 각 결합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각 분절들에 일정한 장력을 가하는 길이로 구성된다. 이 때, 제1중간 분절(30A)의 상단에 구비된 플런저 스토퍼(23)가 돌출하여 길이 미세조정관(20)의 하단에 구비된 링(22)의 저면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제1중간 분절(30A)이 연결와이어(50)의 장력에 의해 손잡이부(10)의 미세조정관(20)안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저지한다.
역으로, 분절의 외측면 외부로 돌출해 있던 플런저 스토퍼(23)를 밀어넣어 스토퍼해제하면, 연결와이어(50)의 장력이 느슨해지면서 제1중간 분절(30A)이 손잡이부(10)의 길이 미세조절관(20)안으로 진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들을 분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분절들(10,30A-30C)들을 둘러싸서 하나로 묶기 위한 고정끈(13)이 손잡이부(10)에 구비되어 있다. 손잡이부(10)는 손잡이관(11)의 외측에 쿠션성을 가진 외피(12)가 덮여있고, 이 외피(12)는 일부 둘레를 따라 제거되어 고정끈 안착홈(12a)이 형성되며, 이 고정끈 안착홈(12a)에는 고정끈(13)이 감겨지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미세조정관(20)을 손잡이관(11)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구가 손잡이관(11)의 하단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는 이중의 고정구조로 이루어져, 셋팅된 지팡이의 길이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관(11)의 하단 외측에 구비되어 눌렀을 때 내측의 길이 미세조정관(20)의 상단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클램프(15)로 이루어진 제1고정구와, 길이 미세조정관(20)을 손잡이관(11)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쐐기작용으로 미세조정관(20)을 손잡이관(11)의 내측벽에 압착하여 고정하는 쐐기식 고정구(60)로 구성된 제2고정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쐐기식 고정구(60)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의 손잡이관(11)의 하단 내측에 결합된 콜릿 부재(61), 상기 미세조정관(20)을 회전(저면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시킬 때 상기 콜릿 부재(61)의 중앙 구멍 내부로 진입하여 콜릿 부재(61)의 외측면을 손잡이관(20)의 내측벽면에 밀착하도록 가압(f2)하는 쐐기(6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팡이를 사용하면서 힘을 받아 밀려 들어갈려는 길이 미세조정관(20)을 이중의 고정구(15, 60)로써 고정함으로써 사용중 셋팅된 길이에서 줄어들지 않는다. 특히 이러한 이중 구조의 고정구가 손잡이부(10)의 하단에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지팡이를 전개한 상태에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지팡이(100)는 상기 최하단 분절을 통하여 지면에서 지팡이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하는 충격 완충기구(70)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지팡이(100)는 상기 충격 완충기구(70)가 지팡이(100)의 하단에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하단에 구비된 충격 완충기구는 상단에 구비된 것에 비하여 신속하게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격 완충기구(70)는 일단은 최하단 분절(30C)의 관체(32) 하단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하단관 본체(41)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내측관(75), 내측관(75)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완충스프링(76), 상기 하단관(40) 본체(41)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받침편(42), 일단은 상기 받침편(42)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내측관(75)안으로 삽입되어 상단면이 상기 완충스프링(76)을 지지하는 작동봉(71)과, 상기 작동봉(71)과 내측관(75)을 동시에 가로질러 관통하여 작동봉(71)을 내측관(75)에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는 결합핀(7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충격 완충기구(70)는 지팡이(100)를 지면에 대고 누를 때, 지면에서하단관(40)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최하단 분절(30C)의 관체(32)가 완충스프링 (76)을 압축하면서 흡수하여 완충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충격완충기구(70)는 지팡이의 하단에 구비됨으로써 지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신속하게 완충할 수 있다.
100: 본 고안에 따른 분절형 지팡이
10: 손잡이부 11: 손잡이관
12: 외피 12a: 고정끈 안착홈
13: 고정끝 15: 클램프
20: 길이 미세조정관 22: 링
23: 플런저 스토퍼 30A: 제1중간 분절
30B: 제2중간 분절 30C: 최하단 분절
31A, 31B, 31C : 결합부 40: 하단관
41: 하단관 본체 42: 받침대
50: 연결와이어 60: 고정구
61: 콜릿 부재 62: 쐐기
70: 충격 완충기구 71: 작동봉
72: 작동봉의 하단 73: 가이드링부
74: 결합핀 75: 내측관
76: 완충스프링

Claims (5)

  1. 손잡이부(10)를 구비한 최상단 분절과, 상기 최상단 분절의 하단에 결합하는 제1중간 분절(30A)과, 상기 제1중간 분절(30A)에 결합하는 제2중간 분절(30B)과, 상기 제2중간 분절(30B)의 하단에 결합하는 최하단 분절(30C)과, 상기 최하단 분절(30C)의 하단에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하단관(40)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분절들의 선단끼리 암수 끼워맞춤식으로 연결하고, 연결와이어(50)를 상기 분절들을 관통시켜 한쪽 선단은 최하단 분절의 내측에 고정하고, 다른 쪽 선단은 최상단의 분절의 내측에 고정하여 복수의 분절들이 전부 결합된 경우 서로 밀착시켜 분리되지 않게 되어 있고,
    상기 하단관(40)에는 지팡이(100)를 사용할 때 지면에서 지팡이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완충하는 충격 완충기구(70)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 완충기구(70)는 일단이 상기 하단관(40)의 본체(41) 하단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하단관 본체(41)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내측관(75), 내측관(75)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완충스프링(76), 상기 하단관 본체(41)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받침편(42), 일단은 상기 받침편(42)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내측관(75) 안으로 삽입되어 상단면이 상기 완충스프링(76)을 지지하는 작동봉(71)과, 상기 작동봉(71)과 내측관(75)을 동시에 가로질러 관통하여 작동봉(71)을 내측관(75)에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는 결합핀(74)으로 구성된, 분절형 지팡이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 분절은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단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길이 미세조정관(20)과, 상기 길이 미세조정관(20)을 손잡이부(10)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절들이 최대로 전개되었을 때, 상측의 중간 분절(30A-30C)들이 상기 길이 미세조정관(20) 안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하는 플런저 스토퍼(23)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 미세조정관(20)을 손잡이부(10)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구는,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단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10)의 내측에 결합된 콜릿부재(61)와, 상기 미세조정관(20)을 회전시킬 때 상기 콜릿부재(61)의 슬릿 내부로 진입하여 콜릿부재(61)의 외측면을 손잡이부(10)의 내측벽면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쐐기(62)와, 상기 손잡이부(10)의 외측면을 눌러서 상기 손잡이부(10)를 콜릿부재(61)에 압착고정시키는 클램프(15)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10)는 외측면에 덮여진 외피(12)와, 상기 외피(12)의 일측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12a)과, 상기 홈(12a)에 안착하도록 감겨지는 고정끈(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형 지팡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2495U 2018-06-07 2018-06-07 분절형 지팡이 KR200490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95U KR200490712Y1 (ko) 2018-06-07 2018-06-07 분절형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95U KR200490712Y1 (ko) 2018-06-07 2018-06-07 분절형 지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96U KR20190003096U (ko) 2019-12-17
KR200490712Y1 true KR200490712Y1 (ko) 2019-12-20

Family

ID=6900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495U KR200490712Y1 (ko) 2018-06-07 2018-06-07 분절형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71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5318A (ja) * 2008-06-30 2010-01-14 Yoshitaka Takahashi 杖用石突及びこれを連結してなる杖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9314U (ja) * 1983-04-08 1984-10-25 三共洋傘株式会社
KR101195711B1 (ko) * 2010-12-20 2012-10-29 라제건 접이식 지팡이
KR200475502Y1 (ko) * 2012-07-13 2014-12-08 정명인 분리형 다단식 지팡이
KR200476588Y1 (ko) * 2013-08-07 2015-03-12 심지훈 다단 파이프 인출식 지팡이의 이중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5318A (ja) * 2008-06-30 2010-01-14 Yoshitaka Takahashi 杖用石突及びこれを連結してなる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96U (ko)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882B1 (ko) 스틱
USRE28067E (en) Hyman collapsible rod
US8365747B1 (en) Shaft structure of automatic umbrella
US11071362B2 (en) Adjustable and retractable rod apparatus
KR101366722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KR200490712Y1 (ko) 분절형 지팡이
KR101195711B1 (ko) 접이식 지팡이
US7422547B2 (en) Trampoline having substantially similar mat deflection under varying loads
KR101100968B1 (ko) 길이 조절형 지팡이
KR102258526B1 (ko) 길이 조절 장치
KR101261788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US20150335111A1 (en) Pole intended to be used as training equipment during walking
US20040011393A1 (en) Crutch
KR200299557Y1 (ko) 신축지팡이의 조절구 구조
EP2572602B1 (en) Shaft structure of automatic umbrella
JP5890590B2 (ja) 筋力強化杖
US10292468B2 (en) Automatic opening or closing umbrella
CN219438381U (zh) 一种无按钮折叠杆
CN210184735U (zh) 一种折叠式杆杖
JP5422701B2 (ja) 折畳み式杖
KR200475502Y1 (ko) 분리형 다단식 지팡이
CN105996352A (zh) 可调节尺寸的伞
CN116058578A (zh) 一种无按钮折叠杆
US11473332B2 (en) Tent pole assembly
US20150181992A1 (en) Elastic Force Enhancing Structure of Self-Opening/Closing Umbrel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